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255A -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255A
KR20150048255A KR1020130126500A KR20130126500A KR20150048255A KR 20150048255 A KR20150048255 A KR 20150048255A KR 1020130126500 A KR1020130126500 A KR 1020130126500A KR 20130126500 A KR20130126500 A KR 20130126500A KR 20150048255 A KR20150048255 A KR 2015004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block
tire
cone
trea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효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8255A/ko
Priority to JP2014199439A priority patent/JP6173992B2/ja
Priority to US14/507,031 priority patent/US20150107736A1/en
Priority to EP14188217.5A priority patent/EP2865544B1/en
Priority to CN201410569288.4A priority patent/CN104553621B/zh
Publication of KR2015004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255A/ko
Priority to JP2017037760A priority patent/JP201712482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41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omprising different tread rubb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08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tread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08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tread rubber
    • B60C2011/0016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 B60C2011/0025Modulus or tan del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드 블록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다른 물성의 고무(트레드 콘)를 기둥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블록 강성을 컨트롤할 수 있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트레드 블록 구조의 트레드 콘은 블록 내 가류 온도를 이원화함으로써 고무의 가교 정도를 변화시켜 형성하며, 본 발명의 트레드 블록 구조는 트레드 블록 내에 존재하는 이형질의 고무 기둥(트레드 콘)이 하중 및 타이어 회전에 의해 트레드 블록이 변형하고 복원될 때, 기존의 구조와 같은 볼륨(Volume)을 가진 블록 형상에서 다른 강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타이어가 가진 여러 성능지표 중 트레이드-오프되는 성능을 최소화하며 원하는 강성-성능을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TREAD BLOCK STRUCTURE OF A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드 블록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다른 물성의 고무(트레드 콘)를 기둥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블록 강성을 컨트롤할 수 있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입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인너라이너와, 인너라이너의 외주에 적층되는 바디 플라이와, 바디 플라이의 외주에 적층되는 벨트와, 벨트의 외주에 적층되어 실질적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와, 타이어의 양쪽 측부를 구성하는 양쪽 사이드월과, 휠에 결합되어 공기압을 유지하는 양쪽 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중 트레드는 노면과 직접 접촉하는 두꺼운 고무 층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의 카카스 및 벨트층을 보호하기 위해 절상/충격에 대해 강하고 또한 타이어의 주행 수명을 늘이기 위해 내마모성이 강한 고무를 채용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타이어 트레드 블록의 일 예를 도시한 이미지 사진이다.
한편 기존의 타이어는 트레드부(Tread)의 블록(Block)을 1종 혹은 다종의 '층'을 가진 고무로 구성하여 구동력 및 제동력을 전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트레드부를 구성하는 고무는 하중 및 타이어 회전에 의해 변형하고 복원되며 그 변형에 저항하는 강성에 따라 구동력 및 제동력 (이하 트랙션(Traction))과 코너링 포스(Cornering force) 등 타이어 성능에 영향이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타이어 업계에서는 이점에 주안하여 트레드 블록 강성을 컨트롤함으로써 타이어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을 꾸준히 시도하고 있지만, 높은 스키드 깊이(Skid depth)를 적용하는 경우 마모성능은 향상되지만 강성이 저하되어 트랙션 성능과 코너링 성능이 낮게 나타나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 경향이 나타나는 등 기존의 트레드 블록 구조 구성으로는 여러 성능지표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트레드 블록 강성 컨트롤을 통한 타이어 성능향상기술' 확보에 근원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강성을 컨트롤함으로써 타이어의 여러 성능 중 트레이드-오프된는 성능을 최소화함으로서 원하는 강성-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트레드 블록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다른 물성의 고무(트레드 콘)를 기둥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블록 강성을 컨트롤할 수 있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 구조의 트레드 콘은 블록 내 가류 온도를 이원화함으로써 고무의 가교 정도를 변화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콘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트레드 블록 내에서 트레드 콘의 배치 위치는 랜덤 방식, 또는 트레드 콘들 사이에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에 있어서, 트레드 블록 내에서 상기 트레드콘이 차지하는 부피는 트레드 블록 전체 부피의 10~8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는, 트레드 블록 내에 존재하는 이형질의 고무 기둥(트레드 콘)이 하중 및 타이어 회전에 의해 트레드 블록이 변형하고 복원될 때, 기존의 구조와 같은 볼륨(Volume)을 가진 블록 형상에서 다른 강성을 유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는 타이어가 가진 여러 성능지표 중 트레이드-오프되는 성능을 최소화하며 원하는 강성-성능을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타이어 트레드 블록의 일 예시적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의 형성 방법을 도시한 예시적 이미지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트레드 블록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다른 물성의 고무를 기둥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블록 강성을 컨트롤할 수 있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때 트레드 블록 내에 존재하는 이형질의 고무 기둥(트레드 콘)이 하중 및 타이어 회전에 의해 트레드 블록이 변형하고 복원될 때, 기존의 구조와 같은 볼륨(Volume)을 가진 블록 형상에서 다른 강성을 유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는 타이어가 가진 여러 성능지표 중 트레이드-오프되는 성능을 최소화하며 원하는 강성-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형질의 고무기둥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블록 내 가류 온도를 이원적으로 적용하여 고무의 가교(Cross-link) 정도를 변화시키고 이 변화가 모듈러스(Modulus) 및 tanD 변화를 초래하는 방안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여러가지 고무 및 약품을 첨가하여 혼합시킨 고무를 압출, 압연공정 등을 통해 반제품화한 후, 성형공정에서 각종 반제품을 접착하여 완성된 모양으로 그린 타이어를 성형하고, 성형공정에서 완성된 그린 타이어를 타이어 가류 몰드에 넣고 내, 외측에서 일련의 열과 압력증기를 가하여 배합된 고무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타이어 가류 공정을 통해서 제조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블록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1과 온도2로 표현되는 다른 수준의 가류 온도를 동일 동일 블록 내에서 제공함으로써 동일 블록 내에서 다른 물성을 가진 고무가 상존하는 트레드 콘을 포함하는 블록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류 온도가 높을수록 가교도 (Cross-link)는 작아지고 이에 따라 모듈러스는 증가하며 tanD는 작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블록 구조에 있어서는, 이 현상을 적절히 적용함으로써 동일 볼륨, 동일 고무를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블록 내에 다른 물성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 블록의 강성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수준의 가류 온도를 동일 블록 내에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도 2]의 온도2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Mold 금속을 기존 Mold 영역과 다른 금속으로 제작하여 열전도도가 다르도록 함으로써 동일 열입량을 제공하면서 다른 온도를 Mold 표면에 구현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콘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트레드 블록 내에서 트레드 콘의 배치 위치는 랜덤 방식, 또는 트레드 콘들 사이에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에 있어서, 트레드 블록 내에서 상기 트레드콘이 차지하는 부피는 트레드 블록 전체 부피의 1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드콘의 부피가 10% 미만이면 트레드콘으로 얻는 강성 조절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으며, 80%를 초과하면 트레드콘에 의한 강성 조절 효과로 보기 어렵고 전체 고무 물성 변화에 따른 강성변화로 판단되는 문제가 있다.
아래의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블록 구조의 강성 컨트롤 효과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 트레드 블록 사이즈 : 폭 26mm, 길이 30.5mm, 깊이 6.8mm
* 트레드 콘 사이즈 : 직경 14mm
* 메쉬 사이즈 : 1mm x 1mm
* Solver : Abaqus 6.10.1
* 물성 (초탄성-Neo Hooke)
- 트레드 블록 : C10:3, D1:0.001
- 트레드 콘 1 : C10:3, D1:0.002
- 트레드 콘 2 : C10:3, D1:0.003
- 트레드 콘 3 : C10:4, D1:0.002
- 트레드 콘 4 : C10:4.5, D1:0.001
C10, D1은 불변량 급수식에서 논의되는 Material coefficient로서 시험으로 얻어진 S-S Curve 물성에 대해 정의하는 이론식의 상수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는 동일 볼륨 구조에서 트레드 콘이 적용된 경우 트레드 콘의 물성에 따라 강성이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Claims (5)

  1.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로서, 상기 트레드 블록 구조는 트레드 블록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다른 물성의 고무(트레드 콘)를 기둥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블록 강성을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블록 구조의 트레드 콘은 블록 내 가류 온도를 이원화함으로써 고무의 가교 정도를 변화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콘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트레드 블록 내에서 상기 트레드 콘의 배치 위치는 랜덤 방식, 또는 트레드콘들 사이에 일정한 거리 및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트레드 블록 내에서 상기 트레드콘이 차지하는 부피는 트레드 블록 전체 부피의 1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KR1020130126500A 2013-10-23 2013-10-23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KR20150048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500A KR20150048255A (ko) 2013-10-23 2013-10-23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JP2014199439A JP6173992B2 (ja) 2013-10-23 2014-09-29 タイヤのトレッドブロック構造
US14/507,031 US20150107736A1 (en) 2013-10-23 2014-10-06 Tread block structure of pneumatic tire
EP14188217.5A EP2865544B1 (en) 2013-10-23 2014-10-08 Tread block structure of pneumatic tire
CN201410569288.4A CN104553621B (zh) 2013-10-23 2014-10-22 充气轮胎的胎面块结构
JP2017037760A JP2017124825A (ja) 2013-10-23 2017-02-28 タイヤのトレッドブロック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500A KR20150048255A (ko) 2013-10-23 2013-10-23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255A true KR20150048255A (ko) 2015-05-07

Family

ID=5169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500A KR20150048255A (ko) 2013-10-23 2013-10-23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107736A1 (ko)
EP (1) EP2865544B1 (ko)
JP (2) JP6173992B2 (ko)
KR (1) KR20150048255A (ko)
CN (1) CN1045536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5713S1 (en) * 2014-09-18 2016-05-10 Fortune Gold Enterprises Ltd. Tire
USD791688S1 (en) * 2016-03-01 2017-07-11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Tire tread
USD935384S1 (en) * 2016-09-01 2021-11-09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Tire
US11167595B2 (en) * 2017-11-10 2021-11-09 Paccar Inc Tire tread with reduced rolling resistance
KR102091931B1 (ko) * 2018-08-13 2020-03-20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는 타이어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타이어
KR102510838B1 (ko) * 2021-01-11 2023-03-20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얼음노면 접지력이 향상된 타이어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1956A (en) * 1936-07-14 1938-06-28 Us Rubber Prod Inc Nonskid tire
US2672909A (en) * 1950-04-19 1954-03-23 Us Rubber Co Groove-crack resistant tir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380602A (en) * 1976-12-27 1978-07-17 Bridgestone Corp Pneumatic tire with superior irregular wear resistance
JPH01154902U (ko) * 1988-04-11 1989-10-25
JPH02246808A (ja) * 1989-03-17 1990-10-02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H02249707A (ja) * 1989-03-22 1990-10-05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3286405B2 (ja) * 1993-07-23 2002-05-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トレッド
JPH0781326A (ja) * 1993-09-09 1995-03-28 Sumitomo Rubber Ind Ltd 氷雪路用タイヤ
JP4081177B2 (ja) * 1997-07-07 2008-04-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EP1035979A1 (en) * 1998-01-26 2000-09-20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Tire having a groove wall lining for reducing formation of anomalies causing subjective user dissatisfaction
JP2001253209A (ja) * 2000-03-13 2001-09-18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用トレッド材
KR20050014583A (ko) * 2003-07-31 2005-02-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US7581575B2 (en) * 2005-10-05 2009-09-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degradable tread filler
EP2048006B1 (en) * 2006-08-03 2016-03-30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943779B2 (ja) * 2006-08-29 2012-05-3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R2921585B1 (fr) * 2007-09-27 2011-05-06 Michelin Soc Tech Etat de surface d'une bande de roulement de pneu
JP5364259B2 (ja) * 2007-11-28 2013-12-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2009173048A (ja) * 2008-01-21 2009-08-06 Bridgestone Corp トレ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JP4972571B2 (ja) * 2008-02-01 2012-07-1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成形型及びタイヤ製造方法
KR200443760Y1 (ko) * 2008-03-10 2009-03-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제동 성능이 향상된 타이어
WO2010137143A1 (ja) * 2009-05-27 2010-12-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US9878508B2 (en) * 2010-11-30 2018-01-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tiffness enhanced tread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5544B1 (en) 2017-06-14
JP2017124825A (ja) 2017-07-20
CN104553621B (zh) 2017-06-27
US20150107736A1 (en) 2015-04-23
JP6173992B2 (ja) 2017-08-02
JP2015081079A (ja) 2015-04-27
CN104553621A (zh) 2015-04-29
EP2865544A1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8255A (ko)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구조
CN109414961B (zh) 包括包含增强元件的胎面的轮胎
EP3002133B1 (en) Non-pneumatic tire
EP3141402B1 (en) Tire
US20180117972A1 (en) Tire with a tread comprising reinforcing elements
US20170246820A1 (en) Stiffeners for sipe-molding members
US20150013863A1 (en) Tire With Pre-Formed Tread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9255734A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タイヤ成形金型
EP1256439A3 (en) Apparatus for producing an unvulcanized rubber element for tires and element obtained thereby
CN107530994A (zh) 具有胎面的车辆充气轮胎
CN107531098A (zh) 具有胎面的车辆充气轮胎
JP5480922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5113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RU2665538C2 (ru) Способ и вулканизационная пресс-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шин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JP4780796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9269424A (ja) 更生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6269135B2 (ja) 更生タイヤ
JP2013184330A (ja) トレッド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トレッド、並びに、該トレッド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CN103097150A (zh) 包括流体通道的轮胎和模具
KR20190073053A (ko) 차량용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
JP2008290672A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4884277A (zh) 轮胎防滑纹增强层
JP2006347379A (ja) 重荷重用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82049B1 (ko) 실리카 적용 공기입 타이어
JP2004268578A (ja) 重荷重用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その更生タイ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68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03

Effective date: 2016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