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234A -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7234A KR20150047234A KR1020130127044A KR20130127044A KR20150047234A KR 20150047234 A KR20150047234 A KR 20150047234A KR 1020130127044 A KR1020130127044 A KR 1020130127044A KR 20130127044 A KR20130127044 A KR 20130127044A KR 20150047234 A KR20150047234 A KR 201500472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opposite
- shock absorber
- opposite vehicle
- damping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uspension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8—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장착되어 대향차를 인식하여 상기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하는 V2V(Vehicle to vehicle)시스템(100)과; 상기 V2V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대향차가 차량 옆으로 주행 시 감쇠력을 조절하는 쇼크업소버(200)로 구성되며, 또한, 차량이 정차 또는 주행 시 차량에 장착된 V2V(Vehicle to vehicle)시스템을 통해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하는 대향차인식단계(S10)와; 상기 대향차인식단계(S10)를 통해 대향차를 인식한 다음 상기 V2V시스템을 통해 대향차가 정차 또는 주행 중인 차량 옆을 지나갈 것인지 주행경로를 예상하여 판단하는 대향차판단단계(S20)와; 상기 대향차판단단계(S20)에서 대향차가 정차 또는 주행 중인 차량 옆으로 주행 시 ECU(전자제어부)와 연동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쇼크업소버의 유로를 축소하여 감쇠력을 향상시키는 차량작동단계(S30)로 구성되어, 대형의 대향차가 차량 옆을 지나갈 때 발생되는 롤링 현상을 V2V시스템을 통해 감지하여 감쇠력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 흔들림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정차 또는 주행 중 대형의 대향차가 고속으로 지나갈 때 차량이 흔들려 롤링 현상으로 인해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크업소버는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쇄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자동차 현가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이룬다.
이러한 쇼크업소버는 베이스쉘과, 베이스쉘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되, 베이스쉘은 현가암 등을 통해 차륜 측에 연결되고 피스톤부는 차체 측에 결합된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때 연속적으로 컴프레션 행정(compression stroke)과 리바운드 행정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노면에서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쇼크업소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쇼크업소버(10)는 감쇠력을 결정하는 오리피스(orifice, 미도시)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감쇠력을 약하게 제작할 경우 승차감은 향상되지만 곡선 주행 시 주행 안정성이 저하되며, 반대로, 오리피스의 크기를 작게 하여 감쇠력을 강하게 하면 주행 안전성은 향상되지만, 승차감은 악화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에는 운전자의 설정 또는 노면 상황에 따라 감쇠력 가변댐퍼를 장착한 반능동 현가장치가 자동 제어해 주행 안정성과 승차감을 극대화 시켜주는 ECS(Electronic Control Suspension, 전자제어 서스펜션)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ECS는 노면에서 오는 진동과 선회 시 롤링 등 불안정한 차량의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량이 정차 또는 주행 중에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 옆을 대형 화물차가 고속으로 지나갈 때, 차량이 심하게 흔들림으로 인해 롤링현상이 발생하여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4373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정차 또는 주행 중 대형의 대향차가 고속으로 지나갈 때 차량이 흔들려 롤링 현상으로 인해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어 대향차를 인식하여 상기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하는 V2V(Vehicle to vehicle)시스템과; 상기 V2V시스템을 통해 상기 대향차가 차량 옆으로 주행 시 감쇠력을 조절하는 쇼크업소버;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V2V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는 ECU(전자제어부)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크업소버는 상기 ECU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유로를 제어하여 감쇠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이 정차 또는 주행 시 차량에 장착된 V2V(Vehicle to vehicle)시스템을 통해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하는 대향차인식단계와; 상기 대향차인식단계를 통해 대향차를 인식한 다음 상기 V2V시스템을 통해 대향차가 정차 또는 주행 중인 차량 옆을 지나갈 것인지 주행경로를 예상하여 판단하는 대향차판단단계와; 상기 대향차판단단계에서 대향차가 정차 또는 주행 중인 차량 옆으로 주행 시 ECU(전자제어부)와 연동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쇼크업소버의 유로를 축소하여 감쇠력을 향상시키는 차량작동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V2V시스템은 상기 ECU 및 쇼크업소버와 연동되며, 상기 ECU는 쇼크업소버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2V시스템은 카메라, 센서 및 레이더를 포함하여 대향차의 크기, 속도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대형의 대향차가 차량 옆을 지나갈 때 발생되는 롤링 현상을 V2V시스템을 통해 감지하여 감쇠력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 흔들림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쇼크업소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장착되는 V2V시스템(100)과, V2V시스템(100)을 통해 감쇠력을 조절하는 쇼크업소버(200)로 이루어진다.
V2V(Vehicle to vehicle)시스템(100)은 차량에 장착되어 대향차를 인식하여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차량이 정차 또는 주행 시 차량에 장착된 V2V시스템(100)을 통해 차량 주변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한다.
한편, V2V시스템(100)은 차량 간 통신을 통해 설정된 범위 내에 근접한 차량들의 위치 및 정보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공지된 기술을 본 발명에 적용한 것이므로, V2V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V2V시스템(100)은 카메라, 센서, 레이더를 포함하도록 하여 대향차의 크기, 속도,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쇼크업소버(200)는 감쇠력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V2V시스템(100)을 통해 대향차가 차량 옆으로 주행 시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V2V시스템(100)은 차량에 구비되는 ECU(전자제어부, 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동되며, 쇼크업소버(200)는 ECU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유로를 제어하여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V2V시스템(100)을 통해 대향차를 인식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쇼크업소버의 유로를 축소하여 감쇠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롤링 현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하는 대향차인식단계(S10)와, 대향차의 주행경로를 예상하는 대향차판단단계(S20)와, 쇼크업소버의 유로를 축소하는 차량작동단계(S1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차인식단계(S10)는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로, 차량이 정차 또는 주행 시 차량에 장착된 V2V시스템(vehicle to vehicle system)을 통해 차량 주변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한다.
V2V시스템은 차량 간 통신을 통해 설정된 범위 내에 근접한 차량들의 위치 및 정보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공지된 기술을 본 발명에 적용한 것이므로, V2V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V2V시스템은 카메라, 센서, 레이더를 포함하도록 하여 대향차의 크기, 속도,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차판단단계(S20)는 대향차인식단계(S10)를 통해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인식한 다음 V2V시스템을 통해 대향차가 본 발명의 차량 옆을 지나갈 것인지 주행경로를 예상하여 판단한다.
이때, 대향차판단단계(S20)에서 대향차의 주행경로를 예상하는 것은 V2V시스템에 포함된 카메라와 레이더를 통해 대향차의 이동성을 인식하여 이를 토대로 대향차가 직전 또는 좌,우회전하여 본 발명의 차량 옆을 지나갈 것인지 그렇지 않을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대향차가 본 발명의 차량 옆을 지나가게 되면 다음 단계인 차량작동단계(S30)로 진행하게 되며, 본 발명의 차량 옆을 지나가지 않게 되면 최초 단계인 대향차인식단계(S10)로 이동하도록 한다.
차량작동단계(S30)는 쇼크업소버의 유로를 축소하여 감쇠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로, 대향차판단단계(S20)에서 대향차가 정차 또는 주행 중인 본 발명의 차량 옆으로 주행하게 되는 경우 ECU(전자제어부, 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동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쇼크업소버의 유로를 축소하여 감쇠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롤링 현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V2V시스템은 ECU 및 쇼크업소버와 연동되며, ECU는 쇼크업소버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동되게 하여 차량작동단계(S30)에서 V2V시스템을 통해 ECU 및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쇼크업소버는 감쇠력 조절이 가능한 쇼크업소버가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정차한 경우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대향차가 고속으로 지나가거나 추월하는 대향차가 고속으로 지나갈 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2V시스템의 레이더, 카메라, 센서를 통해 대향차의 크기, 속도, 위치 및 주행경로를 예상하여 대향차가 본 발명의 차량 옆을 지나갈 것으로 판단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쇼크업소버의 유로 크기를 축소하여 감쇠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운전자에게 안정적인 승차감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V2V시스템 200 : 쇼크업소버
S10 : 대향차인식단계 S20 : 대향차판단단계
S30 : 차량작동단계
S10 : 대향차인식단계 S20 : 대향차판단단계
S30 : 차량작동단계
Claims (6)
- 차량에 장착되어 대향차를 인식하여 상기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하는 V2V(Vehicle to vehicle)시스템과;
상기 V2V시스템을 통해 상기 대향차가 차량 옆으로 주행 시 감쇠력을 조절하는 쇼크업소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V2V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는 ECU(전자제어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쇼크업소버는 상기 ECU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유로를 제어하여 감쇠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 차량이 정차 또는 주행 시 차량에 장착된 V2V(Vehicle to vehicle)시스템을 통해 대향차의 크기 및 속도를 측정하는 대향차인식단계와;
상기 대향차인식단계를 통해 대향차를 인식한 다음 상기 V2V시스템을 통해 대향차가 정차 또는 주행 중인 차량 옆을 지나갈 것인지 주행경로를 예상하여 판단하는 대향차판단단계와;
상기 대향차판단단계에서 대향차가 정차 또는 주행 중인 차량 옆으로 주행 시 ECU(전자제어부)와 연동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쇼크업소버의 유로를 축소하여 감쇠력을 향상시키는 차량작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V2V시스템은 상기 ECU 및 쇼크업소버와 연동되며, 상기 ECU는 쇼크업소버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방법.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V2V시스템은 카메라, 센서 및 레이더를 포함하여 대향차의 크기, 속도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7044A KR101987492B1 (ko) | 2013-10-24 | 2013-10-24 |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7044A KR101987492B1 (ko) | 2013-10-24 | 2013-10-24 |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7234A true KR20150047234A (ko) | 2015-05-04 |
KR101987492B1 KR101987492B1 (ko) | 2019-06-10 |
Family
ID=5338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7044A KR101987492B1 (ko) | 2013-10-24 | 2013-10-24 |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749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291A (ja) * | 1997-07-04 | 1999-01-29 | Nissan Motor Co Ltd | 車両用画像処理装置 |
JPH11348523A (ja) * | 1998-06-11 | 1999-12-21 | Toyota Motor Corp | 車高調整装置を備えた車輌 |
JP2005271622A (ja) * | 2004-03-23 | 2005-10-06 | Toyota Motor Corp | 車両制御装置 |
JP2008224353A (ja) * | 2007-03-12 | 2008-09-25 | Honda Motor Co Ltd | 車両用地震判定装置 |
KR20130043730A (ko) | 2011-10-21 | 2013-05-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
JP2013203186A (ja) * | 2012-03-28 | 2013-10-07 | Honda Motor Co Ltd | 先行車姿勢検出装置 |
-
2013
- 2013-10-24 KR KR1020130127044A patent/KR1019874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3291A (ja) * | 1997-07-04 | 1999-01-29 | Nissan Motor Co Ltd | 車両用画像処理装置 |
JPH11348523A (ja) * | 1998-06-11 | 1999-12-21 | Toyota Motor Corp | 車高調整装置を備えた車輌 |
JP2005271622A (ja) * | 2004-03-23 | 2005-10-06 | Toyota Motor Corp | 車両制御装置 |
JP2008224353A (ja) * | 2007-03-12 | 2008-09-25 | Honda Motor Co Ltd | 車両用地震判定装置 |
KR20130043730A (ko) | 2011-10-21 | 2013-05-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
JP2013203186A (ja) * | 2012-03-28 | 2013-10-07 | Honda Motor Co Ltd | 先行車姿勢検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7492B1 (ko) | 2019-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05600B2 (en) | Vehicle behavior control apparatus | |
US20160325595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mping Force Of Adjustable Dampers In Motor Vehicles, Particularly In Commercial Vehicles | |
US9440507B2 (en) | Context aware active suspension control system | |
US9211875B2 (en) |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 |
US11602970B2 (en) | Electric suspension device | |
US20080140285A1 (en) | Control device for a variable damper | |
JPH1191623A (ja) |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 |
US2022010577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spension of vehicle | |
KR20120051552A (ko) | 과속방지턱 감지 차량 제어 시스템 | |
CN108137057B (zh) | 主动底盘的状况识别 | |
JP2009227036A (ja) | 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
KR101987492B1 (ko) |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 | |
JP5162283B2 (ja) |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JP2010254062A (ja) | 車両制御装置 | |
JP2009132382A (ja) | 自動車の走行装置のための調整方法、自動車のための調整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 |
JP5224058B2 (ja) |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 |
JP2010064589A (ja) | 減衰力制御方法及び減衰力制御システム | |
JP5144289B2 (ja) |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 |
JP4486979B2 (ja) |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 |
JP4960715B2 (ja) | 減衰力可変式ダンパ装着車両 | |
KR20220028389A (ko)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
AU2021293966B2 (en) | Control device, vehicle, and control method | |
CN107825931A (zh) | 一种基于车载的减震系统及使用方法 | |
JP4987762B2 (ja) |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 |
US11760365B2 (en) | Active chassis control for a mot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