KR20150053284A - 자주식 크레인 - Google Patents

자주식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284A
KR20150053284A KR1020130134583A KR20130134583A KR20150053284A KR 20150053284 A KR20150053284 A KR 20150053284A KR 1020130134583 A KR1020130134583 A KR 1020130134583A KR 20130134583 A KR20130134583 A KR 20130134583A KR 20150053284 A KR20150053284 A KR 20150053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driver
crane
cylinder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3013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284A/ko
Priority to US14/195,769 priority patent/US20150122762A1/en
Publication of KR2015005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2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3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auxiliary motors, e.g. for pumps, compre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2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D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0Working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60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means for production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전방의 양측과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아웃트리거를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지게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아웃트리거를 하나의 실린더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아웃트리거를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크레인을 작동시켜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각각의 아웃트리거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적을 경우에는 하나의 전기모터와 유체펌프만을 사용하여 전기의 낭비를 줄이고,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많이 필요할 경우에는 두 개의 전기모터와 유체펌프를 모두 사용하여구동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주식 크레인{Self propelled type crane}
본 발명은 자주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아웃트리거를 경사지게 구비하여 크레인을 작동시켜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각각의 아웃트리거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적을 경우에는 전기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많이 필요할 경우에는 구동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주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되어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크레인이 장착되는 차량은 내연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카고트럭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내연기관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차량에 장착되는 크레인을 공장의 실내나 건설 현장의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매연과 소음으로 인하여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0097호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이하, "종래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장치부를 구비하는 전동차량과; 상기 전동차량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와, 복수의 붐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힌지연결되는 붐조립체가 구비되는 크레인부와;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면서 작동유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신축되고 일단은 상기 포스트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붐조립체에 힌지 연결되어 붐조립체를 틸팅시키는 붐틸팅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신축되고 상기 붐조립체내에 구비되어 붐을 신축시키는 붐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전동차량에 대하여 상기 포스트를 선회시키는 스윙모터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어 상기 붐틸팅실린더, 붐실린더, 스윙모터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제1 크레인조작부를 구비한 크레인작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붐조립체의 타단에는 체인으로 연결된 후크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동차량의 전방에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동차량의 전방 하중을 지지하는 전방 아웃트리거와, 상기 전동차량의 후방에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동차량의 후방 하중을 지지하는 후방 아웃트리거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신축되고,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를 신축시키는 아웃트리거 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서 신축되고,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를 승강시키는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어 상기 아웃트리거 실린더와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아웃트리거 조작부를 더 구비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동차량이 탑재되는 크레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종래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는 아웃트리거 실린더와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의 두 개의 실린더를 구비해야 함에 따라, 각각의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의 구조가 복잡함으로써,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의 제작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아웃트리거를 구성하는 잭업실린더가 수직으로 구비됨에 따라, 크레인을 작동시켜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잭업실린더가 쉽게 휘어져 크레인의 전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은 전동차량을 이동시킬 경우에 운전자가 서서 전동차량을 운전함에 따라, 전동차량의 주행 중 운전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0097호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2009.01.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전방의 양측과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아웃트리거를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지게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아웃트리거를 하나의 실린더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아웃트리거를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크레인을 작동시켜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각각의 아웃트리거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차체프레임을 구성하는 양측의 수직골조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내측 받침판을 구비함으로써 전,후방 충전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자주식 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탱크이 내부에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 각도변경실린더, 붐 신축실린더, 윈치, 각각의 아웃트리거에 유체라인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유체펌프를 구비하고, 유체탱크의 상부에 각각의 유체펌프의 회전축과 직결되는 두 개의 전기모터를 구비함으로써,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적을 경우에는 하나의 전기모터와 유체펌프만을 사용하여 전기의 낭비를 줄이고,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많이 필요할 경우에는 두 개의 전기모터와 유체펌프를 모두 사용하여구동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주식 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차체를 운전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주행 중 운전가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석에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조정하는 가속 패달을 구비함으로써 출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주식 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의 전방과 후방에 전,후방 충전부를 구비함에 따라 많은 수의 축전지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주식 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은,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차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전방의 양측에는 바퀴 구동모터의 의해 회전되는 두 개의 앞바퀴가 구비되며, 후방의 양측에는 조향장치에 의해 조향되는 두 개의 뒷바퀴가 구비되는 차체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되고 회전 구동부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붐 지지대와, 붐 지지대에 후단이 연결되어 각도변경실린더에 의해 각도가 변경되고 붐 신축실린더와 윈치가 구비되는 붐대와, 상기 윈치에 감겨져 붐대의 전단에서 하부로 인출되고 끝단에는 후크가 구비되는 후크 와이어로 구성되는 크레인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내측 받침판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돌출판이 형성되는 두 개의 수직골조와, 양측의 수직골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골조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수직골조의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고 다수의 충전지가 장착되는 전방 충전부와; 상기 양측 수직골조의 사이의 후방과 차체의 후방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충전지가 장착되는 후방 충전부와;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방의 양측과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은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다수의 아웃트리거와; 상기 차체의 일측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 각도변경실린더, 붐 신축실린더, 윈치, 각각의 아웃트리거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작동 유체 공급부와; 상기 차체의 타측 중앙에 운전자가 앉은 자세에서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 각도변경실린더, 붐 신축실린더, 윈치, 각각의 아웃트리거, 작동 유체 공급부를 조작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운전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의 상기 아웃트리거는, 차체에 경사지게 고정되고 하부에 로드가 돌출되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하부에 힌지축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의 상기 작동 유체 공급부는. 상기 차체의 일측 중앙에 외측과 상부가 개방되게 함몰 형성되는 장착 공간부와, 상기 장착 공간부에 삽입 장착되는 유체탱크와, 상기 유체탱크의 내부에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이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 각도변경실린더, 붐 신축실린더, 윈치, 각각의 아웃트리거에 유체라인으로 연결되어 각각에 유체를 공급하는 두 개의 유체펌프와, 상기 유체탱크의 상부에 상기 각각의 유체펌프의 회전축과 직결되게 구비되고 상기 운전석과 연결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전방 충전부나 후방 충전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각각의 유체펌프를 작동시키는 두 개의 전기모터와, 상기 장착 공간부의 외측과 상부를 개방 가능하게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의 상기 운전석은, 상기 차체의 타측 중앙에 외측과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운전석 공간부와, 상기 운전석 공간부에 운전자가 전방을 보면서 앉을 수 있게 구비되는 시트와, 상기 운전석 공간부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핸들과, 상기 운전석 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 각도변경실린더, 붐 신축실린더, 윈치, 각각의 아웃트리거, 두 개의 전기모터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와, 상기 운전석 공간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조정하는 가속 패달과, 상기 운전석 공간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안전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의 상기 전방 충전부는, 양측 수직골조의 내측 받침판의 상부에 양단이 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충전지가 수납되는 전방 받침판과, 양측 수직골조의 사이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의 상기 후방 충전부는, 양측 수직골조의 내측 받침판의 상부에 양단이 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충전지가 수납되는 후방 받침판과, 양측 수직골조의 외측 돌출판의 상면에 단부가 고정되어 양측 수직골조의 외측으로 수평이 되게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충전지가 수납되는 양측 두 개의 후방 수평측판과, 상기 차체의 후방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적재되는 충전지들을 커버하는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후방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체의 전방의 양측과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아웃트리거를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지게 경사지게 구비하여 각각의 아웃트리거를 하나의 실린더로 간단하게 제조함으로써 크레인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각각의 아웃트리거를 경사지게 구비하여 크레인을 작동시켜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각각의 아웃트리거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크레인의 전도로 인한 인명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으며, 차체프레임을 구성하는 양측의 수직골조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내측 받침판을 구비하여 전,후방 충전부를 용이하게 제작함으로써 크레인의 제작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탱크이 내부에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 각도변경실린더, 붐 신축실린더, 윈치, 각각의 아웃트리거에 유체라인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유체펌프를 구비하고, 유체탱크의 상부에 상기 유체펌프의 회전축과 직결되는 두 개의 전기모터를 구비함으로써,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적을 경우에는 하나의 전기모터와 유체펌프만을 사용하여 전기의 낭비를 줄이고,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많이 필요할 경우에는 두 개의 전기모터와 유체펌프를 모두 사용하여 구동 출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차체를 운전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하여 차체의 주행 중 운전가가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좀 더 향상된 지주식 크레인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고, 운전석에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조정하는 가속 패달을 구비하여 출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출력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의 전방과 후방에 전,후방 충전부를 구비함에 따라 많은 수의 축전지를 수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 번의 충전으로 오랜시간 동안 구동이 가능한 자주식 크레인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을 일측에서 본 것으로,
도 1a는 상부가 일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1b는 내부를 도시한 평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c는 차체의 전,후방에 전,후방 충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d는 작동 유체 공급부의 커버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유체탱크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을 타측에서 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타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을 전방에서 본 것으로,
도 3a는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을 후방에서 본 것으로,
도 4a는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을 일측에서 본 것으로, 도 1a는 상부가 일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1b는 내부를 도시한 평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c는 차체의 전,후방에 전,후방 충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d는 작동 유체 공급부의 커버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유체탱크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을 타측에서 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타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을 전방에서 본 것으로, 도 3a는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을 후방에서 본 것으로, 도 4a는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은 전기로 주행이 가능한 차체(1)와 차체(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크레인(2)을 포함한다.
상기 차체(1)는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차체 프레임(11)과, 전방의 양측에 구비되어 바퀴 구동모터(미도시됨)의 의해 회전되는 두 개의 앞바퀴(12)와, 후방의 양측에 조향장치(미도시됨)에 의해 조향되게 구비되는 두 개의 뒷바퀴(13)를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2)은 상기 차체 프레임(11)의 중앙에 장착되고 회전 구동부(211)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붐 지지대(21)와, 붐 지지대(21)에 후단이 연결되어 각도변경실린더(211)에 의해 각도가 변경되고 붐 신축실린더(미도시됨)와 윈치(223)가 구비되는 붐대(22)와, 상기 윈치(223)에 감겨져 붐대(22)의 전단에서 하부로 인출되고 끝단에는 후크(231)가 구비되는 후크 와이어(1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체 프레임(11)은,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내측 받침판(111a)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돌출판(111b)이 형성되는 두 개의 수직골조(111)와, 양측의 수직골조(111)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골조(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골조(112)들은 양측의 수직골조(111)의 하단에 용접을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은 상기 양측 수직골조(111)의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고 다수의 충전지(B)가 장착되는 전방 충전부(3)와, 상기 양측 수직골조(111)의 사이의 후방과 차체(1)의 후방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충전지(B)가 장착되는 후방 충전부(4)와, 상기 차체 프레임(11)의 전방의 양측과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은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다수의 아웃트리거(5)와, 상기 차체(1)의 일측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미도시됨),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작동 유체 공급부(6)와, 상기 차체(1)의 타측 중앙에 운전자가 앉은 자세에서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 작동 유체 공급부(6)를 조작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운전석(7)을 포함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방 충전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수직골조(111)의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양측 수직골조(111)의 내측 받침판(111a)의 상부에 양단이 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충전지(B)가 수납되는 전방 받침판(31)과, 양측 수직골조(111)의 사이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판(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32)은 차체(1)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차체(1)나 양측의 수직골조(111)에 볼트의 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방 충전부(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수직골조(111)의 사이의 후방과 차체(1)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양측 수직골조(111)의 내측 받침판(111a)의 상부에 양단이 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충전지(B)가 수납되는 후방 받침판(41)과, 양측 수직골조(111)의 외측 돌출판(111b)의 상면에 단부가 고정되어 양측 수직골조(111)의 외측으로 수평이 되게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충전지(B)가 수납되는 양측 두 개의 후방 수평측판(42)과, 상기 차체(1)의 후방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적재되는 충전지(B)들을 커버하는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후방 커버부재(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 커버부재(43)는 차체(1)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차체(1)에 볼트의 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체 프레임(11)을 구성하는 양측의 수직골조(111)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내측 받침판(111a)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전방 충전부(3)의 전방 받침판(31)과 후방 충전부(4)의 후방 받침판(41)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수직골조(111)의 하단에 형성되는 내측 받침판(111a)을 통해, 전방 충전부(3)와 후방 충전부(4)를 좀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의 전,후방에 전,후방 충전부(3)(4)를 각각 구비함에 따라, 많은 수의 축전지를 수납할 수 있어 한 번의 충전으로 오랜 시간 동안 구동이 가능한 자주식 크레인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웃트리거(5)는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으로, 아웃트리거(5)들을 통해 차체(1)를 좀 더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수평에서 45도로 경사지게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웃트리거(5)는 차체(1)에 볼트나 너트의 결합으로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용접을 통해 차체(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웃트리거(5)는 차체(1)에 경사지게 고정되고 하부에 로드가 돌출되는 실린더(51)와, 상기 로드의 하부에 힌지축(53)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5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53)은 하나의 좌우 방향의 힌지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전후 방향의 힌지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십자형의 힌지축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십자형의 힌지축이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체(1)의 전방의 양측과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는 아웃트리거(5)를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하여 각각의 아웃트리거(5)를 하나의 실린더(51)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크레인(2)을 작동시켜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각각의 아웃트리거(5)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동 유체 공급부(6)는 상기 차체(1)의 일측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충전부(3)나 후방 충전부(4)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작동 유체공급부는 상기 차체(1)의 일측 중앙에 외측과 상부가 개방되게 함몰 형성되는 장착 공간부(61)와, 상기 장착 공간부(61)에 삽입 장착되는 유체탱크(62)와, 상기 유체탱크(62)의 내부에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이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에 유체라인(미도시됨)으로 연결되어 각각에 유체를 공급하는 두 개의 유체펌프(63)와, 상기 유체탱크(62)의 상부에 상기 각각의 유체펌프(63)의 회전축과 직결되게 구비되고 상기 운전석(7)과 연결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전방 충전부(3)나 후방 충전부(4)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각각의 유체펌프(63)를 작동시키는 두 개의 전기모터(6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 유체 공급부(6)는 상기 장착 공간부(61)의 외측과 상부를 개방 가능하게 커버하는 커버부재(65)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65)는 차체(1)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차체(1)에 볼트의 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주식 크레인을 구동시킴에 있어서,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적을 경우에는 하나의 전기모터(64)와 유체펌프(63)만을 사용하여 전기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많이 필요할 경우에는 두 개의 전기모터(64)와 유체펌프(63)를 모두 사용하여 크레인(2)의 출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크레인(2)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주행만을 할 경우나, 또는 크레인(2)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하나의 전기모터(64)만을 사용하여 전기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주행을 하면서 크레인(2)을 모두 사용할 경우에는 두 개의 전기모터(64)를 사용함으로써 출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운전석(7)은 운전자가 앉은 자세에서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 작동 유체 공급부(6)를 조작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운전석(7)은 상기 차체(1)의 타측 중앙에 외측과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운전석 공간부(71)와,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에 운전자가 전방을 보면서 앉을 수 있게 구비되는 시트(711)와,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핸들(72)과,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의 내부에 구비되어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 두 개의 전기모터(64)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73)를 포함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운전석(7)에 앉은 상태에서 차체(1)를 운전하여 주행함으로써, 차체(1)의 주행 중 운전가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의 하부에는 상기 전기모터(64)의 회전력을 조정하는 가속 패달(7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 패달(75)의 조작을 통해 출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출력 조작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의 상부에는 운전석(7)의 상부를 커버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상부 안전커버(7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1)만을 주행 시키거나, 또는 크레인(2)만을 구동시킬 경우에는, 운전석(7)에 구비된 조작 제어부(73)를 조작하여 상기 유체탱크(62)의 상부에 구비된 두 개의 전기모터(64) 중 하나만을 작동시켜 하나의 유체펌프(63)의 유체 공급을 통해, 차체(1)만를 주행시키거나 크레인(2)만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체(1)만을 주행 시키거나, 또는 크레인(2)만을 구동시킬 경우에는 하나의 전기모터(64)만을 사용하여 전기의 소모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체(1)를 주행시키면서 크레인(2)을 작동시킬 경우에는, 운전자가 운전석(7)의 구비된 조작 제어부(73)를 조작하여 상기 유체탱크(62)의 상부에 구비된 두 개의 전기모터(64)를 모두 작동시킴으로써 차량을 주행시키면서 크레인(2)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차체(1)를 주행시키면서 크레인(2)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두 개의 전기모터(64)를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주식 크레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차체
11 : 차체 프레임
111 : 수직골조, 111a : 내측 받침판, 111b : 외측 돌출판
112 : 수평골조
12 : 앞바퀴
13 : 뒷바퀴
2 : 크레인
21 : 붐 지지대
211 : 회전 구동부
22 : 붐대
221 : 각도변경실린더, 223 : 윈치
23 : 후크 와이어
231 : 후크
3 : 전방 충전부
31 : 전방 받침판
32 : 커버판
4 : 후방 충전부
41 : 후방 받침판
42 : 후방 수평측판
43 : 후방 커버부재
5 : 아웃트리거
51 : 실린더
52 : 밀착판
53 : 힌지축
6 : 작동 유체 공급부
61 : 장착 공간부
62 : 유체탱크
63 : 유체펌프
64 : 전기모터
65 : 커버부재
7 : 운전석
71 : 운전석 공간부
711 : 시트
72 : 핸들
73 : 차량 조작부
74 : 상부 안전커버
75 : 가속 패달
B : 충전지

Claims (6)

  1.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차체 프레임(11)을 포함하고, 전방의 양측에는 바퀴 구동모터의 의해 회전되는 두 개의 앞바퀴(12)가 구비되며, 후방의 양측에는 조향장치에 의해 조향되는 두 개의 뒷바퀴(13)가 구비되는 차체(1)와; 상기 차체 프레임(11)의 중앙에 장착되고 회전 구동부(211)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붐 지지대(21)와, 붐 지지대(21)에 후단이 연결되어 각도변경실린더(211)에 의해 각도가 변경되고 붐 신축실린더와 윈치(223)가 구비되는 붐대(22)와, 상기 윈치(223)에 감겨져 붐대(22)의 전단에서 하부로 인출되고 끝단에는 후크(231)가 구비되는 후크 와이어(13)로 구성되는 크레인(2)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11)은,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내측 받침판(111a)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측 돌출판(111b)이 형성되는 두 개의 수직골조(111)와, 양측의 수직골조(111)의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골조(112)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수직골조(111)의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고 다수의 충전지(B)가 장착되는 전방 충전부(3)와;
    상기 양측 수직골조(111)의 사이의 후방과 차체(1)의 후방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충전지(B)가 장착되는 후방 충전부(4)와;
    상기 차체 프레임(11)의 전방의 양측과 후방의 양측에 구비되고, 각각은 상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다수의 아웃트리거(5)와;
    상기 차체(1)의 일측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로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작동 유체 공급부(6)와;
    상기 차체(1)의 타측 중앙에 운전자가 앉은 자세에서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 작동 유체 공급부(6)를 조작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운전석(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5)는,
    차체(1)에 경사지게 고정되고 하부에 로드가 돌출되는 실린더(51)와,
    상기 로드의 하부에 힌지축(53)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체 공급부는.
    상기 차체(1)의 일측 중앙에 외측과 상부가 개방되게 함몰 형성되는 장착 공간부(61)와,
    상기 장착 공간부(61)에 삽입 장착되는 유체탱크(62)와,
    상기 유체탱크(62)의 내부에 두 개가 구비되어 각각이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에 유체라인으로 연결되어 각각에 유체를 공급하는 두 개의 유체펌프(63)와,
    상기 유체탱크(62)의 상부에 상기 각각의 유체펌프(63)의 회전축과 직결되게 구비되고 상기 운전석(7)과 연결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전방 충전부(3)나 후방 충전부(4)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각각의 유체펌프(63)를 작동시키는 두 개의 전기모터(64)와,
    상기 장착 공간부(61)의 외측과 상부를 개방 가능하게 커버하는 커버부재(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크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7)은,
    상기 차체(1)의 타측 중앙에 외측과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운전석 공간부(71)와,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에 운전자가 전방을 보면서 앉을 수 있게 구비되는 시트(711)와,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핸들(72)과,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퀴 구동모터, 회전 구동부(211), 각도변경실린더(221), 붐 신축실린더, 윈치(223), 각각의 아웃트리거(5), 두 개의 전기모터(64)를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73)와,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모터(64)의 회전력을 조정하는 가속 패달(75)과,
    상기 운전석 공간부(71)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안전커버(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크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충전부(3)는,
    양측 수직골조(111)의 내측 받침판(111a)의 상부에 양단이 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충전지(B)가 수납되는 전방 받침판(31)과,
    양측 수직골조(111)의 사이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판(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크레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충전부(4)는,
    양측 수직골조(111)의 내측 받침판(111a)의 상부에 양단이 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충전지(B)가 수납되는 후방 받침판(41)과,
    양측 수직골조(111)의 외측 돌출판(111b)의 상면에 단부가 고정되어 양측 수직골조(111)의 외측으로 수평이 되게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충전지(B)가 수납되는 양측 두 개의 후방 수평측판(42)과,
    상기 차체(1)의 후방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적재되는 충전지(B)들을 커버하는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후방 커버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크레인.
KR1020130134583A 2013-11-07 2013-11-07 자주식 크레인 KR20150053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83A KR20150053284A (ko) 2013-11-07 2013-11-07 자주식 크레인
US14/195,769 US20150122762A1 (en) 2013-11-07 2014-03-03 Self-Propelled Type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83A KR20150053284A (ko) 2013-11-07 2013-11-07 자주식 크레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563A Division KR101635517B1 (ko) 2015-09-17 2015-09-17 자주식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284A true KR20150053284A (ko) 2015-05-18

Family

ID=5300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583A KR20150053284A (ko) 2013-11-07 2013-11-07 자주식 크레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22762A1 (ko)
KR (1) KR201500532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12A (ko) 2018-06-29 2020-01-08 화정준 카고크레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7590A1 (it) * 2018-07-27 2020-01-27 Manitou Italia Srl Telehandler a propulsione elettrica.
CA3050527A1 (en) * 2018-07-27 2020-01-27 Manitou Italia S.R.L. Improved electric telehandler
EP4373778A1 (fr) * 2021-07-20 2024-05-29 Manitou Bf Engin de travail comprenant des éléments de batterie
JP2023107414A (ja) * 2022-01-24 2023-08-03 株式会社タダノ クレーン
JP7452579B2 (ja) * 2022-06-24 2024-03-19 株式会社タダノ クレーン
JP7431916B1 (ja) 2022-09-29 2024-02-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480818B1 (ja) * 2022-10-25 2024-05-10 株式会社タダノ クレ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6102A (en) * 1973-07-11 1974-12-24 Harnischfeger Corp Electro-hydraulic steering system for vehicle having steerable front and rear ground wheels
US4860539A (en) * 1988-06-09 1989-08-29 Terex Corporation Vehicle stabilizer apparatus and stabilizer actuator component thereof
DE19805359A1 (de) * 1998-02-12 1999-08-19 Putzmeister Ag Fahrbare Arbeitsmaschine mit Stützbeinen und Achsarretierung
JP2003246586A (ja) * 2002-02-25 2003-09-02 Hitachi Plant Kensetsu Soft:Kk ハイブリッド充電移動式クレーン及びそのバッテリの充電方法
US8360706B2 (en) * 2007-10-23 2013-01-29 Jerr-Dan Corporation Side recovery system for a vehicle
US20090277857A1 (en) * 2008-05-12 2009-11-12 John Rice Portable crane and trailer system
FI122591B (fi) * 2010-05-25 2012-04-13 Sandvik Mining & Constr Oy Kallionporauslaite, menetelmä sen ajolaitteiston lämpötilan hallitsemiseksi sekä nestejäähdytysjärjestelmä
DE102011108893C5 (de) * 2011-07-29 2022-05-12 Liebherr-Werk Ehingen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Kran
US20140001739A1 (en) * 2012-06-29 2014-01-02 John Rutherford Outrigger with replaceable foot mount
US9120651B1 (en) * 2013-10-16 2015-09-01 Jeffrey H. Bailey Crane having a toolless removable battery and progressive function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12A (ko) 2018-06-29 2020-01-08 화정준 카고크레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2762A1 (en)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3284A (ko) 자주식 크레인
US9561735B2 (en) Electric vehicle
JP6311005B2 (ja) 分配ブームと支持装置とを備えた走行可能なコンクリートポンプ
CN106044637B (zh) 一种开放式电动搬运车
JP2008156047A (ja) 自走式リフター装置
JP6612118B2 (ja) 高所作業車
JP6066700B2 (ja) 高所作業台
KR101635517B1 (ko) 자주식 크레인
KR101010582B1 (ko) 조선블록 리프트
CN202187714U (zh) 新型履带式钻机的自起升及起吊装置
KR20150107535A (ko) 농업용 친환경 전동 고소작업차
JP3801511B2 (ja) 電気駆動型作業車
JP7122224B2 (ja) 高所作業車
US10981761B2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loads, in particular containers
JP2004299851A (ja) 自走式高所作業車
JP6031307B2 (ja) 高所作業車
JP7211609B2 (ja) 電源システム
JP2001019374A (ja) 高所作業車
JPH04343975A (ja) 建築現場作業機械の台車
KR101363369B1 (ko) 베이스블록이 구비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CN213734754U (zh) 一种拱架安装台车用轮胎式工程机械底盘
US11235960B2 (en) Mobile lifting apparatus
JP5279590B2 (ja) 自走式高所作業台車
RU2429982C1 (ru) Консольный поворотный кран, установленный на бортовую платформу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7452399B2 (ja) 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917

Effective date: 2016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