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65B1 - 소프트형 안전벽돌 블럭 완구 - Google Patents
소프트형 안전벽돌 블럭 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8065B1 KR101908065B1 KR1020170008316A KR20170008316A KR101908065B1 KR 101908065 B1 KR101908065 B1 KR 101908065B1 KR 1020170008316 A KR1020170008316 A KR 1020170008316A KR 20170008316 A KR20170008316 A KR 20170008316A KR 101908065 B1 KR101908065 B1 KR 1019080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ck
- brick block
- block body
- filler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형 안전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블럭 본체의 외면이 벽돌블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블럭 본체의 내부에 충진재를 삽입하여 충진재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에 충진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의 상부면 또는 한쪽 측면에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벽돌블럭 본체 내부의 공간부에 충진재를 채운 후 삽입구가 커버로 결합된 소프트형 안전벽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프트형 안전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블럭 본체의 외면이 벽돌블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블럭 본체의 내부에 충진재를 삽입하여 충진재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에 충진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의 상부면 또는 한쪽 측면에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벽돌블럭 본체 내부의 공간부에 충진재를 채운 후 삽입구가 커버로 결합된 소프트형 안전벽돌에 관한 것이다.
완구는 어린이들의 놀이 도구를 뜻하며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면 인형, 유아완구, 음향완구, 게임완구, 수예완구, 모방완구, 승용물완구, 동물완구, 운동완구, 지능완구, 학습완구, 과학완구, 취미완구 등을 들 수 있다.
어린이에게는 심신의 발달에 부합되는 완구를 선택해 주어야 한다. 3세 이상의 어린이에게 부적당한 완구를 안겨주면 지능 및 정서상 발달을 더디게 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또한, 구조나 내부의 부속이 복잡한 완구는 아무렇게 만지면 고장이 나기 쉬우므로 3세 이상의 어린이에게는 단순하고 튼튼하면서 지능 및 정서발달에 적합한 것이 좋다.
생후 3개월의 경우는 눈으로 사물을 볼 수 있고, 소리가 들린다. 천장에 매달아 아기의 눈 위에서 흔들리며 소리를 내는 완구 따위가 있으면 좋고, 오뚝이나 공기를 넣은 동물 완구 등 색깔이 화려하고 맑고 차분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완구가 좋다. 6개월의 경우는 손에 닿는 것은 무엇이든지 입으로 가져간다. 오뚝이, 공기를 넣은 비닐제 동물완구가 좋다. 부속품이 빠지기 쉬운 것, 뾰족한 것, 삼킬 염려가 있는것, 핥으면 위험한 것 등은 절대로 가까이 두어서는 안 된다. 1세 전후의 경우는 아무 것이나 손으로 잡으려 하고, 기기를 좋아하며 걸음마를 시작한다. 공기를 넣은 비닐제 완구, 플라스틱제 자동차, 실 동물완구 등 색다르게 보이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고 이리저리 만져도 안전해야 한다. 2~4세의 경우는 자동차, 토막쌓기, 실 동물완구, 승용물완구 등이 좋다. 4~7세의 경우는 성별, 취미에 따라 놀이가 다양해진다. 삼륜차, 운동완구, 소꿉놀이, 인형 옷입히기, 색종이접기, 색깔 칠하기, 액세서리 게임, 글자놀이, 기계완구, 간단한 플라스틱 모델 등이 좋다.
초등학생의 경우는 게임, 기계완구, 플라스틱 모델, 기계완구, 미니어처 카, 퍼즐, 이과 완구 등 사고력, 창조력, 운동능력의 발달을 조장시키고 취미를 기를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블럭 쌓기 완구는 블럭과 블럭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거나 쌓기 위주의 놀이 수단을 구비한 완구가 대다수이다. 블럭 상호 간의 결합을 위주로 하는 완구에 대한 기술은 연결 소프트 블럭으로 공지되어있다.
종래기술에서 볼 수 있는 블럭간의 결합 및 쌓기 위주의 수단을 구비하는 기술 외, 블럭을 용이하게 쌓도록 하며 쌓은 블럭을 하나씩 빼면서 놀이를 즐기는 수단을 구비하는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22823호 탑쌓기 적층기구를 일예로 들 수 있다.
종래의 블럭 완구의 자석조립 구조는 볼 타잎의 자석을 매립하는 경우 조립블럭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자석이 구름에 따라 소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자력이 구면의 중심에 집중하게 되므로서 타블럭과의 조립시 접착력이 다소 떨어지게 되어 신뢰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블럭완구를 연결하거나 적층하는 조립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블럭과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접촉면적의 크기도 매우 중요한 데 종래의 블럭완구에서
는 접촉면적이 점 접촉 또는 선 접촉하는 구성이기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고, 홈의 형성은 물론 조립 및 마감처리에 따르는 공정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물을 어린이가 손쉽게 적층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재질이 부드러운 합성수지 또는 종이로 됨에 따라 어린이의 신체에 손상을 주거나 또는 어린이가 밟더라도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어 자유롭게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내장된 충진재가 내부공간에서 유동, 회동됨에 따라 블럭간의 밀림현상이 없으며 적층이나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탁월함에 따라 어린이들이 지적발달향상에 도움이 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외부에는 숫자나 그림 조각을 맞출수 있도록 부분적인 그림이나 형상을 도형화하여 퍼즐을 맞추는 놀이나 특정된 형상 동물, 건축물, 숫자, 한글, 알파벳 등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및 글자를 맞추는 퍼즐 놀이도 가능한 다방면으로 유익하며 어린이의 정서발달이나 지적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돌블럭 본체의 외면이 벽돌블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블럭 본체의 내부에 충진재를 삽입하여 충진재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에 충진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의 상부면 또는 한쪽 측면에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벽돌블럭 본체 내부의 공간부에 충진재를 채운 후 삽입구가 커버로 결합된 소프트형 안전벽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소프트형 안전벽돌는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물을 어린이가 손쉽게 적층 및 해체가 용이하며 재질이 부드러운 합성수지 또는 종이로 됨에 따라 어린이의 신체에 손상을 주거나 또는 어린이가 밟더라도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어 자유롭게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내장된 충진재가 내부공간에서 유동, 회동됨에 따라 블럭간의 밀림현상이 없으며 적층이나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탁월함에 따라 어린이들이 지적발달향상에 도움이 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외부에는 숫자나 그림 조각을 맞출수 있도록 부분적인 그림이나 형상을 도형화하여 퍼즐을 맞추는 놀이나 특정된 형상 동물, 건축물, 숫자, 한글, 알파벳 등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및 글자를 맞추는 퍼즐 놀이도 가능한 다방면으로 유익하며 어린이의 정서발달이나 지적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태도.
본 발명은 벽돌블럭 본체(10)의 외면이 벽돌블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블럭 본체(10)의 내부에 충진재(40)를 삽입하여 충진재(40)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의 내부에 공간부(2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20)에 충진재(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의 상부면 또는 한쪽 측면에 삽입구(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30)를 통하여 벽돌블럭 본체 내부의 공간부(20)에 충진재(40)를 채운 후 삽입구(30)가 커버(50)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형 안전벽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진재는 스폰지 또는 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벽돌블럭 본체는 직육면체, 삼각기둥 형태 및 원기둥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벽돌블럭 본체는 합성수지 또는 종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벽돌블럭의 삽입구(30)는
단턱(60)을 형성하여 커버(50)가 안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단턱(60)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결합된 특징이 있다.
상기 삽입구(30)를 작게 형성한 후에 스폰지를 압착해서 밀어 넣으면 다시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하고, 상기 단턱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커버를 단턱(60)면에 결합하여 고정한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는 직육면체 벽돌블럭 본체(10)의 외면이 벽돌블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블럭 본체(10)의 내부에 스폰지 또는 솜으로 이루어진 충진재(40)를 삽입하여 충진재(40)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의 내부에 공간부(2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20)에 충진재(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의 상부면 또는 한쪽 측면에 삽입구(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30)를 통하여 벽돌블럭 본체 내부의 공간부(20)에 충진재(40)를 채운 후 삽입구(30)가 접착제를 사용하여 커버(50)로 결합된 것이어서 사각, 삼각 다양한 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충진재를 내장하여 결합력을 향상시켜 높게 적층 가능하며 다양한 기물을 조립 또는 적층하여 자유롭게 형성 및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어린이의 지능 및 인지력 향상 지적창작능력 향상, 지능개발을 유도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는 삼각기둥 형태 벽돌블럭 본체(10-3)의 외면이 벽돌블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블럭 본체(10-3)의 내부에 스폰지 또는 솜으로 이루어진 충진재(40-3)를 삽입하여 충진재(40-3)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3)의 내부에 공간부(20-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20-3)에 충진재(40-3)를 삽입할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3)의 상부면 또는 한쪽 측면에 삽입구(3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30-3)를 통하여 벽돌블럭 본체 내부의 공간부(20-3)에 충진재(40-3)를 채운 후 삽입구(30-3)가 접착제를 사용하여 커버(50-3)로 결합된 것이어서 사각, 삼각 다양한 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충진재를 내장하여 결합력을 향상시켜 높게 적층 가능하며 다양한 기물을 조립 또는 적층하여 자유롭게 형성 및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어린이의 지능 및 인지력 향상 지적창작능력 향상, 지능개발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는 원기둥 형태 벽돌블럭 본체(10-4)의 외면이 벽돌블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블럭 본체(10-4)의 내부에 스폰지 또는 솜으로 이루어진 충진재(40-4)를 삽입하여 충진재(40-4)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4)의 내부에 공간부(20-4)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20-4)에 충진재(40-4)를 삽입할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4)의 상부면 또는 한쪽 측면에 삽입구(3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30-4)를 통하여 벽돌블럭 본체 내부의 공간부(20-4)에 충진재(40-4)를 채운 후 삽입구(30-4)가 접착제를 사용하여 커버(50-4)로 결합된 것이어서 사각, 삼각 다양한 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충진재를 내장하여 결합력을 향상시켜 높게 적층 가능하며 다양한 기물을 조립 또는 적층하여 자유롭게 형성 및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어린이의 지능 및 인지력 향상 지적창작능력 향상, 지능개발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벽돌블럭 본체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외형은 직육면체, 삼각기둥 형태 및 원기둥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특징이 있다.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소프트형 안전벽돌는 직육면체 형태 벽돌블럭 본체(10-5)의 외면이 벽돌블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블럭 본체(10-5)의 내부에 스폰지 또는 솜으로 이루어진 충진재(40-5)를 삽입하여 충진재(40-5)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5)의 내부에 공간부(20-5)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20-5)에 충진재(40-5)를 삽입할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10-5)의 상부면 또는 한쪽 측면에 삽입구(3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30-5)를 통하여 벽돌블럭 본체 내부의 공간부(20-5)에 충진재(40-5)를 채운 후 삽입구(30-5)가 접착제를 사용하여 커버(50-5)로 결합된 것이어서 사각, 삼각 다양한 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충진재를 내장하여 결합력을 향상시켜 높게 적층 가능하며 다양한 기물을 조립 또는 적층하여 자유롭게 형성 및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어린이의 지능 및 인지력 향상 지적창작능력 향상, 지능개발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는 어린아이들의 안전을 위하여 이중장치를 형성하도록 두개의 커버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벽돌블럭 본체(10)는 벽돌블럭의 삽입구(30)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구(30)에는 단턱(60)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의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끼움돌기(90)가 형성된 안전판(100)이 결합되고, 상기 안전판(100)의 상부에는 커버(50)가 안착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단턱의 상부에는 접착재를 도포하여 결합된 특징이 있다.
10, 10-1, 10-2, 10-3, 10-4, 10-5: 벽돌블럭 본체
20, 20-1, 20-2, 20-3, 20-4: 내부 공간부
30, 30-1, 30-2, 30-3, 30-4, 30-5: 삽입구
40, 40-1, 40-2, 40-3, 40-4: 충진재
50, 50-1, 50-2, 50-3, 50-4, 50-5: 커버
20, 20-1, 20-2, 20-3, 20-4: 내부 공간부
30, 30-1, 30-2, 30-3, 30-4, 30-5: 삽입구
40, 40-1, 40-2, 40-3, 40-4: 충진재
50, 50-1, 50-2, 50-3, 50-4, 50-5: 커버
Claims (4)
- 벽돌블럭 본체의 외면이 벽돌블럭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블럭 본체의 내부에 충진재를 삽입하여 충진재를 채울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공간부에 충진재인 스폰지 또는 솜을 삽입할 수 있도록 벽돌블럭 본체의 상부면 또는 한쪽 측면에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벽돌블럭 본체 내부의 공간부에 충진재를 채운 후 삽입구가 커버로 결합이 이루지며;
상기 벽돌블럭 본체는,
벽돌블럭의 삽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구에는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의 하단면에 결합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된 안전판과,
상기 안전판의 상부에는 커버가 안착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단턱의 상부에는 접착재를 도포하여 커버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형 안전벽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블럭의 삽입구는
단턱을 형성하여 커버가 안착이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단턱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형 안전벽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블럭 본체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외형은 직육면체, 삼각기둥 형태 및 원기둥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형 안전벽돌.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8316A KR101908065B1 (ko) | 2017-01-17 | 2017-01-17 | 소프트형 안전벽돌 블럭 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8316A KR101908065B1 (ko) | 2017-01-17 | 2017-01-17 | 소프트형 안전벽돌 블럭 완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4559A KR20180084559A (ko) | 2018-07-25 |
KR101908065B1 true KR101908065B1 (ko) | 2018-10-15 |
Family
ID=6305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8316A KR101908065B1 (ko) | 2017-01-17 | 2017-01-17 | 소프트형 안전벽돌 블럭 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806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5909B1 (ko) * | 2020-11-17 | 2023-04-25 | 이선웅 | 블록완구 |
-
2017
- 2017-01-17 KR KR1020170008316A patent/KR10190806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4559A (ko) | 2018-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8201B1 (ko) | 벽돌블럭 완구 | |
KR101908065B1 (ko) | 소프트형 안전벽돌 블럭 완구 | |
JP4498467B1 (ja) | 知育玩具 | |
CN103349841B (zh) | 一种儿童玩的智能七巧板玩具 | |
KR101565092B1 (ko) | 입체공간 채우기 교육용 완구 | |
KR102525909B1 (ko) | 블록완구 | |
KR200389153Y1 (ko) | 목재 블럭 완구 | |
JP3217628U (ja) | 立体造形ブロック | |
CN207950666U (zh) | 一种磁性积木与塑胶积木混合拼插型积木组合 | |
KR20130005436U (ko) | 균형잡는 학습완구 | |
KR102689014B1 (ko) | 벽돌블럭 완구 구조 | |
CN221713560U (zh) | 一种摇摆盲盒玩具 | |
KR200384346Y1 (ko) | 블럭 쌓기 목재 완구 | |
CN203852107U (zh) | 一种多功能游戏围栏 | |
KR102562069B1 (ko) | 피규어 다트 | |
CN209967667U (zh) | 一种魔方公仔玩具 | |
CN207266768U (zh) | 一种带有rfid标签的儿童玩具 | |
CN220899509U (zh) | 一种多功能幼儿教育玩具 | |
CN208482001U (zh) | 一种玩具组合 | |
CN212141435U (zh) | 一种发声拼图屋 | |
JP3173811U (ja) | 玩具 | |
CN208574215U (zh) | 益智消防玩具车 | |
Legaard | Play, Flow and Wonder–Reassessing the Notion of Optimal Experience | |
CN207532758U (zh) | 一种对称蝴蝶玩具 | |
KR20240016105A (ko) | 자석과 센서를 이용한 언어 교육용 블록 놀이 전자 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