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452A -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452A
KR20150039452A KR20130118064A KR20130118064A KR20150039452A KR 20150039452 A KR20150039452 A KR 20150039452A KR 20130118064 A KR20130118064 A KR 20130118064A KR 20130118064 A KR20130118064 A KR 20130118064A KR 20150039452 A KR20150039452 A KR 20150039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mposition
laundry detergent
weight
sodiu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김흥식
Original Assignee
이경수
김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수, 김흥식 filed Critical 이경수
Priority to KR2013011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9452A/ko
Publication of KR2015003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44Dihydric alcohols linea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의료용 직물에 묻은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데 특히 효과적인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비누화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칼리성 무기염, 및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에 따르면, 혈액, 분변, 각종 체액 등의 오염물이 묻은 의료용 직물에 대한 세척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FOR MEDICAL FABRICS}
본 발명은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의료용 직물에 묻은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데 특히 효과적인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세탁물의 세정 향상제, 직물 세정제, 카페트 세정제 또는 스팟 세정제 등의 다양한 세정제로도 적용가능한 세탁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관에서 사용된 환자복, 수술복, 의료인 가운 등의 의류, 침대시트, 베개커버 등의 침구류와 같은 의료(醫療)용 직물은, 의료 분야의 특성상 혈액, 소변 또는 분변과 같은 환자의 배설물, 림프액, 고름, 기타 체액은 물론, 소독 및 치료를 위한 약제 등 각종 오염물이 묻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의료용 직물에 묻은 혈액, 분변, 체액 등의 오염물은 종래의 세정제로 쉽제 제거되지 않아, 오염물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가 종종 있어 문제되고 있다.
종래 혈액 등과 같이 제거가 어려운 오염물의 세정을 위한 조성물로서, 일본공개특허 제1997-316490호는 표백제가 존재하는 계에 있어서의 세정 효과를 증강하여 저온 조건하에서도 혈액 오염을 농색화시키지 않는 세정효과의 증강법을 개시하고 있고, 일본공개특허 제2001-040399호는 혈액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직쇄알킬벤젠 설폰산염 및/또는 알칼황산염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폴리카르복실산 중합체 또는 그 염, 및/또는 아미노산 유도체형 킬레이트제, 및 효소로서 균의 기원이 다른 2종 이상의 프로테아제, 및 리파아제를 함유함으로써, 혈액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43356호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와, 염기성 균주인 비브리오 메취니코비 종 RH 530으로부터 분비되는 내알칼리성 활성 단백질 오염 분해효소와, 알칼리제로서 모노에탄올아민이나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지의 세제들은 직물에 잔존하는 오염물 얼룩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타라제 활성을 갖는 효소, 단백질 또는 지질 등을 분해하는 효소들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효소는 세정액 중에서 효소 활성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등에는, 세척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의료용 직물의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탁 세제를 연구한 결과, 예기치 않게, 본 발명과 같이 특정 화합물 조성으로 했을 때, 세척력이 효과적으로 상승하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7-316490호(1997. 12. 9. 공개, 세정 효과의 증강법) 일본공개특허 제2001-040399호(2001. 2. 13. 공개, 세정제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제2003-0043356호(2003.06.02 공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알칼리성 액체세제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 분변, 각종 체액 등의 오염물이 묻은 의료용 직물에 대한 세척력이 우수한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온 또는 실온 등과 같은 온화한 조건에서도 세척력이 우수한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비누화제로서, 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알칼리성 무기염으로서, 소듐카보네이트, 및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및
용매로서, 1,4-부탄디올, n-부틸알콜, 및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3~4몰인 것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8~10몰인 것이 1:1~1: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세탁 세제 조성물은, 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1~10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0.1~20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0.1~10중량%, 소듐라우릴설페이트 0.1~10중량%, 소듐카보네이트 0.1~1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0.1~15중량%, 1,4-부탄디올 0.5~5중량%, n-부틸알콜 0.5~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비누화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칼리성 무기염,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누화제로서, 아미노 알콜, 예컨대, 2-아미노-1-부탄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에틸-1,3-프로판디올,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 알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비누화제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다.
상기 비누화제는, 전체 조성물 중량 100중량% 중 1~10중량%의 범위로 사용된다. 상기 비누화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비누화 반응을 충분히 유도하기 어렵고, 비누화제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사용량 대비 실익이 적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및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되는 것이 제형의 상 안정성을 도모하면서도,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양태로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3~10몰(mol)의 범위 내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가 사용되고,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 8~20몰의 범위 내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는,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3~4몰인 것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8~10몰인 것의 중량비를 1:1~1:3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때 그 세척력이 보다 상승되는 효과가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 8~20몰의 범위 내에서,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서로 다른 것을 혼합하거나, 특정 평균 부가몰수의 것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모두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는 0.1~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는, 0.1~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소듐 알킬설페이트, 소듐 알킬페닐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나트륨 직쇄 트리데실 벤젠설포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코코알킬 설페이트, 나트륨 에폭실화된 고급 지방산 알콜 설페이트와 같이 설페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탄소수 8~12개의 알킬기를 친유성기로 하는 소듐 알킬설페이트를 사용하며, 특히, 소듐 라우릴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소듐 라우릴설페이트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각각 0.1~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칼리성 무기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을 세탁을 위해 물에 용해하였을 때의 pH가 표준적인 농도의 세제가 나타내는 pH9~11의 약알칼리성 범위 내에 있고, 섬유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에 대한 안정성도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의 세탁이 가능하다.
상기 알칼리성 무기염으로서, 탄산알칼리 금속염, 규산알칼리 금속염 등의 알칼리 작용염과 소듐하이드록사이드가 사용됨으로써,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의 pH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우수한 세척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알칼리성 무기염으로서, 특히, 소듐카보네이트와 소듐하이드록사이드가 함께 사용된다. 그 함량은,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소듐카보네이트 0.1~10중량% 및 소듐하이드록사이드 0.1~15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함량의 범위 내이면서, 소듐카보네이트와 소듐하이드록사이드가, 1:1.3~1: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경우, 그 세척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성 용매, 유기 용매, 및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과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탄소수 3~16개의 알콜계 용매, 및/또는 다가 알콜계 용매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알콜계 용매로는 n-부틸알콜, 헥실 알콜, 헵틸 알콜, 옥틸 알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다가알콜계 용매로는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로서, n-부틸알콜, 1,4-부탄디올 및 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는, 상기 n-부틸알콜은 0.5~10중량%의 함량이 포함되고, 상기 1,4-부탄디올은 0.5~5중량%의 함량이 포함되며, 잔량의 정제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위에서 설명한 필수 구성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세탁용 효소, 살균제, 향류, 기포제 등 종래 합성세제에 첨가되는 공지의 첨가제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 성분의 함유량은 0.05~3중량% 정도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의료기관에서 사용된 환자복, 수술복, 의료인 가운 등의 의류, 침대시트, 베개커버 등의 침구류와 같은 직물이 혈액, 소변 또는 분변과 같은 환자의 배설물, 림프액, 고름, 기타 체액은 물론, 소독 및 치료를 위한 약제 등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의 세탁 세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그 우수한 세척력으로 인해, 세탁물의 세정 향상제, 직물 세정, 카페트 세정제 또는 스팟 세정제 등의 다양한 세정제로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일부 실시양태로서 특히 어려운 세정 적용에서, 순 물질 그대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양태로서 전형적으로 물 또는 또 다른 용매로 사용 전에 희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희석 정도는 개개의 적용에 의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대 희석 용매를 중량비로 약 1:1 내지 약 1:50의 범위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 분변, 각종 체액 등의 오염물이 묻은 의료용 직물에 대한 세척력이 우수한 세탁 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온 또는 실온 등과 같은 온화한 조건에서도, 세척력이 우수한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대조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의료용 직물에 대한 혈액제거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대조군,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의료용 직물에 대한 혈액제거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예 4, 및 비교예 5의 의료용 직물에 대한 혈액제거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7의 의료용 직물에 대한 혈액제거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7 >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대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함량(단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7
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3 3 3 3 3 3 3 3 3 3
1,4-부탄디올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n-부틸알콜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 20mol)
6 6 6 6 0 6 6 6 6 6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 3mol)
1 1 1.5 0 1 - 1 1 1 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 8mol)
1.5 1.5 1 0 1.5 - 1.5 1.5 1.5 1.5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 3mol)
- - - - - 1 - - - -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부가몰수 7mol)
- - - - - 1.5 - - - -
소듐라우릴설페이트 2 2 2 2 2 2 2 2 0 2
소듐퍼카보네이트 - - - - - - 2 - - -
소듐카보네이트 2 2 2 2 2 2 - - 2 2
소듐바이카보네이트 - - - - - - - 2 - -
소듐하이드록사이드 5 2.5 5 5 5 5 5 5 5 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총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실험예 1> 세탁 세제 조성물의 상안전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액체 세제 조성물을 상온과 고온(40℃)에서 4주간 보관한 후 그 조성의 상에 대해 하기의 표 2에 따라 안정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상안정성 평가 척도

안정
전체적으로 투명한 상태로서 침전이나 흐려짐이 없는 상태, 또는
전체적으로 흐려져 투명도가 떨어진 상태이나 시간경과에도 변함이 없는 상태
상분리 부유 또는 침전이 발생한 상태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7


상안정성


상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상분리


상분리


안정


안정
안정,
장기
보관시 상분리


안정


4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상분리


상분리


안정


안정
안정,
장기
보관시 상분리


안정
위의 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은, 상온 및 40℃ 온도조건하에서, 4주간 보관한 결과 안정한 상태를 보였고, 그 이후에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구성과 달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비교예 2),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대신,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가 사용된 경우(비교예 3)에는, 상온 및 40℃에서 보관시 모두 상분리가 일어남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과 달리, 소듐라우릴설페이트가 사용되지 않은 비교예 6의 경우에는, 상온 및 40℃ 온도조건하에서, 4주간 보관 시에는 안정한 상태를 보였으나, 4주에서 몇일 더 경과한 시점부터 상분리가 발생하여 장기 보관이 부적절한 점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의료용 직물에 대한 혈액제거 성능 시험
1) 시험편에 대한 혈액 오염 방법
환자복으로 사용되는 흰색 린넨을 2.5cm X 2.5cm의 크기로 잘라 11개를 준비한다. 상기 시험편을 수평으로 펼친 1장의 흡습지 위에 올려놓은 후, 의료용 드로퍼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중심 부위에 혈액 2방울(약 0.05mL)을 떨어뜨리고 나서, 60초 동안 가만히 둔다. 혈액으로 오염된 시편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3일간 건조한 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세제 조성물을 사용한 세탁방법
25~30℃의 세척수 50ml당 [표 1]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조성물을 각각 0.4ml를 추가하고 각 시험편을 20분간 침적한 후 꺼내어, 3회 헹굼하고 자연건조한 후 세척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1)의 방법으로 오염된 후, 아무런 세척 처리를 하지 않은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3) 시험결과
각 시험편에 대한 오염의 제거 여부는 사진으로 남기고, 판정자는 시험편에 남아있는 오염을 대조군 시험편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판정한다.
시험결과,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는 얼룩이 전혀 남지 않은 반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는 얼룩이 남아 있어, 실시예 1의 세척력이 비교예 1 보다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3몰 내지 10몰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경우 모두 세척력이 우수하였고,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3몰:8몰=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가, 그 반대의 중량비로 혼합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를 사용하는 실시예 3의 경우 보다 세척력이 더 좋았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소듐 카보네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가, 소듐 카보네이트 대신, 소듐 퍼카보네이트 또는 소듐 바이카보네이트를 사용한 비교예 4 또는 비교예 5의 경우 보다 세척력이 훨씬 우수하였다.
아울러,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가, 소듐하이드록사이드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7의 경우 보다 세척력이 우수하였고, 실시예 1과 같이 소듐 카보네이트와 소듐하이드록사이드의 비율이 1:1.3~1:3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가, 실시예 2의 경우 보다 그 세척력이 더 좋았다.

Claims (3)

  1. 비누화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칼리성 무기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로서,
    비누화제로서, 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알칼리성 무기염으로서, 소듐카보네이트, 및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및
    용매로서, 1,4-부탄디올, n-부틸알콜,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3~4몰인 것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가 8~10몰인 것이 1:1~1: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1~10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0.1~20중량%,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0.1~10중량%, 소듐라우릴설페이트 0.1~10중량%, 소듐카보네이트 0.1~10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0.1~15중량%, 1,4-부탄디올 0.5~5중량%, n-부틸알콜 0.5~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KR20130118064A 2013-10-02 2013-10-02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KR20150039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064A KR20150039452A (ko) 2013-10-02 2013-10-02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064A KR20150039452A (ko) 2013-10-02 2013-10-02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452A true KR20150039452A (ko) 2015-04-10

Family

ID=5302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8064A KR20150039452A (ko) 2013-10-02 2013-10-02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9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5195A (zh) * 2017-12-19 2018-05-29 山东联星能源集团有限公司 一种高效率高质量的用于军用精密设备的超滤清洗剂及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5195A (zh) * 2017-12-19 2018-05-29 山东联星能源集团有限公司 一种高效率高质量的用于军用精密设备的超滤清洗剂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1226C (en) Multiple enzyme cleaner for surgical instruments and endoscopes
JP3058656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液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レンズの洗浄若しくは保存方法
JP5064045B2 (ja) 自動食器洗浄機用の液状洗浄剤組成物
JP6585784B2 (ja) 酵素溶液及びその調製方法
JP5479894B2 (ja) 低発泡性洗浄剤
US20070179071A1 (en) Enzymatic detergent
CN105907483A (zh) 一种含氧的多功能洗涤剂组合物
JP4302975B2 (ja) 粉末漂白洗浄剤組成物
ES2312752T3 (es) Limpieza y desinfeccion de instrumentos y dispositivos quirurgicos y medicos.
JPWO2002046348A1 (ja) 衣料の洗濯方法及びそのための洗浄剤組成物
JP5154067B2 (ja) 自動食器洗浄機用の液状洗浄剤組成物
US8420584B2 (en) Enzymatic detergent
KR20150039452A (ko) 의료용 직물의 세탁 세제 조성물
JP2016535110A (ja) 医療機器および器具を洗浄および消毒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方法
JP5230549B2 (ja) 医療器具の洗浄方法
JP2650741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洗浄方法
JP2004027031A (ja) 塗布洗浄用液体洗浄剤組成物、製品および洗浄方法
JP3861166B2 (ja) 酵素含有洗浄剤組成物
JP5291910B2 (ja) リネンサプライ用粉末洗剤組成物
JP2002034558A (ja) 安定化された蛋白質分解酵素およびその用途
JPH05279700A (ja) 洗浄剤組成物
WO2017022779A1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130643B1 (ko) 치과 및 의료기구의 세정을 위한 이원 단백질분해 효소-중성세정제 조성물
JP2022083462A (ja) 液体洗浄剤組成物及び洗浄方法
JP4439712B2 (ja) おむつの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