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209A - 통기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저장기 - Google Patents

통기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저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209A
KR20150038209A KR20157004488A KR20157004488A KR20150038209A KR 20150038209 A KR20150038209 A KR 20150038209A KR 20157004488 A KR20157004488 A KR 20157004488A KR 20157004488 A KR20157004488 A KR 20157004488A KR 20150038209 A KR20150038209 A KR 20150038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member
reservoir
vent assembly
wa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디아 엠 멀베니
브라이언 이 던칸
다니엘 이 실트버그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5003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container or its attachment means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78Gun with a container which, in normal use, is located above the g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7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Gasket Seals (AREA)
  • Nozzl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통기 조립체들이 이 통기 조립체들이 사용될 수 있는 저장기들과 함께 설명된다. 통기 조립체들 각각은 구멍 및 폐쇄 부재를 포함한다. 폐쇄 부재는 압축력을 발생하기 위해 캠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서 통기 조립체가 비통기 위치에 있도록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그리고 구멍 위에서 폐쇄 부재 상의 밀봉 표면이 가압되게 한다. 폐쇄 부재의 이동은, 예컨대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회전 또는 선형(즉, 병진) 이동일 수 있다.

Description

통기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저장기{VENT ASSEMBLY AND RESERVOIRS INCLUDING THE SAME}
통기 조립체 및 이 통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저장기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통기 조립체들은 통기 위치(vented position)와 비통기 위치(unvent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액체들을 함유하는 저장기들은 종종, 액체가 저장기로부터 제거될 때 공기가 저장기 내로 유입할 수 있도록 통기를 필요로 한다. 통기가 요구될 수 있는 저장기들의 일 예는 스프레이 건들에 액체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것들이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primer), 페인트 및/또는 클리어코트(clearcoat)와 같은 액체 코팅을 차량에 분사할 때, 예를 들어 차체 수리 공장에서 스프레이 건이 널리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스프레이 건은 몸체, 노즐 및 트리거를 포함한다. 액체 코팅은 전형적으로 스프레이 건에 부착되는 저장기에 의해 스프레이 건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차체 수리 공장에서 액체 재료들의 준비 및 토출(spring)을 위해 일회용 저장기들을 사용하는 것은 신속한 교체시간(turnaround) 및 높은 처리량(throughput)에 기여하는 인정되는 관행이 되어 있다. 일회용 저장기들은 전형적으로, 저장기를 폐쇄하고 스프레이 건에 부착될 수 있어 이 스프레이 건에 액체를 전달하게 해주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뚜껑을 포함한다. 사용 중에, 저장기는 전형적으로 내부에 함유된 액체가 중력의 힘에 의해 스프레이 건으로 유동하게 하는 배향으로 배치된다. 그러한 저장기들에서는, 스프레이 건에 액체가 전달될 때 저장기에서의 진공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통기구가 사용되는데, 이는 스프레이 건에 대한 일관된 액체 유동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통기구들이 필요할 수 있는 일부 저장기들의 잠재적인 예들은 미국 특허 제7,090,148 B2호(페트리에(Petrie) 등) 및 유럽 특허 제0954381 B2호(조셉(Joseph)등)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통기형 저장기들의 한 가지 잠재적인 문제는 저장기가 충전될 때, 보관 중인 경우, 등의 경우에 통기구 또는 통기구들을 통한 액체의 누설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저장기들에 사용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들은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통기 조립체들 각각은 구멍 및 폐쇄 부재를 포함한다. 폐쇄 부재는 압축력을 발생하기 위해 캠 표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서 통기 조립체가 비통기 위치에 있도록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그리고 구멍 위에서 폐쇄 부재 상의 밀봉 표면이 가압되게 한다. 폐쇄 부재의 이동은, 예컨대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회전 또는 선형(즉, 병진) 이동일 수 있다.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통기 조립체는 공기가 구멍을 통과하게 하여서 액체가 저장기로부터 제거될 때(예를 들어, 액체가 스프레이 건에 전달될 때) 저장기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통기 조립체들은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데, 그 이유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저장기가, 통기구가 항상 개방되어 있다면(즉, 통기 위치에 있다면) 저장기 내의 액체가 통기구를 통해 누설될 수 있는 배향으로 있으면서도 저장기가 액체로 충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저장기는 저장기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액체가 (액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방향에 대해) 통기 조립체 위에 위치되는 배향으로 있으면서도 충전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액체는 통기 조립체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폐쇄될 수 없거나 비통기 위치에 배치될 수 없다면 통기 조립체를 통해 잠재적으로 누설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저장기의 배향을 변경하는 것은 (예컨대, 저장기를 뒤집는 것은) 통기 조립체를 액체 위에 배치할 수 있게 하여 전형적으로 통기 조립체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통기 조립체를 통해 액체가 누설하지 않게 한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 건에 부착하기 위해 저장기를 뒤집으면, 통기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분배되는 액체의 위에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는, 내부 체적부를 한정하는 저장기의 벽에 형성되고, 저장기의 내부 체적부와 유체 연통하는 구멍; 구멍에 근접하여 저장기의 벽 상에 보유되고,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구멍을 폐쇄하고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구멍을 폐쇄하지 않는 밀봉 표면을 포함하는 폐쇄 부재; 폐쇄 부재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저장기의 벽 상에 폐쇄 부재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폐쇄 부재 리테이너(retainer); 및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폐쇄 부재 상에 압축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캠 표면 - 압축력은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폐쇄 부재의 밀봉 표면을 가압함 - 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는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는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저장기의 벽을 통해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캠 표면은 폐쇄 부재와 저장기의 벽 사이에 위치되고, 통기 위치로부터 비통기 위치로의 폐쇄 부재의 회전은 폐쇄 부재 리테이너와 캠 표면 사이에 압축력을 발생시켜서 폐쇄 부재의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밀봉 표면이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가압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는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주(post) 상에 장착되고, 폐쇄 부재는 지주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폐쇄 부재 리테이너는 지주 상에 위치되고 폐쇄 부재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지주 상에 폐쇄 부재를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추가로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폐쇄 부재 리테이너와 캠 표면 사이에 압축력이 발생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 리테이너는 축에 대해 지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견부(shoulder)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는 지주에 대면하는 내부 표면 및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폐쇄 부재는 내부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에 단차형 전이부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의 상부 에지가 폐쇄 부재의 상부 표면의 내부 에지와 일치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 리테이너의 견부는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의 내부 표면의 상부 에지에 접촉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구멍은 캠 표면을 통해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캠 표면은 폐쇄 부재가 회전하는 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 위치되는 구멍 표면 부분을 포함하고, 구멍은 캠 표면의 구멍 표면 부분을 통해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저장기는 개구 및 분리가능 뚜껑을 포함하고, 분리가능 뚜껑은 뚜껑이 개구 위에서 저장기에 부착되는 경우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저장기는 개구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구멍은 베이스 내에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통기 조립체의 구멍은 뚜껑 내에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통기 조립체는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정지부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정지부는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돌출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정지부는 캠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통기 조립체는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폐쇄 부재는 복수의 밀봉 표면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구멍들 중 각각의 구멍은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복수의 밀봉 표면들 중 하나의 밀봉 표면에 의해 폐쇄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는 복수의 릴리프 표면(relief surface)들을 포함하고, 폐쇄 부재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복수의 구멍들 중 각각의 구멍 위에 하나의 릴리프 표면이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통기 조립체는 복수의 캠 표면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구멍들 중 각각의 구멍은 복수의 캠 표면들 중 하나의 캠 표면 내에 위치되고, 추가로 복수의 구멍들 중 각각의 구멍은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복수의 밀봉 표면들 중 하나의 밀봉 표면에 의해 폐쇄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를 개방 및 폐쇄하는 방법은, 폐쇄 부재를 비통기 위치와 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 상의 밀봉 표면이 구멍을 폐쇄하고, 통기 위치에서 밀봉 표면은 구멍을 폐쇄하지 않음 - 를 포함할 수 있고, 통기 위치로부터 비통기 위치로의 폐쇄 부재의 이동은 폐쇄 부재 상에 압축력을 발생시켜서 폐쇄 부재의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밀봉 표면이 가압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를 개방 및 폐쇄하는 방법은,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주 상에 장착되는 폐쇄 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 - 폐쇄 부재는 지주와 벽을 통해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지주 상에서 회전하고, 폐쇄 부재는 비통기 위치와 통기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고, 비통기 위치에서는 폐쇄 부재 상의 밀봉 표면이 구멍을 폐쇄하고, 통기 위치에서는 밀봉 표면이 구멍을 폐쇄하지 않음 - 를 포함할 수 있고, 통기 위치로부터 비통기 위치로의 폐쇄 부재의 회전은 지주 상의 폐쇄 부재 리테이너와 저장기의 벽 상의 캠 표면 사이에서 폐쇄 부재 상에 압축력을 발생시켜서 폐쇄 부재의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밀봉 표면이 가압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 리테이너는 지주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견부를 포함하고, 폐쇄 부재는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견부와 캠 표면 사이에서 압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는 지주에 대면하는 내부 표면 및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폐쇄 부재는 내부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에 단차형 전이부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의 상부 에지가 폐쇄 부재의 상부 표면의 내부 에지와 일치하지 않고, 추가로 폐쇄 부재 리테이너의 견부는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의 내부 표면의 상부 에지에 접촉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액체"는, 예를 들어, 재료의 특성들 및/또는 의도된 용도에 따라 분무화된 또는 비분무화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는 접착제, 밀봉재, 충전재, 퍼티(putties), 분말 코팅, 블라스팅 분말, 연마 슬러리(abrasive slurries), 몰드 이형제(mould release agent) 및 파운드리 드레싱(foundry dressing)과 같은 다른 재료들뿐만 아니라 페인트, 프라이머(primer), 베이스 코트(base coat), 래커(lacquer), 바니쉬(varnish) 및 이와 유사한 페인트형 재료(제한 없음)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건(표면에 채색을 하든지 않든지)을 사용하여 표면에 도포될 수 있는 유동성 재료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유동성 재료를 가리키고, 상기 용어 "액체"는 이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단어들 "바람직한" 및 "바람직하게는"은 소정의 상황들 하에서, 소정의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동일한 또는 다른 상황 하에서 다른 실시예가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언급은 다른 실시예가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다른 실시예를 배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은 그 내용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단수형의 부품은 하나 이상의 부품들과 당업자에게 공지된 균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용어 "및/또는"은 열거된 요소 중 하나 또는 전부, 또는 열거된 요소의 임의의 둘 이상의 조합을 의미한다.
용어 "포함하다" 및 이의 변형은 이러한 용어들이 수반된 기술 내용에 나타내는 제한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게다가, 단수형 용어,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본 명세서에서 서로 바꾸어서 사용된다.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측면, 상측, 하측, 수평, 수직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만일 그렇다면, 특정 도면에서 관찰된 조망으로부터 기인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상기 발명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저장기들 및 관련 통기 조립체들의 각각의 실시예 또는 모든 구현예를 기술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더 완전한 이해는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내용 및 특허청구범위를 첨부 도면에 비추어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지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저장기 내의 통기 조립체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통기 조립체의 캠 표면들 및 구멍들을 노출시키기 위해 폐쇄 부재가 제거된 상태의 도 1 및 도 2의 통기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통기 조립체들에 사용되는 폐쇄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통기 조립체들에 사용되는 폐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7-7을 따라 취한 도 6의 폐쇄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폐쇄 부재의 지주 상의 폐쇄 부재 리테이너와 구멍과 폐쇄 부재 밀봉 표면 사이의 상호작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의 통기 조립체의 비통기 위치에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의 도면은 도 2의 선 9-9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통기 위치로의 폐쇄 부재의 회전 후의 도 9의 통기 조립체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저장기에 사용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도 11의 통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에서, 실시예의 일부를 이루며 구체적인 실시예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구조적 변화가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통기 조립체들 및 저장기들은 액체의 제거를 억제할 수 있는 진공의 형성을 회피하기 위해 통기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액체가 저장기 내에 제공되고 그로부터 분배되는 매우 다양한 환경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환경의 일 예는 분배될 액체를 함유하는 저장기가 액체 스프레이 건 상에 장착되는 액체 스프레이 전달 시스템 내에 있다. 비록 저장기들이 스프레이 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하더라도,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저장기들 내의 액체는 저장기로부터 스프레이 건까지 연장되는 공급 라인(예를 들어, 호스, 배관, 등)을 거쳐 스프레이 건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저장기들이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액체 스프레이 건들은 바람직하게는 휴대용(hand-held) 스프레이 건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크기로 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선택된 액체들의 분무를 수반하는 방법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기 조립체(20)는, 용기(12) 및 용기(12)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 위에 위치된 분리가능 뚜껑(14)을 포함하는 저장기(10)의 벽에 위치된다. 저장기(10)는 또한 용기(12)의 개구로부터의 대향 단부 상에 위치되는 베이스(1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저장기(10)가 개구를 통해 액체로 충전될 수 있도록 용기(12)의 개구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분리가능 뚜껑(14)은 뚜껑(14)이 개구 위에서 용기(12)에 부착되는 경우 용기(12) 내의 개구를 폐쇄한다. 비록 용기 조립체(10)가 함께 사용될 액체를 함유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용기 몸체들이 구성될 수 있다 하더라도, 용기(12)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저렴한 중합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기 조립체(20)는 저장기(10)의 베이스(16)에 위치된다. 비록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통기 조립체(20)가 베이스(16)에 위치되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통기 조립체들은 저장기(10)의 임의의 벽에 위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16)는 통기 조립체(20)가 위치될 수 있는 벽의 단지 하나의 예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통기 조립체(20)는 뚜껑(14) 또는 용기(1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임의의 벽에 위치될 수 있다. 통기 조립체(20)는 저장기(10)가 그 내부에 함유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중력에 대해) 전형적으로 저장기(10) 내의 액체 위에 위치되는 장소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저장기(10)가 단지 하나의 통기 조립체(20)를 포함하지만,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저장기(10)는 두 개 이상의 통기 조립체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들 통기 조립체들은 저장기(10)의 동일한 벽 또는 상이한 벽들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통기 조립체(20)는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통기 조립체(20)는 전형적으로, 저장기(10)가 예를 들어 용기(12) 내의 개구를 통해 액체로 충전되는 경우 비통기 위치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뚜껑(14)(또는 저장기(10)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분)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내부에 함유된 액체를 하나의 표면을 도포하기 위한 스프레이 건으로 분배하기 위해 스프레이 건에 대한 저장기(1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물, 예컨대 포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 조립체(20)를 비통기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통기 조립체(20)를 통해 저장기(10)를 충전하는데 사용된 액체의 누설은 전형적으로 액체가 통기 조립체(20) 위에 위치되는 경우에 방지된다.
저장기(10)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스프레이 건에 부착되는 경우) 사용 중에 뒤집어져서 베이스(16)가 뚜껑(14) 위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배향의 그러한 변화는 저장기(10) 내의 액체 위에 통기 조립체(20)를 배치시킨다. 통기 조립체(20)가 저장기(10) 내의 액체 위에 위치되는 경우에 통기 조립체(20)가 비통기 위치로부터 통기 위치로 이동하면, 통기 조립체(20)를 통해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허용함이 없이 저장기(10)의 체적부 내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저장기(10)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20)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및 특징부들을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통기 조립체(20)는 지주(40) 상에 장착되는 폐쇄 부재(30)를 포함하는데, 지주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저장기(10)의 베이스(16)로부터 연장된다(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통기 조립체는 저장기의 임의의 벽에 위치될 수 있다). 용기(12)의 도시된 실시예가 원통형 벽 및 베이스(16)(용어 "벽"이 본 명세서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 또한 하나의 벽임)를 포함하도록 대체로 원통형이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통기 조립체들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저장기들은, 예를 들어, 베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단지 하나의 벽을 가질 수 있고, 두 개,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벽들을 가질 수 있고, 등등이다. 본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통기 조립체들이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저장기들은 액체가 함유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가 위치될 수 있는 체적부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폐쇄 부재(30)는 지주(40) 및 저장기(10)의 베이스(16)를 통해 연장되는 축(11)을 중심으로 지주(40)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폐쇄 부재(30)는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폐쇄 부재(30)는 사용자가 폐쇄 부재(30)를 손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연장부(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폐쇄 부재(30)는 그 기능에 맞게 설계된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연장부(32)들은 지주(40)를 중심으로 한 폐쇄 부재(30)의 수동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많은 상이한 구조물들 중 단지 하나의 예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통기 조립체(20)로부터 폐쇄 부재(30)를 제거한 상태의 지주(40) 및 관련 특징부들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축(11)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지주(40)는 폐쇄 부재(32)와 협력하여 통기 조립체(20)의 통기 위치 및 비통기 위치 양자 모두를 제공하는 특징부들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들 특징부들은 구멍 표면 부분(52)들에서 종단되는 캠 표면(50)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 표면 부분(52)들 각각은 그에 위치되는 구멍(22)을 포함하여서 구멍(22)이 캠 표면(50)의 구멍 표면 부분(52)을 통해 연장되게 한다. 구멍(22)은 베이스(16)를 통해 연장되고,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구멍(22)이 차단되지 않거나 그와 달리 폐쇄 부재(30) 상의 특징부들에 의해 폐쇄되는 경우에 공기가 용기(12)에 유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네 개의 구멍들을 포함하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저장기(10)들 내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20)들은 겨우 하나의 구멍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요구되는 통기 성능에 관련되는 여러 상이한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임의의 다른 수의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특징부들은, 통기 조립체(20)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 지주(40)를 중심으로 한 폐쇄 부재(3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정지부(54)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도 4에는 캠 표면(50)과 구멍 표면 부분(52)들 위의 지주(40) 상에 위치되는 폐쇄 부재 리테이너(42)가 도시되어 있다. 폐쇄 부재 리테이너(42)는 지주(4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견부(44)를 포함한다(여기서, 외향으로는 축(11)에서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는 것임). 견부(44)는 베이스(16)와 캠 표면(50)들 및 그들의 구멍 표면 부분(52)들에 대면해 있다. 폐쇄 부재 리테이너(42)는 바람직하게는, 지주(40) 상의 폐쇄 부재(30)와 상호 작용하여, 통기 조립체(20)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 폐쇄 부재(30)를 지주(40) 상에 보유한다. 그 기능은, 도 2 내지 도 1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30)와 폐쇄 부재 리테이너(42) 사이의 기계적 간섭에 의해 제공된다. 폐쇄 부재 리테이너(42)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폐쇄 부재(30)와 상호 작용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구멍 표면 부분(52)들 내의 구멍(22)들을 폐쇄 또는 밀봉하는데 도움을 주는 압축력을 제공한다.
캠 표면(50)들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6)로부터 구멍 표면 부분(52)들로 완만하게 상승하여서 폐쇄 부재(30)가 통기 위치로부터 비통기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회전됨에 따라 폐쇄 부재(30)의 비교적 원활한 작동이 달성되게 한다. 구멍 표면 부분(52)들을 지나는 폐쇄 부재(30)의 밀봉 표면들의 회전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 표면 부분(52)들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정지부(54)들에 의해 방지된다. 정지부(54)들은 지주(40)를 중심으로 한 폐쇄 부재(30)의 회전을 제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여러 상이한 구조물들의 단지 하나의 실시예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정지부들은 지주(40)를 통해 연장되는 축(11)을 중심으로 한 폐쇄 부재(3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연장부(32)들(예컨대, 도 2의 연장부(32)들 참조)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 베이스(16)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지만, 비교적 편평하고 축(11) - 이 축을 중심으로 폐쇄 부재(30)가 회전함 - 에 수직인 평면 내에 위치되는 구멍 표면 부분(52)들을 갖는 캠 표면(50)들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 배향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폐쇄 부재(30)에 의한 구멍(22)의 개선된 폐쇄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특징부들 모두는 동일한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특징부들의 하나 이상이 임의의 적합한 기술 또는 기술들의 조합에 의해 함께 결합 또는 연결되는 상이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캠 표면(50), 구멍 표면 부분(52)들, 및 정지부(54)들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부가적인 재료는, 지주(40)와 함께, 적절한 작동 및 구멍(22)의 폐쇄를 용이하게 하는 부가적인 강성을 베이스(16)에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폐쇄 부재(3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부들이 기술될 것이다. 도 5는 폐쇄 부재(30)의 저면 또는 하부 표면, 즉 저장기 조립체(10)의 베이스(16)에 대면하는 폐쇄 부재(30)의 표면의 도면이다. 연장부(32)들은 밀봉 표면(34)들, 및 이 밀봉 표면(34)들 사이에 위치되는 릴리프 표면(35)들과 함께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지주(40)를 중심으로 한 폐쇄 부재(30)의 회전은 밀봉 표면(34)들 및 릴리프 표면(35)들을 이동시켜서, 폐쇄 부재(30)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 릴리프 표면(35)들이 구멍(22) 위에 위치되게 한다. 릴리프 표면(35)들이 구멍(22)을 폐쇄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는 구멍(22)을 통해 저장기 조립체(10)의 용기(12) 내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프 표면(35)들은 통기 조립체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족 노치(35')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폐쇄 부재(30)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밀봉 표면(34)들은 구멍(22)들 위에 위치되어서 공기가 구멍(22)들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거나 적어도 엄격하게 제한하게 한다. 구멍(22) 위에 밀봉 표면(34)들을 위치시키는 효과의 다른 특징점은 용기(22) 내의 액체가 구멍(22)들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밀봉 표면(34)들이 바람직하게는 구멍(22)들 위에서 액체-기밀 밀봉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20)들에 사용되는 폐쇄 부재(30)가 전형적으로 구멍(22)들의 개수에 부합하는 다수의 밀봉 표면(34)들을 포함할 것이지만, 그러한 관계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30)는, 만약 폐쇄 부재(30)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 밀봉 표면(34)이 구멍(22)들을 폐쇄하는 제 위치에 없다면, 폐쇄 부재(30)의 원주 주위에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연장되는 단일의 밀봉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부재(30)는 지주 상에 단지 느슨하게 보유될 수 있어서 폐쇄 부재(30)가 릴리프 표면(35)들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라도 공기가 밀봉 표면(34) 사이를 지나 구멍(22)들 내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구멍(22)들의 개선된 밀봉 또는 폐쇄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20)들의 폐쇄 부재(30)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특징부들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폐쇄 부재(30)는 폐쇄 부재(30)가 지주(40) 상에 장착되는 경우 지주(40)에 대면하는 내부 표면(36)을 포함할 수 있다. 폐쇄 부재(30)는 또한 저장기(10)의 베이스(16)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상부 표면(38)을 포함할 수 있다. 폐쇄 부재(30)는 내부 표면(36)과 상부 표면(38) 사이에 폐쇄 부재 리테이너(42)와 협력하는 단차형 전이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표면(36)과 상부 표면(38) 사이의 단차형 전이부(39)에서, 내부 표면(36)의 상부 에지(37)는 폐쇄 부재(30)의 상부 표면(38)의 내부 에지(31)와 일치하지 않는다.
폐쇄 부재(30)의 단차형 전이부(39)와 폐쇄 부재 리테이너(42) 사이의 관계는 도 8의 확대 단면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다. 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구멍 표면 부분(52) 내의 구멍(22)의 개구 둘레에서 구멍 표면 부분(52)에 대항하여 밀봉 표면(34)의 압축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폐쇄 부재 리테이너(42)의 견부(44)는 구멍 표면 부분(52)(그리고, 그에 따라, 베이스(16))에 대면하고, 립(44)은 단차형 전이부(39)와 상호 작용한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 표면 부분(52) 위의 폐쇄 부재 리테이너(42)의 높이 h는 바람직하게는, 폐쇄 부재 리테이너(42)의 견부(44)와 구멍 표면 부분(52) 사이에 위치되는 폐쇄 부재(30)의 두께 t보다 더 작을 수 있다(그러나, 도 8에는 단지 명료화를 위해 반대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즉, 도 8에는 명료화를 위해 h > t 이다.). 그 차이의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구멍 표면 부분(52)에 대항하여 밀봉 표면(34)을 가압하는 압축력을 제공한다. 그 압축력은 바람직하게는, 밀봉 표면(34)과 구멍 표면 부분(52)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에 기인하여 비통기 위치에 폐쇄 부재(30)를 보유하는데 도움을 주고 구멍(22)의 폐쇄를 개선하는 힘을 포함하는 두 가지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압축력은 폐쇄 부재(30)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에 폐쇄 부재 리테이너(42)의 견부(44)가 폐쇄 부재(30)의 내부 표면(36)의 상부 에지(37)에 접촉할 때 발생될 수 있다.
이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폐쇄 부재(30)의 작동이 도시되는데, 폐쇄 부재(30)는 도 9에서는 비통기 위치에 그리고 도 10에서는 통기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비통기 위치에서, 밀봉 표면(34)은 구멍 표면 부분(52) 위에 위치되어서 구멍(22)이 밀봉 표면(34)에 의해 차단되게 한다. 도 10에 도시된 통기 위치에서, 릴리프 표면(35)은 구멍(22) 위에 위치되어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기가 구멍(22)을 통해 용기 내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도 9 및 도 10 둘 모두에는, 지주(40) 상의 폐쇄 부재 리테이너(42) 사이의 상호 작용이 보여진다. 도 9에서, 폐쇄 부재(30)는 폐쇄 부재 리테이너(42)와 인접해 있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은 폐쇄 부재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30)와 폐쇄 부재 리테이너(42) 사이의 상호 작용을 정확하게 묘사한 것일 수 있다. 도 10에서, 폐쇄 부재(30)는 지주(40) 상의 폐쇄 부재 리테이너(42)와 폐쇄 부재(30) 사이에 갭(46)이 제공되도록 통기 위치에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폐쇄 부재 리테이너(42)는 바람직하게는,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폐쇄 부재(30)가 지주(40) 상에 보유되도록 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저장기(10) 및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통기 조립체 특징부들(예컨대, 지주(40), 구멍 표면 부분(52)들을 포함하는 캠 표면(50)들, 및 정지부(54)들)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재료로 성형될 수 있고, 폐쇄 부재(30)를 구성하도록 선택되는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지주(40) 및 그의 관련 특징부들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들과 비교할 때 보다 높은 레벨의 강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30)는 예컨대, 나일론, 유리충전 나일론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폐쇄 부재(30)가 단일의 재료로 성형되거나 또는 달리 구성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폐쇄 부재(30)는 다수의 상이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표면들은 구멍(22)들의 폐쇄를 향상시키는 재료로 제공될 수 있고, 폐쇄 부재(30)의 단차형 전이부(39)는 폐쇄 부재 리테이너(42)와의 상호 작용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는, 등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저장기들에 사용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12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통기 조립체(120)는 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해 지주(140) 상에 장착되는 폐쇄 부재(130)를 포함한다. 폐쇄 부재(130)는 지주(140) 상에서의 폐쇄 부재의 수동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되는 연장부(132)들을 포함한다. 폐쇄 부재(130)는 또한 폐쇄 부재(130)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벽(116)을 통해 형성되는 구멍(122)들과 정렬하도록 제공되는 개구(131)들을 포함한다. 개구(131)들 및 구멍(122)들의 이러한 정렬은 도 11 및 도 12 둘 모두에서 보여진다.
폐쇄 부재(130)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130)의 베이스(133)는 구멍(122)들을 통한 용기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제한하도록 구멍(122)들의 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개구(131)들 및 폐쇄 부재(130)는 공기가 구멍(122)들을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멍(122)들과 정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130)의 베이스(133)는 벽(116)으로부터 연장되는 리지(ridge)(117)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선택적인 리세스를 포함한다. 리지(117), 및 폐쇄 부재(130)의 베이스(133) 내의 그의 대응 리세스는 지주(130)에 대한 폐쇄 부재(130)의 정렬을 개선할 수 있다.
통기 조립체(120)와 관련하여 도시된 다른 특징부들은, 벽(116)으로부터 돌출되고, 폐쇄 부재(130)의 베이스(133)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137)들과 협력하는 정지부(154)들을 포함한다. 정지부(154)들 및 돌출부(137)들의 구성은 지주(140)를 중심으로 한 폐쇄 부재(130)의 회전을 제한하고, 바람직하게는 폐쇄 부재(130)의 베이스(133) 내의 개구(131)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저장기의 벽(116)을 통해 형성되는 구멍(122)들과 정렬된다는 확실한 표시를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주(14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주(130) 상에 폐쇄 부재(130)를 보유하기 위해 폐쇄 부재(130)와 협력하는 폐쇄 부재 리테이너(14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 리테이너(142)는 지주(140)로부터 돌출되고, 폐쇄 부재(130)에 형성되는 대응 리세스 내에 정착된다. 폐쇄 부재(130)와 지주(14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은 원하는 위치에 폐쇄 부재(130)를 보유하기에 충분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 위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기 위치에 있든지, 또는 폐쇄 부재(130)의 베이스(133)가 구멍(122)들을 폐쇄하는 비통기 위치에 있든지 간에 상관이 없다. 폐쇄 부재 리테이너(142)와 폐쇄 부재(130) 내의 대응 리세스 사이의 간섭은 그 마찰 발생의 일부분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통기 조립체(120)는 또한 폐쇄 부재 리테이너(142)와 폐쇄 부재(130) 사이에 압축력을 발생할 수 있어서 폐쇄 부재(130)가 저장기의 벽(116)에 대항하여 압축되게 한다. 임의의 그러한 압축력은 폐쇄 부재 리테이너(142)와 저장기의 벽(116) 사이의 높이, 및 폐쇄 부재 리테이너(142)를 수용하는 리세스와 베이스(133)의 하부 표면, 즉 벽(116)에 대면한 표면 사이의 폐쇄 부재(130)의 두께 또는 높이에서의 차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220)의 다른 대안 실시예가 도 13의 부분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많은 관점에서, 도 13에 도시된 통기 조립체(2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통기 조립체(20)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220)는 폐쇄 부재(230)의 밀봉 표면(234)이 구멍(222) 위에 위치되는 비통기 위치에 있다. 통기 조립체(220)는 벽(216)으로부터 구멍 표면 부분(252)으로 완만하게 상승하는 캠 표면(250)을 포함하여서 폐쇄 부재(230)가 통기 위치로부터 비통기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회전됨에 따라 폐쇄 부재(230)의 비교적 원활한 작동을 달성되게 한다. 구멍 표면 부분(252)을 지나는 폐쇄 부재(230)의 밀봉 표면(234)의 회전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멍 표면 부분(252)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정지부(254)에 의해 방지된다.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지만, 비교적 편평하고 축(211) - 이 축을 중심으로 폐쇄 부재(230)가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경우에 회전함 - 에 수직인 평면 내에 위치되는 구멍 표면 부분(252)을 갖는 캠 표면(250)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축(211)에 대한 구멍 표면 부분(252)의 그러한 배향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폐쇄 부재(230)에 의한 구멍(222)의 개선된 폐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통기 조립체(220)는 지주(240) 및 폐쇄 부재 리테이너(242)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통기 조립체(220)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통기 조립체(20) 사이의 한 가지 차이는, 통기 조립체(20)의 지주(40)가 저장기(10)의 벽(16)에 부착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는 반면에, 통기 조립체(220)의 지주(240)는 폐쇄 부재(230)에 부착되어서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의 폐쇄 부재(230)의 이동 중에 지주(240)가 폐쇄 부재(230)와 함께 회전하게 한다는 것이다. 지주(240)는 저장기의 벽(216) 내의 구멍(217)을 통해 연장된다. 구멍(217)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주(240)가 체류하는 슬리브(218)를 포함하지만, 슬리브(218)는 선택적이며, 지주(240)의 길이에 부합하도록 선택되는 길이로 되어 있다. 특히, 슬리브(218)의 길이는 지주(240)의 길이 및 캠 표면(250)의 높이와 관련하여 선택되어서 폐쇄 부재(230)가 비통기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적절한 크기의 압축력이 캠 표면(250)의 구멍 표면 부분(252)과 폐쇄 부재(230)의 밀봉 표면(234) 사이에 발생될 수 있게 한다.
통기 조립체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통기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달리, 도 14에 도시된 통기 조립체(320)는 도 1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회전 운동보다는 오히려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를 선형 또는 병진 운동으로 이동하는 폐쇄 부재(330)를 포함한다. 통기 조립체(320)의 폐쇄 부재는 통기 위치(실선으로 된 폐쇄 부재(330) 참조)와 비통기 위치(점선으로 된 폐쇄 부재(330') 참조) 둘 모두로 도시되어 있다.
통기 조립체(320)의 폐쇄 부재(330)는 폐쇄 부재 리테이너(342)와 벽(316) 사이의 슬롯 또는 개구 내에 위치된다. 벽(316)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322)이 제공된다. 통기 조립체(320)는 또한 벽(316)으로부터 구멍 표면 부분(352)으로 완만하게 상승하는 캠 표면(350)을 포함하여서 폐쇄 부재(330)가 통기 위치로부터 비통기 위치로 그리고 그 역으로 진행됨에 따라 폐쇄 부재(330)의 비교적 원활한 작동이 달성되게 한다.
구멍 표면 부분(352)을 지나는 폐쇄 부재(330')의 밀봉 표면(334')의 이동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지부(354)에 의해 방지되는데, 이 정지부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폐쇄 부재 리테이너(342)로부터 연장된다.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지만, 비교적 편평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멍(322)을 통해 연장되는 축(311)에 수직인 평면 내에 위치되는 구멍 표면 부분(352)을 갖는 캠 표면(350)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구멍(322) 및 축(311)에 대한 구멍 표면 부분(352)의 그러한 배향은 잠재적으로 폐쇄 부재(330')의 밀봉 표면(334')에 의한 구멍(322)의 개선된 폐쇄를 제공할 수 있다.
통기 조립체들 및 이 통기 조립체들이 사용될 수 있는 저장기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논의되고, 일부 가능한 변경들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졌다. 본 발명에서의 이들 및 다른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제공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23)

  1. 통기 조립체로서,
    내부 체적부를 한정하는 저장기의 벽에 형성되고, 저장기의 내부 체적부와 유체 연통하는 구멍;
    구멍에 근접하여 저장기의 벽 상에 보유되고, 통기 위치(vented position)와 비통기 위치(unvent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구멍을 폐쇄하고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구멍을 폐쇄하지 않는 밀봉 표면을 포함하는 폐쇄 부재;
    폐쇄 부재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저장기의 벽 상에 폐쇄 부재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폐쇄 부재 리테이너(retainer); 및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폐쇄 부재 상에 압축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캠 표면 - 압축력은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폐쇄 부재의 밀봉 표면을 가압함 - 을 포함하는 통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는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선형 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통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는 통기 위치와 비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 저장기의 벽을 통해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통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캠 표면은 폐쇄 부재와 저장기의 벽 사이에 위치되고, 통기 위치로부터 비통기 위치로의 폐쇄 부재의 회전은 폐쇄 부재 리테이너와 캠 표면 사이에 압축력을 발생시켜서 폐쇄 부재의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밀봉 표면이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가압되게 하는 통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는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주(post) 상에 장착되고, 폐쇄 부재는 지주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폐쇄 부재 리테이너는 지주 상에 위치되고 폐쇄 부재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지주 상에 폐쇄 부재를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추가로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폐쇄 부재 리테이너와 캠 표면 사이에 압축력이 발생되게 하는 통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 리테이너는 축에 대해 지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견부(shoulder)를 포함하는 통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는 지주에 대면하는 내부 표면 및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폐쇄 부재는 내부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에 단차형 전이부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의 상부 에지가 폐쇄 부재의 상부 표면의 내부 에지와 일치하지 않는 통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 리테이너의 견부는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의 내부 표면의 상부 에지에 접촉하는 통기 조립체.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멍은 캠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통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캠 표면은 폐쇄 부재가 회전하는 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 위치되는 구멍 표면 부분을 포함하고, 구멍은 캠 표면의 구멍 표면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통기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기는 개구 및 분리가능 뚜껑을 포함하고, 분리가능 뚜껑은 뚜껑이 개구 위에서 저장기에 부착되는 경우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통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저장기는 개구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구멍은 베이스 내에 위치되는 통기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통기 조립체의 구멍은 뚜껑 내에 위치되는 통기 조립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기 조립체는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정지부를 포함하는 통기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정지부는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통기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정지부는 캠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통기 조립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기 조립체는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폐쇄 부재는 복수의 밀봉 표면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구멍들 중 각각의 구멍은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복수의 밀봉 표면들 중 하나의 밀봉 표면에 의해 폐쇄되는 통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는 복수의 릴리프 표면(relief surface)들을 포함하고, 폐쇄 부재가 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복수의 구멍들 중 각각의 구멍 위에 하나의 릴리프 표면이 위치되는 통기 조립체.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통기 조립체는 복수의 캠 표면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구멍들 중 각각의 구멍은 복수의 캠 표면들 중 하나의 캠 표면 내에 위치되고, 추가로 복수의 구멍들 중 각각의 구멍은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복수의 밀봉 표면들 중 하나의 밀봉 표면에 의해 폐쇄되는 통기 조립체.
  20. 통기 조립체를 개방 및 폐쇄하는 방법으로서,
    폐쇄 부재를 비통기 위치와 통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 상의 밀봉 표면이 구멍을 폐쇄하고, 통기 위치에서 밀봉 표면은 구멍을 폐쇄하지 않음 - 를 포함하고,
    통기 위치로부터 비통기 위치로의 폐쇄 부재의 이동은 폐쇄 부재 상에 압축력을 발생시켜서 폐쇄 부재의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밀봉 표면이 가압되게 하는 방법.
  21. 통기 조립체를 개방 및 폐쇄하는 방법으로서,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주 상에 장착되는 폐쇄 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 - 폐쇄 부재는 지주와 벽을 통해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지주 상에서 회전하고, 폐쇄 부재는 비통기 위치와 통기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고, 비통기 위치에서는 폐쇄 부재 상의 밀봉 표면이 구멍을 폐쇄하고, 통기 위치에서는 밀봉 표면이 구멍을 폐쇄하지 않음 - 를 포함하고,
    통기 위치로부터 비통기 위치로의 폐쇄 부재의 회전은 지주 상의 폐쇄 부재 리테이너와 저장기의 벽 상의 캠 표면 사이에서 폐쇄 부재 상에 압축력을 발생시켜서 폐쇄 부재의 밀봉 표면이 구멍 위에 위치되는 경우 저장기의 벽에 대항하여 밀봉 표면이 가압되게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 리테이너는 지주의 외부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견부를 포함하고, 폐쇄 부재는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견부와 캠 표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폐쇄 부재는 지주에 대면하는 내부 표면 및 저장기의 벽으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폐쇄 부재는 내부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에 단차형 전이부를 포함하고, 내부 표면의 상부 에지가 폐쇄 부재의 상부 표면의 내부 에지와 일치하지 않고, 추가로 폐쇄 부재 리테이너의 견부는 폐쇄 부재가 비통기 위치에 있는 경우 폐쇄 부재의 내부 표면의 상부 에지에 접촉하는 방법.
KR20157004488A 2012-07-27 2013-07-25 통기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저장기 KR201500382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76392P 2012-07-27 2012-07-27
US61/676,392 2012-07-27
PCT/US2013/051953 WO2014018710A1 (en) 2012-07-27 2013-07-25 Vent assembly and reservoir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209A true KR20150038209A (ko) 2015-04-08

Family

ID=4900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4488A KR20150038209A (ko) 2012-07-27 2013-07-25 통기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저장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501243B2 (ko)
EP (2) EP2877293B1 (ko)
JP (1) JP6306584B2 (ko)
KR (1) KR20150038209A (ko)
CN (1) CN104619424B (ko)
AU (2) AU2013295756B2 (ko)
BR (1) BR112015001800A2 (ko)
CA (1) CA2880201C (ko)
ES (1) ES2793149T3 (ko)
MX (1) MX2015001199A (ko)
NZ (2) NZ730364A (ko)
RU (1) RU2635706C2 (ko)
SG (1) SG11201500646WA (ko)
WO (1) WO2014018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403A (ko) 2013-03-29 2015-12-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통기식 용기 조립체
ITUB201653118U1 (it) 2016-03-01 2017-09-01 Cartotecnica Basic S N C Di Traverso Ruggero E C Serbatoio di vernice a gravità per pistola di verniciatura
CN110891694A (zh) * 2017-07-14 2020-03-17 3M创新有限公司 用于喷枪的流体递送组件
US20220401978A1 (en) * 2019-11-11 2022-1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nt assemblies
USD937968S1 (en) 2020-03-12 2021-12-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ainer
USD971725S1 (en) 2020-03-12 2022-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ainer lid
CN217450600U (zh) * 2022-01-07 2022-09-20 青岛汉柏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流体供应杯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774A (en) * 1909-02-23 1909-08-31 David P Foster Kettle-cover.
US3047186A (en) * 1957-12-06 1962-07-31 Anthony W Serio Vent knob
US3524589A (en) * 1968-06-14 1970-08-18 Paul P Pelton Jr Liquid-spray device
DE8702559U1 (ko) * 1987-02-19 1987-09-03 Meschenmoser, Kurt, 7992 Tettnang, De
US5038959A (en) * 1990-03-26 1991-08-13 Cafe 98 Industries Ltd. Coffee lid
US5148936A (en) 1991-04-05 1992-09-22 Aladdin Synergetics, Incorporated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JPH0568862A (ja) 1991-09-13 1993-03-23 Furukawa Alum Co Ltd コンテナ用回転ブレンダの駆動装置
JPH0568862U (ja) * 1991-10-25 1993-09-17 蝶プラ工業株式会社 通気栓付き密閉容器
US5750967A (en) * 1996-06-19 1998-05-12 Sprauer, Jr.; Joseph E. Microwavable container with steam vent valve
WO1998032539A1 (en) 1997-01-24 1998-07-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and disposable containers and liners suitable for use therewith
US6257450B1 (en) 1999-04-21 2001-07-10 Pechiney Plastic Packaging, Inc. Dual dispense container having cloverleaf orifice
US6536687B1 (en) 1999-08-16 2003-03-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xing cup adapting assembly
JP4646387B2 (ja) * 2000-12-01 2011-03-09 セレック株式会社 食品保存用容器
US20060243756A1 (en) * 2000-12-18 2006-11-02 Kevin Kawakita Gravity-fed liquid chemical dispensing bottle
US6622881B2 (en) 2001-06-14 2003-09-23 Hardigg Industries, Inc. Pressure relief valve for air-tight containers
DE10394145B4 (de) * 2002-12-10 2013-05-08 Martin Ruda Einwandiger Spritzpistolenbecher
JP3962377B2 (ja) * 2003-03-24 2007-08-22 News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システム容器
FR2859118B1 (fr) * 2003-08-26 2007-03-09 Michel Camilleri Godet jetable a monter sur un pistolet pour la preparation, l'application et la conservation d'une peinture
US7083119B2 (en) * 2003-09-25 2006-08-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curity clip for spray gun connector
DE102004003439B4 (de) 2004-01-22 2022-02-03 Sata Gmbh & Co. Kg Farbbechersystem für eine Farbspritzpistole
DE102004007733B4 (de) 2004-02-16 2014-02-13 Sata Gmbh & Co. Kg Fließbecher für eine Farbspritzpistole
US7568638B2 (en) * 2004-04-29 2009-08-04 Sata Gmbh & Co. Kg Ventilated gravity cup for a paint spray gun
US7175110B2 (en) 2004-12-21 2007-02-13 Anest Iwata Corporation Manual spray gun and associated disposable cup
US20070095943A1 (en) 2005-10-28 2007-05-03 Turnbull William N Liquid reservoir, and kit, spray assembly and method using same
US7731106B2 (en) * 2006-01-04 2010-06-08 Nano Mist International, Llc Air driven delivery system for sprayable media
EP1925562A1 (en) 2006-11-24 2008-05-28 Monsanto Europe N.V. Induction-sealable closure for liquid container
DE202007011604U1 (de) 2007-08-18 2009-01-02 Sata Gmbh & Co. Kg Anschlussteil zur Verbindung einer Materialzuführungseinrichtung an eine Spritzpistole
JP4234777B1 (ja) * 2008-05-30 2009-03-04 浩平 中村 接続構造
CN201702069U (zh) * 2010-02-11 2011-01-12 潘星钢 一种用于喷漆枪的流体储存器
FR2968581A1 (fr) * 2010-12-10 2012-06-15 Michel Camilleri Dispositif d'event automatique pour godet de pistolet a pein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95756A1 (en) 2015-02-19
CA2880201C (en) 2021-12-28
MX2015001199A (es) 2015-04-14
AU2016273976B2 (en) 2018-12-13
AU2013295756B2 (en) 2016-09-22
RU2015102044A (ru) 2016-09-20
EP2877293A1 (en) 2015-06-03
RU2635706C2 (ru) 2017-11-15
AU2016273976A1 (en) 2017-01-12
EP2877293B1 (en) 2020-03-11
ES2793149T3 (es) 2020-11-13
NZ730364A (en) 2018-07-27
CN104619424B (zh) 2017-08-04
BR112015001800A2 (pt) 2017-07-04
SG11201500646WA (en) 2015-05-28
JP6306584B2 (ja) 2018-04-04
JP2015526283A (ja) 2015-09-10
NZ704144A (en) 2017-04-28
EP3705188A1 (en) 2020-09-09
CA2880201A1 (en) 2014-01-30
US20150203259A1 (en) 2015-07-23
WO2014018710A1 (en) 2014-01-30
CN104619424A (zh) 2015-05-13
US10501243B2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8209A (ko) 통기 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저장기
US9815076B2 (en) Vented container assembly
US9795978B2 (en) Paint can adapter for handheld spray device
WO2016036620A1 (en) Cartridge
US11787620B2 (en) Valve holding device for pocket refill, pocket refill and refillable dispenser casing comprising same
RU2497599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двух или более текучих сред
EP3043925B1 (en) Paint can adapter for handheld spray device
KR101634654B1 (ko) 브러쉬를 구비하는 분사용기
CN110234437B (zh) 包含优化的进气阀的油漆容器
US20230145062A1 (en) Spray gun converter
WO2012032586A1 (ja) 噴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