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164A - 방향족 알킬화 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족 알킬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164A
KR20150036164A KR20157001780A KR20157001780A KR20150036164A KR 20150036164 A KR20150036164 A KR 20150036164A KR 20157001780 A KR20157001780 A KR 20157001780A KR 20157001780 A KR20157001780 A KR 20157001780A KR 20150036164 A KR20150036164 A KR 20150036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ert gas
feedstock
impurities
temperature
ad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045B1 (ko
Inventor
브라이언 매르츠
더글라스 허벨
마루티 반다카
비재이 난다
Original Assignee
바져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져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바져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3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 C07C7/13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by molecular-sieve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01J20/0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comprising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comprising baux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52Several layers of identical or different sorbents stacked in a housing, e.g. in a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08Regenerating or reactivating of aluminosilicate molecular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5Regenerating or reactivating using a particular desorbing compound o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 C07C2/5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to saturated hydrocarbons or to hydrocarbon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
    • C07C2/64Addition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6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C07C2529/04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pillared clays
    • C07C2529/06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Abstract

방향족 탄화수소 공급원료를 올레핀으로 알킬화시키는 방법에서, 방향족 탄화수소 공급원료 및 올레핀 공급원료 중 하나 이상을 흡착제를 함유하는 전처리 유닛에 통과시켜, 상기 흡착제가 상기 공급원료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전처리 유닛에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원료를 통과시키는 것을 중단시키고, 상기 전처리 유닛에 가열된 불활성 기체를 통과시켜, 상기 불활성 기체가 상기 흡착제로부터 불순물을 탈착시켜 탈착된 불순물을 함유하는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에 응축가능한 유체를 첨가하여,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에 함유된 불순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체에 의해 응축되어 정제된 불활성 기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이는 상기 전처리 유닛으로 재순환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방향족 알킬화 방법{AROMATICS ALKYLATION PROCESS}
본 발명은 방향족 알킬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알킬화에서, 방향족 화합물, 예컨대 벤젠은 촉매의 존재 하에 올레핀, 예컨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접촉되어 알킬화된 방향족 화합물, 예컨대 에틸벤젠 또는 큐멘을 생성한다. 상업적 스케일에서, 일반적으로 올레핀 및 방향족 공급물을 하나 이상의 전처리 유닛에 통과시켜 공정 촉매에 의해 흡착되어진 것으로 여겨지는 특정의 불순물의 수준을 감소시켜 이들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전형적으로, 이런 전처리 유닛은, 간편하게는 분자체 또는 활성화된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흡착제 베드를 포함하며, 이는 공급물 중의 유해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한다. 각 흡착제 베드는, 흡착 사이클(여기서, 상기 베드는 하나 이상의 알킬화 공급물로부터 유해 불순물을 제거함)과 재활성화 사이클(여기서, 고온 불활성 기체, 예컨대 질소가 상기 베드로 통과하여 상기 베드에 의해 함유된 유해 불순물을 탈착시킴) 사이에서 순환된다. 상기 흡착 베드에 불활성 기체를 일회 통과시키는 것은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많은 플랜트는 불활성 기체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체 재순환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런 기체 재순환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압축기, 가열기, 쿨러(cooler), 칠러(chiller), 및 기체/액체 분리기를 포함한다. 이런 시스템의 설계에서는, 응축가능한 화합물이 상기 전처리 유닛에서 방출되는 불활성 기체 내에 존재할 것이고, 각각의 전처리 유닛 통과 동안 탈착되는 유해 불순물의 적어도 일부가 기체/액체 분리기 내에서 수집되는 액체 상태로 시스템에서 방출될 것이라는 가정이 내재되어 있다. 상기 분리기로부터의 불활성 기체는 압축되고, 가열되고, 상기 전처리 유닛으로 복귀된다. 전형적으로 불활성 기체 순환의 단지 적은 부분만이 퍼징되므로, 퍼지 스트림 중에서만 유해 불순물을 배제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런 공지의 공정에 의한 한가지 문제는, 응축가능한 화합물 모두가 탈착 및 응축된 지 오랜 후에 유해 불순물이 계속 탈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재순환된 불활성 기체는 상당량의 유해 불순물을 여전히 함유할 수 있으므로, 흡착제 베드의 완전 재활성화를 수행할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성화 사이클 동안 흡착제 베드로부터의 불활성 기체 유출물에 응축가능한 유체를 첨가함에 의해 이런 문제는 완화 또는 극복될 수 있다. 상기 응축가능한 유체는, 유해 불순물이 기체/액체 분리기 내에서 제거될 수 있는 매질을 제공하여, 상기 흡착제 베드로 재순환된 불활성 기체는, 응축가능한 액체의 첨가 없이 수득된 경우보다 훨씬 낮은 불순물 수준을 갖는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방향족 탄화수소를 올레핀으로 알킬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a) 방향족 탄화수소 및 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공급원료를, 흡착제를 함유하는 전처리 유닛에 통과시켜, 상기 흡착제가 상기 공급원료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공급원료를 상기 전처리 유닛에 통과시키는 것을 중단시키는 단계;
(c) 상기 전처리 유닛에 가열된 불활성 기체를 통과시켜, 상기 흡착제로부터 불순물이 탈착되어 탈착된 불순물을 함유하는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에 응축가능한 유체를 첨가하여,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에 함유된 불순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체에 의해 응축되어 정제된 불활성 기체 스트림을 남기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정제된 불활성 기체 스트림을 상기 단계 (c)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통과 단계 (a)는 제 1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불활성 기체가 단계 (c)에서 제 1 온도보다 50℃ 이상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공급원료가 방향족 탄화수소인 경우, 상기 제 1 온도는 약 10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이다. 상기 공급원료가 올레핀인 경우, 상기 제 1 온도는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불활성 기체는 질소이고, 상기 응축가능한 유체는 에틸벤젠 플랜트 잔류물, 큐멘 플랜트 잔류물, 에틸벤젠, 큐멘, 벤젠,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공급원료는 벤젠을 포함하고, 상기 올레핀 공급원료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을 포함한다.
간편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원료 중의 불순물은 질소, 황, 인 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간편하게는, 상기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은 액체-냉각식 칠러를 통해 기체/액체 분리기로 보내져, 여기에서 상기 불순물이 응축된 유체와 함께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응축가능한 유체는 상기 칠러의 상류에서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에 첨가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응축가능한 유체는 상기 칠러의 하류이면서 상기 기체/액체 분리기의 상류에서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에 첨가된다.
도 1a 및 1b는 방향족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방향족 알킬화 공정으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처리 유닛의 기체 재순환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올레핀 공급원료 및 방향족 탄화수소 공급원료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상기 공급원료로부터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데에 효과적인 흡착제를 함윤하는 하나 이상의 전처리 유닛에 상기 공급원료를 통과시킴에 의해 전처리되어 유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향족 알킬화 방법이 본원에 기재된다. 이어서 흡착된 불순물은, 가열된 불활성 기체에 의한 재활성화에 의해 흡착제로부터 제거되고, 그 후 응축가능한 유체는 불활성 기체에 첨가되어 상기 불활성 기체로부터 탈착된 불순물의 분리를 보조하고 정제된 불활성 기체 스트림을 생성한다. 그 후 정제된 불활성 기체 스트림은 재가열되고, 재활성화 공정으로 재순환된다.
기재된 전처리 공정은, 방향족 알킬화 공정에 대한 임의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올레핀 공급원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올라이트-접촉식(catalyzed) 에틸벤젠 제조 공정에 대한 벤젠 및/또는 에틸렌 공급물의 정제 또는 제올라이트-접촉식(catalyzed) 큐멘 제조 공정에 대한 벤젠 및/또는 프로필렌 공급물의 정제에서의 사용을 위해 의도된다. 이런 공정의 예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5,334,795호 및 제7,868,215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올레핀 공급원료 및 방향족 탄화수소 공급원료 모두가 전처리되는 경우, 별개의 전처리 유닛이 각 공급원료에 대해 사용된다.
상기 전처리 유닛 또는 각각의 전처리 유닛에서 사용되는 흡착제는 처리되는 공급원료가 올레핀인지 방향족 탄화수소인지 또는 표적 불순물의 성질에 좌우될 것이다. 제올라이트 알킬화 촉매에 해로울 수 있는 전형적 불순물은 질소, 황, 인 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무기 및 유기 화합물이다. 예컨대, 상업적 벤젠 공급원료에서 발견되는 특히 유해한 불순물은 모폴린, N-포르밀모폴린, n-메틸피롤리돈,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탄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및 파라-다이옥산을 포함하며, 반면 에틸렌 및 프로필렌 공급물 중의 표적 불순물은 암모니아,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다이메틸아민,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및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전형적 방향족 및 올레핀 공급원료는 0.05 내지 2 중량ppm의 이러한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불순물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흡착제는 재활성화 가능하고, 활성화된 알루미나 및 분자체, 예컨대 제올라이트 13X를 포함한다.
단일 흡착제 베드가 상기 또는 각각의 전처리 유닛에 제공될 수 있거나 동일 또는 상이한 흡착제들의 다중 적층된 베드가 전처리 유닛(들)에 배열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복수의 전처리 유닛이 직렬로 배열되는 경우, 동일 또는 상이한 흡착제들이 상이한 유닛에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또는 각각의 전처리 유닛에서의 조건은, 공급원료와의 바람직하지 못한 부-반응을 생성함이 없이 표적 불순물의 흡착이 최대화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공급원료가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벤젠인 경우, 처리 온도는 약 10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약 110℃ 내지 130℃이다. 공급원료가 올레핀, 예컨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인 경우, 처리 온도는 약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70℃이다. 이런 조건 하에 전술된 흡착제를 사용하여, 공급원료 중의 불순물 수준은 약 0.01 내지 0.1 중량ppm의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다.
임의의 소정의 전처리 유닛 내의 흡착제가 소모된 경우, 상기 유닛은 우회되고, 전형적으로 공급원료는 상이한 유닛으로 경로를 잡는다. 벤젠 공급원료의 경우, 흡착제가 소모되면, 전처리 유닛의 액체 내용물이, 연관된 방향족 알킬화 시스템의 증류 트레인으로 압축되어 나간다. 소모된 에틸렌 흡착제의 경우, 전처리 유닛의 내용물이 플레어(flare)로 감압된다. 전처리 유닛의 내용물이 제거된 경우, 소모된 흡착제의 재활성화는 상기 흡착제에 가열된 불활성 기체, 예컨대 질소를 통과시킴에 의해 개시된다. 상기 기체 온도는, 목표 최대 베드 온도가 성취될 때까지, 통상적으로, 흡착 단계 동안 사용된 온도보다 적어도 50℃ 높게, 예컨대 약 50℃ 내지 약 200℃ 높게 될 때까지 흡착제 베드의 온도가 시간 당 20 내지 30℃만큼 증가되도록 조정된다.
고온 불활성 기체는 흡착제로부터 불순물을 스트립핑하고, 탈착된 불순물은 불활성 기체에 의해 전처리 유닛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전처리 유닛에서 방출된 후, 불순물을 함유하는 불활성 기체는 냉각되고, 상기 불활성 기체가 상기 전처리 유닛으로 재순환되기 이전에 불순물이 제거되는 기체/액체 분리기로 공급된다. 상기 전처리 유닛으로부터의 아웃플로우(outflow)가 응축가능한 불순물을 더 이상 함유하지 않는 경우(즉, 기체/액체 분리기에서의 액체의 축적 속도가 거의 0으로 하락하는 경우), 불활성 기체 스트림으로부터의 불순물의 추가적 응축을 보조하기 위해 응축가능한 유체가 상기 기체/액체 분리기의 상류에서 불활성 기체에 첨가된다. 적합한 응축가능한 유체는 에틸벤젠 플랜트 잔류물, 큐멘 플랜트 잔류물, 에틸벤젠, 큐멘, 벤젠,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물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도 1은 벤젠 공급원료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유닛을 예시하는 반면, 도 2는 도 1의 전처리 유닛과 연관된 불활성 기체 재순환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전처리 유닛은, 도 1a에 도시된 흡착 사이클(여기서, 상기 유닛은 벤젠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불순물을 흡착함)과 도 1b에 도시된 재활성화 사이클(여기서, 이전 흡착 사이클 동안 흡착된 불순물이 제거됨) 사이에서 순환된다.
특히,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흡착 사이클 동안, 불순물을 함유하는 신선한 벤젠이 공급 탱크(11)로부터 건조 컬럼(12)을 통해 전처리 유닛(13)으로 펌핑된다. 상기 유닛(13)은 흡착제의 베드(14)를 함유하고, 이는 각 흡착 사이클 동안 약 110 내지 130℃의 제 1 온도에서 유지된다. 벤젠 공급물은 전처리 유닛(13)의 하나의 말단부로 펌핑되고, 처리된 벤젠 스트림이 라인(15)을 통해 유닛(13)의 반대 말단부에서 방출되기 전에 불순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는 흡착제 베드(14)를 관통하여 유동한다.
사전결정된 양의 불순물이 베드(14)에 의해 취해진 후, 흡착제는 소모된 것으로 여겨지고, 신선한 벤젠의 유닛(11)으로의 공급은 우회되고 또 다른 전처리 유닛(미도시됨)으로 공급된다. 그 후, 베드(14)가 벤젠으로 실질적으로 퍼징된 후, 재활성화 사이클이 개시된다. 도 1b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재활성화 사이클 동안 불활성 기체는 압축기(21)에서 압축되고, 그 후, 라인(23)에 의해 전처리 유닛(13)으로 공급되기 이전에 가열기(22)를 통과한다. 각 흡착 사이클 동안, 가열된 불활성 기체는, 흡착제 베드(14)를 관통하는 액체 벤젠의 유동에 역류방향으로 흡착제 베드(14)를 관통하여 유동하고, 일반적으로 제 1 온도보다 50℃ 이상, 예컨대 50 내지 200℃ 높은 제 2 온도로 상기 베드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제 2 온도는 약 200 내지 300℃이다. 이러한 조건 하에, 불활성 기체는 이전 흡착 사이클 동안 벤젠으로부터 제거된 불순물을 탈착시켜, 고온의 불순물-함유 불활성 기체 스트림이 라인(24)을 통해 전처리 유닛(13)에서 방출된다. 그 후 고온 불활성 기체 스트림은 공기 쿨러(25), 이어서 수-냉각식 열 교환기(26)에서 냉각되어, 베드(14)로부터 탈착된 불술물을 포함하는 응축가능한 화합물이 응축되고 상기 불활성 기체로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혼합된 기체/액체 상 스트림은 열 교환기(26)에서 방출되고, 라인(27)에 의해 기체/액체 분리기(28)로 공급되며, 여기서 액체 성분이 제거되고 라인(29)을 통해 퍼징된다.
기체/액체 분리기(28)의 불순물의 제거를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분리기(28)에서의 액체의 생성이 거의 0으로 감소되는 경우 응축가능한 유체, 예컨대 물은 전처리 유닛(13)과 기체/액체 분리기(28) 사이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불활성 기체 스트림에 첨가된다. 적합한 지점이 도 2에 도시되고, 라인(31)을 통해 공기 쿨러(25)의 상류, 라인(32)을 통해 공기 쿨러(25)의 하류이지만 열 교환기(26)의 상류, 및 라인(33)을 통해 열 교환기(26)의 하류이지만 기체/액체 분리기(26)의 상류를 포함한다.
기체/액체 분리기(28)에서의 응축된 액체 성분의 배제(rejection) 후, 불활성 기체 스트림(소 분획의 불활성 기체 스트림, 일반적으로 상기 분리기(28)를 떠나는 불활성 기체의 20 부피% 미만)이 라인(34)을 통해 퍼징된다. 불활성 기체 스트림의 나머지는 라인(35)을 통해 도입되는 메이크-업(make-up) 불활성 기체와 합쳐지고, 압축기(21)로 재순환된다. 각 재활성화 사이클은, 흡착제 베드가 초기 흡착제 용량의 약 50 내지 약 90%으로 복귀될 때까지 계속되며, 이는 전형적으로 약 8 내지 약 72 시간 걸린다.
도면에 도시된 전처리 유닛은 방향족 알킬화 공정에 대한 방향족 탄화수소 공급원료로부터 불순물의 제거를 의도하지만, 유사한 배열은 공급물의 올레핀 성분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방향족 알킬화 플랜트는 배열된 복수의 전처리 유닛을 가질 것이므로, 하나 이상의 전처리 유닛이 항상 흡착 모드에 있는 반면, 다른 전처리 유닛(들)은 재활성화 모드에 있을 수 있어서, 벤젠 공급물의 연속 정제를 가능케 한다.
이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실시예 1
110℃의 온도에서 작동하는 13X 분자체 흡착제의 베드를 함유하는 전처리 유닛에 벤젠 공급원료를 통과시켜 공급원료 중의 질소 불순물을 0.05 중량ppm 미만으로 감소시켰다. 스트림에서 90일 이후, 질소 불순물의 농도는 목표 값을 초과하였고, 흡착제는 소모된 것으로 여겨졌다. 벤젠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전처리 유닛으로부터 액체 벤젠을 배수시킨 후, 압축 및 가열된 질소 스트림을 흡착 사이클에 대한 유동 방향과 역류방향으로 상기 베드로 통과시켜 상기 베드의 온도를 260℃로 증가시키고, 상기 베드로부터 질소성 불순물을 탈착시켰다. 상기 베드를 떠나는 고온 불순물-함유 질소 스트림을 먼저 공기 쿨러에서 65℃의 온도로 냉각시킨 후, 칠링된(chilled) 수-냉각식 열 교환기에서 15℃로 냉각시켜, 응축가능한 화합물이 응축되고, 상기 질소로부터 분리되었다. 그 후 생성된 혼합된 질소/액체 상 스트림을 기체/액체 분리기로 공급하고, 여기서 액체 성분이 제거되어 정제된 질소 스트림을 남기고, 이는 상기 전처리 유닛으로 재순환되었다. 재활성화 공정을 36 시간 후에 중지시켰다. 흡착제의 샘플을 잔류 질소성 불순물 함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별도의 시험들에서, 상기 공정을 반복하였지만, 하나의 시험에서, 혼합된 질소/액체 상 스트림이 기체/액체 분리기에 들어가기 전에 액체 물 스트림을 상기 혼합된 질소/액체 상 스트림에 첨가하였다. 재활성화 공정을 36 시간 후에 중단시켰고, 흡착제를 샘플링하고, 상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물의 첨가는, 재활성화 후에 흡착제에 의해 보유된 질소성 불순물의 양을, 물의 첨가가 없는 시험과 비교하여 50% 만큼 감소시켰다.

Claims (14)

  1. 방향족 탄화수소를 올레핀으로 알킬화시키는 방법으로서,
    (a) 방향족 탄화수소 및 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는 공급원료를, 흡착제를 함유하는 전처리 유닛에 통과시켜, 상기 흡착제가 상기 공급원료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공급원료를 상기 전처리 유닛에 통과시키는 것을 중단시키는 단계;
    (c) 상기 전처리 유닛에 가열된 불활성 기체를 통과시켜, 상기 흡착제로부터 불순물이 탈착되어 탈착된 불순물을 함유하는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이 생성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에 응축가능한 유체를 첨가하여,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에 함유된 불순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체에 의해 응축되어 정제된 불활성 기체 스트림을 남기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정제된 불활성 기체 스트림을 상기 단계 (c)로 재순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단계 (a)가 제 1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불활성 기체가 단계 (c)에서 제 1 온도보다 50℃ 이상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원료가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상기 제 1 온도가 100℃ 내지 170℃인,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원료가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상기 제 1 온도가 110℃ 내지 130℃인,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원료가 상기 올레핀이고, 상기 제 1 온도가 20℃ 내지 100℃인,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원료가 상기 올레핀이고, 상기 제 1 온도가 40℃ 내지 70℃인,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기체가 질소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가능한 유체가 에틸벤젠 플랜트 잔류물, 큐멘 플랜트 잔류물, 에틸벤젠, 큐멘, 벤젠,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공급원료가 벤젠을 포함하고, 상기 올레핀 공급원료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원료 중의 불순물이 질소, 황, 인 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 (a) 후에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및 상기 올레핀을 제올라이트 알킬화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이 액체-냉각식 칠러(chiller)를 통해 기체/액체 분리기로 보내져, 여기에서 상기 불순물이 상기 응축된 유체와 함께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가능한 유체가 상기 칠러의 상류에서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에 첨가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가능한 유체가 상기 칠러의 하류이면서 상기 기체/액체 분리기의 상류에서 불활성 기체 유출물 스트림에 첨가되는, 방법.
KR1020157001780A 2012-07-26 2013-07-25 방향족 알킬화 방법 KR102148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75949P 2012-07-26 2012-07-26
US61/675,949 2012-07-26
PCT/US2013/052056 WO2014018752A1 (en) 2012-07-26 2013-07-25 Aromatics alkylation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164A true KR20150036164A (ko) 2015-04-07
KR102148045B1 KR102148045B1 (ko) 2020-08-25

Family

ID=4898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780A KR102148045B1 (ko) 2012-07-26 2013-07-25 방향족 알킬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80128B2 (ko)
EP (1) EP2850048B1 (ko)
KR (1) KR102148045B1 (ko)
CN (1) CN104470877B (ko)
ES (1) ES2609507T3 (ko)
TW (1) TWI586647B (ko)
WO (1) WO2014018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908902XA (en) * 2017-03-29 2019-10-3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s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hydrocarbon stream and their use in aromatic alkylation proces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5062A1 (en) * 2003-03-21 2004-10-07 Stone & Webster, Inc. Production of alkyl aromatic compounds with catalyst reactivation
US20050143612A1 (en) * 2002-02-28 2005-06-30 Shyh-Yuan Hwang Production of alkyl aromatic compounds
WO2006032400A1 (de) * 2004-09-20 2006-03-30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inigung von aromaten enthaltenden zufuhrströmen mit zeolithen
US20080029437A1 (en) * 2006-08-02 2008-02-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Olefin upgrading process with guard bed re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621A (en) * 1980-05-05 1981-06-16 The Lummus Company Process for dehydrating ethanol and for the production of gasohol therefrom
IT1062296B (it) * 1980-08-08 1984-06-26 Massimo Sacchetti Processo e apparecchiatura per eliminare e recuperare sostanze organiche volatili dai gas di scarico industriali
DE3132292C2 (de) 1981-08-14 1986-05-07 Lohmann Gmbh & Co Kg, 5450 Neuwied Verfahren und Anlage zur Entfernung von Verunreinigungen aus einem Lösungsmitteldämpfe enthaltenden Gasstrom
US4487614A (en) * 1983-11-16 1984-12-11 Union Carbide Corporation Adsorption separation cycle
US5334795A (en) 1990-06-28 1994-08-02 Mobil Oil Corp. Production of ethylbenzene
US5152812A (en) * 1991-05-10 1992-10-06 Kovach J Louis Recovery of condensable organic compounds from inert gas streams laden
US20020042548A1 (en) 2001-07-11 2002-04-11 Dandekar Ajit B. Process for producing cumene
US8734570B2 (en) 2010-10-13 2014-05-27 Wintek Corporation Pressure and vacuum swing adsorption separation processe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3612A1 (en) * 2002-02-28 2005-06-30 Shyh-Yuan Hwang Production of alkyl aromatic compounds
JP2010270120A (ja) * 2002-02-28 2010-12-02 Stone & Webster Inc アルキル芳香族化合物の製造
WO2004085062A1 (en) * 2003-03-21 2004-10-07 Stone & Webster, Inc. Production of alkyl aromatic compounds with catalyst reactivation
KR100818438B1 (ko) * 2003-03-21 2008-04-02 스톤 앤드 웹스터 인코포레이티드 촉매 재활성화를 통한 알킬 방향족 화합물의 생산
WO2006032400A1 (de) * 2004-09-20 2006-03-30 Bas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reinigung von aromaten enthaltenden zufuhrströmen mit zeolithen
KR20070064641A (ko) * 2004-09-20 2007-06-2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공급류를정제하는 방법
US20080029437A1 (en) * 2006-08-02 2008-02-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Olefin upgrading process with guard bed regeneration
JP2009545650A (ja) * 2006-08-02 2009-12-24 エクソンモービル リサーチ アンド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保護床再生を伴うオレフィン品質向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8752A1 (en) 2014-01-30
TWI586647B (zh) 2017-06-11
EP2850048B1 (en) 2016-11-02
US20150197466A1 (en) 2015-07-16
CN104470877B (zh) 2016-10-26
EP2850048A1 (en) 2015-03-25
TW201420563A (zh) 2014-06-01
ES2609507T3 (es) 2017-04-20
CN104470877A (zh) 2015-03-25
US10280128B2 (en) 2019-05-07
KR102148045B1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4661B2 (en) Phenol removal in paraxylene recovery process
US10307705B2 (en) Systems for closed loop regeneration of gas dehydration units using liquid petroleum gas
US8936669B2 (en)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urifying fluids using the same
RU2629939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сырья
RU2736090C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сырья для крекинга из сухого газа
US9962682B2 (en) Processe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dehydrogenation effluent
CN106795067B (zh) 用于吸附器再生的再循环方法
KR102148045B1 (ko) 방향족 알킬화 방법
KR20160031527A (ko) 옥시게네이트 오염물질의 제거용 올레핀 처리 흡착제의 재생 방법
KR20100001796A (ko) 탄화수소 유분으로부터 노말파라핀을 분리하는 방법
RU2769830C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этилена из сухого газа
EP4309764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moving components from a feed gas mixture
RU250551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бензола в бензине при алкилировании разбавленным этиленом
KR101728595B1 (ko) 탄화수소 스트림의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2060760A (ja) オレフィン炭化水素分離方法
US919989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aromatic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