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245A -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245A
KR20150035245A KR20130115571A KR20130115571A KR20150035245A KR 20150035245 A KR20150035245 A KR 20150035245A KR 20130115571 A KR20130115571 A KR 20130115571A KR 20130115571 A KR20130115571 A KR 20130115571A KR 20150035245 A KR20150035245 A KR 20150035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leaf extract
melissa leaf
meliss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은경
임호택
정명기
김용일
박재현
우종수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5245A/ko
Publication of KR2015003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리사엽(melissa officinalis)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혼합한 후 건식과립법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안정성이 우수하고 일정한 용출 양상을 나타내므로, 혈관신생 및 MMP 효소활성 매개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TABLET COMPRISING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식과립법에 의한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멜리사(Melissa officinalis)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레몬밤(Lemon Balm)이라는 별칭을 갖는다. 멜리사는 레몬과 향이 유사하며, 허브차, 방향요법, 에센셜 오일, 요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멜리사엽 추출물(Melissa leaf extract)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테르펜산(terpene acids), 휘발성 오일(volatile oil), 알콜 및 페놀 화합물 등의 배당체 및 카페인산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멜리사엽에는 시나로사이드(cynaroside), 코스모신(cosmosin), 람노시트린(rhamnocitrin), 이소쿼르시트린(isoquercitrin) 등의 플라보노이드; 우르솔산(ursolic acid) 등의 테르펜산; 및 제라니올(geraniol), 네랄(neral), 시트로넬랄(citronellal), 유게놀(eugenol) 등의 휘발성 오일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휘발성 성분으로는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과 같은 카페인산(caffeic acid) 유도체가 약 4.7% 함유되어 있다.
멜리사엽 추출물에 함유된 주성분인 로즈마린산은 소염, 해열, 우울증, 신경성 두통, 기억력 저하, 신경통, 발열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이외에도 진정, 항균, 항바이러스, 항호르몬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카페인산은 카볼산(carbolic acid)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커피콩, 과일, 약용식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페놀 화합물이다. 카페인산은 발암 억제제로 작용하고, 생체 내외에서 효과가 우수한 항산화제로도 알려져 있다. 로즈마린산과 카페인산을 다량 포함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은 현재 혈액순환 개선제 성분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550298호 및 제10-473688호는 멜리사엽 추출물이 혈관신생 억제와 MMP 활성억제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혈관신생(angiogenesis)이란 기존의 미세혈관으로부터 새로운 모세혈관이 형성되는 과정이다. 혈관신생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경우는 배아의 발생시, 조직재생 및 상처치료, 여성의 생식기 계통의 주기적 변화인 황체가 발달될 때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혈관신생은 엄격히 조절된다.
성인의 경우 혈관 내피세포는 매우 느리게 자라며 상대적으로 잘 분열하지 않는다. 하지만 호르몬 신호반응, 염증세포에서의 전혈관신생 사이토카인의 방출, 세포 외부기질에 고립된 혈관신생 매개체를 방출하는 가수분해성 효소의 활성, 혈관신생 촉진인자의 자극 등에 의해 필요에 따라 혈관신생이 유발된다.
혈관신생이 일어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프로테아제로 인한 혈관 기저막의 분해, 혈관 내피세포의 이동, 증식 및 혈관 내피세포 분화에 의한 관강의 형성으로 혈관이 재구성되어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혈관신생이 일어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정의 하나는 혈관 내피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혈관 기저막이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이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나제(Matrix metalloproteinase, MMP)에 속하는 효소들이다.
하지만, 혈관신생이 조절되지 못하거나 MMP 효소가 과다하게 활성화되면 병적으로 혈관이 성장하게 되어 암의 성장과 전이; 비만 및 복부 비만; 혈관종, 혈관섬유종, 혈관기형, 동맥경화, 혈관유착, 부종성 경화증, 재협착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변성(노인 황반변성과 같은 노화와 관련된 황반 변성 포함), 익상편, 망막변성, 각막이식성 혈관신생, 혈관신생형 녹내장,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질환,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과립성 결막염, 각막궤양,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안과 염증, 원추 각막, 쇼그렌 증후군, 근시, 안과 종양, 각막이식거부 등과 같은 안질환;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패혈증성 관절염, MMP-매개 골감소증, 외상성 관절 손상에 따른 퇴행성 연골손실 등과 같은 골 질환; 염증성 질환; 건선, 모세관 확장증, 화농성 육아종,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과 같은 피부과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이상 창상 유합, 단백뇨증, 복대동맥류 질환, 신경계의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신사구체 질환,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 및 치근막 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들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멜리사엽 추출물은 이러한 혈관신생을 억제하고 MMP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질환들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550298호 및 제10-473688호 참조).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03030호에는 이러한 멜리사엽 추출물의 약효를 증대시킬 수 있는 추출물 분획 방법으로서, 멜리사엽을 50-100%의 알코올로 추출한 후 건조시킨 다음, 이를 물에 현탁시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건조시키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물에 재현탁시킨 후 건조시켜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얻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문헌은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캡슐 제형의 경우 캡슐 기제로 인해 활성물질의 방출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멜리사엽 추출물이 캡슐 기제와 덩어리지게 되어 활성물질의 방출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멜리사엽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의 추출물은 높은 점성으로 인해 고온이나 습한 조건에 방치되면 추출물 중의 활성물질의 용출이 느려져 기대하는 약효를 나타내기 힘들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제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캡슐 제형이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정제 제형에 관해 연구하던 중, 정제 제조시 멜리사엽 추출물의 특이한 물성으로 인해 제조 방법에 따라 생산성과 저장 안정성이 크게 달라짐을 발견하였고, 이를 건식과립법에 의해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0303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55029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473688호
Polverini PJ, Critical Reviews in Oral Biology, 6(3), 1995, 230-247; Arup Das, et al., Progress in Retinal and Eye Research, 22, 2003, 721-748; Nick Di Girolamo, et al., IOVS, Vol. 42, No.9, August 2001, 1963-1968; Patricia Lee, et al., Survey of ophthalmology, vol 43, No. 3, Nov-Dec 1998, 245-269; D.B. Holland, et al.,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50, 2004, 72-81; Anthony H Vagnucci Jr, et al., The Lancet, vol 361, Feb. 15, 2003, 605-608; Berislav V. Zlokovic, Trends in Neuroscience, Vol. 28, No.4, April 2005, 202-208; Jaap G. Neels, et al., The FASEB Journal express article 10. 1096/fj.03-1101fje. Published online April 14, 2004; D.L. Crandall, et al., Microcirculation, 4, 1997, 211-232; G. Voros, et al., Endocrinology, 146, 2005, 4545-4554; M.A. Rupnick, et al., PNAS, 99, 2002, 10730-10735; E. Brakenhielm, et al., Circ. Res., 94, 2004, 1579-1588; H.R. Lijnen,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2, 2002, 374-379; 및 D. Demeulemeester,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9, 2005, 105-1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이 우수하고 장기 보관시 저장 안정성이 뛰어나 약효의 발현이 일정한,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멜리사엽(Melissa leaf)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혼합한 후 건식과립법(dry granulation)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제는 안정성이 우수하고 일정한 용출 양상을 나타내므로, 혈관신생 및 MMP 효소활성 매개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정제를 대상으로 한 타정압에 따른 경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b는 비교예 8 내지 11의 정제를 대상으로 한 타정압에 따른 경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10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 3, 5 내지 8의 정제를 가속 조건 하에 보관한 후 로즈마린산 및 카페인산의 용출률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멜리사엽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혼합한 후 건식과립법(dry granulation)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멜리사엽 추출물에 의한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 제형당 멜리사엽 추출물의 함량을 높이면서 제형을 소량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멜리사엽의 함량을 높이면서 단위 제형을 압축하여 최대한 소량화할 수 있는 정제 형태가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멜리사엽 추출물의 비율이 높은 경우 사용되는 첨가제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상기 천연 추출물의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상 정제화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멜리사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는 그 특유의 향취와 쓴맛을 차폐하기 위한 코팅 공정이 필수적이므로, 정제가 목적하는 경도 이상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멜리사엽의 함량을 높이면서 간편하게 정제화할 수 있는 건식과립법에 의한 방법을 제공한다.
통상의 약제학적 고형 경구 정제 제형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직접압축법과 과립압축법이 있다. 직접압축법은 유효 활성 성분의 결정 또는 분말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한 후, 상기 건조 혼합물을 타정기에서 직접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간단하고 추가 설비가 들어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멜리사엽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조 혼합물이 타정기 내부에서 유동성이 좋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결합력이 부족하여 일정 압력 이상의 타정압을 가하여도 코팅 공정이 용이할 정도의 경도를 확보할 수 없다.
한편, 과립압축법은 유효 활성 성분과 약제학적 첨가제를 혼합하여 과립물을 먼저 제조한 후 분쇄된 과립을 타정하는 방법이다. 상기 과립압축법은 결합액 사용 여부에 따라 습식과립법과 건식과립법으로 나눌 수 있다. 습식과립법은 활성 성분에 부형제, 붕해제 등을 가한 후 결합액을 가해 조립한 후 이를 건조시키고 정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의 크기를 일정하게 한 후 활택제와 혼합하여 타정하는 방법이며, 건식과립법은 슬러그 정제기를 이용하여 슬러그를 만들거나 롤러 압축기(roller compactor)를 사용하여 플레이크(flake)상의 과립을 만들어 이를 분쇄, 정립한 뒤 활택제와 혼합하여 타정하는 방법이다.
습식과립법에 따라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을 제조할 경우 끈적거림이 매우 심한 겔화(gelling)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건조공정이 매우 어렵게 되어 경제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이를 장기간 보관할 경우 고형제제의 용출률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건식과립법에 의해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을 제조할 경우 과립 형성에 문제가 없고 타정성이 우수한 과립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1) 멜리사엽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압축시켜 플레이크(Flake)상의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플레이크상의 과립을 전단기로 전단시켜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과립을 압축하여 정제를 성형하는 단계; 및
(5) 상기 정제를 코팅하는 단계.
이하,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에서 단계 (1)은 멜리사엽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멜리사엽 추출물은 주성분으로서 로즈마린산 및 카페인산을 함유하며, 혈관신생 및 MMP 효소활성 매개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멜리사엽 추출물은 에탄올을 이용하는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멜리사엽을 10 내지 40중량배의 50 내지 100%의 에탄올,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에탄올을 사용하여 환류 추출한 후 여과하여 1차 농축 과정을 거친다. 이어 상기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의 혼합물(예를 들면, 에틸아세테이트:물=1:1 (v/v))로 분획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한다. 상기 과정을 거쳐 생성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회수한 후, 이를 2차 농축하고 건조 및 분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은 본 발명에서 멜리사엽 초산에틸 건조엑스로서 사용된다.
이때, 상기 멜리사엽은 건조시킨 멜리사엽, 건조시키지 않은 멜리사엽 또는 이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추출을 위해 멜리사엽은 잘게 부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로즈마린산 5 중량% 이상, 카페인산 0.5 중량% 이상 및 루틴 1 중량%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로즈마린산 5 내지 10 중량%, 카페인산 0.5 내지 1 중량%, 및 루틴 1 내지 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멜리사엽 초산에틸 건조엑스는 로즈마린산 약 5.5 중량%, 카페인산 약 0.65 중량% 및 루틴 약 1.42 중량%를 포함한다(표 2 참고).
또한,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은 로즈마린산 및 카페인산을 1:0.1 내지 1:0.2의 중량비로, 카페인산 및 루틴을 1:1 내지 1:4의 중량비, 더 구체적으로는 1:1 내지 1:3의 중량비, 및 로즈마린산 및 루틴을 1:0.1 내지 1:0.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멜리사엽 추출물은, 멜리사엽 추출물을 이용한 통상적인 제형에 비해, 상당히 많은 양으로 포함된다. 이는 단위 제형당 활성 성분의 함량을 높여 복약 순응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한다.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은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은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은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붕해제 및 결합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붕해제의 예로는 전분글리콜산나트륨(예컨대, Primojel®), CMC-Ca, CMC-Na, 크로스카르멜로스 칼슘,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예컨대, Ac-Di-Sol®), 크로스포비돈(예컨대, Kollidon®, Polyplasdone®),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및 구아검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분글리콜산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결합제의 예로는 전분, 예를 들어 감자 전분, 밀 전분, 옥수수 전분, 각종 당류, 포비돈(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 함량이 5 내지 16 중량%이며 Mw가 80,000 내지 1,150,000, 보다 구체적으로 140,000 내지 850,000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정제에 타정을 위한 적합한 경도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실험에 따르면, 정제가 약 10kp 이상의 경도를 가지는 경우, 본 발명의 코팅 공정에서 마손 불량을 감소시켜 목적하는 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경도가 17kp를 초과하는 경우 주요 성분의 용출율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결합제는 정제에 10kp 내지 17kp의 경도를 부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가지 예로서, 결합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는 상기 언급한 붕해제 및 결합제 외에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활제(glidant), 안정화제, 충전제 또는 희석제,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윤활제의 예로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스테아르산 칼슘, 폴리에틸린 글리콜 400 내지 8000 및 탈크를 들 수 있다.
상기 활제의 예로는 경질무수규산, 예를 들어 에어로실(Aerosil®),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분말 셀룰로오스, 전분, 탈크 및 삼염기 칼슘 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정제 가루설탕, 압축설탕, 덱스트레이트, 덱스트린, 덱스트로스, 락토스, 만니톨, 미결정셀룰로오스, 특히 밀도가 약 0.45 g/cm3인 미결정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아비셀(Avicel®), 분말 셀룰로오스, 소르비톨, 수크로스 및 탈크가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첨가제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정제의 목적하는 특성에 맞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의 사용량은 본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활제의 양은 정제 총 충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0 중량%의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으며, 활제의 양은 0.1 내지 10 중량%, 특히 0.1 내지 5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0.5 중량%의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으며, 충전제 또는 희석제의 양은 15 내지 40 중량%의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멜리사엽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는 단계 (1)에 앞서 분쇄되거나 체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한 가지 특징은 멜리사엽 추출물이 과량으로 사용되는 반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가 소량으로 사용된다는 데 있다. 이것은 물리적으로 소단위 제형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여 약물이 복약 순응도를 높이며, 약물의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일정 단위 복용량에서 첨가제의 총량은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60 중량% 이하, 약 50 중량% 이하, 약 35 내지 55 중량% 또는 약 45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양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정제의 원하는 특성에 맞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약리활성물질의 방출에 대한 정량적인 조절을 위해 또는 이러한 조절 없이 약리활성물질의 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나타내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에서 플레이크상의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2 단계); 플레이크상의 과립을 전단기로 전단시켜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3 단계); 및 과립을 압축하여 정제를 성형하는 단계(4 단계)는 종래 건식과립법에 의한 정제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멜리사엽 추출물의 고유의 맛, 색깔, 냄새 등을 차폐하기 위해 정제를 코팅하는 과정(5 단계)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코팅은 종래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Aeromatic, Glatt, Wurster 또는 Huettlin 사에서 시판하는 장치를 이용한 유동층 코팅 방법 또는 아셀라 코타(Accela Cota)법에 의한 천공 팬에서의 분무 코팅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당류, 쉘락(shellac) 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필름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는 제공된 멜리사엽 추출물의 단위 복용량에 대해 이전에 가능했던 캡슐 제형보다 적은 제형으로 제공된다. 또한, 얻어진 경구제형은 제조 공정 및 일반적인 의약품의 포장상태에서 약 3년간 저장중의 안정성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는 단위 제형당 멜리사엽 추출물을 100 내지 600 m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mg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제는 혈관신생 및 MMP 효소활성 매개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유용한 증상은 암의 성장과 전이; 비만 및 복부 비만; 혈관종, 혈관섬유종, 혈관기형, 동맥경화, 혈관유착, 부종성 경화증, 재협착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변성(노인 황반변성과 같은 노화와 관련된 황반 변성 포함), 익상편, 망막변성, 각막이식성 혈관신생, 혈관신생형 녹내장,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질환,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과립성 결막염, 각막궤양,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안과 염증, 원추 각막, 쇼그렌 증후군, 근시, 안과 종양, 각막이식거부 등과 같은 안질환;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패혈증성 관절염, MMP-매개 골감소증, 외상성 관절 손상에 따른 퇴행성 연골손실 등과 같은 골 질환; 염증성 질환; 건선, 모세관 확장증, 화농성 육아종,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과 같은 피부과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이상 창상 유합; 단백뇨증; 복대동맥류 질환; 신경계의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신사구체 질환;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 및 치근막 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환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하는 일련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멜리사엽 초산 에틸 건조 엑스의 구성성분 및 비율 분석
멜리사엽 원료생약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추출물을 제조한 후 구성성분 분석에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건조 멜리사엽 200 kg을 20 중량배의 75%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카트리지필터로 여과하고 감압농축 방법으로 1차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물(양: 50 kg)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의 혼합물(1:1(v/v))(양: 50 kg)로 분획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이어,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회수한 후, 감압농축 방법으로 2차 농축하여 건조 후 분쇄하여 멜리사엽 초산에틸 추출물(양: 8.2 kg)을 수득하였다. 상기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물에 대한 재현성을 확인하였으며, 멜리사엽 추출물에 포함되는 구성성분 및 상기 성분의 비율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석방법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였으며, Zorbax Eclipse Plus C18(150 × 4.6 mm) 컬럼에 상기에서 제조한 멜리사엽 초산에틸 추출물 시료 10l을 주입한 후, 이동상 A(5% 포름산 수용액) 및 이동상 B(메탄올)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에 따라 분당 1ml의 속도로 작동시켜 285 nm 파장에서 유효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시간(분) 이동상 A 이동상 B
0 100 0
5 100 0
25 0 100
35 0 100
35.1 100 0
45 100 0
멜리사엽 추출물의 유효 성분을 분석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멜리사엽 추출물은 평균적으로 로즈마린산 약 5.5 중량%, 카페인산 약 0.65 중량%, 루틴 약 1.42 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멜리사엽 추출물에는 로즈마린산 및 카페인산이 1:0.1 내지 1:0.2의 비율로, 카페인산 및 루틴이 1:1 내지 1:3의 비율로, 로즈마린산 및 루틴이 1:0.1 내지 1:0.3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로즈마린산, 카페인산, 루틴의 약물 비율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며 일정한 비율로 유지가 될 때, 멜리사엽 초산에틸 추출물이 연구자가 원하는 약효를 나타낼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멜리사엽 추출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로즈마린산이 5.0 중량% 이상, 카페인산이 0.5 중량% 이상, 루틴이 1.0 중량% 이상 함유되는 것이 약효의 재현성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재현성 있게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함량 (중량%)
로즈마린산 카페인산 루틴
1 5.8 0.63 1.38
2 5.7 0.69 1.41
3 5.0 0.63 1.47
평균 5.5 0.65 1.42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건식과립법에 의한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하기 표 3 및 4의 구성에 따라 건식과립법에 의해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3 및 4에 기재된 성분들을 믹서에서 배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20 메쉬의 체를 통과시켜 다시 일정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결합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0 중량% 내지 2.6 중량%까지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였고, 비교예 4의 경우 결합제로서 포비돈 K-30을 1.6 중량%의 함량으로 혼합하였다. 이후, 롤러 압축기(Roller compactor WP200, Alexanderwerk)를 이용하여 최소압력 20 kN 및 롤러 속도 2 내지 10 rpm을 적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압착하여 플레이크상의 과립을 형성하였다. 상기 얻어진 과립을 피츠 밀(Fitz mill; BAS 06, Fitzpatrick, USA)로 전단시켜 20 메쉬의 체를 통과시킨 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나머지 부분을 첨가하여 믹서에서 최종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의 펀치를 이용하여 총 중량 580 mg의 정제로 압착하였다. 상기 얻어진 정제를 동일한 코팅 기제(Opadry Green 200F 시리즈)로 35~40에서 코팅하였다. 코팅 후 정제의 코팅면을 확인하여 마손이 심하거나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정제를 선별하여 제거하고 수득된 정제 전체의 무게를 투입된 혼합부 전체의 무게로 나누어 수율을 계산하였다.
원료 및 부형제 실시예 1
(mg/T)
실시예 2
(mg/T)
실시예 3
(mg/T)
1차혼합 멜리사엽 건조엑스 300.0 300.0 300.0
미결정셀룰로오스 175.0 172.0 169.0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6.0
(1.0%)
9.0
(1.6%)
12.0
(2.1%)
전분글리콜산나트륨 54.0 54.0 54.0
경질무수규산 15.0 15.0 15.0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0 2.0 2.0
최종혼합 스테아르산마그네슘 4.0 4.0 4.0
코팅 코팅제 24.0 24.0 24.0
정제 총 질량 580.0 580.0 580.0
코팅 후 수율 99.3 % 99.8 % 99.9 %
원료 및 부형제 비교예 1
(mg/T)
비교예 2
(mg/T)
비교예 3
(mg/T)
비교예 4
(mg/T)
1차혼합 멜리사엽 건조엑스 300.0 300.0 300.0 300.0
미결정셀룰로오스 181.0 178.0 166.0 172.0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0.0
(0.0%)
3.0
(0.5%)
15.0
(2.6%)
0.0
(0.0%)
포비돈 K-30 0.0
(0.0%)
0.0
(0.0%)
0.0
(0.0%)
9.0
(1.6%)
전분글리콜산나트륨 54.0 54.0 54.0 54.0
경질무수규산 15.0 15.0 15.0 15.0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0 2.0 2.0 2.0
최종혼합 스테아르산마그네슘 4.0 4.0 4.0 4.0
코팅 코팅제 24.0 24.0 24.0 24.0
정제 총 질량 580.0 580.0 580.0 580.0
코팅 후 수율 92.7 % 95.1 % 99.5 % 95.0%
비교예 5 내지 8: 습식과립법에 의한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하기 표 5의 구성에 따라 습식과립법에 의해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멜리사엽 건조엑스와 미결정셀룰로오스를 먼저 배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20 메쉬의 체를 통과시켜 다시 일정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여기에, 따로 미리 제조한 결합액을 첨가하고 고속 믹서(HIGH SPEED MIXER; P/VAC60, DIOSNA)를 사용하여 습식 과립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습식 과립 부분을 유동층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한 후 믹서에서 나머지 부형제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0 메쉬의 체를 통과시킨 후,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믹서에서 최종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의 펀치를 이용하여 총 중량 580 mg의 정제로 압착하였다. 얻어진 정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코팅 기제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코팅하였다. 코팅 후 정제의 코팅면을 확인하여 마손이 심하거나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정제를 선별하여 제거하고 수득된 정제 전체의 무게를 투입된 혼합부 전체의 무게로 나누어 수율을 계산하였다.
원료 및 부형제 비교예 5
(mg/T)
비교예 6
(mg/T)
비교예 7
(mg/T)
비교예 8
(mg/T)
1차혼합 멜리사엽 건조엑스 300.0 300.0 300.0 300.0
미결정셀룰로오스 175.0 175.0 175.0 175.0
결합액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0.0
(0.0%)
6.0
(1.0%)
0.0
(0.0%)
6.0
(1.0%)
포비돈 K-30 0.0
(0.0%)
0.0
(0.0%)
6.0
(1.0%)
0.0
(0.0%)
정제수 (60.0) (60.0) (60.0) (0.0)
에탄올 (0.0) (0.0) (0.0) (60.0)
2차혼합 전분글리콜산나트륨 54.0 54.0 54.0 54.0
경질무수규산 15.0 15.0 15.0 15.0
최종혼합 스테아르산마그네슘 6.0 6.0 6.0 6.0
코팅 코팅제 24.0 24.0 24.0 24.0
정제 총 질량 580.0 580.0 580.0 580.0
코팅 후 수율 99.7 % 99.8 % 99.5 % 99.7 %
비교예 9 내지 12 : 직접압축법에 의한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하기 표 6의 구성에 따라 직접압축법에 의해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6에 기재된 성분들을 믹서에서 배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20 메쉬의 체를 통과시켜 다시 일정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을 첨가하여 믹서에서 최종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물을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의 펀치를 이용하여 총 중량 580 mg의 정제로 압착하였다. 상기 얻어진 정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코팅 기제로 동일한 조건 하에서 코팅하였다. 코팅 후 정제의 코팅면을 확인하여 마손이 심하거나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정제를 선별하여 제거하고 수득된 정제 전체의 무게를 투입된 혼합부 전체의 무게로 나누어 수율을 계산하였다.
원료 및 부형제 비교예 9
(mg/T)
비교예 10
(mg/T)
비교예 11
(mg/T)
비교예 12
(mg/T)
1차혼합 멜리사엽 건조엑스 300.0 300.0 300.0 300.0
미결정셀룰로오스 175.0 172.0 166.0 166.0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6.0
(1.0%)
9.0
(1.6%)
15.0
(2.1%)
0.0
(0.0%)
포비돈 K-30 0.0
(0.0%)
0.0
(0.0%)
0.0
(0.0%)
15.0
(2.1%)
전분글리콜산나트륨 54.0 54.0 54.0 54.0
경질무수규산 15.0 15.0 15.0 15.0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0 2.0 2.0 2.0
최종혼합 스테아르산마그네슘 4.0 4.0 4.0 4.0
코팅 코팅제 24.0 24.0 24.0 24.0
정제 총 질량 580.0 580.0 580.0 580.0
코팅 후 수율 81.3 % 83.8 % 84.5 % 83.0 %
시험예 1 : 타정압에 따른 경도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4 및 비교예 9 내지 12에서 얻은 최종 혼합물(코팅 전)을 정제기에서 다양한 압력으로 타정하였다. 상기 타정압에 따른 경도 변화를 도 1a 및 1b에 나타내었다.
도 1a에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2는 타정압이 증가하여도 일정 경도 이상의 정제가 성형되지 않았다. 비교예 1은 결합제를 포함하지 않아서 경도가 약 5kp 미만에 불과하였고, 비교예 2는 결합제를 소량(0.5%) 함유한 결과 경도가 약 7kp 미만에 불과하였다. 이후 코팅 공정에서 마손 불량없이 일정 이상의 수율을 가지기 위해서는 정제가 약 10kp 이상의 경도를 가져야 하는데, 상기 결과는 결합제의 양이 부족할 경우 목적하는 경도를 달성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한편, 비교예 3은 타정압이 증가할수록 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결합제의 과다 사용(2.6%)으로 인해 용출 시험시 주요 성분의 원활한 방출을 보이지 않아 잠재적으로 원하는 약효를 얻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도 6 참조).
또한, 결합제로 포비돈 K-30을 사용한 비교예 4는 결합제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때에 비해 경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는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적은 양을 사용하고도 더 강한 생산성(타정성)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3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1.0 내지 2.1 중량%의 범위로 사용함으로써 약 10kp 내지 17kp 범위의 우수한 경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접압축법으로 제조한 비교예 9 내지 12는 타정압을 증가시킴에 따라 캡핑(capping) 및 스티킹(sticking)과 같은 타정 장애의 발생으로 인해 약 8.5kp 이상의 경도로 높아지지 않아 원활한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코팅 공정에서 마손이 심한 불량이 다수 발생하여 수율이 좋지 않았다.
시험예 2 : 주요 성분의 용출 안정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2 내지 3 및 비교예 5 내지 8의 정제를 PVDC-Alu 블리스터(Blister) 포장 및 HDPE 병 포장하여 가속 조건(40 및 75% 상대습도)에서 6개월간 보관한 후, 멜리사엽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로즈마린산 및 카페인산의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용출 시험은 용출액으로서 정제수 900 ml를 사용하여, 370.5의 조건에서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용출시험 제2법인 패들법에 따라 50 rpm의 회전속도로 실시하였으며, 용출 시험 시작 후 5, 10, 15, 30, 45, 60, 90 및 120분 후에 용출액을 취하여 0.45 필터로 여과한 후, 유럽약전 멜리사엽 항에 기재된 HPLC 분석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로즈마린산 및 카페인산의 용출률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2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식과립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정제는 초기 용출 양상과 가속 6개월 후의 용출 양상이 포장에 관계없이 일정하여 안정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과정에서 수분이 첨가되지 않아 보관 조건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이다.
반면,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보는 바와 같이, 습식과립법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의 정제는 가속 조건 하에 보관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출속도가 초기 용출 양상보다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VDC-Alu 블리스터 포장시에 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상기 결과는 습식과립법에 의해 제조시 멜리사엽 추출물의 방출 속도가 늦어져 약효가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는 건식과립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멜리사엽(melissa leaf)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혼합한 후 건식과립법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 멜리사엽 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압축시켜 플레이크상의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플레이크상의 과립을 전단기로 전단시켜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과립을 압축하여 정제를 성형하는 단계; 및
    (5) 상기 정제를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이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멜리사엽 추출물이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5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가 붕해제, 결합제, 윤활제, 활제(glidant), 안정화제, 충전제 또는 희석제,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붕해제가 전분글리콜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붕해제가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정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가 멜리사엽 추출물 100 내지 600 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가 멜리사엽 추출물 300 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가 암; 비만 및 복부 비만; 혈관종, 혈관섬유종, 혈관기형, 동맥경화, 혈관유착, 부종성 경화증 및 재협착증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변성(노화와 관련된 황반 변성 포함), 익상편, 망막변성, 각막이식성 혈관신생, 혈관신생형 녹내장, 신생혈관에 의한 각막질환, 후수정체 섬유증식증, 과립성 결막염, 각막궤양, 증식성 유리체 망막병증, 미성숙 망막병증, 안과 염증, 원추 각막, 쇼그렌 증후군, 근시, 안과 종양 및 각막이식거부를 포함하는 안질환;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패혈증성 관절염, MMP-매개 골감소증 및 외상성 관절 손상에 따른 퇴행성 연골손실을 포함하는 골 질환; 염증성 질환; 건선, 모세관 확장증, 화농성 육아종, 지루성 피부염 및 여드름을 포함하는 피부과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이상 창상 유합; 단백뇨증; 복대동맥류 질환; 신경계의 수초탈락 질환; 간경변; 신사구체 질환; 배태막의 미성숙 파열; 치근막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에 대해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
KR20130115571A 2013-09-27 2013-09-27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KR20150035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571A KR20150035245A (ko) 2013-09-27 2013-09-27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5571A KR20150035245A (ko) 2013-09-27 2013-09-27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245A true KR20150035245A (ko) 2015-04-06

Family

ID=5303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5571A KR20150035245A (ko) 2013-09-27 2013-09-27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52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2624A4 (en) * 2019-05-22 2023-05-17 Angiolab.,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A FRACTION OF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EP4134091A4 (en) * 2020-04-08 2024-01-17 Angiolab., Inc. FRACTION EXTRACT FROM MELISSA OFFICINALIS LEAVES AND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FRO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2624A4 (en) * 2019-05-22 2023-05-17 Angiolab.,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A FRACTION OF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US12076359B2 (en) 2019-05-22 2024-09-03 Angiolab,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fraction of Melissa officinalis leaf extract
EP4134091A4 (en) * 2020-04-08 2024-01-17 Angiolab., Inc. FRACTION EXTRACT FROM MELISSA OFFICINALIS LEAVES AND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FR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8646B (zh) 包含大麻二酚的压制片剂、其制造方法以及此类片剂在口服治疗精神病症或焦虑症中的用途
JP4781489B2 (ja) フェソテロジンを含む安定した医薬組成物
EP2777696B1 (en) Preparation of stabl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KR20140011209A (ko)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신생 또는 mmp 활성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정제
KR101628937B1 (ko)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함유하는 정제 및 그 제조방법
NZ569813A (en) Solid dispersion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 having a low melting point and an absorbent, and a tablet for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same
US20050238715A1 (en) Developing a delivery system for multi-pharmaceutical active materials at various release rates
WO2020211912A1 (en) Lozenge for improved delivery of cannabinoids
CN107812195A (zh) (6s)‑5‑甲基‑四氢叶酸钙盐的稳定药物组合物
KR101612762B1 (ko) 친수성서방폴리머의 매트릭스를 이용한 은행잎 추출물의 약학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KR20150035245A (ko) 멜리사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방법
CN107320462B (zh) 一种左旋氨氯地平或其盐的缓释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111115B1 (ko)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약제학적 조성물
EP2640203B1 (en) Excipient from trigonella foenum-graecum seed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0857061B1 (ko) 바키늄 미르틸루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9234B1 (ko)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서방 제제
JP7382409B2 (ja) イチョウの葉の乾燥エキスを含む摂取容易な錠剤の調製のための方法
KR20170115384A (ko)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서방 제제
KR101992394B1 (ko) 친수성서방폴리머의 매트릭스를 이용한 은행잎 추출물의 약학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KR102047503B1 (ko)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
KR101809886B1 (ko) 소형화된 클래리트로마이신 경구투여 제제
KR101992404B1 (ko) 친수성서방폴리머의 매트릭스를 이용한 은행잎 추출물의 약학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서방성 제제
KR102173549B1 (ko) 복합 생약재 추출물 함유 방출 조절 제제
AU2431400A (en) A pharmaceutical mixture comprising a profen
KR100908193B1 (ko) 애엽추출물의 가용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