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730A -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730A
KR20130043730A KR1020110107789A KR20110107789A KR20130043730A KR 20130043730 A KR20130043730 A KR 20130043730A KR 1020110107789 A KR1020110107789 A KR 1020110107789A KR 20110107789 A KR20110107789 A KR 20110107789A KR 20130043730 A KR20130043730 A KR 20130043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iston
base shell
bearing
pist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736B1 (ko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7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8Sealings in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 F16F7/095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frictional elements brought into engagement by movement along a surface oblique to the axis of the cylinder, e.g. interaction of wedge-sha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2Surface treatments
    • F16F2226/026Surface treatments low-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0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6Holes, slo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쇼크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굽힘모멘트에 의한 프릭션을 감소시켜 쇼크업소버의 부드러운 작동을 유도 함으로서 충격흡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자동차용 쇼크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베이스쉘(100)의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로드(200)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스톤밸브 몸체(310)와,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외주연 상측에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을 실링하는 제1오일씰(330)과,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외주연 하측에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재(350)로 구성된 피스톤밸브(300)와; 상기 피스톤로드(200)를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로드가이드 몸체(410)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의 내주연 상측에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재(450)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의 내주연 하측에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을 실링하는 제2오일씰(430)로 구성된 로드가이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 FOR CAR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쇼크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굽힘모멘트에 의한 프릭션을 감소시켜 쇼크업소버의 부드러운 작동을 유도 함으로서 충격흡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자동차용 쇼크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크업소버는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자동차 현가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이룬다.
이러한 쇼크업소버는 베이스쉘과 그 베이스쉘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되, 베이스쉘은 현가암 등을 통해 차륜측에 연결되고 피스톤부는 차체측에 결합된 피스톤로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때 연속적으로 컴프레션 행정(compression stroke)과 리바운드 행정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노면에서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 감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쇼크업소버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쉘(10) 내에 피스톤 밸브(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스톤 밸브(30)는 로드(20)의 단부에 밸브 몸체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밸브 몸체와 베이스쉘 사이에는 실링밴드(40)가 개재되는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쉘(10)의 내부 공간에는 유체가 충진되며, 섀시 스프링의 진동을 받으면 피스톤 밸브(30)가 베이스쉘(10) 내의 공간을 상하로 이동하여 피스톤 밸브(30)를 경계로 베이스쉘 내의 공간 체적을 변화시키며, 이때의 체적변화에 의하여 유체는 밸브 몸체의 오리피스 구멍을 통하여 체적이 증가하는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유체의 이동량과 속도에 의하여 진동에 상응하는 감쇠력을 발생하고, 그 감쇠력은 섀시 스프링의 진동을 감쇠하여 자동차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지면으로부터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쇼크업소버의 상하 입력하중 외에도 굽힘모멘트가 발생하게 되고, 그 굽힘모멘트에 의해 베이스쉘(10)과 피스톤 밸브(30) 간에 마찰저항 즉 프릭션이 발생하게 되어 쇼크업소버의 작동을 방해하여 충격흡수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굽힘모멘트에 의해 베이스쉘과 피스톤밸브 및 피스톤로드와 로드가이드부 간에 발생되는 프릭션을 감소시켜 쇼크업소버의 작동을 부드럽게 함으로서 충격흡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차량용 쇼크업소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열 회수장치의 구성은, 베이스쉘의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로드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스톤밸브 몸체와,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의 외주연 상측에 상기 베이스쉘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을 실링하는 제1오일씰과,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의 외주연 하측에 상기 베이스쉘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재로 구성된 피스톤밸브와; 상기 피스톤로드를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쉘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로드가이드 몸체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의 내주연 상측에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의 내주연 하측에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을 실링하는 제2오일씰로 구성된 로드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스톤밸브와 로드가이드부에는 상기 제1오일씰과 제2오일씰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오일씰삽입홈과 제2오일씰삽입홈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주연에는 제1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된 제1베어링시트와; 상기 제1베어링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베어링볼과; 상기 제1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베어링시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이탈방지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주연에는 제2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된 제2베어링시트와; 상기 제2베어링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베어링볼과; 상기 제2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베어링시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이탈방지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쇼크업소버에 발생되는 굽힘모멘트에 의해 베이스쉘의 내측면과 피스톤밸브 및 피스톤로드와 로드가이드부 간에 발생되는 프릭션을 감소시킴으로써 충격흡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쇼크업소버를 보인 절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쇼크업소버의 피스톤밸브의 분해 모습을 보인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쇼크업소브의 로드가이드부의 분해 모습을 보인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덕트보호구가 덕트에 장착된 모습을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쇼크업서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쇼크업소버는 외부충격 때문에 발생하는 굽힘모멘트로 인해 베이스쉘의 내측면과 피스톤밸브 간에 발생되는 프릭션으로 인하여 쇼크업소버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충격흡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쉘(100)의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로드(200)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스톤밸브 몸체(310)와,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외주연 상측에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을 실링하는 제1오일씰(330)과,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외주연 하측에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재(350)로 구성된 피스톤밸브(300)와; 상기 피스톤로드(200)를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로드가이드 몸체(410)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의 내주연 상측에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재(450)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의 내주연 하측에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을 실링하는 제2오일씰(430)로 구성된 로드가이드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밸브(300)는 피스톤밸브 몸체(310), 제1오일씰(330), 제1가이드부재(35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는 상기 베이스쉘(100)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로드(200)의 일단에 설치된 것이고,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일단이 중앙부에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오일씰(330)은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외주연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쉘(100) 내부에 충진된 오일을 실링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밸브(300)에는 상기 제1오일씰(33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오일씰삽입홈(3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오일씰(330)의 일부는 상기 제1오일씰삽입홈(331)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오일을 실링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가이드부재(350)는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외주연 하측에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가이드부재(350)는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를 지지한 상태로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350)는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주연에는 제1베어링삽입홈(352)이 형성된 제1베어링시트(351)와; 상기 제1베어링삽입홈(352)에 삽입되는 제1베어링볼(353)과; 상기 제1베어링볼(3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베어링시트(35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이탈방지구(3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베어링시트(351)는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하부와 나사결합되어 분해결합 가능하도록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제1베어링삽입홈(35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1베어링볼(353)이 복수개 연이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하부는 내측 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그 단턱부의 외주면에 상기 제1베어링시트(351)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며, 결합된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외주면과 제1베어링시트(351)의 외주면은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볼(353)은 상기 제1베어링삽입홈(352)에 복수개 연이어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를 지지하고, 피스톤로드(200)의 원활한 왕복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탈방지구(355)는 제1베어링삽입홈(352)에 삽입된 제1베어링볼(3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베어링시트(351)의 일측에 설치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이탈방지구(355)는 상기 제1베어링삽입홈(352)에 근접된 제1베어링시트(351)의 일측에 덧대어 설치되어 제1베어링삽입홈(352)에 삽입된 제1베어링볼(35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밸브(300)를 종래의 피스톤밸브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피스톤밸브는 베이스쉘 내부에 충진된 오일을 실링하고 피스톤로드를 지지하기 위해 피스톤밸브의 외주연에 피스톤밴드(미도시)를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피스톤밸브(300)는 상기 피스톤밴드의 오일 실링 기능과 피스톤로드 지지기능을 상기 제1오일씰(330)과 제1베어링볼(353)이 각각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가이드부(400)는 로드가이드 몸체(410), 제2가이드부재(450), 제2오일씰(4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는 상기 피스톤로드(200)를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쉘(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것이고, 상기 피스톤로드(200)가 중앙부에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재(450)는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의 내주연 상측에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450)는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를 지지한 상태로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450)는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주연에는 제2베어링삽입홈(452)이 형성된 제2베어링시트(451)와; 상기 제2베어링삽입홈(452)에 삽입되는 제2베어링볼(453)과; 상기 제2베어링볼(4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베어링시트(45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이탈방지구(4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베어링시트(451)는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의 상부와 나사결합되어 탈착가능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제2베어링삽입홈(45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2베어링볼(453)이 복수개 연이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의 상부는 상기 제2베어링시트(451)가 내부로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그 안착홈의 내주면에 상기 제2베어링시트(45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며, 결합된 로드가이드 몸체(410)의 내주면과 제2베어링시트(451)의 내주면은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베어링볼(453)은 상기 제2베어링삽입홈(452)에 복수개 연이어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0)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그 피스톤로드(200)를 지지하고, 피스톤로드(200)의 원활한 왕복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탈방지구(455)는 제2베어링삽입홈(452)에 삽입된 제2베어링볼(4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베어링시트(451)의 일측에 설치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이탈방지구(455)는 상기 제2베어링삽입홈(452)에 근접된 제2베어링시트(451)의 일측에 덧대어 설치되어 제2베어링삽입홈(452)에 삽입된 제2베어링볼(45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오일씰(430)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410)의 내주연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쉘(100) 내부에 충진된 오일을 실링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로드(20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가이드부(400)에는 상기 제2오일씰(430)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오일씰삽입홈(4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드가이드부(400)를 종래의 로드가이드부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로드가이드부는 베이스쉘 내부에 충진된 오일을 실링함과 동시에 피스톤로드를 지지하기 위해 로드가이드부의 내주연에 로드가이드 부시(미도시)를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로드가이드부(400)는 종래의 로드가이드 부시의 오일 실링 기능과 피스톤로드 지지기능을 상기 제2오일씰(430)과 제1베어링볼(353)이 각각 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쇼크업소버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발생되는 굽힘모멘트에 의해 상기 베이스쉘(100)과 피스톤밸브(300) 및 피스톤로드(200)와 로드가이드부(400) 간에 발생되는 프릭션을 감소시켜 쇼크업소버의 작동을 부드럽게 함으로서 충격흡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베이스쉘(100) 및 피스톤로드(200)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프릭션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오일실링 및 피스톤로드 지지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쇼크업소버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100: 베이스쉘 200: 피스톤로드
300: 피스톤밸브 310: 피스톤밸브 몸체
330: 제1오일씰 331: 제1오일씰삽입홈
350: 제1가이드부재 351: 제1베어링시트
352: 제1베어링볼삽입홈 353: 제1베어링볼
355: 제1이탈방지구 400: 로드가이드부
410: 로드가이드 몸체 430: 제2오일씰
431: 제2오일실삽입홈 450: 제2가이드부재
451: 제2베어링시트 452: 제2베어링볼삽입홈
453: 제2베어링볼 455: 제2이탈방지구

Claims (4)

  1. 베이스쉘의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로드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스톤밸브 몸체와,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310)의 외주연 상측에 상기 베이스쉘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을 실링하는 제1오일씰과,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의 외주연 하측에 상기 베이스쉘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재로 구성된 피스톤밸브와;
    상기 피스톤로드를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쉘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로드가이드 몸체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의 내주연 상측에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의 내주연 하측에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을 실링하는 제2오일씰로 구성된 로드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밸브와 로드가이드부에는 상기 제1오일씰과 제2오일씰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오일씰삽입홈과 제2오일씰삽입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피스톤밸브 몸체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주연에는 제1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된 제1베어링시트와; 상기 제1베어링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베어링볼과; 상기 제1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베어링시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이탈방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로드가이드 몸체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주연에는 제2베어링삽입홈이 형성된 제2베어링시트와; 상기 제2베어링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베어링볼과; 상기 제2베어링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베어링시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이탈방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KR1020110107789A 2011-10-21 2011-10-21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KR10172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89A KR101724736B1 (ko) 2011-10-21 2011-10-21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89A KR101724736B1 (ko) 2011-10-21 2011-10-21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730A true KR20130043730A (ko) 2013-05-02
KR101724736B1 KR101724736B1 (ko) 2017-04-10

Family

ID=4865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789A KR101724736B1 (ko) 2011-10-21 2011-10-21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234A (ko) 2013-10-24 2015-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911577A (zh) * 2019-05-07 2020-11-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减震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8037U (ja) * 1984-01-20 1985-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液圧緩衝器
KR20020036538A (ko) * 2000-11-10 2002-05-16 밍 루 쇽 업소버의 로드가이드
US6910558B2 (en) * 2002-12-19 2005-06-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lf-locking mechanism for a telescoping colum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8037U (ja) * 1984-01-20 1985-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液圧緩衝器
KR20020036538A (ko) * 2000-11-10 2002-05-16 밍 루 쇽 업소버의 로드가이드
US6910558B2 (en) * 2002-12-19 2005-06-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lf-locking mechanism for a telescoping colum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234A (ko) 2013-10-24 2015-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향차 주행 상황에 따른 쇼크업소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911577A (zh) * 2019-05-07 2020-11-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减震器
CN111911577B (zh) * 2019-05-07 2024-05-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减震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736B1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111B2 (e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US9261160B2 (en) Piston valve of shock absorber
US9731574B2 (en) Shock absorber gas spring seal
US8701846B2 (en) Inverted strut comprising an air damper combined with a hydraulic stop
CN103089907A (zh) 一种稳定性较高的汽车减振器总成
CN212131160U (zh) 前减震器悬架总成
KR20130043730A (ko)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CN204774471U (zh) 减振器及悬架
CN107642575B (zh) 一种汽车双筒式减振器
KR20120030747A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KR20120058149A (ko) 차량용 쇽 업소버
WO2008087660A1 (en) Shock absorber for an automobile
JP2007092926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CN203651383U (zh) 电动消防巡逻车减震装置
CN108547907B (zh) 一种电动汽车用减震器
CN202284623U (zh) 汽车减振阻尼器
JP2008256059A (ja) 懸架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CN202274038U (zh) 一种稳定性较高的汽车减振器总成
CN215890913U (zh) 一种减振器装置
KR101288611B1 (ko) 쇽업소버의 바디 밸브 조립체
CN209466946U (zh) 一种汽车减震器弹簧下支座
CN203702971U (zh) 一种汽车减震器的活塞总成
CN202971714U (zh) 一种摩托车前减震器
CN211820532U (zh) 一种耐磨汽车减震器
CN203230775U (zh) 一种防噪减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