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841A - 입체적으로도 특정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 Google Patents

입체적으로도 특정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841A
KR20150045841A KR20130125622A KR20130125622A KR20150045841A KR 20150045841 A KR20150045841 A KR 20150045841A KR 20130125622 A KR20130125622 A KR 20130125622A KR 20130125622 A KR20130125622 A KR 20130125622A KR 20150045841 A KR20150045841 A KR 20150045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unit
toy
assembled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원출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원출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원출판
Priority to KR2013012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841A/ko
Publication of KR2015004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08Connections between puzzl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2009/1016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the pieces having additional connections, i.e.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by the jig-saw 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에 관한 것으로,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퍼즐이 외주면에 끼움홈과 끼움돌기에 의하여 서로 끼움 조립되게 끼움부가 형성되면서 그 끼움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내입홈과 체결돌기로 이루어지는 입체조립부로 형성하여 퍼즐을 평면 퍼즐로 맞춰서 전체적인 완성된 그림 퍼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각의 개별 단위 퍼즐의 끼움 구조가 입체조립부에 의하여 직각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입체적인 조립완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체적으로도 특정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puzzle}
본 발명은 특정한 형태로 입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퍼즐을 정해진 패턴에 따라 끼워서 특정한 도안을 완성하는 퍼즐로 사용하면서도 각각의 단위 퍼즐을 서로 끼워서 특정한 형태로 입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나 유아들의 흥미 유발 및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즐(직소퍼즐)은 유아나 어린이들의 지능개발을 위한 교육용 교구로써, 동물이나 사물, 또는 동화나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다양한 주제로 도안이 인쇄되어 있어 여러 개의 단위 퍼즐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면서 전체 도안을 맞춰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성장기 유아나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집중력과 인내력을 키워주기 위한 교구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퍼즐의 구조는 판지 상의 상면에 그림이나 사진 등의 도안을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여 단위 퍼즐을 구성하고, 단위 퍼즐을 분리시킨 후 다시 원래의 도안 상태로 조립하여 끼워 맞춤하게 되는 것으로, 단위 퍼즐은 대부분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는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여러 조각들로 분리되어진 단위 퍼즐을 서로 조립하여 퍼즐 도안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퍼즐은 단순하게 평면상의 그림이나 사진을 맞추는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쉽게 실증을 느끼게 되고, 특히 유아나 어린이는 하나의 교구를 여러 번 반복적으로 사용하는데, 이렇게 여러 번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너무 쉽게 맞추게 되고, 단순 반복행동에 의한 놀이를 할 뿐, 당초에 두뇌 개발의 목적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26633호(2003.09.02)
따라서 본 발명은 퍼즐에 인쇄되어 있는 도안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완성된 그림 퍼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각의 개별 단위 퍼즐의 끼움 구조가 입체적으로 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입체적인 조립완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퍼즐을 구성하는 도안과 입체적으로 조립되어지는 조립완구의 형상이 서로 연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흥미를 더 유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학습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단위 퍼즐과 그 복수의 단위 퍼즐이 안착되는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단위 퍼즐은 외주면에 끼움홈과 끼움돌기에 의하여 서로 끼움 조립되게 끼움부를 형성하며, 그 끼움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내입홈과 체결돌기로 이루어지는 입체조립부를 형성하여 평면 퍼즐로 사용함과 동시에 단위 퍼즐을 입체적으로 조립하여 입체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퍼즐의 표면에 인쇄되어진 도안 인쇄면의 이면에는 보조 인쇄면을 형성함으로써 단위 퍼즐을 입체로 조립할 때 그 표면에 보조 인쇄면이 노출되어 입체형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가 평면으로 전체적으로 완성된 그림을 맞추는 퍼즐 놀이를 할 수 있으면서도 이와 함게 각각의 단위 퍼즐을 조립하여 입체적인 조립완구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놀이를 다양화할 수 있고, 또한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입체적인 조립완구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평면 퍼즐과 입체 완구의 형상이 서로 연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입체 완구를 조립할 때 단위 퍼즐의 조립상태를 유추해 가면서 맞춰나가게 되므로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더 유발하면서도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교구로 다양한 놀이가 가능하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놀이 및 학습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 퍼즐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 퍼즐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 퍼즐이 평면으로 조립된 상태의 이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 퍼즐 중 선별된 조립 퍼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위 퍼즐을 입체적으로 조립하는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의 완성된 입체 조립완구의 외관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즐은 전체적인 도안이 여러 개의 단위 퍼즐(10)로 분할되어 단위 퍼즐(10)을 베이스판(20)의 정해진 위치에 위치시켜 배열함으로써 도안을 완성하게 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도안이 도안 인쇄면(10a)이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 퍼즐(10)로 분할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위 퍼즐(10)에는 끼움홈(11a)과 끼움돌기(11b)로 이루어지는 끼움부(11)가 형성되며, 그 끼움부(11)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내입홈(12a)과 체결돌기(12b)로 이루어지는 입체조립부(12)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 퍼즐(10)을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20)은 단위 퍼즐(10)이 배열되는 수용면(21)과 수용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되게 마감테(22)가 형성되며, 그 마감테(22)의 돌출높이는 단위 퍼즐(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판(20)의 수용면(21)에는 단위 퍼즐(10)의 배열 형태를 유도하도록 단위 퍼즐(10)의 형상에 따라 칼선을 형성하여 단위 퍼즐(10)의 안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퍼즐(10)의 표면에 인쇄되는 도안 인쇄면(10a)은 전체 도안이 그림이나 사진, 애니메이션 이미지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위 퍼즐(10)로 분할 제작되는 구조는 표면에 도안 인쇄면(10a)을 인쇄한 후, 재단용 칼날을 구비한 금형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지를 고압 프레싱하여 여러 조각으로 절단 성형하여 제작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11)는 끼움홈(11a)과 끼움돌기(11b)가 대략적인 'Ω'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평면으로 서로 맞물려 끼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입체조립부(12)는 내입홈(12a)과 체결돌기(12b)는 대략적인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평면으로 서로 맞물려 끼움되도록 함과 동시에 내입홈(12a)과 체결돌기(12b)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입체적으로 조립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위 퍼즐(10)을 베이스판(20)에 평면상태로 배열하여 평면 퍼즐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단위 퍼즐(10)의 끼움부(11)와 입체조립부(12)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 퍼즐(10)을 서로 연결하여 전체 도안을 완성하도록 되고, 사용자가 단위 퍼즐(10)을 입체적으로 조립하여 입체완구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단위 퍼즐(10)에 형성된 입체조립부(12)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 퍼즐(10)을 서로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입체적으로 조립한 것을 완구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 퍼즐(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1)가 형성되는 평면퍼즐(10-1)과 입체조립부(12)가 형성되는 조립퍼즐(10-2)로 구분되도록 하면 단위 퍼즐(10) 중의 일부인 조립퍼즐(10-2)만을 선별하여 입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평면퍼즐(10-1)과 조립퍼즐(10-2)을 사용자가 쉽게 구분하여 조립퍼즐만을 선별하여 사용하므로 별도의 설명서나 메뉴얼이 필요없이도 유아나 어린이가 입체 형상을 쉽게 유추하여 입체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입체조립부(12)는 체결돌기(12b)의 돌출된 정도가 내입홈(12a)에 직각으로 끼워 조립된 상태에서 지나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따라서 미관이 깔끔하게 이루어지게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체조립부(12)는 단위 퍼즐(10)에 타공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체결돌기(12b)가 조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타공홀에 의하여 조립 구조를 더욱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위 퍼즐(10)은 도안 인쇄면(10a)의 이면에 도 4와 같이 보조 인쇄면(10b)을 형성하여 단위 퍼즐(10)의 양면에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그 양면에 인쇄되어 있는 도안 인쇄면(10a)과 보조 인쇄면(10b) 중 어느 하나를 취사 선택하여 평면 퍼즐로 사용하거나 입체 조립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단위 퍼즐(10)을 평면 퍼즐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도안 인쇄면(10a)이 상면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퍼즐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단위 퍼즐(10)을 입체 형상으로 조립할 경우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보조 인쇄면(10b)이 표면으로 노출되면서 구현하고자 하는 동물이나 사물, 캐릭터 등을 더욱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인쇄면(10b)에 인쇄되는 그림이나 사진 등의 도안은 이면에 인쇄되어 있는 도안 인쇄면(10a)과 동일한 주제로 인쇄되도록 하면 평면퍼즐을 구성하는 도안과 입체적으로 조립되어지는 조립완구의 형상이 서로 연계성을 갖도록 되므로 유아나 어린이의 교육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10: 단위 퍼즐 10a: 도안 인쇄면
10b: 보조 인쇄면
10-1: 평면퍼즐 10-2: 조립퍼즐
11: 끼움부 11a: 끼움홈
11b: 끼움돌기
12: 입체조립부 12a: 내입홈
12b: 체결돌기
20: 베이스판 21: 수용면
22: 마감테

Claims (4)

  1.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서로 끼움 조립되는 도안 인쇄면(10a)이 형성된 복수의 단위 퍼즐(10)과, 복수의 단위 퍼즐(10)이 안착되는 베이스판(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퍼즐(10)은 외주면에 끼움홈(11a)과 끼움돌기(11b)로 이루어지는 끼움부(11)가 형성되면서 그 끼움부(11) 중의 일부 또는 전부가 내입홈(12a)과 체결돌기(12b)로 이루어지는 입체조립부(12)로 형성되어 평면 퍼즐로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단위 퍼즐(10)을 입체로 조립하여 입체완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입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퍼즐(10)은 끼움부(11)가 형성되는 평면퍼즐(10-1)과 입체조립부(12)가 형성되는 조립퍼즐(10-2)로 구분되어 단위 퍼즐(10) 중의 일부인 조립퍼즐(10-2)만을 선별하여 조립함으로써 입체 완구가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퍼즐(10)은 도안 인쇄면(10a)의 이면에 보조 인쇄면(10b)이 형성되어 단위 퍼즐(10)의 양면에 인쇄가 이루어지고, 그 양면 인쇄되어 있는 도안 인쇄면(10a)과 보조 인쇄면(10b) 중 어느 하나를 취사 선택하여 평면 퍼즐로 사용하거나 입체 조립을 할 수 있게 되는 입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인쇄면(10b)은 도안 인쇄면(10a)과 동일한 주제로 인쇄되어 평면퍼즐을 구성하는 도안과 입체적으로 조립되어지는 조립완구의 형상이 서로 연계성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KR20130125622A 2013-10-21 2013-10-21 입체적으로도 특정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KR20150045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622A KR20150045841A (ko) 2013-10-21 2013-10-21 입체적으로도 특정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622A KR20150045841A (ko) 2013-10-21 2013-10-21 입체적으로도 특정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841A true KR20150045841A (ko) 2015-04-29

Family

ID=5303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622A KR20150045841A (ko) 2013-10-21 2013-10-21 입체적으로도 특정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8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053B1 (ko) 입체감을 갖는 색칠놀이 극장
KR20160089731A (ko) 자석 블록 완구
US20050200076A1 (en) Puzzle
CN202223880U (zh) 一种组合式机械动力拼图卡
WO2004000429A1 (en) Multiple game block assembly
KR20190043707A (ko) 창의력 증진을 위한 놀이판이 포함된 블록 놀이세트 및 그것을 이용한 놀이방법
KR200468095Y1 (ko) 유아용 학습 교구
KR20150045841A (ko) 입체적으로도 특정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퍼즐완구
US20200238163A1 (en) Helical Fidget Patent Toy
KR101513243B1 (ko) 공간지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균형잡는 다용도 완구
KR101908065B1 (ko) 소프트형 안전벽돌 블럭 완구
KR20100024177A (ko) 조립식 교육ㆍ완구용 판재세트
KR20130007930A (ko) 블록 완구
KR101940368B1 (ko) 자석블럭완구에 사용되는 조립패널
KR101952783B1 (ko) Qr코드가 인쇄된 놀이판이 포함된 블록놀이 시스템
KR101529815B1 (ko) 페이퍼 토이 북
JP3224706U (ja) 嵌め合せ玩具
CN211724645U (zh) 用于儿童娱乐的墙面建构及建构插件
JP3229612U (ja) 嵌め合せ玩具
KR101933161B1 (ko) 교육용 자석 유희구
JP3220124U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キーホルダ
KR100782165B1 (ko) 쿠키상자
KR102026835B1 (ko) 매쓰 큐브 교구
KR200244329Y1 (ko) 입체형 평면 퍼즐
KR20080086961A (ko) 양면퍼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8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10

Effective date: 2018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