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063A - 반도체 메모리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063A
KR20150037063A KR20130116279A KR20130116279A KR20150037063A KR 20150037063 A KR20150037063 A KR 20150037063A KR 20130116279 A KR20130116279 A KR 20130116279A KR 20130116279 A KR20130116279 A KR 20130116279A KR 20150037063 A KR20150037063 A KR 2015003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ine
input
segment input
page size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990B1 (ko
Inventor
김기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990B1/ko
Priority to US14/160,873 priority patent/US9672170B2/en
Publication of KR2015003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5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changing the path, e.g. traffic rerouting, path re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페이지 사이즈 신호 및 복수의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각각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복수의 입/출력 스위치; 및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을 한 쌍 단위로 그 데이터 라인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는 페이지 사이즈(Page Size)에 대한 스펙(Specification)에 맞도록 설계된다.
이때 페이지 사이즈는 반도체 메모리의 액티브 동작 시 동시에 동작하는 비트 라인의 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2KB의 페이지 사이즈에 맞도록 설계된 반도체 메모리(10)의 코어(Core) 구조를 나타낸다.
이때 코어는 메모리 블록인 뱅크(Bank)를 포함할 수 있다.
뱅크는 상부 뱅크(BK_UP)와 하부 뱅크(BK_DN)로 구분될 수 있다.
페이지 사이즈가 2KB라는 것은 뱅크의 컬럼(Column)이 2KB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하나의 워드 라인(WL)이 활성화됨에 따라 2KB의 비트 라인이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코어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단위 메모리 블록 즉, 매트(MAT) 별로 상/하에 각각 4개의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SIO)이 연결된다.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SIO)은 입/출력 스위치(IOSW)를 통해 로컬 입/출력 라인(LIO)과 연결되어, 상부 뱅크(BK_UP) 또는 하부 뱅크(BK_DN)에서 각 매트(MAT) 별로 8개씩 총 16개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한편, 도 3은 4KB의 페이지 사이즈에 맞도록 설계된 반도체 메모리(20)의 코어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부 뱅크(BK_UP)와 하부 뱅크(BK_DN) 각각에서 하나씩 동시에 두 개의 워드 라인(WL)이 활성화됨에 따라 4KB의 비트 라인이 동시에 동작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코어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2개의 매트(MAT)가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SIO)을 공유한다.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SIO)은 입/출력 스위치(IOSW)를 통해 로컬 입/출력 라인(LIO)과 연결되어, 상부 뱅크(BK_UP)와 하부 뱅크(BK_DN) 각각에서 8개씩 총 16개의 데이터가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는 페이지 사이즈 별로 코어 구조가 다르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를 페이지 사이즈에 따라 별도의 칩으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코어 구조로 서로 다른 페이지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페이지 사이즈 신호 및 복수의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각각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복수의 입/출력 스위치; 및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을 한 쌍 단위로 그 데이터 라인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고 제 1 로컬 입/출력 라인을 공유하는 제 1 및 제 2 단위 메모리 블록; 및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고 제 2 로컬 입/출력 라인을 공유하는 제 3 및 제 4 단위 메모리 블록을 포함하며, 페이지 사이즈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 또는 분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페이지 사이즈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는 하나의 코어 구조로 서로 다른 페이지 사이즈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페이지 사이즈가 2KB인 반도체 메모리(1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페이지 사이즈가 4KB인 반도체 메모리(2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100)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입/출력 스위치 제어부(IOSWCTRLU)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입/출력 스위치 제어부(IOSWCTRLD)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100)는 메모리 블록인 뱅크(Bank) 및 복수의 제어부(IOSWCTRLU, IOSWCTRLD)를 포함할 수 있다.
뱅크는 제 1 메모리 블록 즉, 상부 뱅크(BK_UP)와 제 2 메모리 블록 즉, 하부 뱅크(BK_DN)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뱅크(BK_UP)는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복수의 입/출력 스위칭부(IOSW) 및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위 메모리 블록은 매트(MAT)가 될 수 있다.
복수의 매트(MAT) 각각에 대하여 입/출력 스위칭부(IOSW)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입/출력 스위칭부(IOSW)는 제 1 신호 라인(SIO)과 제 2 신호 라인(LIO) 사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입/출력 스위칭부(IOSW)는 복수의 제 2 제어 신호 쌍(IOSWENU0/IOSWEND0 - IOSWENUn+1/IOSWENDn+1)에 응답하여 제 1 신호 라인(SIO)과 제 2 신호 라인(LIO)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신호 라인(SIO)은 세그먼트(Segment) 입/출력 라인으로서, 매트(MAT)의 비트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신호 라인(LIO)은 로컬 입/출력 라인이 될 수 있다.
입/출력 스위칭부(IOSW)는 자신과 연결되는 제 1 신호 라인(SIO) 수만큼의 입/출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 라인(SIO0<0:3>)의 예를 들면, 입/출력 스위칭부(IOSW)는 4개의 입/출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매트(MAT)의 상부와 하부에 대하여 각각 입/출력 스위칭부(IOSW)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칭부(110)는 각각 한 쌍의 매트(MAT)에 각각 연결된 두 입/출력 스위칭부(IOSW)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칭부(110)는 각각 복수의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
각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에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를 입력 받고, 소오스가 두 입/출력 스위칭부(IOSW)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드레인이 두 입/출력 스위칭부(IOSW) 중에서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매트(MAT)는 인접한 두 매트(MAT)가 될 수 있다.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칭부(110)는 각각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에 응답하여 한 쌍의 매트(MAT)에 각각 연결된 두 입/출력 스위칭부(IOSW)를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는 모드 레지스터 또는 테스트 모드 등을 통하여 그 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퓨즈 또는 본딩 패드 등을 이용하여 특정 값(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하부 뱅크(BK_DN)는 복수의 매트(MAT), 복수의 입/출력 스위칭부(IOSW) 및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매트(MAT) 각각에 대하여 입/출력 스위칭부(IOSW)가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스위칭부(IOSW)는 제 1 신호 라인(SIO)과 제 2 신호 라인(LIO)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스위칭부(IOSW)는 자신과 연결되는 제 1 신호 라인(SIO) 수만큼의 입/출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 라인(SIO0<0:3>)인 경우, 입/출력 스위칭부(IOSW)는 4개의 입/출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매트(MAT)의 상부와 하부에 대하여 각각 입/출력 스위칭부(IOSW)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칭부(110)는 각각 한 쌍의 매트(MAT)에 각각 연결된 두 입/출력 스위칭부(IOSW)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매트(MAT)는 인접한 두 매트(MAT)가 될 수 있다.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칭부(110)는 각각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에 응답하여 한 쌍의 매트(MAT)에 각각 연결된 두 입/출력 스위칭부(IOSW)를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부(IOSWCTRLU, IOSWCTRLD)는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 및 복수의 제 1 제어 신호(IOSWEN0 - IOSWENn+1)에 응답하여 한 쌍의 매트(MAT)에 각각 연결된 두 입/출력 스위칭부(IOSW) 모두 또는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제어 신호 쌍(IOSWENU0/IOSWEND0 - IOSWENUn+1/IOSWENDn+1)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 1 제어 신호(IOSWEN0 - IOSWENn+1) 즉, 입/출력 스위치 활성화 신호는 로우 액티브(Row Active)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우 액티브 신호에 의해 하나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됨에 따라, 활성화된 워드 라인에 해당하는 매트(MAT)와 연관된 한 쌍의 제 1 제어 신호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어부(IOSWCTRLU) 각각은 복수의 로직 게이트(121 - 1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어부(IOSWCTRLU) 각각은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제 1 페이지 사이즈(예를 들어, 2KB)를 정의하는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인 경우, 제 1 제어 신호(IOSWEN)를 제 2 제어 신호 쌍(IOSWENU/IOSWEND)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부(IOSWCTRLU) 각각은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제 2 페이지 사이즈(예를 들어, 4KB)를 정의하는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인 경우, 제 1 제어 신호(IOSWEN)와 상관없이 제 2 제어 신호(IOSWEND)를 로우 레벨로 비 활성화시키고, 제 1 제어 신호(IOSWEN)를 제 2 제어 신호(IOSWENU)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어부(IOSWCTRLD) 각각은 복수의 로직 게이트(131 - 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어부(IOSWCTRLD) 각각은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제 1 페이지 사이즈(예를 들어, 2KB)를 정의하는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인 경우, 제 1 제어 신호(IOSWEN)를 제 2 제어 신호 쌍(IOSWENU/IOSWEND)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부(IOSWCTRLD) 각각은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제 2 페이지 사이즈(예를 들어, 4KB)를 정의하는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인 경우, 제 1 제어 신호(IOSWEN)와 상관없이 제 2 제어 신호(IOSWENU)를 로우 레벨로 비 활성화시키고, 제 1 제어 신호(IOSWEN)를 제 2 제어 신호(IOSWEND)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의 동작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제 1 페이지 사이즈(2KB)를 정의하는 하이 레벨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제 1 페이지 사이즈(2KB)를 정의하는 경우, 하나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뱅크(BK_UP)에서 하나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됨에 따라 복수의 제 1 제어 신호(IOSWEN0 - IOSWENn+1) 중에서 제 1 제어 신호 쌍(IOSWEN0/IOSWEN1)이 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로우 레벨이므로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칭부(110)가 턴 오프 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제 1 신호 라인들은 모두 분리된다.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로우 레벨이므로 제 1 제어 신호 쌍(IOSWEN0/IOSWEN1)을 입력 받는 제어부들(IOSWCTRLU)은 제 2 제어 신호들(IOSWENU0, IOSWEND0, IOSWENU1, IOSWENU1)을 모두 하이 레벨로 활성화시킨다.
제 1 제어 신호 쌍(IOSWEN0/IOSWEN1)을 제외한 나머지 제 1 제어 신호들(IOSWEN2 - IOSWENn+1)을 입력 받는 제어부들(IOSWCTRLU, IOSWCTRLD)은 제 2 제어 신호들(IOSWENU2, IOSWEND2 - IOSWENUn+1, IOSWENUn+1)을 모두 로우 레벨로 비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제 2 제어 신호들 제 2 제어 신호들(IOSWENU0, IOSWEND0, IOSWENU1, IOSWENU1)에 의해 턴 온된 상부 뱅크(BK_UP)의 입/출력 스위칭부들(IOSW)이 제 1 신호 라인들(SIO0<0:3>, SIO0<4:7>, SIO1<0:3>, SIO1<4:7>)과 제 2 신호 라인들(LIO<0:3><4:7><8:11><12:15>)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부 뱅크(BK_UP)의 각 매트(MAT)에서 8개씩 총 16개의 데이터가 제 2 신호 라인들(LIO<0:3><4:7><8:11><12:15>)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제 2 페이지 사이즈(4KB)를 정의하는 하이 레벨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제 2 페이지 사이즈(4KB)인 경우, 두 개의 워드 라인이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두 개의 워드 라인이 동시에 활성화됨에 따라, 활성화된 워드 라인 각각에 해당하는 매트(MAT)와 연관된 한 쌍의 제 1 제어 신호가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상부 뱅크(BK_UP)와 하부 뱅크(BK_DN) 각각에서 하나씩의 워드 라인이 활성화됨에 따라 복수의 제 1 제어 신호(IOSWEN0 - IOSWENn+1) 중에서 두 쌍의 제 1 제어 신호 IOSWEN0/IOSWEN1와 IOSWENn/IOSWENn+1이 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하이 레벨이므로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칭부(110)가 턴 온 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제 1 신호 라인들 즉, SIO0<0:3>과 SIO1<0:3>이 연결되고, SIO0<4:7>과 SIO1<4:7>이 연결된다.
페이지 사이즈 신호(4KEN)가 하이 레벨이므로 제 1 제어 신호 쌍(IOSWEN0/IOSWEN1)을 입력 받는 제어부들(IOSWCTRLU)은 제 2 제어 신호들(IOSWEND0, IOSWEND1)을 로우 레벨로 비 활성화시키고, 제 2 제어 신호들(IOSWENU0, IOSWENU1)을 하이 레벨로 활성화시킨다.
제 1 제어 신호 쌍(IOSWENn/IOSWENn+1)을 입력 받는 제어부들(IOSWCTRLD)은 제 2 제어 신호들(IOSWENUn, IOSWENUn+1)을 로우 레벨로 비 활성화시키고, 제 2 제어 신호들(IOSWENDn, IOSWENDn+1)을 하이 레벨로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제 2 제어 신호들(IOSWENU0, IOSWENU1, IOSWENDn, IOSWENDn+1)에 의해 턴 온된 입/출력 스위칭부들(IOSW)이 제 1 신호 라인들(SIO0<0:3>, SIO0<4:7>, SIO1<0:3>, SIO1<4:7>)과 제 2 신호 라인들(LIO<0:3><4:7><8:11><12:15>)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부 뱅크(BK_UP)와 하부 뱅크(BK_DN) 각각의 매트(MAT)에서 8개씩 총 16개의 데이터가 제 2 신호 라인들(LIO<0:3><4:7><8:11><12:15>)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페이지 사이즈 신호 및 복수의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각각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복수의 입/출력 스위치; 및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을 한 쌍 단위로 그 데이터 라인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가 제 1 페이지 사이즈를 정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서로 간의 데이터 라인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중에서 제 1 그룹에 속하는 단위 메모리 블록들에 대하여 한 쌍 단위로 데이터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중에서 제 2 그룹에 속하는 단위 메모리 블록들에 대하여 한 쌍 단위로 데이터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도체 메모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가 제 2 페이지 사이즈를 정의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을 한 쌍 단위로 그 데이터 라인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중에서 제 1 그룹에 속하는 단위 메모리 블록들에 대하여 한 쌍 단위의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의 단위 메모리 블록 중에서 제 2 그룹에 속하는 단위 메모리 블록들에 대하여 한 쌍 단위의 어느 하나의 데이터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도체 메모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제어 신호는 로우 액티브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반도체 메모리.
  7.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고 제 1 로컬 입/출력 라인을 공유하는 제 1 및 제 2 단위 메모리 블록; 및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고 제 2 로컬 입/출력 라인을 공유하는 제 3 및 제 4 단위 메모리 블록을 포함하며,
    페이지 사이즈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 또는 분리함으로써 서로 다른 페이지 사이즈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중에서 하나를 상기 제 1 로컬 입/출력 라인과 연결하고,
    상기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중에서 하나를 상기 제 2 로컬 입/출력 라인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가 제 1 페이지 사이즈를 정의하는 경우,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1 로컬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2 로컬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거나,
    상기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1 로컬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2 로컬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가 제 2 페이지 사이즈를 정의하는 경우,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상기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또는 상기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1 로컬 입/출력 라인과 연결하고,
    상기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또는 상기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2 로컬 입/출력 라인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 또는 분리하고, 상기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과 상기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페이지 변경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및 상기 제 3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각각을 상기 제 1 로컬 입/출력 라인과 연결하고, 상기 제 2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및 상기 제 4 세그먼트 입/출력 라인 각각을 상기 제 2 로컬 입/출력 라인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입/출력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페이지 사이즈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입/출력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는 로우 액티브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 반도체 메모리.
KR1020130116279A 2013-09-30 2013-09-30 반도체 메모리 KR10211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279A KR102114990B1 (ko) 2013-09-30 2013-09-30 반도체 메모리
US14/160,873 US9672170B2 (en) 2013-09-30 2014-01-22 Semiconductor mem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279A KR102114990B1 (ko) 2013-09-30 2013-09-30 반도체 메모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063A true KR20150037063A (ko) 2015-04-08
KR102114990B1 KR102114990B1 (ko) 2020-05-26

Family

ID=52745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279A KR102114990B1 (ko) 2013-09-30 2013-09-30 반도체 메모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72170B2 (ko)
KR (1) KR1021149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016A (en) * 1998-12-04 2000-03-21 Intel Corporation Optimizing page size in mixed memory array using address multiplexing
US20030081492A1 (en) * 2001-10-26 2003-05-01 Farrell Todd D. Memory device operable in either a high-power, full-page size mode or a low-power, reduced-page size mode
US20090196103A1 (en) * 2008-02-04 2009-08-06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configurable page size
KR20100083219A (ko) * 2009-01-13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지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016A (en) * 1998-12-04 2000-03-21 Intel Corporation Optimizing page size in mixed memory array using address multiplexing
US20030081492A1 (en) * 2001-10-26 2003-05-01 Farrell Todd D. Memory device operable in either a high-power, full-page size mode or a low-power, reduced-page size mode
US20090196103A1 (en) * 2008-02-04 2009-08-06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configurable page size
KR20100083219A (ko) * 2009-01-13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지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990B1 (ko) 2020-05-26
US20150095522A1 (en) 2015-04-02
US9672170B2 (en) 201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98206A1 (en) Folded memory modules
US7723867B2 (en) Power gating of circuits
JP2002305436A (ja) 高速スイッチングエミッタホロワ装置
US10762019B2 (en) Bus sharing scheme
US9153533B2 (en) Microelectronic elements with master/slave configurability
KR100628550B1 (ko) 아키텍처와 로직옵션을 정합하는 방법 및 장치
TW201843468A (zh) 包括測試焊盤的半導體積體電路裝置
US84223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test mode signals
KR20050022836A (ko) 반도체 장치의 온 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및 방법
KR102114990B1 (ko) 반도체 메모리
US9123438B2 (en) Configurable delay circuit and method of clock buffering
TW201921345A (zh) 具有多模式通訊機制之記憶體裝置
US20170060801A1 (en) Semiconducto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576488B1 (ko) 센스앰프를 공유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60028756A (ko) 퓨즈 블록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US9396773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060025776A (ko) 복수의 로컬 입출력 데이터 버스가 세그먼트 입출력데이터 버스를 공유하는 반도체 기억 소자
KR10106967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541687B1 (ko)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JP7417293B2 (ja) 論理集積回路及び論理集積回路による制御方法
KR2012008766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62845B1 (ko) 글로벌 라인 제어회로
KR100546297B1 (ko) 반도체 집적회로
KR20150025765A (ko) 반도체 장치
KR20000022623A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반도체 기억 장치의 데이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