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756A -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756A
KR20150044756A KR20130124212A KR20130124212A KR20150044756A KR 20150044756 A KR20150044756 A KR 20150044756A KR 20130124212 A KR20130124212 A KR 20130124212A KR 20130124212 A KR20130124212 A KR 20130124212A KR 20150044756 A KR20150044756 A KR 2015004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gital image
screen
resin lay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원
Original Assignee
(주)디엑스디 크리에이티브스
박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엑스디 크리에이티브스, 박장원 filed Critical (주)디엑스디 크리에이티브스
Priority to KR2013012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756A/ko
Publication of KR2015004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82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이미지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사시트(10)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디지털 이미지 윤곽에 대응하는 임의 모양의 투사부(2)가 마련되는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전사시트(10) 일면에 디지털 이미지 윤곽으로 제1보호층으로서 투명수지층(20)를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20)와; 상기 투명수지층(20) 상면에 디지털 이미지층(30)을 디지털인쇄하는 단계(S30)와; 상기 디지털 이미지층(30) 상면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제2보호층으로서 접착층(4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0)와; 상기 접착층(40) 상면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핫멜트층(5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이미지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thick digital image sheet having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디지털이미지n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이미지 자체의 색상 및 모양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디지털 이미지에 일정두께의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축성있는 피착물에 부착되더라도 장시간 본래의 이미지 자체를 유지할 수 있는 디지털이미지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촬영기기의 보급이 급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를 출력하여 이용하는 산업분야가 크게 성장하고 있다.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산업분야가 이처럼 큰 신장세를 보이는 주된 이유는 촬영된 필름을 현상시설이 구비된 현상소로 보내 이미지를 출력해야만 했던 종래 은염 사진기술과 달리, 촬영된 이미지를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매체에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한 다음 디지털 프린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이미지를 의도하는 방향으로 편집하여 언제 어디서든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는 편리성 때문이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장점을 이용하여 성장하고 있는 산업분야 중의 하나가 디지털 인쇄이다. 디지털 인쇄는 별도의 중간 작업없이 디지털 데이터를 곧 바로 인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전 작업으로 인쇄용 형판을 준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기존의 옵셋 인쇄에 비해 인쇄작업이 매우 신속할 뿐 아니라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 인쇄는 기존의 옵셋 인쇄에 대한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실사 이미지 출력분야 뿐 아니라 인테리어 마감재분야까지 폭넓게 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디지털 인쇄는 기존의 옵셋 인쇄와 마찬가지로 전사지 또는 베이스필름에 특정 이미지를 평면상으로 인쇄한다는 점에서 입체감을 전혀 부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때문에 입체감이 부여된 디지털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베이스층을 미리 형성한 다음, 베이스층 상면에 디지털 인쇄된 이미지를 접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디지털 이미지를 인쇄한 다음 베이스층 윤곽 형상으로 재단하고 이 재단된 디지털 이미지를 베이스층 상면에 접착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재료의 낭비가 심할 뿐 아니라 공정이 복잡하다. 더욱이, 장시간 사용시 디지털 이미지가 베이스층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디지털 이미지가 결합된 피착재가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인쇄된 디지털 이미지층에 균열(crack)이 발생하여 디지털 이미지가 가지는 미관을 훼손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 중의 하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18109호이다. 이 기술은 베이스필름(110) 일면에 코팅된 수지(120) 상면에 접착제층(200)을 형성하여 베이스필름부를 구현하고, 전사지(300) 상면에 아크릴수지층(400) 및 디지털인쇄층(500)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전사지부를 구현한 다음, 접착제층(200)을 이용하여 베이스필름부와 전사지부를 합지하여 도 7에 개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인쇄층(500)의 이미지를 베이스필름부에 전사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럴 경우, 별도의 재단공정이 없이도 단순히 전사지(300)를 제거하여 디지털이미지가 전사된 베이스필름부를 의도하는 피착재에 단순히 부착하기만 하면 디지털이미지가 외관으로 바로 드러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비해 제조자 측면에서는 공정단축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해주며, 사용자 측면에서도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베이스필름부와 전사지부를 별도 공정을 통해 제작한 다음 이들을 합지해야 하는 복잡함이 있으며, 합지시 디지털이미지가 일정 경도를 가지는 베이스필름에 의해 고정된다는 점에서 피착재가 신축성있는 원단으로 이루어지면 부착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181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인쇄가 가지는 장점과 스크린인쇄가 가지는 장점을 조합하여 별도의 재단공정이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입체감 있는 디지털이미지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착재에 부착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디지털이미지가 박리되거나 또는 훼손되지 않고, 신축성 있는 피착재에 부착하더라도 디지털이미지 자체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디지털이미지 시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디지털이미지가 다양한 색상에 의해 보완되거나 또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에 의해 보완될 수 있는 디지털이미지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사시트(10)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디지털 이미지 윤곽에 대응하는 임의 모양의 투사부(2)가 마련되는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전사시트(10) 일면에 디지털 이미지 윤곽으로 제1보호층으로서 투명수지층(20)를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20)와; 상기 투명수지층(20) 상면에 디지털 이미지층(30)을 디지털인쇄하는 단계(S30)와; 상기 디지털 이미지층(30) 상면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제2보호층으로서 접착층(4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0)와; 상기 접착층(40) 상면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핫멜트층(5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층(30) 상면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접착층(4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0) 대신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층(30) 상면에 제1수지층(42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20)와, 글래스비드를 포함하고 있는 액상수지를 준비한 다음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제1수지층(420) 상면에 재귀반사층(44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40)와,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재귀반사층(440) 상면에 제2수지층(46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60)와,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제2수지층(460) 상면에 반사층(48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80)가 부가되는 것을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층(40)은 발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40)에는 반사물질이 함유되거나, 임의 색상의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40)은 각 부위별로 서로 다른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를 스크린인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수지층(420) 및 제2수지층(460)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임의 색상의 안료가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지층(420) 및 제2수지층(460)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안료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인쇄를 통해 일정두께의 지지 및 보호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디지털인쇄를 통해 세밀한 이미지 표현과 뛰어난 색상 발현이 가능한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입체감 있는 디지털이미지 시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지는 시트는 디지털이미지와 동일한 윤곽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재단공정을 거치지 않고 곧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트 제작에 따른 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필요하게 재료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이미지 양면에 탄성재질의 보호층을 부가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디지털이미지 일부가 박리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신축성 있는 피착재에 부착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디지털이미지 자체에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없다는 장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이미지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층에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재귀반사층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소비자 취향에 따라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이미지 시트를 제작하는 개략적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이미지 시트를 제작함에 있어 사용되는 스크린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이미지 시트제작의 각 단계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e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이미지 시트제작의 각 단계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디지털이미지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디지털이미지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7은 종래 디지털이미지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이미지 시트를 제작하는 개략적인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의 각 단계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전사시트(10) 상면에 투명수지층(20), 디지털이미지인쇄층(30), 접착층(40), 핫멜트층(5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되, 상기 디지털이미지인쇄층(30)은 디지털인쇄하고 나머지 각 적층들은 디지털이미지와 동일한 윤곽을 가지는 스크린을 이용하여 스크린인쇄하는 방법을 제안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전사시트(10)를 준비한다(S10). 상기 전사시트(10)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이미지 시트가 제작되면 피착재(미도시)에 부착되기 전에 제거되는 부분이다. 전사시트(10)는 이염처리가 된 필름 또는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사시트(10)가 준비되면, 스크린을 이용하여 도 2a와 같이 전사시트(10) 일면에 투명수지층(20)을 스크린인쇄한다(S10). 상기 스크린은 통상적인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크린에는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투사부(2)가 마련된다. 상기 투사부(2)는 후술할 투명수지, 접착제, 핫멜트가 투사되어 인쇄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그 모양의 윤곽은 후술할 디지털이미지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할 디지털이미지가 우리나라의 실사 이미지 지도라면, 투사부 모양의 윤곽은 사용할 실사 이미지 지도의 윤곽과 완전히 동일하거나, 아니면 사용할 실사 이미지 지도의 윤곽 모두는 내부에 포함하되 그 윤곽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별도의 재단작업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사용되는 스크린은 틀에 의해 지지되는 개별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롤과 같이 연속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투명수지층(20)은 디지털이미지층(30)에 대한 제1보호층으로서, 후술할 제2보호층으로서의 접착층(40)과 더불어 디지털이미지층(3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디지털이미지층(30)에 균열이 발생되어 인쇄된 디지털이미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이 수지층을 투명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전사시트(10)를 제거하면 외부에서 디지털이미지층(30) 내부에 인쇄되어 있는 인쇄된 디지털이미지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스크린인쇄를 통해 투명수지층(20)을 형성하는 이유는 일정한 두께의 층을 구현하기 위함인데 그 두께를 어느 정도로 형성할지 여부는 임의사항이다. 또한, 스크린인쇄를 통해 형성되는 투명수지층은 두께가 일정한 평판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특정부위의 두께가 타부위보다 두꺼운 비대칭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투명수지층은 PU, PE 등과 같은 액상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사시트(10) 일면에 형성되는 투명수지층(20)이 건조되면, 투명수지층(20) 상면에 디지털이미지를 인쇄하여 도 2b와 같이 디지털이미지층(30)을 형성한다(S30). 상기 디지털이미지층(30)은 그 하면의 투명수지층(20)과 윤곽이 동일하기 때문에 투명수지층(20)은 디지털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지털이미지층(30)의 일면을 보호하게 된다. 디지털인쇄는 관련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디지털프린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인쇄 작업에 따라 디지털이미지층(30)이 형성되면 스크린(1)을 이용하여 도 2c에 개시된 것과 같이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접착층(40)을 스크린인쇄한다(S40). 상기 접착층(40)은 디지털이미지층(30)에 대한 제2보호층으로 기능하며, 스크린(1)에 마련되는 투사부(2)가 S20 단계의 접착층(40) 형성에 관여하는 투사부와 동일하게 때문에, 이 단계를 거치면 디지털이미지층(30)은 그 양면이 제1보호층과 제2보호층에 의해 외부환경과 완전히 격리된다.
즉, 디지털이미지층(30) 내부에 인쇄되어 있는 디지털이미지는 수지재질의 투명수지층(20)과 접착층(40)에 내장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디지털이미지층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외부환경에 의해 훼손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더욱이, 투명수지층(20)과 접착층(40)은 그 재질이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디지털이미지층(30)에 수직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더라도 투명수지층(20)과 접착층(40)이 이를 흡수하여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어 인쇄된 디지털이미지가 균열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피착재가 신축성 있는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투명수지층(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크린인쇄를 통해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접착층(40)을 형성하는 이유 역시 접착층(40)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하기 위함이다. 접착층(40)은 두께가 일정한 평판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특정부위의 두께가 타부위보다 두꺼운 비대칭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40)이 부위별로 두께가 상이한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 비대칭 형상은 투명수지층(20)의 비대칭 형상과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투명수지층(20) 상면에 디지털이미지층(30)이 형성되고,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접착층(40)이 형성되면 전사시트(10) 일면에 구비되는 일정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는 매우 얇은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이미지층(30) 양면에 일정두께를 가지는 투명수지층과 접착층을 스크린인쇄를 통해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즉, 종래 스크린인쇄가 가지는 장점을 이용하여 시트의 입체감을 구현하고, 종래 디지털인쇄가 가지는 세밀한 이미지 표현과 뛰어난 색상 발현의 장점을 두루 이용한 것이다. 스크린인쇄를 통해 어느 정도 두께의 투명수지층과 접착층을 형성할지 여부는 임의사항이다.
상기 접착층(40)은 PU를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의 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럴 경우 본 발명은 접착층(40)로 사용되는 수지가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접착층이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면 그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접착층은 더욱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의 구현을 위하여 접착층(40)에 하나 이상의 안료가 포함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이에 부가하여 접착층이 복수 개의 부위로 구획되며 각 부위가 서로 다른 색상의 안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접착층(40)에 임의 색상의 안료가 포함되면, 그 안료가 가지는 색상은 디지털이미지인쇄층(30)을 투과하여 외부로 드러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다양한 디자인의 디지털이미지 시트를 제작할 수 있다. 도 5에는 접착층이 두개의 부위(42, 46)로 구획되며, 각 부위가 서로 다른 안료를 포함하여 색상을 달리하여 형성된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스크린(1)의 투사부(2)를 디지털이미지층(30)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다른 안료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각 부위에 부분적으로 스크린인쇄함으로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층(40)에 실버파우더와 같은 미세입자로로 이루어지는 반사물질이 포함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이처럼 접착층(40)에 반사물질이 함유되면 입사하는 빛이 접착층에 산포된 반사물질에 의해 선택적으로 반사됨으로써 더욱 다양한 미관을 가진 디지틸이미지 시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반사물질은 실버파우더 이외에 알루미늄 페이스트와 같이 여러 다양한 입자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2보호층으로서 접착층(40)이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면, 도 3d와 같이 접착층(40) 상면에 핫멜트층(50)을 스크린인쇄함으로써(S50)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이미지 시트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 단계에서도 동일한 모양의 투사부(2)가 마련되는 스크린(1)이 사용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핫멜트층(50)은 피착재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관련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핫멜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핫멜트층(50) 상면은 공지의 이형필름이 덧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디지털이미지 시트의 사용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핫멜트층(50) 상면을 밀착되어 있는 이형필름을 제거한 다음 피착재의 일면에 디지털이미지 시트의 핫멜트층(50) 부위를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이미지 시트를 가압하면 프레스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핫멜트층(50)의 표면 부위가 용융되면서 피착재 일면에 긴밀하게 부착한다. 뒤이어 전사시트(20)를 제거하면 입체감을 가지는 디지털이미지 시트가 피복재와 일체화되어 자리잡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디지털이미지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접착층(40)을 형성하는 대신에 아래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지는 스크인인쇄를 통해 재귀반사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도 1 및 도 4a 내지 도 4f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4a와 같이 투명수지층(20) 상면에 동일 모양의 디지털이미지층(30)이 형성되면, 스크린(1)을 이용하여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도 4b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수지층(420)을 스크린인쇄한다(S420). 상기 스크린(1)은 투명수지층(20)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제1수지층(420)은 투명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임의 색상의 안료가 포함된 색상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수지층에는 안료와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실버파우더와 같은 반사물질이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제1수지층(420)이 형성되면,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글래스비드(glass beads)를 포함하고 있는 액상수지를 제1수지층(420) 상면에 스크린인쇄하여(S440) 도 4c와 같이 재귀반사층(440)을 형성한다. 재귀반사(Retro-reflection)란 특정 각도로 입사하는 광을 광원을 향해 복귀하도록 반사하는 현상이며, 글래스비드는 유리 또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소구체로서 입사광을 재귀반사하는 특성이 있다. 이와 관련된 사항은 관련업계에 널리 알려진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재귀반사층(440)이 형성되면, 동일한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재귀반사층(440) 상면에 제2수지층(460)을 스크린인쇄한다(S460). 상기 제2수지층(460) 역시 전술한 제1반사층(420)과 마찬가지로 임의 두께의 투명수지 또는 임의 색상의 안료가 포함된 색상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수지층(460)이 색상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색상은 제1수지층(420)의 색상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지층에는 안료와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실버파우더와 같은 반사물질이 더 포함될 수도 있음도 물론이다. 이럴 경우 각 수지층의 색상(및/또는 반사물질)은 재귀반사층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으로 화체될 수 있으며, 나아가 디지털이미지와 결부되어 환상적인 색감으로 도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인쇄되는 제1수지층(420)과 제2수지층(460)은 도 4d에 개시된 것과 같이 그 사이에 형성되는 재귀반사층(44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이 있음은 물론, 제1수지층(420) 하부에 형성되는 디지털이미지층(30)을 보호하는 기능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 접착층(40)이 투명수지층(20)과 더불어 디지털이미지층(30)을 보호하듯이, 이 실시예에서는 제1수지층(420)은 물론 이에 부가하여 제2수지층(460) 역시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제2수지층(460)이 형성되면, 동일한 스크린(1)을 이용하여 도 4e와 같이 제2수지층(460) 상면에 반사층(480)을 스크린인쇄하고(S480), 상기 반사층(480) 상면에 핫멜트층(50)을 스크린인쇄하면(S480) 도 4f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의 디지털이미지 시트가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반사층(480)은 PU와 같은 수지에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층의 구성 및 작용은 관련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시트는 입체감 있는 디지털이미지를 제공해 줌은 물론 글래스비드에 의한 재귀반사 기능까지 겸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시트와 차이가 있다. 시트를 피복재에 부착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최종적으로 전사시트(10)가 제거되는 것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접착층(40)을 복수 개의 부위로 구획한 다음 각 부위별로 상이한 색상으로 구성한 것과 동일하게 이 실시예 역시 제1수지층(420) 및 제2수지층(460) 각각을 이와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는 이 중에서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 각각을 두개의 부위(422, 426 및 462, 466)로 구획하고, 각 부위를 색상을 달리하여 형성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 각각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면 보다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됨은 자명하다. 제1수지층 및 제2수지층 각각을 두개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 부위에 상이한 색상의 수지를 스크린인쇄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스크린 10 : 전사시트
20 : 투명수지층 30 : 디지털이미지층
40 : 접착층 50 : 핫멜트층
420 : 제1수지층 440 : 재귀반사층
460 : 제2수지층 480 : 반사층

Claims (8)

  1. 전사시트(10)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디지털이미지 윤곽에 대응하는 임의 모양의 투사부(2)가 마련되는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전사시트(10) 일면에 디지털이미지 윤곽으로 제1보호층으로서 투명수지층(20)를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20)와;
    상기 투명수지층(20) 상면에 디지털이미지층(30)을 디지털인쇄하는 단계(S30)와;
    상기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제2보호층으로서 접착층(4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0)와;
    상기 접착층(40) 상면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핫멜트층(5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접착층(4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0) 대신에,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이미지층(30) 상면에 제1수지층(42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20)와, 글래스비드를 포함하고 있는 액상수지를 준비한 다음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제1수지층(420) 상면에 재귀반사층(44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40)와,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재귀반사층(440) 상면에 제2수지층(46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60)와, 상기 스크린(1)을 이용하여 상기 제2수지층(460) 상면에 반사층(480)을 스크린인쇄하는 단계(S480)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40)은 발포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40)에는 반사물질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40)에는 임의 색상의 안료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40)은 각 부위별로 서로 다른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를 스크린인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420) 및 제2수지층(460)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임의 색상의 안료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420) 및 제2수지층(460)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안료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KR20130124212A 2013-10-17 2013-10-17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044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212A KR20150044756A (ko) 2013-10-17 2013-10-17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212A KR20150044756A (ko) 2013-10-17 2013-10-17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756A true KR20150044756A (ko) 2015-04-27

Family

ID=5303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4212A KR20150044756A (ko) 2013-10-17 2013-10-17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7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5509A (zh) * 2017-08-31 2017-12-01 福建铁工机智能机器人有限公司 一种制衣工艺中的丝印方法及装置
CN107443878A (zh) * 2017-08-31 2017-12-08 福建铁工机智能机器人有限公司 一种箱包制作工艺中的丝印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5509A (zh) * 2017-08-31 2017-12-01 福建铁工机智能机器人有限公司 一种制衣工艺中的丝印方法及装置
CN107443878A (zh) * 2017-08-31 2017-12-08 福建铁工机智能机器人有限公司 一种箱包制作工艺中的丝印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1569A1 (en) Method of producing colored graphic marking films
JP6930079B2 (ja) 立体画像形成シートおよび立体画像の製造方法
JP6260878B2 (ja) 画像転写シート、画像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画像転写方法
CN110437751B (zh) 烫印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044756A (ko) 내구성이 강화된 일정두께의 디지털 이미지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JP2000089677A (ja) 装飾用ホログラム・ステッカ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5003B1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441846B (zh) 立体光栅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324789Y1 (ko) 에어층을 갖는 입체 스티커
JP7191412B2 (ja) ジグソーパズルの製造に用いられる粉末樹脂層付きリタックシートおよび透明樹脂層付きリタックシートと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588653B1 (ko) 고급질감을 가진 디지털 스마트 인쇄물의 제조방법 및 그 인쇄물
JP5707176B2 (ja) 装飾透明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62795A (ja) 立体装飾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762573B2 (ja) 立体効果図形の形成方法及び図形立体表示体
KR101636465B1 (ko) 금속반짝이 이미지를 이용한 복합 인쇄물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17226134A (ja) 画像転写方法及び画像転写シート
JP2019171685A (ja) コルク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05665A (ja) ステッカー
WO2023067824A1 (ja) 画像箔転写シート、画像箔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画像箔の転写方法
JP2008246709A (ja) 写真アルバム及び写真アルバム作製システム
JP2002067591A (ja) 透視可能な化粧スクリーンによる化粧方法、並びに基材シート、化粧スクリーン及び接着シート
JP5988664B2 (ja) アルバム
JP2013226768A (ja) 立体画像の作製方法およびその立体画像
JP2020006524A (ja) スクラッチ印刷物ならびにスクラッチ印刷装置および方法
CN101799622A (zh) 一种双面照片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