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477A -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477A
KR20150037477A KR20140054020A KR20140054020A KR20150037477A KR 20150037477 A KR20150037477 A KR 20150037477A KR 20140054020 A KR20140054020 A KR 20140054020A KR 20140054020 A KR20140054020 A KR 20140054020A KR 20150037477 A KR20150037477 A KR 20150037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haft
spool shaft
unit
fish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448B1 (ko
Inventor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5003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본 스풀 유닛(9)은, 스풀축(20)과, 스풀(14)로 구성된다. 스풀축(20)은,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풀(14)은 스풀축(20)에 장착된다. 스풀 유닛(9)은, 노치(notch)부(114)와, 돌출부(116)를 가지고 있다. 노치부(114)는, 스풀(14) 및 스풀축(20)의 어느 일방(一方)에 설치된다. 노치부(114)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노치되어 있다. 돌출부(116)는, 스풀(14) 및 스풀축(20)의 어느 타방(他方)에 설치된다. 돌출부는, 노치부(114)에 계합(係合)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SPOOL UNIT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특히, 낚시용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풀축과,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는 스풀로 구성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 예를 들어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스풀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 유닛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축과, 스풀축에 장착되는 스풀을 가지고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스풀은, 줄 감기 몸통부와, 줄 감기 몸통부의 양단(兩端)에 설치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스풀은, 스풀축과 일체(一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줄 감기 몸통부의 관통 구멍에 배치된 계지(係止) 핀이, 스풀축의 계합(係合) 구멍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은 스풀축에 장착된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4307655호
종래의 스풀 유닛에서는, 스풀을 스풀축에 장착하는 경우, 우선, 스풀의 내주부(內周部)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형성된 축 장착 구멍에, 스풀축이 삽통(揷通)된다. 다음으로, 스풀의 줄 감기 몸통부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과, 스풀축의 계합 구멍이, 위치 맞춤된다. 다음으로, 계지 핀이, 스풀의 줄 감기 몸통부의 관통 구멍에 삽통되고, 계지 핀의 선단부(先端部)가 스풀축의 계합 구멍에 계합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 스풀의 축 장착 구멍에 스풀축이 삽통되면, 스풀축의 계합 구멍은 스풀의 축 장착 구멍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풀의 관통 구멍과 스풀축의 계합 구멍과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것이 어렵다. 즉, 스풀을 스풀축에 장착하는 경우의 조립 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은, 스풀축과, 스풀로 구성된다. 스풀축은, 낚시용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풀은 스풀축에 장착된다. 스풀 유닛은, 노치(notch)부와,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노치부는, 스풀 및 스풀축의 어느 일방(一方)에 설치된다. 노치부는,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노치되어 있다. 돌출부는, 스풀 및 스풀축의 어느 타방(他方)에 설치된다. 돌출부는 노치부에 계합한다.
본 스풀 유닛에서는, 돌출부가 계합하는 노치부가,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노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풀을 스풀축에 장착하는 경우, 스풀축을 스풀에 삽통하는 것만으로, 돌출부를 노치부에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즉, 스풀을 스풀축에 장착할 때에, 돌출부와 노치부를 시인(視認)하면서 계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풀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1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노치부가, 개구(開口) 단부(端部)와, 제1 당접부(當接部)와, 제2 당접부를 가지고 있다. 개구 단부는,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개구한다. 제1 당접부에는, 스풀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가 당접한다. 제2 당접부에는,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가 당접한다.
이 경우, 돌출부를 개구부로부터 노치부에 삽입하고, 이 돌출부를 제2 당접부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스풀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이 돌출부는, 제1 당접부에 의하여, 스풀축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스풀을 스풀축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스풀이, 스풀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스풀축은, 축 본체부와, 피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피장착부는, 축 본체부의 외주(外周)에 설치되고, 스풀이 장착된다. 노치부는,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장착부 및 피장착부의 어느 일방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 노치부가,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스풀의 장착부 및 스풀축의 피장착부의 어느 일방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의 장착부를 스풀축의 피장착부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를 노치부에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즉, 스풀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3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노치부가, 스풀의 장착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스풀축의 돌출부를, 스풀의 장착부의 단부의 노치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3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노치부가, 스풀축의 피장착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스풀의 돌출부를, 스풀축의 피장착부의 단부의 노치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5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노치부가,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된 홈부의 일부이다.
이 경우, 스풀의 돌출부를, 스풀축의 홈부를 따라 이동시키고, 홈부의 단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6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노치부가, 제1 당접부와, 제2 당접부를 가지고 있다. 제1 당접부에는, 스풀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가 당접한다. 제2 당접부에는,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가 당접한다. 홈부는, 제1 벽부와, 제2 벽부를 가지고 있다. 제1 벽부는, 스풀축의 회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벽부는,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벽부는 1 당접부를 포함하고 있고, 제2 벽부는 제2 당접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돌출부를 홈부를 따라 노치부에 삽입하고, 이 돌출부를, 스풀축의 노치부의 제2 당접부(홈부의 제2 벽부)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스풀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이 돌출부는, 스풀축의 노치부의 제1 당접부(홈부의 제1 벽부)에 의하여, 스풀축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스풀을 스풀축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돌출부가, 스풀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부가, 스풀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축을 스풀에 삽통하는 것만으로, 돌출부를 노치부에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즉, 스풀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스풀 및 스풀축의 어느 일방이, 스풀축의 직경 방향으로 설치된 장착 구멍을 가지고 있다. 돌출부는 장착 구멍에 장착된 돌출 핀이다.
이 경우, 돌출 핀을, 스풀 및 스풀축의 어느 일방에 설치된 장착 구멍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돌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9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돌출 핀이, 장착 구멍에 코킹(caulking)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 핀을 장착 구멍에 코킹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다른 부재를 특별히 준비하는 것 없이, 돌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하여, 돌출 핀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9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돌출 핀이, 장착 구멍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 핀을 장착 구멍에 접착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돌출 핀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1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9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장착 구멍이,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돌출 핀은, 암나사부에 나합(螺合)하는 수나사를 가지고 있다. 돌출 핀은, 장착 구멍에 나합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 핀을 장착 구멍에 나합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돌출 핀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발명 1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장착 구멍이, 스풀축에 설치된다. 장착 구멍은, 스풀축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돌출 핀은 스풀축의 직경보다 길다. 돌출 핀이 관통 구멍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돌출 핀의 양단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은, 스풀축보다 돌출한다.
이 경우, 돌출 핀을 관통 구멍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돌출 핀의 양단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이, 스풀축보다 돌출하기 때문에, 돌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1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8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스풀이, 스풀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는 절곡부(折曲部)이다. 돌출부 즉 절곡부는,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장착부의 단부가, 스풀축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꺾어 구부러져 형성된다.
이 경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장착부의 단부를, 스풀축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꺾어 구부리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발명 1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에서는, 발명 14에 기재된 스풀 유닛에 있어서, 절곡부가, 제3 당접부와, 제4 당접부를 가지고 있다. 제3 당접부는, 스풀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노치부와 당접한다. 제4 당접부는,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노치부가 당접한다.
이 경우, 절곡부의 제3 당접부가 노치부와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스풀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절곡부의 제4 당접부가 노치부와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스풀이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스풀을 스풀축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우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I-III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V-IV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스풀 유닛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스풀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스풀축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스풀축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풀 유닛의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풀 유닛의 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풀의 축 장착부의 측면도.
도 10c는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풀축의 단면도.
<제1 실시예>
1. 릴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양 베어링 릴(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트(bait cast)용의 양 베어링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1)와, 릴 본체(11)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스풀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핸들(12)과, 핸들(12)의 릴 본체(1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13)와, 스풀(14) 및 스풀축(20)으로 구성되는 스풀 유닛(9)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12)은, 암(arm)부(12a)와, 암부(1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12b)를 가진다. 암부(12a)는, 구동축(30)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너트(28)에 의하여 구동축(30)에 체결되어 있다. 핸들(12)은 후술하는 제2 측 커버(16b) 측에 배치된다.
2.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11)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1)는, 프레임(15)과, 프레임(15)의 양 측방에 장착된 제1 측 커버(16a) 및 제2 측 커버(16b)와, 축 지지부(35)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1)의 내부에는, 스풀(14)이, 스풀축(2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측 커버(16a)는, 제1 측판(15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측판(15a)의 외측(外側)을 덮는다. 제2 측 커버(16b)는, 제2 측판(15b)에 나사 멈춤 고정되고, 제2 측판(15b)의 외측을 덮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5) 내에는, 스풀(14)과,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손가락을 대는 부분으로 되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와, 스풀(14)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5)과 제2 측 커버(16b)의 사이에는, 기어 기구(19)와, 클러치 기구(21)와, 클러치 제어 기구(22)와, 드래그 기구(23)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 기구(19)는, 핸들(1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4) 및 레벨 와인드 기구(18)에 전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기어 기구(19)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0)과, 구동축(30)에 고정된 구동 기어(31)와, 구동 기어(31)에 맞물리는 통상(筒狀)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구동축(30)은, 제2 측판(15b) 및 제2 측 커버(16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축(30)은, 롤러형의 원웨이(one-way) 클러치(50)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역전(逆轉))이 금지되어 있다.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0)는, 제2 측 커버(16b)와 구동축(30)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어(31)는, 구동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구동축(30)과 드래그 기구(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21)는, 스풀(14)과 핸들(12)을 연결 및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1)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32)를 스풀축(20)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클러치 요크(yoke)(45)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클러치 오프(off) 위치로 조작되면, 클러치 요크(45)는, 피니언 기어(32)를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스풀(14)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on)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15a) 및 제2 측판(15b)의 사이의 후부(後部)에서 스풀(14) 후방(後方)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클러치 제어 기구(22)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가, 연결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드래그 기구(23)는, 스풀(14)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14)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스풀 제동 장치(26)는, 원심력의 작용에 의하여,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한다. 스풀 제동 장치(26)는, 프레임(15)과 제1 측 커버(16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2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66)과, 회전 부재(62)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브레이크 슈(64)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드럼(66)은, 브레이크 슈(64)의 직경 방향 내방(內方)에 있어서, 축 지지부(35)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 부재(62)는, 스풀축(20)에 압입(壓入) 등의 적의(適宜)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64)는, 스풀축(20)과 어긋나는 축 둘레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회전 부재(62)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26)에서는, 스풀(14)이 회전하면, 브레이크 슈(64)가, 원심력에 의하여 요동하고, 브레이크 드럼(66)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4)의 회전이 제동된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15b)을 관통하여, 스풀축(20) 방향으로 연장된다. 피니언 기어(32)는, 중심에 스풀축(20)이 관통하는 통상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32)는, 제2 측판(15b) 및 제2 측 커버(16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베어링 52 및 베어링 5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의 일단(一端)(도 4 좌단(左端))에는, 클러치 핀(21a)에 계합하는 계합 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니언 기어(32)와 클러치 핀(21a)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가 구성된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제어 기구(22)에 의하여,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시켜진다.
프레임(1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15a)과, 제1 측판(15a)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15b)과, 제1 측판(15a) 및 제2 측판(15b)을 전후(前後) 및 하부(下部)에서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연결부(15c)를 가지고 있다. 하측(下側)의 연결부(15c)에는, 낚싯대를 장착하기 위한 낚싯대 장착부(15d)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측판(15a)의 중앙부에는, 스풀축(20)의 축심(C)을 중심으로 하여 원형(圓形)으로 형성된 개구부(15e)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5e)에는, 축 지지부(35)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 유닛(9)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스풀(14)과 스풀축(20)으로 구성된다. 스풀(14)은, 스풀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스풀(14)은, 제1 측판(15a)과 제2 측판(15b)의 사이에 설치된다. 스풀(14)은,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14)은, 줄 감기 몸통부(14b)와, 플랜지부(14a)와, 연결부(14c)와, 축 장착부(14d)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14b)는,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부에 낚싯줄이 감긴다. 플랜지부(14a)는, 줄 감기 몸통부(14b)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연결부(14c)는, 줄 감기 몸통부(14b)와 축 장착부(14d)를 연결한다. 연결부(14c)는,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4c)는, 줄 감기 몸통부(14b)와 축 장착부(14d)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축 장착부(14d)는, 스풀(14)을 스풀축(20)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축 장착부(14d)는, 줄 감기 몸통부(14b)의 내주부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축 장착부(14d)는, 연결부(14c)의 내주부에 있어서, 연결부(14c)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축 장착부(14d)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축 장착부(14d)는, 스풀축(20)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64d)(도 6을 참조)을 가지고 있다. 축 장착부(14d)의 삽입 구멍(64d)에는, 스풀축(20)이 삽통되고, 스풀(14)이 스풀축(2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장착부(14d)는, 노치부(114)를 가지고 있다. 노치부(114)는, 축 장착부(14d)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치부(114)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노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노치부(114)는, 축 장착부(14d)의 단부에 있어서, 오목상(狀)으로 노치되어 있다. 노치부(114) 예를 들어 오목부는, 개구 단부(114a)와, 제1 당접부(114b)와, 제2 당접부(114c)를 가지고 있다. 개구 단부(114a)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을 향하여 개구한 부분이다. 제1 당접부(114b)는, 오목상의 노치부(114)에 있어서 서로 대향한 한 쌍의 벽부이다. 제1 당접부(114b)에는,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가 당접한다. 제2 당접부(114c)는, 오목상의 노치부(114)에 있어서의 저부(底部)이다. 제2 당접부(114c)에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돌출 핀(116)이 당접한다.
스풀축(20)은,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풀축(20)에는, 스풀(14)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스풀축(20)은 비자성(非磁性) 금속제이다. 스풀축(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15b)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16b)의 외방(外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20)은,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본체부(115)와, 돌출 핀(116)을 가지고 있다. 축 본체부(115)의 일단(도 4 좌단)은, 베어링(38a)을 통하여, 베어링 수납부(35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축 본체부(115)의 제2 측 커버(16b)의 외방으로 연장되는 타단(他端)(도 4 우단(右端))은, 베어링(38b)에 의하여, 제2 측 커버(16b)에 형성된 보스부(16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본체부(115)의 중간부에는, 대경부(大徑部)(20a)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20a)가 제2 측판(15b)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클러치 기구(21)를 구성하는 클러치 핀(21a)이, 직경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설치된다. 클러치 핀(21a)의 양단 각각은, 스풀축(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부(20a)는, 피장착부(120)를 가지고 있다. 피장착부(120)는, 대경부(20a)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다. 피장착부(120)에는, 스풀(14)의 축 장착부(14d)(도 6을 참조)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장착부(120)는, 축 장착부(14d)의 삽입 구멍(64d)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피장착부(120)는, 스풀축(20)의 직경 방향에 설치된 핀 장착 구멍(120a)(장착 구멍의 일례)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핀 장착 구멍(120a)은, 스풀축(20)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이다. 상세하게는, 핀 장착 구멍(120a)은, 후술하는 피장착부(120)의 제2 영역(R2)에 있어서, 스풀축(20)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핀 장착 구멍(120a)에는, 돌출 핀(116)(돌출부의 일례)이 장착된다. 돌출 핀(116)은, 예를 들어, 핀 장착 구멍(120a)에 코킹 고정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 핀(116)은, 피장착부(120)(축 본체부(115)의 외주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 핀(116)은, 피장착부(120)에 있어서의 축 본체부(115)의 직경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 핀(116)이 핀 장착 구멍(120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돌출 핀(116)의 양단부 각각은, 피장착부(120)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돌출 핀(116)의 양단부는, 스풀(14)의 축 장착부(14d)에 있어서의 노치부(114)에 계합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장착부(120)는,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과, 제3 영역(R3)을 가지고 있다.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과 제3 영역(R3)에는, 고정제 예를 들어 접착제가 도포된다. 덧붙여, 도 8에서는, 후술하는 제1 간극(間隙)(D1) 내지 제3 간극(D3)을, 실제의 간극보다도 확대하여 표시하고 있다.
제1 영역(R1)은, 스풀(14)을 스풀축(20)에 접착 고정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1 영역(R1)은, 피장착부(120)의 외주부에 환상(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영역(R1), 예를 들어 2개의 제1 영역(R1)이, 피장착부(120)의 외주부에 있어서,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제1 영역(R1)은, 2개의 제2 영역(R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의 사이에는, 단차(段差)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R1)의 직경은, 제2 영역(R2)의 직경보다 작다.
제1 영역(R1)과 스풀(14)의 삽입 구멍(64d)과의 사이에는, 제1 간극(D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간극(D1)에는 접착제가 배치된다. 제1 간극(D1)은, 후술하는 제2 간극(D2)보다 크다. 제1 간극(D1)은, 예를 들어 0.05mm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가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과 제3 영역(R3)에 도포된 상태로, 스풀축(20)을 스풀(14)의 삽입 구멍(64d)에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제1 간극(D1)에는 접착제가 배치된다. 접착제가 제1 간극(D1)에 배치되는 형태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3. 스풀 유닛의 조립 및 고정」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영역(R2)은, 주로 스풀(14)을 반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2 영역(R2)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이기도 하다. 제2 영역(R2)은, 피장착부(120)의 외주부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영역(R2), 예를 들어 2개의 제2 영역(R2)이, 피장착부(120)의 외주부에 있어서,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2개의 제2 영역(R2)은, 피장착부(120)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영역(R2)의 직경은, 제1 영역(R1)의 직경보다 크다.
제2 영역(R2)과 스풀(14)의 삽입 구멍(64d)과의 사이에는, 제2 간극(D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간극(D2)은, 스풀(14)을 반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제2 영역(R2) 둘레의 간극이기 때문에, 미소 간극이다. 제2 간극(D2)에는 접착제가 배치된다. 제2 간극(D2)은, 제1 간극(D1)보다 작다. 제2 간극(D2)은, 예를 들어 0.01mm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가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과 제3 영역(R3)에 도포된 상태로, 스풀축(20)을 스풀(14)의 삽입 구멍(64d)에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제2 간극(D2)에는, 제1 간극(D1)의 잉여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배치된다. 접착제가 제2 간극(D2)에 배치되는 형태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3. 스풀 유닛의 조립 및 고정」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영역(R3)은, 주로 접착제가 저류(貯留)되는 영역이다. 제3 영역(R3)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제3 간극(D3)에는, 제1 간극(D1)으로부터 배출된 잉여 접착제가 고인다. 제3 영역(R3)은, 피장착부(120)의 외주부에 환상으로 형성된 환상 홈이다. 제3 영역(R3)은, 2개의 제2 영역(R2)의 사이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영역(R3)은, 2개의 제1 영역(R1)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3 영역(R3)과 제1 영역(R1)의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영역(R3)의 직경은, 제1 영역(R1)의 직경 및 제2 영역(R2)의 직경보다 작다.
제3 영역(R3)과 스풀(14)의 삽입 구멍(64d)과의 사이에는, 제3 간극(D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간극(D3)은, 제1 간극(D1)보다 크다. 상세하게는, 제3 간극(D3)은, 제1 간극(D1) 및 제2 간극(D2)보다 크다. 제3 간극(D3)에는 접착제가 배치된다. 제3 간극(D3)은, 예를 들어 0.15mm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가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과 제3 영역(R3)에 도포된 상태로, 스풀축(20)을 스풀(14)의 삽입 구멍(64d)에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제3 간극(D3)에는, 제1 간극(D1)의 잉여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배치된다. 접착제가 제3 간극(D3)에 배치되는 형태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3. 스풀 유닛의 조립 및 고정」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제1 간극(D1), 제2 간극(D2), 및 제3 간극(D3)은, 스풀축(20)의 피장착부(120)(제1 영역(R1), 제2 영역(R2), 및 제3 영역(R3))의 외주면과, 스풀(14)의 삽입 구멍(64d)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에 의하여 정의되어 있다.
3. 스풀 유닛의 조립 및 고정
우선, 스풀축(20)의 피장착부(120)에 있어서의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과 제3 영역(R3)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다음으로, 스풀축(20)이, 스풀(14)의 축 장착부(14d)의 일단 측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하여, 스풀(14)의 축 장착부(14d)에 있어서의 삽입 구멍(64d)에 삽통된다. 계속하여, 스풀축(20)의 돌출 핀(116)(양단부)이, 스풀(14)의 축 장착부(14d)에 있어서의 노치부(114)에 계합된다. 상세하게는, 돌출 핀(116)은, 노치부(114)의 제1 당접부(114b) 및 제2 당접부(114c)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4)은, 스풀축(20)을 따른 방향(스풀축(20)의 축 방향), 및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스풀축(2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스풀축(20)의 피장착부(120)의 양단부 즉 피장착부(120)의 제2 영역(R2)이, 축 장착부(14d)의 삽입 구멍(64d)의 양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4)이, 스풀축(20)을 기준으로 한 반경 방향에 있어서, 스풀축(2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제2 영역(R2) 둘레의 제2 간극(D2)은, 미소 간극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가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과 제3 영역(R3)에 도포된 상태로, 스풀축(20)이, 스풀(14)의 축 장착부(14d)에 있어서의 삽입 구멍(64d)에 삽통되는 경우, 접착제에 작용하는 전단력(剪斷力)에 의하여, 접착제는 제1 간극(D1)에 균일하게 채워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영역(R1)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1 간극(D1)을, 스풀(14)의 축 장착부(14d)에 있어서의 삽입 구멍(64d)과 스풀축(20)의 피장착부(120)를 접착하기 위한 공간(접착 공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간극(D1)에 있어서 잉여로 된 잉여 접착제는, 제3 간극(D3)에 침입하고, 제3 간극(D3)이 채워진다. 이와 같이, 제3 영역(R3)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3 간극(D3)은, 접착 공간뿐만 아니라, 잉여 접착제의 저류 공간으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접착제는, 제2 영역(R2)에 의하여 막히고, 2개의 제2 영역(R2)의 사이(제1 간극(D1) 및 제3 간극(D3))에 보지(保持)된다. 또한, 2개의 제2 영역(R2)의 사이(제1 간극(D1) 및 제3 간극(D3))에 있어서 잉여로 된 잉여 접착제는, 제1 간극(D1)으로부터 제2 간극(D2)으로 밀려 나와, 제2 간극(D2)이 채워진다. 이것에 의하여, 제2 간극(D2)이 접착제에 의하여 균일하게 채워진다. 이와 같이, 제2 영역(R2)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간극(D2)을, 접착 공간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제1 간극(D1)은, 접착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제2 간극(D2)은, 제2 영역(R2)에 있어서 스풀축(20)에 대하여 스풀(14)을 반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접착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제3 간극(D3)은, 접착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제1 간극(D1)으로부터 침입한 잉여 접착제의 저류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착제가, 스풀(14)의 삽입 구멍(64d)과 스풀축(20)의 피장착부(120)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접착제가 굳어져, 스풀(14)이 스풀축(20)에 고정된다.
4. 특징
(A-1) 본 스풀 유닛(9)은, 스풀축(20)과, 스풀(14)로 구성된다. 스풀축(20)은,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풀(14)은 스풀축(20)에 장착된다. 스풀 유닛(9)은, 노치부(114)와, 돌출 핀(116)을 가지고 있다. 노치부(114)는 스풀(14)에 설치된다. 노치부(114)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노치되어 있다. 돌출 핀(116) 예를 들어 돌출 핀(116)의 선단부는, 스풀축(20)에 설치된다. 돌출 핀(116)은 노치부(114)에 계합한다.
본 스풀 유닛(9)에서는, 돌출 핀(116)이 계합하는 노치부(114)가,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노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풀(14)을 스풀축(20)에 장착하는 경우, 스풀축(20)을 스풀(14)에 삽통하는 것만으로, 돌출 핀(116)을 노치부(114)에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즉, 스풀(14)을 스풀축(20)에 장착할 때에, 돌출 핀(116)과 노치부(114)를 시인하면서 계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풀 유닛(9)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B-1) 본 스풀 유닛(9)에서는, 노치부(114)가, 개구 단부(114a)와, 제1 당접부(114b)와, 제2 당접부(114c)를 가지고 있다. 개구 단부(114a)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개구한다. 제1 당접부(114b)에는,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돌출 핀(116)이 당접한다. 제2 당접부(114c)에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돌출 핀(116)이 당접한다.
이 경우, 돌출 핀(116)을, 개구 단부(114a)로부터 노치부(114)에 삽입하고, 이 돌출 핀(116)을 제2 당접부(114c)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스풀(14)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이 돌출 핀(116)은, 제1 당접부(114b)에 의하여,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스풀(14)을 스풀축(20)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C-1) 본 스풀 유닛(9)에서는, 스풀(14)이, 스풀축(20)에 장착하기 위한 축 장착부(14d)를 가지고 있다. 스풀축(20)은, 축 본체부(115)와, 피장착부(120)를 가지고 있다. 피장착부(120)는, 축 본체부(115)의 외주에 설치되고, 스풀(14)이 장착된다. 노치부(114)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축 장착부(14d)의 단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 노치부(114)가,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스풀(14)의 축 장착부(14d)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14)의 축 장착부(14d)를 스풀축(20)의 피장착부(120)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돌출 핀(116)을 노치부(114)에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즉, 스풀 유닛(9)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D-1) 본 스풀 유닛(9)에서는, 돌출 핀(116)이, 스풀축(2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 핀(116)이, 스풀축(20)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축(20)을 스풀(14)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돌출 핀(116)을 노치부(114)에 용이하게 계합할 수 있다. 즉, 스풀 유닛(9)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E-1) 본 스풀 유닛(9)에서는, 스풀축(20)이 핀 장착 구멍(120a)을 가지고 있다. 돌출 핀(116)은, 핀 장착 구멍(120a)에 장착된 돌출 핀(116)이다. 이 경우, 돌출 핀(116)을, 스풀축(20)에 설치된 핀 장착 구멍(120a)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돌출 핀(116)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F-1) 본 스풀 유닛(9)에서는, 핀 장착 구멍(120a)이 스풀축(20)에 설치된다. 핀 장착 구멍(120a)은, 스풀축(20)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돌출 핀(116)은, 스풀축(20)의 직경보다 길다. 돌출 핀(116)이 관통 구멍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돌출 핀(116)의 양단부 각각은, 스풀축(20)보다 돌출한다. 이 경우, 돌출 핀(116)을 관통 구멍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돌출 핀(116)의 양단부 각각이, 스풀축(20)보다 돌출하기 때문에, 돌출 핀(116)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G-1) 본 스풀 유닛(9)에서는, 돌출 핀(116)이, 핀 장착 구멍(120a)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 핀(116)을 핀 장착 구멍(120a)에 코킹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다른 부재를 특별히 준비하는 것 없이, 돌출 핀(116)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하여, 돌출 핀(116)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스풀축(2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스풀축(20)의 구성을 제외하는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 생략된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의 설명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1. 스풀축의 구성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20)은, 축 본체부(115)와, 돌출 핀(116)을 가지고 있다. 축 본체부(115) 예를 들어 대경부(20a)의 피장착부(120)는, 스풀축(20)의 직경 방향으로 설치된 핀 장착 구멍(120a)을 가지고 있다. 핀 장착 구멍(120a)은, 피장착부(120)에 있어서 스풀축(20)의 직경 방향으로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부이다. 핀 장착 구멍(120a)에는, 돌출 핀(116)(돌출부의 일례)이 장착된다.
돌출 핀(116)은, 축 본체부(115)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 핀(116)은, 피장착부(120)에 있어서의 축 본체부(115)의 직경보다 짧고, 핀 장착 구멍(120a)의 깊이보다 길다. 돌출 핀(116)이 핀 장착 구멍(120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돌출 핀(116)의 일단부는, 스풀축(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돌출 핀(116)의 타단부는, 핀 장착 구멍(120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돌출 핀(116)은, 핀 장착 구멍(120a)에 코킹 고정된다.
2. 특징
(A-2) 본 스풀 유닛(9)에서는, 돌출 핀(116)의 일단부만을 돌출시키는 것뿐이기 때문에, 돌출 핀(116)을 핀 장착 구멍(120a)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B-2)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의 (E-1)을 제외하는 (A-1) 내지 (G-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스풀 유닛(9)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스풀 유닛(9)의 구성을 제외하는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 생략된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의 설명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1. 스풀 유닛의 구성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유닛(9)에서는, 주로, 스풀(14)과, 스풀축(20)으로 구성된다. 스풀(14)은, 줄 감기 몸통부(14b)와, 플랜지부(14a)와, 축 장착부(14d)를 가지고 있다.
축 장착부(14d)는, 장착부 본체(214a)와, 절곡부(214b)(돌출부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 본체(214a)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214b)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장착부 본체(214a)의 일단부를, 내주 측으로 꺾어 구부린 부분이다. 바꾸어 말하면, 절곡부(214b)는, 장착부 본체(214a)의 일단부를 스풀축(20) 측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꺾어 구부리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214b)는, 제3 당접부(214c)와, 제4 당접부(214d)를 가지고 있다. 제3 당접부(214c)는,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노치부(114)와 당접한다. 제4 당접부(214d)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노치부(114)가 당접한다.
스풀축(20)은, 축 본체부(115)와, 홈부(117)와, 피장착부(120)를 가지고 있다. 홈부(117)는, 축 본체부(115)의 외주부에 있어서,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홈부(117)는, 한 쌍의 제1 벽부(117a)(제1 당접부의 일례)와, 제2 벽부(117b)(제2 당접부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1 벽부(117a)는,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벽부(117b)는, 한 쌍의 제1 벽부(117a)를 연결하는 벽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벽부(117b)는, 홈부(117)의 단부를 형성하는 벽부이다.
홈부(117)는 노치부(114)를 포함하고 있다. 노치부(114)는, 홈부(117)에 있어서, 피장착부(120)에 설치된 부분이다. 노치부(114)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스풀축(20)의 피장착부(1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노치부(114)는, 한 쌍의 제1 당접부(114b)(한 쌍의 제1 벽부(117a)의 일부)와, 제2 당접부(114c)(제2 벽부(117b))를 가지고 있다.
도 10a 및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당접부(114b)는, 제1 벽부(117a)의 일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당접부(114b)는, 피장착부(120)의 단부 또한 제1 벽부(117a)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당접부(114b)에는,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절곡부(214b)의 제3 당접부(214c)가 당접한다. 제2 당접부(114c)는 제2 벽부(117b)이다. 제2 당접부(114c)에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곡부(214b)의 제4 당접부(214d)가 당접한다.
2. 특징
(A-3) 스풀 유닛(9)에서는, 노치부(114)가,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된 홈부(117)의 일부이다. 이 경우, 스풀(14)의 절곡부(214b)를, 스풀축(20)의 홈부(117)를 따라 이동시키고, 홈부(117)의 단부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유닛(9)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B-3) 본 스풀 유닛(9)에서는, 노치부(114)가, 제1 당접부(114b)와, 제2 당접부(114c)를 가지고 있다. 제1 당접부(114b)에는,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절곡부(214b)가 당접한다. 제2 당접부(114c)에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곡부(214b)가 당접한다. 홈부(117)는, 제1 벽부(117a)와, 제2 벽부(117b)를 가지고 있다. 제1 벽부(117a)는,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벽부(117b)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벽부(117a)는 제1 당접부(114b)를 포함하고 있고, 제2 벽부(117b)는 제2 당접부(114c)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절곡부(214b)를 스풀축(20)의 홈부(117)에 삽입하고, 이 절곡부(214b)를, 노치부(114)의 제2 당접부(114c)(제2 벽부(117b))에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스풀(14)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이 절곡부(214b)는, 노치부(114)의 제1 당접부(114b)(제1 벽부(117a)의 일부)에 의하여,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스풀(14)을 스풀축(20)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C-3) 본 스풀 유닛(9)에서는, 스풀(14)이, 스풀축(20)에 장착하기 위한 축 장착부(14d)를 가지고 있다. 절곡부(214b)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축 장착부(14d)의 단부가, 스풀축(20)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꺾어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축 장착부(14d)의 단부를, 스풀축(20)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꺾어 구부리는 것에 의하여, 돌출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D-3) 본 스풀 유닛(9)에서는, 절곡부(214b)가, 제3 당접부(214c)와, 제4 당접부(214d)를 가지고 있다. 제3 당접부(214c)는,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노치부(114)의 제1 당접부(114b)에 당접한다. 제4 당접부(214d)는,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노치부(114)의 제2 당접부(114c)에 당접한다. 이 경우, 절곡부(214b)의 제3 당접부(214c)가 노치부(114)의 제1 당접부(114b)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2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스풀(14)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절곡부(214b)의 제4 당접부(214d)가 노치부(114)의 제2 당접부(114c)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20)을 따르는 방향에 대하여, 스풀(14)이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스풀(14)을 스풀축(20)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돌출 핀(116)이, 코킹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돌출 핀(116)의 고정 형태는, 어떻게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돌출 핀(116)을, 핀 장착 구멍(120a)에 접착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핀 장착 구멍(120a)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돌출 핀(116)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돌출 핀(116)을 핀 장착 구멍(120a)에 나합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돌출 핀(116)이 스풀축(20)에 설치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돌출 핀(116)을 스풀(14)에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핀 장착 구멍(120a)이, 스풀(14)의 축 장착부(14d)에 형성된다. 또한, 돌출 핀(116)이 계합하는 홈부(117)(노치부(114))가, 상기 제3 실시예와 같이, 스풀축(20)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낚시용 릴 및 스풀 유닛에 넓게 이용 가능하다.
9: 스풀 유닛
11: 릴 본체
14: 스풀
10: 양 베어링 릴
20: 스풀축
14: 스풀
14d: 축 장착부
64d: 삽입 구멍
114: 노치부
114a: 개구 단부
114b: 제1 당접부
114c: 제2 당접부
115: 축 본체부
116: 돌출 핀
117: 홈부
120: 피장착부
120a: 핀 장착 구멍
214b: 절곡부
214c: 제3 당접부
214d: 제4 당접부
R1: 제1 영역
R2: 제2 영역
R3: 제3 영역
D1: 제1 간극
D2: 제2 간극
D3: 제3 간극

Claims (15)

  1. 낚시용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풀축과,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는 스풀로 구성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이고,
    상기 스풀 및 상기 스풀축의 어느 일방(一方)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노치(notch)된 노치부와,
    상기 스풀 및 상기 스풀축의 어느 타방(他方)에 설치되고, 상기 노치부에 계합(係合)하는 돌출부
    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개구(開口)하는 개구 단부(端部)와, 상기 스풀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당접(當接)하는 제1 당접부와, 상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당접하는 제2 당접부를 가지고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스풀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스풀축은, 축 본체부와, 상기 축 본체부의 외주(外周)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이 장착되는 피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및 피장착부의 어느 일방의 단부(端部)에 설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스풀의 상기 장착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스풀축의 상기 피장착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된 홈부의 일부인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스풀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당접하는 제1 당접부와, 상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당접하는 제2 당접부를 가지고,
    상기 홈부는, 상기 스풀축의 회전 방향으로 설치된 제1 벽부와, 상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된 제2 벽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벽부는 상기 1 당접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벽부는 상기 제2 당접부를 포함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풀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및 상기 스풀축의 어느 일방은, 상기 스풀축의 직경 방향으로 설치된 장착 구멍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착 구멍에 장착된 돌출 핀인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핀은, 상기 장착 구멍에 코킹(caulking) 고정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핀은, 상기 장착 구멍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멍은,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 핀은, 상기 암나사부에 나합(螺合)하는 수나사를 가지고,
    상기 돌출 핀은, 상기 장착 구멍에 나합 고정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멍은, 상기 스풀축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축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고,
    상기 돌출 핀은 상기 스풀축의 직경보다 길고,
    상기 돌출 핀이 상기 관통 구멍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 핀의 양단부(兩端部)의 적어도 어느 일방이, 상기 스풀축보다 돌출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스풀축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의 단부가, 상기 스풀축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꺾어 구부러진 절곡부(折曲部)인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스풀축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와 당접하는 제3 당접부와, 상기 스풀축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가 당접하는 제4 당접부를 가지는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KR1020140054020A 2013-09-30 2014-05-07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KR102240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3880 2013-09-30
JP2013203880A JP6376739B2 (ja) 2013-09-30 2013-09-30 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77A true KR20150037477A (ko) 2015-04-08
KR102240448B1 KR102240448B1 (ko) 2021-04-14

Family

ID=5273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020A KR102240448B1 (ko) 2013-09-30 2014-05-07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15555B2 (ko)
JP (1) JP6376739B2 (ko)
KR (1) KR102240448B1 (ko)
CN (1) CN104509501B (ko)
MY (1) MY168638A (ko)
TW (1) TWI6194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8679B2 (ja) * 2016-05-24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45695B2 (ja) * 2017-01-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1058100B1 (en) 2018-06-01 2021-07-13 Jeff Crawford, Jr. Open face fishing reel with quick-release spool
JP7166095B2 (ja) * 2018-07-19 2022-11-0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394555B1 (en) * 2018-12-17 2019-08-27 Bakhtgerey Sinchev Computing network architecture for reducing a computing operation time and memory usage associated with determining, from a set of data elements, a subset of at least two data elements, associated with a target computing operation result
JP1653951S (ko) * 2019-10-25 2020-03-02
JP1677922S (ko) * 2020-09-09 2021-01-25
US11671686B1 (en) 2020-09-18 2023-06-06 Apple Inc. Camera module subcomponents attached via vertically-spread adhesive
US11546142B1 (en) 2021-12-22 2023-01-03 Bakhtgerey Sinchev Cryptography key generation method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8440A (en) * 1946-04-17 1948-03-23 Occan City Mfg Company Spool for fishing reels
JPS55172085U (ko) * 1979-05-30 1980-12-10
JPH0515768U (ja) * 1991-08-19 1993-03-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5746381A (en) * 1995-06-07 1998-05-05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clutch mechanism utilizing an engaging protrusion and engaging recesses
JP4307655B2 (ja) 1999-10-19 2009-08-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18330A (fr) * 1919-04-23 1921-05-23 Thomas Lenaghan Perfectionnements aux systèmes téléphoniques automatiques
JPS4950484U (ko) * 1972-08-14 1974-05-02
JPS61197869U (ko) * 1985-05-31 1986-12-10
US4746079A (en) * 1986-05-22 1988-05-24 Newell Carl W Spool for fishing reel
US4805849A (en) * 1986-11-08 1989-02-21 Daiwa Seiko Inc. Spool in a double-bearing type fishing reel
US5333812A (en) * 1991-06-07 1994-08-02 Shimano Inc. Clutch structure for a fishing reel
JP3033414U (ja) * 1996-07-10 1997-01-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SG80003A1 (en) * 1997-12-10 2001-04-17 Shimano Kk Mechanical assembly with incompatible metallic materials
US6032894A (en) * 1998-05-14 2000-03-07 Johnson Worldwide Assoicates, Inc. Cartridge spool system for bait cast fishing reel
JP2002058399A (ja) * 2000-08-22 2002-02-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ロック機構
JP3977730B2 (ja) * 2002-12-03 2007-09-1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部品
JP4785448B2 (ja) * 2005-07-20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部品
JP5205176B2 (ja) * 2008-08-18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270441B2 (ja) * 2009-04-28 2013-08-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5746462B2 (ja) * 2009-08-20 2015-07-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連結構造
JP5349348B2 (ja) * 2010-01-22 2013-11-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US8746604B2 (en) * 2011-03-04 2014-06-10 Shimano Inc. Fishing reel
JP5956740B2 (ja) * 2011-11-08 2016-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8440A (en) * 1946-04-17 1948-03-23 Occan City Mfg Company Spool for fishing reels
JPS55172085U (ko) * 1979-05-30 1980-12-10
JPH0515768U (ja) * 1991-08-19 1993-03-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5746381A (en) * 1995-06-07 1998-05-05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clutch mechanism utilizing an engaging protrusion and engaging recesses
JP4307655B2 (ja) 1999-10-19 2009-08-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09501A (zh) 2015-04-15
CN104509501B (zh) 2019-07-30
TW201511676A (zh) 2015-04-01
MY168638A (en) 2018-11-26
KR102240448B1 (ko) 2021-04-14
TWI619436B (zh) 2018-04-01
JP2015065913A (ja) 2015-04-13
JP6376739B2 (ja) 2018-08-22
US9615555B2 (en) 2017-04-11
US20150090825A1 (en)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7477A (ko) 낚시용 릴의 스풀 유닛
JP2015065913A5 (ko)
KR20150037478A (ko) 낚시용 릴
JP2015065914A5 (ko)
KR101979018B1 (ko)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및 낚시용 릴
KR102278089B1 (ko) 양 베어링 릴
US8882014B2 (en) Fishing-reel reel unit and fishing reel
JP614095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5065961A5 (ko)
US10433531B2 (en) Handle assembly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US20150136889A1 (en) Spinning reel
KR101998090B1 (ko) 낚시용 릴의 릴 본체, 낚시용 릴 및 낚시용 릴의 릴 본체 제조 방법
KR20180133199A (ko) 낚시용 릴
US4394991A (en) Double bearing fishing reel
KR102583872B1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JP2523890Y2 (ja) 両軸受リール
JP2005328755A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H09313079A (ja) リアドラグ型スピニング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CN110024759B (zh) 双轴承渔线轮
JP2009072100A (ja) 魚釣用リ−ル
JP2001112386A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