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035A - 퓨즈 유닛 - Google Patents

퓨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035A
KR20150041035A KR1020157005672A KR20157005672A KR20150041035A KR 20150041035 A KR20150041035 A KR 20150041035A KR 1020157005672 A KR1020157005672 A KR 1020157005672A KR 20157005672 A KR20157005672 A KR 20157005672A KR 20150041035 A KR20150041035 A KR 20150041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lternator
terminal
connecting en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미 노하라
마사요시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77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with provisions for direct mounting on a battery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2085/0555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e.g. multi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회로체(5)의 제 1 배터리 접속단(51)과, 얼터네이터 접속단(52)과,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이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 설치된다.

Description

퓨즈 유닛{FUSE UNIT}
본 발명은 2개의 배터리가 탑재된 자동차에 있어서의 전력 분배에 사용되는 퓨즈 유닛에 관한 것이다.
퓨즈 유닛은 차량 탑재의 배터리에 직접 부착되어, 차량 탑재의 전장품 등의 부하에 전력을 분배 공급한다. 퓨즈 유닛은 과전류가 흐른 경우에는, 전류 경로를 차단하여 차량 탑재의 전장품을 보호한다. 2개의 배터리가 탑재된 자동차에서도, 마찬가지로, 퓨즈 유닛은 일방의 배터리에 직접 부착되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2개의 배터리가 탑재된 자동차에 사용되는 종래의 퓨즈 유닛(100, 200)을 각각 나타낸다.
퓨즈 유닛(100, 200)은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L자형의 유닛 본체(110, 210)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유닛 본체(110, 210)는 상면 부분(111, 211)이 제 1 배터리(도시 생략)의 상면에 재치되어 고정되고, 측면 부분(112, 212)이 제 1 배터리의 측면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제 1 배터리에 매달린 상태로 부착된다.
유닛 본체(110, 210)는 제 1 배터리 접속부(113, 213), 제 2 배터리 접속부(114, 214) 및 얼터네이터 접속부(115, 215)를 각각 가진다. 도 1의 퓨즈 유닛(100)에서, 제 1 배터리 접속부(113)가 상면 부분(111)에 위치하고, 제 2 배터리 접속부(114) 및 얼터네이터 접속부(115)가 측면 부분(112)에 위치해 있다. 도 2의 퓨즈 유닛(200)에서, 제 1 배터리 접속부(213) 및 얼터네이터 접속부(215)가 상면 부분(211)에 위치하고, 제 2 배터리 접속부(214)가 측면 부분에 위치해 있다.
유닛 본체(110, 210)는 외각이 절연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유닛 본체(110, 210)의 내부에는 버스바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회로체(도시 생략)가 각각 매설되어 있다. 회로체에서의 전기 접속에 필요한 부분은 적당하게, 유닛 본체(110, 210)로부터 노출된다. 도 1의 퓨즈 유닛(100)에서, 제 1 배터리 접속부(113)에 회로체의 제 1 배터리 접속단(120)이 노출되어 있고, 제 1 배터리 접속단(120)에 형성된 삽입구멍(121)에, 제 1 배터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단자의 접속 볼트가 삽입통과된다. 이것에 의해 퓨즈 유닛(100)은 제 1 배터리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배터리와 접속된다. 도 2의 퓨즈 유닛(200)에서, 제 1 배터리 접속부(213)에 회로체의 제 1 배터리 접속단(220) 및 얼터네이터 접속단(240)이 노출되어 있고, 도 1의 퓨즈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제 1 배터리 접속단(220)에 형성된 삽입 구멍(221)에, 제 1 배터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단자의 접속 볼트(도시 생략)가 삽입통과된다.
도 1의 퓨즈 유닛(100)의 얼터네이터 접속부(115)에는,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141)를 가진 얼터네이터 접속단(140)이 설치된다. 얼터네이터 접속단(140)은 전선을 통하여 차량 탑재의 얼터네이터(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도 2의 퓨즈 유닛(200)의 얼터네이터 접속부(215)에는, 볼트 삽입구멍(241)을 가진 얼터네이터 접속단(240)이 설치된다. 얼터네이터 접속단(240)은 볼트 및 전선을 통하여 차량 탑재의 얼터네이터에 접속된다. 얼터네이터 접속단(140, 240)이 얼터네이터에 접속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에 의해 얼터네이터가 발전한 전력을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다.
제 2 배터리 접속부(114, 214)는 차량 탑재의 제 2 배터리(도시 생략)에 각각 접속된다. 퓨즈 유닛(100)에서, 제 2 배터리 접속단(130)으로서 제 2 배터리측 커넥터(131)가 설치된다. 제 2 배터리측 커넥터(131)는 상대 커넥터를 통하여 제 2 배터리에 접속된다. 퓨즈 유닛(200)에서, 제 2 배터리 접속단(230)으로서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231)가 설치된다.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231)는 전선을 통하여 제 2 배터리에 접속된다.
퓨즈 유닛(100, 200)에는 차량 탑재의 전장품으로 이루어지는 부하에 접속될 부하 접속부(150, 25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퓨즈 유닛(100)에서, 부하 접속부(150)는 부하측 커넥터(15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퓨즈 유닛(200)에서, 부하측 접속부(250)는 부하 접속 단자(25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조에 있어서, 퓨즈 유닛(100, 200)의 각각은,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로의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 용단되는 가용부(퓨즈)를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한 퓨즈 유닛(100, 200)의 각각은, 부하에의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 용단되는 가용부(퓨즈)를 부하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있다.
도 3은 퓨즈 유닛(100)의 회로체에 가용부를 설치한 회로도이며, 퓨즈 유닛(200)의 회로체도 동일한 회로도를 채용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배터리 접속단(120)(제 1 배터리)과 얼터네이터 접속단(140)(얼터네이터) 사이에 제 1 가용부(160)가 설치되고, 제 2 배터리 접속단(130)(제 2 배터리)과 얼터네이터 접속단(140)(얼터네이터) 사이에 제 2 가용부(170)가 설치되어 있다. 얼터네이터 접속단(140)에는 부하 접속부(150)가 접속되어 있다. 부하 접속부(150)와 차량 탑재의 각 부하(190) 사이에 제 3 가용부(1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제 1 가용부 및 제 2 가용부가 배치되는 부분에는, 부호 160, 170을 붙이고 있다. 퓨즈 유닛(100)에서, 제 1 가용부(160) 및 제 2 가용부(170)는 유닛 본체(110)의 측면 부분(112)에 설치되어 있다. 퓨즈 유닛(200)에 있어서, 제 1 가용부(160)가 유닛 본체(210)의 상면 부분(211)에 설치되고, 제 2 가용부(170)가 측면 부분(212)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퓨즈 유닛(100, 200)의 각각을 차량에 탑재하는 스페이스 상의 제약 및 회로체(버스바)의 형상에 의해 설정된다.
일본 특개 2011-86510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퓨즈 유닛(100, 200)의 각각과 제 1 배터리, 제 2 배터리, 얼터네이터와의 접속은 차량 조립 공정에서 행해진다. 퓨즈 유닛(100)에서, 상면 부분(111)의 제 1 배터리 접속단(120)에, 제 1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단자의 접속 볼트를 삽입통과한 후, 측면 부분(112)의 제 2 배터리측 커넥터(131)에 제 2 배터리로부터의 상대 커넥터를 끼워맞추어 제 2 배터리에 접속하고,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141)에 얼터네이터로부터의 전선을 체결하여 얼터네이터에 접속한다. 퓨즈 유닛(200)에서, 상면 부분(211)의 제 1 배터리 접속단(220)에, 제 1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단자의 접속 볼트를 삽입통과하여 제 1 배터리에 접속하고, 또한 얼터네이터 접속단(240)의 볼트 삽입구멍(241)에 얼터네이터로부터의 전선에 접속된 볼트를 삽입통과하여 얼터네이터와 접속한 후, 측면 부분(212)의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231)에 제 2 배터리로부터의 전선을 체결하고 제 2 배터리에 접속한다.
이러한 접속은 유닛 본체(110, 210)의 상면 부분(111, 211)에 대한 접속 작업 및 측면 부분(112, 212)에 대한 접속 작업이 필요하여, 공정수가 많아 접속 작업이 귀찮게 되어 있다. 또한 접속 작업이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속 작업을 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는 자동차에 있어서, 2개의 배터리나 얼터네이터와의 접속 공정을 적게 할 수 있고, 2개의 배터리나 얼터네이터에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고, 좁은 작업 공간 내의 효율적인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퓨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1 형태에 의하면, 자동차에 탑재된 제 1 배터리와 제 2 배터리에 대하여, 상기 자동차의 주행에 의해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력을 충전하는 상기 자동차의 충전 회로에 사용되는 퓨즈 유닛으로서, 절연성의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에 일체로 매설된 도전성의 회로체와, 상기 회로체에 접속되어, 과전류시에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가용체를 가지고, 상기 회로체는 상기 제 1 배터리와 접속되는 제 1 배터리 접속단과, 상기 발전기와 접속되는 얼터네이터 접속단과, 상기 제 2 배터리와 접속되는 제 2 배터리 접속단을 갖고, 상기 가용체는 상기 제 1 배터리 접속단과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 사이에 설치된 제 1 가용부와,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과 상기 제 2 배터리 접속단 사이에 설치된 제 2 가용부와,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과 상기 자동차에 탑재된 전장품과의 사이에 설치된 제 3 가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배터리 접속단에는, 상기 제 1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단자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접속 볼트가 삽입통과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에는, 상기 배터리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상기 유닛 본체에 매설된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배터리 접속단에는,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상기 유닛 본체에 매설된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1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배터리 접속단과,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의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가 삽입통과되는 부위와, 상기 제 2 배터리 접속단의 상기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가 삽입통과되는 부위가 상기 자동차에 상기 퓨즈 유닛을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가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가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의 측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가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의 측면측에 위치해 있다.
본 발명의 1 형태에 의하면,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단자의 접속 볼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유닛 본체에 매설된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를 얼터네이터 접속단에 설치하고, 또한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유닛 본체에 매설된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를 제 2 배터리 접속단에 설치함으로써, 제 1 배터리에 접속되는 제 1 배터리 접속단과, 제 2 배터리에 접속되는 제 2 배터리 접속단과, 얼터네이터에 접속되는 얼터네이터 접속단이 유닛 본체의 상면 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배터리, 제 2 배터리 및 얼터네이터와 퓨즈 유닛의 접속 작업을 유닛 본체의 상면 부분만으로 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속 작업이 간단하게 되고, 또한 좁은 작업 스페이스 내에서의 접속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1 형태에 의하면, 제 1 배터리 접속단과 얼터네이터 접속단을 접속하는 제 1 가용부가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유닛 본체의 상면 부분)에 위치하고, 제 2 배터리 접속단과 얼터네이터 접속단을 접속하는 제 2 가용부가 제 1 배터리의 측면측(유닛 본체의 측면 부분)에 위치하고, 얼터네이터 접속단과 부하를 접속하는 제 3 가용부가 제 1 배터리의 측면측(유닛 본체의 측면 부분)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 1 가용부, 제 2 가용부, 제 3 가용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간단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퓨즈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의 퓨즈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퓨즈 유닛에서의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따른 퓨즈 유닛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퓨즈 유닛에 캡을 씌우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퓨즈 유닛 및 퓨즈 유닛에 부착되는 커버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회로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회로체의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도 4∼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퓨즈 유닛(1)을 도시한다.
퓨즈 유닛(1)은, 자동차에 탑재된 제 1 배터리 및 제 2 배터리(모두 도시 생략)에 대하여, 자동차의 주행에 의해 얼터네이터(도시 생략)가 발전한 전력을 충전한다. 또한 퓨즈 유닛(1)은 제 1 배터리, 제 2 배터리 및 얼터네이터로부터의 전류를 자동차에 탑재된 부하(전장품)에 공급하는 충전 회로를 형성한다.
퓨즈 유닛(1)은 외각이 되는 유닛 본체(3)와,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회로체(버스바)(5)와, 가용체(7)를 가진다.
유닛 본체(3)는 상면 부분(31)과 측면 부분(3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유닛 본체(3)는 상면 부분(31)의 일단으로부터 측면 부분(32)이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연이어 설치된 L자형으로 되어 있다. 유닛 본체(3)는 상면 부분(31)이 제 1 배터리의 상면에 재치되어 고정되고, 이 재치 상태에서, 측면 부분(32)이 제 1 배터리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퓨즈 유닛(1)은 제 1 배터리에 매단 상태로 부착된다. 유닛 본체(3)는 절연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는, 제 1 배터리 접속부(33), 얼터네이터 접속부(34) 및 제 2 배터리 접속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배터리 접속부(33)에는, 회로체(5)의 제 1 배터리 접속단(51)이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접속단(51)은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단자를 통하여 제 1 배터리에 접속된다. 얼터네이터 접속부(34)에는, 회로체(5)의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이 설치되어 있다.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은 얼터네이터에 접속된다. 제 2 배터리 접속부(35)에는, 회로체(5)의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은 제 2 배터리에 접속된다. 즉, 퓨즈 유닛(1)에 있어서, 차량 탑재의 2개의 배터리에 접속될 접속부(33, 35)(회로체(5)의 접속단(51, 53)) 및 차량 탑재의 얼터네이터에 접속될 접속부(34)(회로체(5)의 접속단(52)) 모두가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2개의 배터리 및 얼터네이터와의 접속 작업을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만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닛 본체(3)의 측면 부분(32)에는, 차량 탑재의 복수의 부하에 접속될 부하 접속부(36)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퓨즈 유닛(1)과 차량 탑재의 부하와의 접속은 유닛 본체(3)의 측면 부분(32)에서 행해진다. 부하 접속부(36)는 부하로부터의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추어지는 커넥터 구조를 갖는다. 도 4 내지 6에는, 커넥터 하우징(36a)이 도시되어 있다.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서, 제 1 배터리 접속부(33), 얼터네이터 접속부(34) 및 제 2 배터리 접속부(35)는 삼각형의 각 정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들이 상면 부분(31)에 배치되면, 옆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회로체(5)는 유닛 본체(3)에 일체로 매설되지만, 전기 접속에 필요한 부분은 적당하게, 유닛 본체(3)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4 내지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체(5)는 제 1 배터리 접속부(33)에 대응한 제 1 배터리 접속단(51)과, 얼터네이터 접속부(34)에 대응한 얼터네이터 접속단(52)과, 제 2 배터리 접속부(35)에 대응한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을 가진다. 가용부(7)는 회로체(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가용부(71), 제 2 가용부(72) 및 제 3 가용부(73)를 가진다.
도 7은 가용부(7)가 일체로 형성된 회로체(5)를 나타낸다. 도 8은 회로체(5)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제 1 배터리 접속단(51)은 삽입구멍(54)이 형성된 판 형상의 제 1 배터리 단자부(55)와, 제 1 배터리 단자부(55)에 옆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연이어 설치된 얼터네이터측 단자부(56)를 가진다. 삽입구멍(54)에는, 제 1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단자(도시하지 않음)의 접속 볼트가 삽입통과된다. 접속 볼트는,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배터리 단자에 설치되어 있다. 이 삽입통과에 의해, 제 1 배터리 접속단(51)은 제 1 배터리에 접속된다.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은 판 형상의 얼터네이터 단자부(57)와, 얼터네이터 단자부(57)로부터 제 1 배터리 접속단(51)의 얼터네이터측 단자부(56)를 향하여 연장 설치된 제 1 배터리측 단자부(58)를 가진다. 얼터네이터 단자부(57)에는, 볼트 삽입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구멍(59)에는,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가 삽입통과되어 부착되어 있다.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는 제 1 배터리의 배터리 단자와 동일한 방향인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얼터네이터 단자부(57)에 부착된다.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는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 매설되는 하부를 갖는다.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는 전선을 통하여 차량 탑재의 얼터네이터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은 얼터네이터에 접속된다.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의 제 1 배터리측 단자부(58)는 제 1 배터리 접속단(51)의 얼터네이터측 단자부(56)와 대향하고 있다. 이들 단자부(58, 56)는 가용체(7)의 제 1 가용부(7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배터리 접속단(51)은,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을 통하여 얼터네이터에 접속되기 때문에, 제 1 배터리 접속단(51)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배터리에 대하여 얼터네이터로부터 충전이 행해진다. 제 1 가용부(71)는, 얼터네이터로부터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기 때문에, 회로체(5)의 보호와 제 1 배터리에의 과전류의 유입 방지를 행한다.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은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의 얼터네이터 단자부(57)에 옆으로 나란한 형상으로 배치된 판 형상의 제 2 배터리 단자부(61)를 가진다. 제 2 배터리 단자부(61)에는, 볼트 삽입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구멍(63)에는,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가 삽입통과되어 부착된다.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는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 매설되는 하부를 갖는다.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는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와 동일한 방향으로, 즉 제 1 배터리의 배터리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제 2 배터리 단자부(61)에 부착된다.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는 전선을 통하여 제 2 배터리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은 제 2 배터리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에는, 나일론(상표명) 등의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체결 너트(15)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제 2 배터리로부터의 전선이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가 제 1 배터리의 배터리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가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얼터네이터 접속단(52) 및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이, 제 1 배터리 접속단(51)과 마찬가지로,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 배치된다.
얼터네이터 접속단(52)에는, 얼터네이터 단자부(57)로부터 대략 직각 형상으로 굴곡되어 수직으로 내려지는 판 형상의 부하측 단자부(6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배터리 접속단(53)에는, 제 2 배터리 단자부(61)로부터 대략 직각 형상으로 굴곡되어 수직으로 내려지는 판 형상의 접속 단자부(6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하측 단자부(65) 및 접속 단자부(66)는 유닛 본체(3)의 측면 부분(32)에 배치된다.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의 부하측 단자부(65)와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의 접속 단자부(66)에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배터리측 단자부(67) 및 얼터네이터측 단자부(6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부(67, 68)는 가용체(7)의 제 2 가용부(7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은,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을 통하여 얼터네이터에 접속되기 때문에, 제 2 배터리 접속단(53)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배터리에 대하여 얼터네이터로부터 충전이 행해진다. 제 2 가용부(72)는, 얼터네이터로부터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기 때문에, 회로체(5)의 보호와 제 2 배터리에의 과전류의 유입 방지를 행한다.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의 부하측 단자부(65)에는, 복수의 접속 단자(6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 단자(69)의 각각에는 유닛 본체(3)에서의 커넥터 하우징(36a) 내에 설치된 커넥터 접속 단자부(37)가 대향하고 있다. 접속 단자(69)는, 가용체(7)의 제 3 가용부(73)에 의해, 커넥터 접속 단자부(3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 접속 단자부(37)는 상대 커넥터를 통하여 차량 탑재의 부하(8)(도 8)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 탑재의 부하(8)에 얼터네이터로부터의 전류가 공급된다. 제 3 가용부(73)는, 얼터네이터로부터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기 때문에, 과전류에 대한 부하의 보호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얼터네이터 접속단(52)에 설치되는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의 직경은 제 2 배터리 접속단(53)에 설치되는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의 직경과 상이하다. 이것에 의해 얼터네이터와 제 2 배터리 사이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퓨즈 유닛(1)에 있어서, 얼터네이터에 접속되는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가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에 돌출 설치되는 배터리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배터리에 접속되는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가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 및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는 제 1 배터리의 배터리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배터리에 접속될 회로체(5)의 제 1 배터리 접속단(51), 제 2 배터리에 접속될 회로체(5)의 제 2 배터리 접속단(53) 및 얼터네이터에 접속될 회로체(5)의 얼터네이터 접속단(52) 모두가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 1 배터리, 제 2 배터리 및 얼터네이터와의 접속 작업을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만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 1 배터리, 제 2 배터리 및 얼터네이터와의 접속 작업이 간단하고, 좁은 작업 스페이스 내에서의 접속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 1 배터리 접속단(51)과,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가 삽입통과될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의 얼터네이터 단자부(57)와,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가 삽입통과될 제 2 배터리 접속단(53)의 제 2 배터리 단자부(61)가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 위치하기 때문에, 퓨즈 유닛(1)을 차량 탑재에 탑재한 상태에서는, 제 1 배터리 접속단(51), 얼터네이터 단자부(57), 제 2 배터리 단자부(61)가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퓨즈 유닛(1)은 제 1 배터리 접속단(51)과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을 접속하는 제 1 가용부(71)가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 위치하고, 제 2 배터리 접속단(53)과 얼터네이터 접속단(52)을 접속하는 제 2 가용부(72)가 제 1 배터리의 측면측(유닛 본체(3)의 측면 부분(32))에 위치하고, 얼터네이터 접속단(52)과 부하(8)를 접속하는 제 3 가용부(73)가 제 1 배터리의 측면측(유닛 본체(3)의 측면 부분(32))에 위치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가용부(71), 제 2 가용부(72), 제 3 가용부(73)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를 간단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가용부(71)를 커버하는 제 1 커버 부재(11)를 대략 U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 1 커버 부재(11)는,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에서의 제 1 가용부(71)의 배치 부분에 제 1 커버 부재(11)를 꽂아 넣음으로써, 제 1 가용부(71)를 커버할 수 있다. 제 2 가용부(72)에 관해서는, 한 쌍의 판 형상의 제 2 커버 부재(12)는, 유닛 본체(3)의 측면 부분(32)에서의 제 2 가용부(72)의 배치 부분에 제 2 커버 부재(12)를 끼움으로써, 제 2 가용부(72)를 커버할 수 있다. 제 3 가용부(73)에 관해서는, 제 3 커버 부재(13)를 가로로 긴 박스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 3 커버 부재(13)는 유닛 본체(3)의 측면 부분(32)을 덮도록 제 3 커버 부재(13)를 배치함으로써, 제 3 가용부(73)를 커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캡(17)이 상방으로부터 퓨즈 유닛(1)에 씌워진다. 캡(17)은 유닛 본체(3)의 상면 부분(31)의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배터리에의 퓨즈 유닛(1)의 부착 상태에서, 제 1 배터리 접속단(51),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60),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64)가 캡(17)으로 덮인다. 이것에 의해 빗물이나 먼지 등으로부터, 퓨즈 유닛(1)를 보호할 수 있다.
1 퓨즈 유닛 3 유닛 본체
5 회로체 7 가용체
8 부하 31 상면 부분
32 측면 부분 51 제 1 배터리 접속단
52 얼터네이터 접속단 53 제 2 배터리 접속단
54 삽입구멍 56 얼터네이터측 단자부
57 얼터네이터 단자부 58 제 1 배터리측 단자부
59 볼트 삽입구멍 60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
61 제 2 배터리 단자부 63 볼트 삽입구멍
64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 65 부하측 단자부
67 제 2 배터리 단자부 71 제 1 가용부
72 제 2 가용부 73 제 3 가용부

Claims (2)

  1. 자동차에 탑재된 제 1 배터리와 제 2 배터리에 대하여, 상기 자동차의 주행에 의해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력을 충전하는 상기 자동차의 충전 회로에 사용되는 퓨즈 유닛으로서,
    절연성의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에 일체로 매설된 도전성의 회로체로서,
    상기 제 1 배터리에 접속되는 제 1 배터리 접속단과,
    상기 발전기에 접속되는 얼터네이터 접속단과,
    상기 제 2 배터리에 접속되는 제 2 배터리 접속단을 갖는 상기 회로체와,
    상기 회로체에 접속되어, 과전류시에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가용체로서,
    상기 제 1 배터리 접속단과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 사이에 설치된 제 1 가용부와,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과 상기 제 2 배터리 접속단 사이에 설치된 제 2 가용부와,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과 상기 자동차에 탑재된 전장품 사이에 설치된 제 3 가용부를 갖는 상기 가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접속단에는, 상기 제 1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된 배터리 단자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에 돌출 설치되도록 형성된 접속 볼트가 삽입통과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에는, 상기 배터리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상기 유닛 본체에 매설된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배터리 접속단에는,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상기 유닛 본체에 매설된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접속단과,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단의 상기 얼터네이터 접속 볼트가 삽입통과되는 부위와, 상기 제 2 배터리 접속단의 상기 제 2 배터리 접속 볼트가 삽입통과되는 부위가 상기 자동차에 상기 퓨즈 유닛을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가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가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의 측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가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의 측면측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KR1020157005672A 2012-08-10 2013-08-02 퓨즈 유닛 KR20150041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8459 2012-08-10
JP2012178459A JP5944788B2 (ja) 2012-08-10 2012-08-10 ヒューズユニット
PCT/JP2013/070998 WO2014024793A1 (ja) 2012-08-10 2013-08-02 ヒューズ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035A true KR20150041035A (ko) 2015-04-15

Family

ID=5006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672A KR20150041035A (ko) 2012-08-10 2013-08-02 퓨즈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08518B2 (ko)
JP (1) JP5944788B2 (ko)
KR (1) KR20150041035A (ko)
CN (1) CN104603904A (ko)
DE (1) DE112013003990B4 (ko)
WO (1) WO2014024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2549B2 (ja) * 2015-01-28 2018-07-2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
JP6861690B2 (ja) * 2018-11-26 2021-04-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カバーとハウジングとの組付構造、及び、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7198511B2 (ja) * 2020-01-27 2023-01-04 太平洋精工株式会社 ヒューズ
JP7177502B2 (ja) * 2020-03-09 2022-11-24 太平洋精工株式会社 多連型ヒューズ、及び当該多連型ヒューズ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5266B2 (ja) * 2001-05-01 2006-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5081581B2 (ja) * 2007-10-30 2012-11-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2010040367A (ja) * 2008-08-06 2010-02-18 Yazaki Corp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ズユニット
JP5341587B2 (ja) * 2009-03-23 2013-11-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装置及び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437689B2 (ja) * 2009-04-17 2014-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437766B2 (ja) * 2009-10-15 2014-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5422429B2 (ja) * 2010-02-10 2014-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5681521B2 (ja) * 2010-04-06 2015-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2011258488A (ja) * 2010-06-11 2011-12-22 Yazaki Corp ヒューズユニット
JP2012038643A (ja) * 2010-08-10 2012-02-23 Yazaki Corp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3003990B4 (de) 2021-04-01
CN104603904A (zh) 2015-05-06
DE112013003990T5 (de) 2015-05-07
US20150155125A1 (en) 2015-06-04
JP5944788B2 (ja) 2016-07-05
JP2014035996A (ja) 2014-02-24
US9508518B2 (en) 2016-11-29
WO2014024793A1 (ja)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8721367B2 (en) Fuse unit
KR101389250B1 (ko) 퓨즈 유닛
EP1548785B1 (en) Fusible link unit
KR101294188B1 (ko) 차량용 고전압배터리의 안전구조
KR20150041036A (ko) 퓨즈 유닛
US9607798B2 (en) Fuse unit
KR101293956B1 (ko)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CN108231616B (zh) 电压检测构造和电压检测模块
CN103427050A (zh) 电源装置
CN101937816A (zh) 熔断丝单元
KR20150041035A (ko) 퓨즈 유닛
US20160204555A1 (en) Battery direct-mounted fusible link
KR101678731B1 (ko) 차량용 전기 센터
KR20150038394A (ko) 차량용 퓨즈 회로체
KR20090061335A (ko) 차량용 박스
CN111226302B (zh) 保险丝盒、包括这种保险丝盒的保险丝盒组件和车辆
WO2021006109A1 (ja) 電気接続箱
JP7255396B2 (ja) 電気接続箱
CN118232253A (zh) 电接线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