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427A - SaaS 결제시스템, SaaS 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SaaS 결제시스템, SaaS 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427A
KR20150038427A KR20157005076A KR20157005076A KR20150038427A KR 20150038427 A KR20150038427 A KR 20150038427A KR 20157005076 A KR20157005076 A KR 20157005076A KR 20157005076 A KR20157005076 A KR 20157005076A KR 20150038427 A KR20150038427 A KR 20150038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as
business
base
usage
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와다
노부유키 야마기시
마코토 호리구찌
아키카츠 타나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시스테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시스테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시스테무즈
Publication of KR2015003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SaaS사업자에 의한 SaaS이용요금의 계산을 요하지 않으며, SaaS사업자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킨다. SaaS이용자(10)이 SaaS(14)를 이용하면 이용량이 SaaS실행기반(17)을 통해서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21)에 축적된다. SaaS(14)의 이용요금 계산일이 도래하면, 비지니스 기반(18)은 오퍼레이션 기반(19)에서 이용량 정보를 취득하고, SaaS이용자(10)의 신청 내용에 따른 SaaS(14)의 이용요금과 SaaS사업자(12)가 SaaS(14)를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한 SaaS실행기반(17), 비지니스 기반(18), 오퍼레이션 기반(19)의 이용 비용을 계산한다. 청구일이 도래하면 SaaS이용자(10)에의 SaaS(14)의 이용요금청구를 행하고, 입금 후, SaaS사업자(12)의 SaaS사업기반(16)의 이용 비용을 공제하고, 그 차액을 SaaS사업자(12)에게 지불한다.

Description

SaaS 결제시스템, SaaS 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및 프로그램{SaaS PAYMENT PROCESSING SYSTEM, SaaS USAGE FEE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SaaS(Software as a Ser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SaaS에 있어서의 주문 엔트리, 프로비저닝과 과금, 청구, 수납을 행하는 기반 서비스 제공 사업의 SaaS사업기반 이용요금과 수납 대행한 SaaS이용요금의 결제에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소프트웨어를 제공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능만을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소위 SaaS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동작하게 하는 SaaS실행기반 외에 주문 엔트리, 프로비저닝과 과금, 청구, 수납을 행하는 SaaS사업기반이 필요하다.
SaaS실행기반을 포함해서 SaaS사업기반은, SaaS사업자가 준비하는 경우 외에, 기반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SaaS사업기반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SaaS사업자는, SaaS이용자가 이용한 SaaS의 종류나 량에 따라 과금을 행하고, SaaS이용요금의 계산을 행하여, SaaS이용자에게 청구해서 SaaS이용요금을 회수한다.
SaaS의 이용요금은, 월액이나 일당 등의 일정 기간에서의 과금, 청구, 수납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SaaS이용자가 증가하면, 처리 내용도 복잡하게 되고 처리량도 증가하게 된다.
SaaS사업자가 기반 서비스 사업자의 SaaS사업기반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SaaS사업기반 서비스의 종류나 량에 따라 기반 서비스 사업자에게 SaaS사업기반 이용료를 지불하게 된다.
SaaS이용요금은, SaaS이용자가 SaaS를 얼마만큼 이용하였는지에 의해서 과금되기 때문에, SaaS라고 하는 상품과 SaaS이용자라고 하는 고객을 계약이라고 하는 관계로 결합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SaaS실현을 위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은, SaaS라고 하는 상품과 SaaS실현을 위해서 사용하는 SaaS사업기반의 구성을 상품마다 결합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SaaS이용자와 SaaS사업기반은, SaaS라고 하는 상품을 개재해서 결합되고 SaaS라고 하는 상품은, SaaS사업자에게 결합된다고 하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SaaS는, 트래픽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비용 삭감을 행하기 위하여 가상화된 SaaS실행기반 위에서 동작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용한 기반의 종류나 량을 계측할 필요가 있으나, SaaS는, 가상화된 실행기반 위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계측된 물리적인 기반의 종류나 량을 가상화된 실행기반으로 치환하여 SaaS와 결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SaaS이용자로부터 입금된 SaaS이용요금을 SaaS라고 하는 상품마다 집계하고, 물리적으로 계측된 기반의 종류, 및 량을 가상화된 기반으로 치환하여 SaaS라고 하는 상품을 위해 이용한 가상화된 기반의 이용요금을 상품마다 집계하고, SaaS이용요금과 기반이용 요금을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결제 처리에 요하는 수고를 경감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타기업간에서 채권과 채무의 다각결제를 행하는 넷팅서비스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넷팅서비스 시스템으로서는, 기업의 어느 하나를 채권자로 하는 채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채권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되어 있을 경우에, 그 채권의 기한을 연기하고, 다각상쇄의 결과로서의 채권으로 기업의 어느 하나를 채무자로 하는 채권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동일 기한보다도 우선의 기한을 가지며, 또한 그 기업을 채권자로 하는 채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채권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되어 있을 경우에, 이들 채권사이에서 상쇄를 행함으로서 송금 수속을 요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선행기술문헌]
일본 특허 공개 2005-250440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넷팅 서비스에 의한 결제처리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넷팅서비스 시스템은, 최종적으로 송금을 수반하는 결제 처리의 송금 수속을 요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청구 대금은, 각각의 기업이 그때마다 계산을 행하고, 청구할 필요가 있다.
SaaS의 제공에 있어서, 서비스의 종류와 량에 의해 발생하는 SaaS사업자의 SaaS이용자 에 대한 채권과, 서비스 실현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기반의 종류와 량에 의해 생기는 SaaS사업자의 SaaS기반사업자에의 채무는, SaaS사업자가 계산해서 청구를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SaaS사업자의 처리 공정수가 커지고, 부담이 증가하여, 사업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SaaS사업자에 의한 SaaS이용요금의 계산을 요하지 않고, SaaS사업자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과 신규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SaaS에 있어서의 이용 대금의 회수결제 처리기술에 적합하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SaaS이용자가 이용한 서비스의 종류와 량에 의해 결정되는 SaaS이용요금을 계산하고, SaaS사업자가 부담하는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SaaS이용자로부터의 입금과 SaaS사업자의 SaaS사업기반 이용요금을 상쇄하여 공제대금을 SaaS사업자에게 지불하는 구조를 실현한다.
본 발명은, SaaS사업을 실현하는 SaaS사업기반을 가지는 SaaS결제시스템이다. 이 SaaS사업기반은, SaaS사업자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고, SaaS를 실현하는 SaaS실행기반과, SaaS이용자에게 청구하는 SaaS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SaaS이용자에의 요금청구수납을 행하는 비지니스 기반과, SaaS이용자의 신청내용에 따라서, SaaS의 동작을 결정하고, SaaS의 제공상황을 감시 운용하는 오퍼레이션 기반을 가진다.
오퍼레이션 기반은, SaaS이용자가 이용한 SaaS의 이용량, 및 SaaS가 이용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각각 계측한다. 비지니스 기반은,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SaaS의 이용량에서 산출한 SaaS의 이용요금에서,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산출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공제한 차액을, SaaS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금으로서 산출한다.
또, SaaS사업자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고, SaaS를 실현하는 SaaS실행기반과, SaaS이용자에게 청구하는 SaaS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SaaS이용자에의 요금청구수납을 행하는 비지니스 기반과, SaaS이용자의 신청내용에 따라서, SaaS의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SaaS의 제공상황을 감시 운용하는 오퍼레이션 기반을 가진 SaaS사업기반을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방법이나,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기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SaaS사업자에 있어서의 결제처리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2) 상기(1)에 의해, SaaS사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SaaS결제시스템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SaaS결제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설치된 SO·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설치된 요금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설치된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설치된 사업자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설치된 구성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설치된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의한 SaaS상품등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의한 SaaS신청과 프로비저닝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의한 SaaS사업기반의 신청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의한 SaaS와 SaaS사업기반에 있어서의 이용량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의한 SaaS의 이용요금의 계산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의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비용의 계산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의한 SaaS의 이용요금의 청구·수납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의한 SaaS의 이용요금과 SaaS사업기반의 이용비용의 상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의한 공제 대금의 지불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2의 SaaS결제시스템에 설치된 비지니스계 데이터베이스, 및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관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SaaS결제시스템
(10) SaaS이용자
(11) 이용 단말기
(12) SaaS사업자
(13) 이용 단말기
(14) SaaS
(15) 응용 소프트웨어
(16) SaaS사업기반
(17) SaaS실행기반
(18) 비즈니스 기반
(19) 오퍼레이션 기반
(20) 비지니스계 데이터베이스
(21)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
(22) 결제 회사
(181) SO·고객관리부
(182) 요금관리부
(183) 상품관리부
(184) SaaS사업자관리부
(191) 지원 데스크부
(192) 구성 관리부
(193) 감시 운용부
(194) 이용량 관리부
(201) SO·고객 데이터베이스
(202) 요금 데이터베이스
(203) 상품 데이터베이스
(204) 사업자 데이터베이스
(211) 응대 이력 데이터베이스
(212) 구성 데이터베이스
(213)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
(214)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
(NW1) 통신회선
(NW2) 통신회선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개요는, SaaS사업을 실현하는 SaaS사업기반(SaaS사업기반(16))을 가지는 SaaS결제시스템(SaaS결제시스템)이다.
SaaS사업기반은, SaaS실행기반(SaaS실행기반(17)), 비지니스 기반(비지니스 기반(18), 요금관리부(182)), 및 오퍼레이션 기반(오퍼레이션 기반(19), 이용량 관리부(194))을 가진다.
SaaS실행기반은, SaaS사업자(SaaS사업자(12))의 응용 소프트웨어(응용 소프트웨어(15))를 동작시키고, SaaS(SaaS(14))를 실현한다.
비지니스 기반은, SaaS이용자(SaaS이용자(10))에게 청구하는 SaaS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SaaS이용자에의 요금청구수납을 행한다.
오퍼레이션 기반은, SaaS이용자의 신청 내용에 따라서, SaaS의 동작을 결정하고, SaaS의 제공 상황을 감시 운용한다. 또, 오퍼레이션 기반은, SaaS이용자가 이용한 SaaS의 이용량, 및 SaaS가 이용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각각 계측한다.
비지니스 기반은,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SaaS의 이용량에서 SaaS의 이용요금, 및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각각 산출한다.
그리고,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SaaS의 이용량에서 산출한 SaaS의 이용요금에서,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산출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공제하고, 그 차액을, SaaS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금으로서 산출한다.
또, 본 발명의 개요는, SaaS사업자(SaaS사업자(12))의 응용 소프트웨어(응용 소프트웨어(15))를 동작시키고, SaaS를 실현하는 SaaS실행기반(SaaS실행기반(17))과, SaaS이용자 (SaaS이용자(10))에게 청구하는 SaaS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SaaS이용자에의 요금청구수납을 행하는 비지니스 기반(비지니스 기반(18))과, SaaS이용자의 신청내용에 따라서, SaaS의 동작을 결정하고, SaaS의 제공 상황을 감시 운용하는 오퍼레이션 기반(오퍼레이션 기반(19))을 가지는 SaaS사업기반(SaaS사업기반(16))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SaaS결제시스템(1))에 의해, SaaS(SaaS(14))의 이용요금의 결제를 행하는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이다.
이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은, 이하의 스텝을 가진다.
오퍼레이션 기반(이용량 관리부(194))이, SaaS이용자가 이용한 SaaS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
오퍼레이션 기반(이용량 관리부(194))이, SaaS가 이용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
비지니스 기반이,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SaaS의 이용량에서 SaaS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
비지니스 기반이,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
및 비지니스 기반이, 산출한 SaaS의 이용요금에서 산출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상쇄한 차액을, SaaS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금으로서 산출하는 스텝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개요는, SaaS사업자(SaaS사업자(12))의 응용 소프트웨어(응용 소프트웨어(15))를 동작시키고, SaaS(SaaS(14))를 실현하는 SaaS실행기반(SaaS실행기반(17))과, SaaS이용자(SaaS이용자(10))에게 청구하는 SaaS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SaaS이용자에의 요금청구수납을 행하는 비지니스 기반(비지니스 기반(18))과, SaaS이용자의 신청내용에 따라서, SaaS의 동작을 결정하고, SaaS의 제공 상황을 감시 운용하는 오퍼레이션 기반(오퍼레이션 기반(19))을 가지는 SaaS사업기반(SaaS사업기반(16))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SaaS결제시스템(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오퍼레이션 기반(이용량 관리부(194))이, SaaS이용자가 이용한 SaaS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과,
오퍼레이션 기반(이용량 관리부(194))이, SaaS가 이용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과,
상기 비지니스 기반이,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SaaS의 이용량에서 SaaS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과,
비지니스 기반이,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과,
비지니스 기반이, 산출한 SaaS의 이용요금에서 산출한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상쇄한 차액을, SaaS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금으로서 산출하는 스텝을 가진다.
이하, 상기 개요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SaaS결제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SaaS결제시스템(1)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SaaS결제시스템(1)은, SaaS이용 비용의 결제를 행하는 시스템이다. SaaS결제시스템(1)은, SaaS(14), 및 SaaS사업기반(16)을 가지고 있다.
SaaS사업기반(16)은, 비지니스 기반(18), 오퍼레이션 기반(19), 비지니스계 데이터베이스(20), 및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21)을 가지고 있다. 비지니스 기반(18), 및 오퍼레이션 기반(19)은, 통신회선(NW1)을 개재하여, 이용 단말기(11), 및 결제 회사(22)가 소유한 단말기등과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비지니스 기반(18), 및 오퍼레이션 기반(19)은, 통신회선(NW2)을 개재하여 이용 단말기(13)과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용 단말기(11)은, SaaS이용자(10)이 소유한 단말기이며, 이용 단말기(13)은, SaaS사업자(12)가 소유한 단말기이다. 통신회선(NW1), (NW2)은, 예를 들면, 인터넷 회선, 혹은 전용 통신회선 등의 통신 회선망으로 이루어진다.
SaaS(14)는, 응용 소프트웨어(15), 및 SaaS실행기반(17)을 가지고 있다. 이 SaaS(14)의 상품 실현에 대해서는, SaaS상품 실현을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15)를 SaaS실행기반(17)에서 실행시킴으로써 서비스를 실현한다.
SaaS사업기반(16)은, 비지니스 기반(18), 오퍼레이션 기반(19), 비지니스계 데이터베이스(20),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21), 및 전술한 SaaS실행기반(17)을 가지고 있다.
비지니스 기반(18), 및 오퍼레이션 기반(19)은, 통신회선(NW1)을 개재하여 이용 단말기(11), 및 결제 회사(22)가 소유하는 단말기등과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비지니스 기반(18), 및 오퍼레이션 기반(19)은, 통신회선(NW2)을 개재하여 이용 단말기(13)과 서로 접속되어 있다.
<SaaS결제시스템의 동작 개요>
도 1의 SaaS결제시스템(1)에 있어서의 동작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SaaS사업기반(16)의 SaaS실행기반(17)상에서, SaaS사업자(12)의 응용 소프트웨어(15)를 동작시켜서 실현한 SaaS(14)를, SaaS이용자(10)이 이용 단말기(11)로부터 SaaS사업기반(16)의 비지니스 기반(18)에 이용 신청을 행한다.
계속해서, 비지니스 기반(18)은, 신청 내용을 비지니스계 데이터베이스(20)에 격납함과 동시에, 오퍼레이션 기반(19)에 전달해서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21)에 그 신청 내용을 격납하고, SaaS실행기반(17)을 통해서 응용 소프트웨어(15)의 설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고객의 신청에 대응한 SaaS(14)의 서비스가 개시된다.
SaaS이용자(10)이 이용 단말기(11)로부터 SaaS(14)를 이용하면, 이용량이 SaaS실행기반(17)을 통해서 오퍼레이션 기반(19)의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21)에 축적된다.
SaaS(14)의 이용요금 계산일이 도래하면, 비지니스 기반(18)은, 오퍼레이션 기반(19)로부터 이용량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SaaS이용자(10)의 신청 내용에 따른 SaaS이용자(10)의 SaaS(14)의 이용요금과 SaaS사업자(12)가 SaaS(14)를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한 SaaS실행기반(17), 비지니스 기반(18), 및 오퍼레이션 기반(19)의 이용비용을 계산한다.
청구일이 도래하면, SaaS이용자(10)에의 SaaS(14)의 이용요금청구를 행하고, 입금 후, SaaS사업자(12)의 SaaS실행기반(17), 비지니스 기반(18), 및 오퍼레이션 기반(19)의 이용 비용을 공제하고, 그 차액을 SaaS사업자(12)에게 지불한다.
<SaaS결제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예>
도 2는, 도 1의 SaaS결제시스템(1)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비지니스 기반(18)은, SO(서비스 오더)·고객관리부(181), 요금관리부(182), 상품관리부(183), 및 SaaS사업자관리부(184)을 각각 가진다. 또, 비지니스계 데이터베이스(20)은,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 요금 데이터베이스(202), 상품 데이터베이스(203), 및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를 각각 가진다.
또, 오퍼레이션 기반(19)은, 지원 데스크부(191), 구성 관리부(192), 감시 운용부(193), 및 이용량 관리부(194)를 각각 가진다.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21)은, 응대 이력 데이터베이스(211), 구성 데이터베이스(212),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13), 및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을 각각 가진다.
비지니스 기반(18)에는,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 요금 데이터베이스(202), 상품 데이터베이스(203), 및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오퍼레이션 기반(19)에는, 응대 이력 데이터베이스(211), 구성 데이터베이스(212),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13), 및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비지니스 기반(18)과 오퍼레이션 기반(19)과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비지니스 기반(18)에서 오퍼레이션 기반(19)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고객정보, 서비스 오더 정보 등이 송신되고, 오퍼레이션 기반(19)에서 비지니스 기반(18)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용료 정보, 및 대응 정보 등이 송신된다.
SaaS(14), 비지니스 기반(18), 및 오퍼레이션 기반(19)은, 통신회선(NW1)이 접속되어 있다. 이 통신회선(NW1)에는, 결제 회사(22)가 소유한 컴퓨터, 및 복수의 SaaS이용자(10)이 소유한 복수의 이용 단말기(11)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비지니스 기반(18), 및 오퍼레이션 기반(19)에는, 통신회선(NW2)이 접속되어 있다. 이 통신회선(NW2)에는, 복수의 SaaS사업자(12)가 소유한 복수의 이용 단말기(13)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aaS상품의 실현에 대해서는, SaaS상품 실현을 위하여 응용 소프트웨어(15)를 SaaS실행기반(17)에서 실행시키고, SaaS(14)의 서비스를 실현한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성예>
도 3은,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은,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ID, 고객명, 고객정보, 및 계약 정보의 각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항목의 설명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다. 고객ID는, 고객을 식별하는 유니크한 코드이며, 고객명은, SaaS의 이용자인 회사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이다.
고객정보는, 주소, 전화번호, 대표자명 등의 고객속성의 정보로 이루어지고, 계약 정보는, 상품, 기간, 인원수 등의 고객과의 계약에 관한 정보로 이루어진다.
도 4는, 요금 데이터베이스(202)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요금 데이터베이스(202)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명세번호, 이용자 정보, 상품·리소스 정보, 및 요금명세정보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항목의 설명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명세번호는, 명세를 식별하는 유니크한 코드이다. 이용자 정보는, 이용자인 SaaS이용자의 고객ID 또는 SaaS사업자의 회사 코드로 이루어진다. 상품·리소스 정보는, SaaS이용자가 이용한 상품의 ID 또는 SaaS사업자가 이용한 리소스의 ID(코드)로 이루어진다. 요금명세정보는, 상품, 리소스의 이용 요금 또는 공제 대금에 관한 명세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상품 데이터베이스(203)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품 데이터베이스(203)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ID, 상품명, 회사ID, 상품정보, 및 가상 리소스ID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항목의 설명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품ID는, 상품을 식별하는 유니크한 코드이며, 상품명은, 상품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이다. 회사ID는, 상품을 제공하는 SaaS사업자의 회사코드이며, 상품정보는, 상품에 관한 정보이다. 가상 리소스ID는, 상품에서 이용하는 가상 리소스의 ID(코드)이다.
도 6은,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는,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사코드, 회사명, 회사정보, 및 계약 정보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항목의 설명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다. 회사코드는, SaaS사업자를 식별하는 유니크한 코드이며, 회사명은, SaaS사업자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이다. 회사정보는, SaaS사업자에 관한 정보이며, 계약 정보는, SaaS사업자가 계약하고 있는 가상 리소스에 관한 정보이다.
도 7은, 구성 데이터베이스(212)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구성 데이터베이스(212)는,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리소스ID, 가상 리소스 명칭, 가상 리소스 정보, 물리 리소스ID, 및 물리 리소스 정보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항목의 설명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다. 가상 리소스ID는, 가상 리소스를 식별하는 유니크한 코드이다. 가상 리소스 명칭은, 가상 리소스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이며, 가상 리소스 정보는, 가상 리소스에 관한 정보이다.
물리 리소스ID는, 현재 물리 리소스에 할당되어 있는 물리 리소스의 ID이며, 물리 리소스 정보는, 가상 리소스 단위에 할당되는 물리 리소스에 관한 정보이다.
도 8은,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있어서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리소스ID, 물리 리소스 명칭, 물리 리소스 정보, 및 물리 리소스 이용량 정보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항목의 설명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다. 물리 리소스ID는, 물리 리소스를 식별하는 유니크한 코드이다. 물리 리소스 명칭은, 물리 리소스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이며, 물리 리소스 정보는, 물리 리소스에 관한 정보이며, 물리 리소스 이용량 정보는, 물리 리소스의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 이용량에 관한 정보이다.
<SaaS상품 등록의 예>
SaaS상품 등록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현한 SaaS(14)에 있어서는, SaaS사업자(12)가 이용 단말기(13)을 사용해서 SaaS(14)를 SaaS사업기반(16)중 비지니스 기반(18)에 등록한다. SaaS(14)의 내용은, 상품관리부(183)에서 상품 데이터베이스(203)에, SaaS사업자관리부(184)에서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에, 요금관리부(182)에서 요금 데이터베이스(202)에 각각 격납된다.
<SaaS(14)의 신청과 프로비저닝의 일례>
SaaS(14)의 신청과 프로비저닝에 대해서 설명한다.
SaaS이용자(10)은, 이용 단말기(11)을 사용해서 비지니스 기반(18)에 등록된 SaaS(14)의 내용을 확인하고, 구입을 희망하면, 이용 단말기(11)에서 SaaS(14)의 신청을 행한다. 그 내용은 SO·고객관리부(181)에서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에 격납된다.
고객정보와 서비스 오더 정보는, 오퍼레이션 기반(19)에 통지되어, 지원 데스크부(191)에서 응대 이력 데이터베이스(211)에, 구성 관리부(192)에서 구성 데이터베이스(212)에, 감시 운용부(193)에서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이용량 관리부(194)에서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각각 격납된다. 동시에, 응용 소프트웨어(15)와 SaaS실행기반(17)에 설정되며 SaaS(14)는, SaaS이용자(10)의 요구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실현한다.
<SaaS사업기반(16) 신청의 일례>
계속해서, SaaS사업기반(16)의 신청에 대해서 설명한다.
SaaS사업자(12)는, 이용 단말기(13)에서 SaaS(14)를 실현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SaaS실행기반(17), 비지니스 기반(18), 및 오퍼레이션 기반(19)을 지정한다.
그 내용은, SaaS사업자관리부(184)에서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에, 이용량 관리부(194)에서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각각 격납되고, 격납된 내용에 의거하여 SaaS실행기반(17)이 SaaS사업자(12)에게 할당되게 되고, 응용 소프트웨어(15)가 실행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SO·고객관리부(181), 요금관리부(182), 및 상품관리부(183)이 각각 이용 가능하게 되고, SaaS(14)의 판매, 청구·수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지원 데스크부(191), 구성 관리부(192), 감시 운용부(193), 및 이용량 관리부(194)가 이용 가능하게 되어 SaaS(14)의 지원, 과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SaaS와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 수집예>
SaaS(14)와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량 수집에 대해서 설명한다.
SaaS이용자(10)이 이용 단말기(11)에서 SaaS(14)를 이용하면, 응용 소프트웨어(15)의 이용량이나 SaaS실행기반(17)의 이용량이 구성 데이터베이스(212)의 정보에 의거하여 이용량 관리부(194)에 의해 계측되고,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축적된다.
<SaaS(14)의 이용요금 계산예>
SaaS(14)의 이용요금계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용요금 계산일이 도래하면 요금관리부(182)는, SaaS이용자(10)의 고객정보를 SO·요금 데이터베이스(201)로부터 취득하고, SaaS(14)의 상품정보나 상품정보마다 대응하는 요금체계를 나타내는 요금 룰을 상품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취득한다.
그 후, 요금관리부(182)는, SaaS(14)의 이용량을 구성 데이터베이스(212)의 정보에 의거하여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로부터 취득한다. 요금관리부(182)는, 취득한 정보로부터 SaaS이용자(10)의 SaaS(14)의 이용요금을 계산한다.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비용 계산예>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비용계산에 대해서 설명한다.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비용 계산일이 도래하면, 요금관리부(182)는, SaaS사업자(12)의 사업자정보를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상품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각각 취득한다. 또, 요금관리부(182)는, 구성 데이터베이스(212)의 정보에 의거하여,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량을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로부터 SaaS사업자(12)의 SaaS사업기반(16)의 이용 비용을 계산한다.
<SaaS(14)의 이용요금 청구, 수납예>
SaaS(14)의 이용요금청구, 수납에 대해서 설명한다.
SaaS(14)의 이용요금 청구일이 도래하면, 요금관리부(182)는, 요금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청구정보를 취득하고, 결제 회사(22)를 개재하여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에 등록된 SaaS이용자(10)에게 요금청구를 행한다. 또, 요금관리부(182)는, 결제 회사(22)를 개재하여 입금된 금액에 의해, 요금 데이터베이스(202)에 조정계정처리를 행한다.
<SaaS(14)의 이용요금과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비용과의 상쇄예>
SaaS(14)의 이용요금과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비용과의 상쇄에 대해서 설명한다.
SaaS사업자(12)에의 지불기일이 도래하면, SaaS사업자관리부(184)는,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사업자정보를 취득한다. 상품관리부(183)은, 상품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상품정보를 취득하고, 요금계산대상의 사업자정보에 의거하여 요금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해당사업자가 제공하고 있는 SaaS(14)의 요금명세와 SaaS사업기반(16)의 비용명세를 대조 상쇄처리를 행하고, 공제대금의 명세를 요금 데이터베이스(202)에 보관한다.
<SaaS사업자에의 공제대금의 지불예>
공제대금의 지불에 대해서 설명한다.
SaaS사업자(12)에의 지불일이 도래하면, SaaS사업자관리부(184)는,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사업자정보를 취득하고, 요금관리부(182)에 넘겨준다. 요금관리부(182)는, 요금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공제대금의 명세를 취득하고, SaaS사업자(12)에게 지불처리를 행한다.
계속해서, SaaS결제시스템(1)에 의한 SaaS상품등록에서 SaaS이용요금의 공제대금의 지불까지의 처리에 대해서, 도 9∼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9∼도 17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는 각종기능은, 예를 들면, SaaS사업기반(16) 등에 설치된 프로그램 격납메모리(도시하지 않음)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상기 SaaS사업기반(16)의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등이 각각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SaaS상품등록의 처리예>
도 9는, SaaS상품등록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SaaS사업자(12)는, 이용 단말기(13)의 브라우저 등을 이용해서 상품관리부(183)의 상품등록기능을 호출하고, 상기 상품등록기능의 지시에 따라서 이용 단말기(13)로부터 상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상품에 관한 정보는, 상품관리부(183)의 상품등록기능에 의해 상품 데이터베이스(203)에 격납된다. 상품관리부(183)은, SaaS사업자관리부(184)의 SaaS사업자등록기능을 호출하고, SaaS사업자등록기능의 지시에 따라서, 이용 단말기(13)로부터 SaaS사업자(12)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SaaS사업자(12)에 관한 정보는, SaaS사업자관리부(184)의 SaaS사업자등록기능에 의해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에 격납된다.
<SaaS신청과 프로비저닝의 처리예>
도 10은, SaaS신청과 프로비저닝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SaaS이용자(10)은, 이용 단말기(11)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SO·고객관리부(181)의 고객관리기능을 호출하고, 상기 고객관리기능의 지시에 따라서, 고객정보, 계약 정보와 상품의 주문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고객, 계약, 및 주문정보는, SO·고객관리부(181)의 고객정보관리 기능과 서비스 오더에 의해,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에 격납된다.
SO·고객관리부(181)은, 지원 데스크부(191)을 호출한다. 호출된 지원 데스크부(191)은, 고객, 주문정보를 응대 이력 데이터베이스(211)에 격납한다. 이어서, SO·고객관리부(181)은, 구성 관리부(192)를 호출한다.
호출된 구성 관리부(192)는, 계약, 주문정보를 구성 데이터베이스(212)에 격납한다. 그리고, SO·고객관리부(181)은, 감시 운용부(193)을 호출한다. 감시 운용부(193)은, 계약, 주문정보를 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213)에 격납한다.
또, SO·고객관리부(181)은, 이용량 관리부(194)를 호출한다. 이용량 관리부(194)는, 계약, 주문정보를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격납한다. SO·고객관리부(181)은, 서비스 오더에 의해 작성된 주문정보에 의해 SaaS실행기반(17)의 리소스를 응용 소프트웨어(15)에 할당한다. SaaS실행기반(17)은, 응용 소프트웨어(15)를 호출하고, 서비스 오더에 의해 작성된 주문정보에 의해 응용 소프트웨어(15)를 설정해서 기동한다.
<SaaS사업기반의 신청 처리예>
도 11은, SaaS사업기반(16)의 신청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SaaS사업자(12)는, 이용 단말기(13)의 브라우저 등을 사용하여 SaaS사업자관리부(184)의 SaaS사업자등록기능을 호출하고, SaaS사업자등록기능의 지시에 따라 계약 정보를 입력하여 SDP(SaaS Delivery Platform)을 신청한다.
입력된 계약 정보는, SaaS사업자관리부(184)의 SaaS사업자등록기능에 의해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에 격납된다. SaaS사업자등록기능은, SaaS사업기반이용정보 등록기능을 호출한다. SaaS사업자(12)는, SaaS사업기반이용정보 등록기능의 지시에 따라 SaaS사업기반이용신청을 행한다.
입력된 신청은, SaaS사업자관리부(184)의 SaaS사업기반이용정보 등록기능에 의해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에 계약 정보로서 격납된다. SaaS사업자관리부(184)는,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를 호출하고, 계약 정보에 따라 이용 대상의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 계측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물리 리소스 이용량 정보를 격납한다.
SaaS사업자관리부(184)는, SaaS사업기반(16) 중에서 SaaS사업자에 의해 신청이 있었던 SO·고객관리부(181), 요금관리부(182), 상품관리부(183), 지원 데스크부(191), 구성 관리부(192), 및 감시 운용부(193)을 이용 가능하게 한다.
<SaaS와 SaaS사업기반과의 이용량 계측의 처리예>
도 12는, SaaS(14)와 SaaS사업기반(16)에 있어서의 이용량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SaaS이용자(10)은, 이용 단말기(11)의 브라우저 등을 이용해서 SaaS(14)에 로그인하여 SaaS(14)의 이용을 개시한다. 이용 개시가 지시되면, SaaS실행기반(17)은, 응용 소프트웨어(15)를 동작시키고, SaaS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SaaS실행기반(17)은, 서비스 개시에 따라, 이용량 관리부(194)를 호출한다. 이용량 관리부(194)는, SaaS이용량 계측 기능에 의해 SaaS(14) 그 자체의 이용량 계측을 행하고, 그 계측 결과를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격납한다.
이용량 관리부(194)에 있어서의 SaaS사업기반이용량 계측기능은, 구성 데이터베이스(212)의 가상 리소스와 물리 리소스의 대응정보에 의거하여, SaaS(14)가 이용한 물리 리소스의 이용량 계측을 행하고, 그 계측 결과를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격납한다.
이용량 관리부(194)의 SaaS사업기반이용량 계측기능은, SaaS(14)가 이용한 오퍼레이션 기반(19)의 이용량 계측을 행하고, 그 계측 결과를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에 격납한다.
<SaaS 이용요금의 계산 처리예>
도 13은, SaaS(14) 이용요금의 계산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SaaS(14)의 이용요금 계산일이 도래하면, 요금관리부(182)는, 고객정보 취득기능에 의해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의 고객정보와 계약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계약정보에 의거하여 상품정보 취득기능에 의해 해당고객이 이용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취득한다.
요금관리부(182)는, 취득한 상품정보에 의거하여 해당상품이 이용하고 있는 리소스의 이용량을 취득하기 위하여 이용량 관리부(194)에 이용량 정보의 취득을 의뢰한다. 이용량 정보의 취득을 의뢰받은 이용량 관리부(194)는, 부여된 상품정보에 의거하여 구성 데이터베이스(212)로부터 해당상품에서 이용하고 있는 물리 리소스ID를 취득하고, 취득한 물리 리소스ID에 의거하여 이용량 관리부(194)로부터 해당 물리 리소스의 이용량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해당상품에 관한 물리 리소스 이용량 정보를 요금관리부(182)에 반환하고, 이미 취득한 상품의 요금계산 룰에 의거하여 이용량 관리부(194)가 취득한 물리 리소스 이용량 정보에 의해 상품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명세정보를 작성한다. 요금관리부(182)는, 명세번호를 할당하여 요금 데이터베이스(202)에 명세정보를 격납한다.
<SaaS사업기반의 이용비용의 계산 처리예>
도 14는,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비용의 계산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비용 계산일이 도래하면, 요금관리부(182)는, 사업자정보 취득기능에 의해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의 회사정보와 계약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계약정보에 의거하여 상품정보 취득기능에 의해 해당사업자가 제공하고 있는 상품정보를 상품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요금관리부(182)는, 취득한 상품정보에 의거하여 해당상품이 이용하고 있는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량을 취득하기 위하여, 이용량 관리부(194)에 이용량 정보의 취득을 의뢰한다.
이용량 취득을 의뢰받은 이용량 관리부(194)는, 부여된 상품정보에 의거하여 구성 데이터베이스(212)로부터 해당상품이 이용하고 있는 SaaS사업기반(16)의 물리 리소스ID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이용량 관리부(194)는, 취득한 물리 리소스ID에 의거하여 이용량 정보 데이터베이스(214)로부터 해당 물리 리소스 이용량 정보를 요금관리부(182)에 반환하고, 취득한 상품정보의 비용계산 룰에 의거하여 이용량 관리부(194)로부터 반환된 물리 이용량 정보에 의해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비용(SDP(SaaS Delivery Platform)이용요금)을 계산하고, 명세정보를 작성한다. 그 후, 요금관리부(182)는, 명세번호를 할당하여 요금 데이터베이스(202)에 명세정보를 격납한다.
<SaaS 이용요금의 청구·수납 처리예>
도 15는, SaaS(14) 이용요금의 청구·수납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품의 이용요금 청구일이 도래하면, 요금관리부(182)의 청구정보 작성기능은,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로부터 대상고객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대상고객의 정보에 의거하여 요금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요금명세정보를 취득하고, 고객마다 일원관리를 행하여, 청구서 정보를 작성하고, 결제 회사(22)에 넘겨주어 청구처리를 행한다.
입금 마감일이 도래하면, 요금관리부(182)는, 결제 회사(22)로부터의 입금 정보를 취득한다. 요금관리부(182)에 있어서의 입금조정계정기능은, 입금 정보에 의거하여 입금조정계정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를 요금 데이터베이스(202)에 격납한다.
SaaS이용자(10)은, 이용 단말기(11)을, SaaS사업자(12)는, 이용 단말기(13)을 각각 사용함으로써 고객마다, 및 상품마다의 청구정보나 입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용비용의 상쇄 처리예>
도 16은, SaaS(14)의 이용요금과 SaaS사업기반(16)의 이용비용의 상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공제대금 계산일이 도래하면, 요금관리부(182)는, 사업자정보 취득기능에 의해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공제대금 지불대상의 사업자에 관한 계약 정보를 취득하고, 상품정보 취득기능에 의해 상품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공제대금 지불대상의 상품정보를 취득한다.
또, 요금관리부(182)는, 상품분류기능에 의해 사업자의 계약정보와 상품의 상품정보를 사업자마다 분류하고, 이용료 정보취득기능에 의해 상품의 SaaS이용요금과 사업자의 SaaS사업기반 이용비용을 취득한다.
그리고, 요금관리부(182)는, 대조처리에 의해 상품의 SaaS(14)의 이용요금에서 사업자의 SaaS사업기반(16)의 비용을 공제 상쇄하는 처리를 행하고, 요금관리부(182)는 상쇄한 공제 대금의 요금명세정보를 요금 데이터베이스(202)에 격납한다.
<공제대금의 지불 처리예>
도 17은, 공제대금의 지불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공제대금 지불일이 도래하면, 요금관리부(182)는, 사업자정보 취득기능에 의해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로부터 공제대금 지불대상의 사업자에 관한 사업자정보를 취득하고, 공제대금 지불기능에 의해 요금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공제대금의 요금명세정보를 취득하고, 결제회사(22)에 지불을 의뢰한다.
<비지니스계 데이터베이스, 및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의 관련 설명>
도 18은, 비지니스계 데이터베이스(20), 및 오퍼레이션계 데이터베이스(21)에 있어서의 관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SaaS이용자(10)에게는, 고객ID가 부여되고, 이 고객ID가 SO·고객 데이터베이스(201)의 키가 된다. 또, SaaS사업자(12)에게는, 회사 코드가 부여되어 있고, 이 회사 코드가 사업자 데이터베이스(204)의 키가 된다.
SaaS(14)의 상품에는, 상품 코드가 부여되어 있고, 이 상품 코드가 상품 데이터베이스(203)의 키가 된다. SaaS사업기반(16)에 있어서 사용하는 물리 리소스의 이용량은, 물리 리소스ID마다 집계·축적된다.
이와 같이, SaaS결제시스템(1)에서는, SaaS(14)의 이용종별, 및 량과 SaaS사업기반(16)의 이용종별, 및 량에서 각각의 요금을 자동계산하고, SaaS이용자로부터의 입금과 상쇄하여 SaaS사업자에게 공제대금을 지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액의 이용요금을 매월 결제하는 SaaS사업자의 결제처리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SaaS사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SaaS확판에 의해 SaaS사업자와 SaaS기반사업자 쌍방의 이익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12)

  1. SaaS사업을 실현하는 SaaS사업기반을 가진 SaaS결제시스템으로서,
    상기 SaaS사업기반은,
    SaaS사업자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고, SaaS를 실현하는 SaaS실행기반과,
    SaaS이용자에게 청구하는 상기 SaaS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SaaS이용자에의 요금청구수납을 행하는 비지니스 기반과,
    상기 SaaS이용자의 신청 내용에 따라서, 상기 SaaS의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SaaS의 제공 상황을 감시 운용하는 오퍼레이션 기반을 가지며,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은,
    상기 SaaS이용자가 이용한 상기 SaaS의 이용량, 및 상기 SaaS가 이용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각각 계측하고,
    상기 비지니스 기반은,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상기 SaaS의 이용량에서 산출한 상기 SaaS의 이용 요금에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산출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 요금을 공제한 차액을, 상기 SaaS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금으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결제시스템.
  2. 제 1항 기재의 SaaS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하는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은,
    상기 SaaS사업자가, 상기 SaaS를 실현하기 위해서 이용한 상기 SaaS실행기반, 상기 비지니스 기반, 및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의 이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결제시스템.
  3. 제 1항 기재의 SaaS결제시스템에 있어서,
    SaaS이용자마다의 SaaS상품정보, 및 상기 SaaS의 상품정보마다 대응한 요금산출 룰을 나타내는 요금산출 룰을 격납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상기 SaaS의 이용량을 격납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비지니스 기반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SaaS에 대응하는 요금계산 룰을 취득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SaaS의 이용량을 취득하고, 상기 요금계산 룰 에 의거하여, 상기 SaaS의 이용량에서 상기 SaaS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결제시스템.
  4. 제 1항 기재의 SaaS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SaaS사업자마다 대응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비용계산 룰을 격납하는 제3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격납하는 제4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비지니스 기반은,
    상기 제3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SaaS를 등록한 SaaS사업자에 대응하는 비용계산 룰을 취입하고, 상기 제4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취입하고, 상기 비용계산 룰에 의거하여,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결제시스템.
  5. SaaS사업자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고, SaaS를 실현하는 SaaS실행기반과, SaaS이용자에게 청구하는 상기 SaaS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SaaS이용자에의 요금청구수납을 행하는 비지니스 기반과, 상기 SaaS이용자의 신청 내용에 따라서, 상기 SaaS의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SaaS의 제공 상황을 감시 운용하는 오퍼레이션 기반을 가지는 SaaS사업기반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상기 SaaS의 이용요금 결제를 행하는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으로서,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상기 SaaS이용자가 이용한 상기 SaaS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상기 SaaS가 이용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과,
    상기 비지니스 기반이,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상기 SaaS의 이용량에서 상기 SaaS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비지니스 기반이,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비지니스 기반이, 산출한 상기 SaaS의 이용 요금에서 산출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상쇄한 차액을, 상기 SaaS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금으로서 산출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6. 제 5항 기재의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은,
    상기 SaaS사업자가, 상기 SaaS를 실현하기 위해서 이용한 상기 SaaS실행기반, 상기 비지니스 기반, 및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7. 제 5항 기재의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SaaS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은,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SaaS에 대응하는 요금계산 룰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상기 SaaS의 이용량을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한 상기 요금계산 룰에 의거하여, 상기 SaaS의 이용량에서 상기 SaaS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8. 제 5항 기재의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은,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SaaS를 등록한 SaaS사업자에 대응하는 비용계산 룰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한 상기 비용계산 룰에 의거하여,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aaS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9. SaaS사업자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키고, SaaS를 실현하는 SaaS실행기반과, SaaS이용자에게 청구하는 상기 SaaS의 이용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SaaS이용자에의 요금청구수납을 행하는 비지니스 기반과, 상기 SaaS이용자의 신청 내용에 따라서, 상기 SaaS의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SaaS의 제공 상황을 감시 운용하는 오퍼레이션 기반을 가지는 SaaS사업기반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상기 SaaS이용자가 이용한 SaaS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상기 SaaS가 이용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과,
    상기 비지니스 기반이,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상기 SaaS의 이용량에서 상기 SaaS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비지니스 기반이,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과,
    상기 비지니스 기반이, 산출한 상기 SaaS의 이용 요금에서, 산출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상쇄한 차액을, 상기 SaaS사업자에게 지불하는 대금으로서 산출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0. 제 9항 기재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스텝은,
    상기 SaaS사업자가, 상기 SaaS를 실현하기 위해서 이용한 상기 SaaS실행기반, 상기 비지니스 기반, 및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의 이용량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1. 제 9항 기재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SaaS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은,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SaaS에 대응하는 요금계산 룰을 취득하는 스텝과,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상기 SaaS의 이용량을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한 상기 요금계산 룰에 의거하여, 상기 SaaS의 이용량에서 상기 SaaS의 이용 요금을 산출하는 스텝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2. 제 9항 기재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은,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SaaS를 등록한 SaaS사업자에 대응하는 비용계산 룰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션 기반이 계측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을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한 상기 비용계산 룰에 의거하여,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량에서, 상기 SaaS사업기반의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스텝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20157005076A 2012-07-27 2012-09-26 SaaS 결제시스템, SaaS 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500384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7628 2012-07-27
JP2012167628A JP2014026537A (ja) 2012-07-27 2012-07-27 SaaS決済システム、SaaS利用料金の決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2/074632 WO2014016977A1 (ja) 2012-07-27 2012-09-26 SaaS決済システム、SaaS利用料金の決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427A true KR20150038427A (ko) 2015-04-08

Family

ID=4999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5076A KR20150038427A (ko) 2012-07-27 2012-09-26 SaaS 결제시스템, SaaS 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78699A1 (ko)
EP (1) EP2879087A4 (ko)
JP (1) JP2014026537A (ko)
KR (1) KR20150038427A (ko)
CN (1) CN104508698A (ko)
SG (1) SG11201500622QA (ko)
WO (1) WO2014016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9647B2 (en) * 2008-06-19 2016-11-08 Csc Agility Platform, Inc. System and method for a cloud computing abstraction with self-service portal for publishing resources
WO2015001657A1 (ja) * 2013-07-04 2015-01-08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データ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US20170257353A1 (en) * 2016-03-07 2017-09-07 Ricoh Company, Ltd. System For Using Login Information And Historical Data To Determine Processing For Data Received From Various Data Sources
US11036732B2 (en) * 2017-03-28 2021-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bquery predicate generation to reduce processing in a multi-table join
JP7085451B2 (ja) * 2018-10-12 2022-06-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課金情報生成支援方法、課金情報生成支援プログラム、及び課金情報生成支援装置
CN113947441A (zh) * 2021-10-29 2022-01-18 重庆忽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SaaS化工业APP应用的计费方法
CN114185854A (zh) * 2021-12-02 2022-03-15 百融云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SaaS系统的离线记费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1324A1 (en) * 2006-08-11 2009-10-29 Evap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tered software as a service
JP2008250440A (ja) 2007-03-29 2008-10-16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ネッティングシステム
JP2009146350A (ja) * 2007-12-18 2009-07-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サービス管理装置及びデータ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データ検索方法
US9141991B2 (en) * 2008-01-31 2015-09-22 Bill.Com, Inc. Enhanced electronic data and metadata interchange system and process for electronic billing and payment system
US20110093366A1 (en) * 2009-10-16 2011-04-21 Jayasimha Nuggehalli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software applications
US8650246B2 (en) * 2009-10-29 2014-02-11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Method and system for licensing a software product
US20110126168A1 (en) * 2009-11-25 2011-05-26 Crowdsource Technologies Ltd. Cloud plarform for managing software as a service (saas) resources
JP2011113268A (ja) * 2009-11-26 2011-06-09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クラウドファサード管理システム
US9129052B2 (en) * 2009-12-03 2015-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ering resource usage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8606667B2 (en) * 2010-02-26 2013-12-10 Red Ha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software subscription in a cloud network
US20110313950A1 (en) * 2010-06-16 2011-12-22 Jayasimha Nuggehalli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software applications utilizing volume pricing
US20110313896A1 (en) * 2010-06-16 2011-12-22 Jayasimha Nuggehalli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oftware as a service applications
US20120158556A1 (en) * 2010-12-20 2012-06-21 Bare Said Dynamic Measurement Of Business Service U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6977A1 (ja) 2014-01-30
CN104508698A (zh) 2015-04-08
EP2879087A4 (en) 2016-02-17
JP2014026537A (ja) 2014-02-06
SG11201500622QA (en) 2015-04-29
US20150178699A1 (en) 2015-06-25
EP2879087A1 (en)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7303B2 (ja) 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KR20150038427A (ko) SaaS 결제시스템, SaaS 이용요금의 결제 방법, 및 프로그램
CN105719088A (zh) 一种智能分润结算方法及系统
US9984367B2 (en) Paying non-settlement transactions
US8738476B2 (en) Architectural design for selling standardized services application software
CN110264214B (zh) 一种交易账单的生成和核销方法、装置及设备
JP5785272B2 (ja) 未確定の将来クレジット債権の買い取りによるクレジットカード加盟店への無担保のファンディングシステム
CN107545468A (zh) 自筹资佣金管理系统
JP6663063B1 (ja) 複数の支払・決済手段を用いた請求・決済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32432A1 (en) Integrated System
JP201715686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0144596A (ja) キャッシュレス割り勘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
US112761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revenue allocation engine for use with subscription economy
JP2018022230A (ja) 支払管理装置及び支払管理方法
US20220230154A1 (en) Method and system to dynamically route funding to virtual payment cards to resell subscription merchandise
JP4282882B2 (ja) 支出管理システム、支出管理方法及び記憶媒体
CN112737796A (zh) 跨地域用户通信费用转移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20200050222A (ko) 결제 대금 정산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 서버
JP6059186B2 (ja) ポイント管理装置及びポイント管理方法
CN113516542B (zh) 物业智能会计核算中的日结月结及年度试算方法及系统
JP737525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8129715A (ja) キャッシュバック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414206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70098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oice information
US20190026797A1 (en) Method and Billing Platform for Building Real Time Charge Aggreg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