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158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158A
KR20150035158A KR20130115394A KR20130115394A KR20150035158A KR 20150035158 A KR20150035158 A KR 20150035158A KR 20130115394 A KR20130115394 A KR 20130115394A KR 20130115394 A KR20130115394 A KR 20130115394A KR 20150035158 A KR20150035158 A KR 20150035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adc
display device
mixture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663B1 (ko
Inventor
박혜란
기남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6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5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는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광안정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 공정 완료 후 냉각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성형 공정 이후에도 휘어진 형상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前面)에 부착하는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는 종이처럼 구부리거나 감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 및 보관성 등의 이점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몇몇 제약으로 인해서 완전히 감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용화된 상태는 아니지만 굽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굽은 디스플레이 장치(Curved Display Device)는 게임 산업 등에서 이미 실용화된바 있고, 머지않아 완전히 감을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라 함은 완전히 감을 수 있는 순수한 의미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굽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굽은 디스플레이 장치(Curved Display Device)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커버 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져 있다. 이와 같이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면(前面)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기계적 강도를 증진시킴과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져 있다.
종래의 경우,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의 재료로는 유리 또는 열가소성 수지가 주로 이용되었다.
상기 유리를 이용할 경우에는 주로 열압착 성형 공정을 통해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20)를 제조하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주로 진공 성형 공정을 통해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20)를 제조하였다.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유리를 이용하여 열압착 성형 공정으로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음각의 곡면 수용부를 구비한 지지대(30) 상에 커버 플레이트(20)를 안착시킨 후 양각의 곡면 가압부를 구비한 몰드(40)로 가압함으로써,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20)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압착 성형 공정을 이용할 경우에는 유리의 재료 특성상 수백℃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공정을 진행해야 하므로 공정 완료 후 냉각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구현 가능한 형상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진공 성형 공정으로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진공 챔버(50) 내에 곡면 형상의 금형(60)을 배치한 후, 상기 금형(60) 상에 커버 플레이트(20)를 위치시키면서 진공을 가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를 상기 금형(60)의 표면에 흡착시킴으로써,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20)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유리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완료 후 냉각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진공 성형 공정을 이용할 경우에는 일단 압출 성형 공정으로 평평한 열가소성 수지 기판을 제조한 후 상술한 진공 성형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압출 성형은 초기 설비 투자 비용이 매우 높고 압출 공정 시간도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또한 진공 성형 공정 이후에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가 원래의 평평한 기판으로 돌아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생산성이 우수하면서 성형 공정 이후에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는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광안정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광안정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가경화시켜 젤 상태의 수지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젤 상태의 수지를 본경화시킴과 동시에 성형하여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 공정 완료 후 냉각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성형 공정 이후에도 휘어진 형상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커버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4a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도 4b는 유기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a, 100b) 및 커버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a, 100b)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져 있다. 이와 같이 휘어진 디스플레이 패널(100a, 100b)은 도 4a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100a)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b와 같이 유기 발광 패널(100b)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액정 표시 패널(100a)은 하부 기판(101), 상부 기판(102) 및 상기 양 기판(101, 102)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 기판(101) 상에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액정 구동을 위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기판(102)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 및 컬러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패널(100a)은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또는 TN(Twisted Nematic) 모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유기 발광 패널(100b)은 기판(104) 상에 적층된 소자층(1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소자층(105)은 박막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발광소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패널(100b)은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 또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a, 100b)의 전면(前面)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 플레이트(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a, 100b)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져 있다. 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a, 100b) 및 커버 플레이트(200)가 부드러운 곡선면을 가지면서 휘어진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을 가지면서 굽어진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휘어진'이라 함은 부드러운 곡선면을 가지면서 휘어진 모양뿐만 아니라 각을 가지면서 굽어진 모양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는 열경화성 투명 수지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는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광안정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은 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내열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커버 플레이트의 재료로서 적합하다.
상기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DC)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모노머(Monomer)로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50의 정수임)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알킬기, 에테르기, 및 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
상기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DC)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은 94 내지 9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DC)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이 94 중량% 미만이거나 98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커버 플레이트(200)의 광특성이 저하되거나 표면 경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광중합개시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중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커버 플레이트(200)의 표면 경도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중합개시제가 5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헤이즈(Haze)가 증가하고 황변이 발생하는 등 커버 플레이트(200)의 광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벤조일퍼옥사이드(BPO) 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보다는 상기 벤조일퍼옥사이드(BPO)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커버 플레이트(200)의 표면 경도 및 광특성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는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광안정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는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가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헤이즈(Haze)가 증가하고 황변이 발생하는 등 커버 플레이트(200)의 광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광안정제가 1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커버 플레이트(200)의 표면 경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또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를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보다는 상기 벤조페논(Benzophenone)계와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커버 플레이트(200)의 표면 경도 및 광특성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커버 플레이트의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커버 플레이트(200)의 표면에 기능층(21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기능층(21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표면, 특히 상면에 형성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기능층(210)은 기계적 강도를 증진시키는 하드 코팅층(Hard Coating)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반사방지(Anti-Reflection)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지문방지(Anti-Finger)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터치 센서(Touch sensor)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각각의 기능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재료의 층이 상기 기능층(210)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커버 플레이트(200)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서 제조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전술한 도 5에 도시한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도 6a에서 알 수 있듯이,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광안정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한 후, 상기 혼합물을 가경화시킨다.
상기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광안정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경화라 함은 완전히 경화하지 않고 소정의 점성을 유지하면서 말랑말랑한 젤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혼합물을 가경화시키는 공정은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혼합물에 자외선(UV)를 조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물에 열과 자외선(UV)을 가하면 상기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모노머(Monomer)가 가교반응을 하면서 중합되어 젤 상태의 수지(200a)가 얻어진다.
상기 혼합물을 가경화시키기 위한 가열 공정은 70℃ 내지 90℃ 범위에서 1분 내지 5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 공정이 70℃ 미만이거나 1분 미만일 경우에는 가경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가열 공정이 90℃ 초과이거나 5분 초과일 경우에는 경화가 급속히 이루어져 젤 상태의 수지를 얻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가열 공정은 상기 온도 범위의 가열판(300) 상에 상기 혼합물을 올려놓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가경화시키기 위한 UV 조사 공정은 50mJ 내지 200mJ의 범위에서 1분 내지 5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UV 조사 공정이 50mJ 미만이거나 1분 미만일 경우에는 가경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UV 조사 공정이 200mJ 초과이거나 5분 초과일 경우에는 경화가 급속히 이루어져 젤 상태의 수지를 얻지 못할 수 있다. 상기 UV는 280 내지 320nm 파장 범위의 UV램프를 이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도 6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젤 상태의 수지(200a)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 절단 공정은 레이저 가공 장치(400)를 이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절단 공정은 후술하는 본경화 및 성형 공정 이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즉, 가경화, 본경화 및 성형 공정 이후에 상기 절단 공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6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젤 상태의 수지(200a)를 본경화시킴과 동시에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200)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경화라 함은 완전히 경화하여 딱딱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본경화시키는 공정은 상기 젤 상태의 수지(200a)를 가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젤 상태의 수지(200a)를 본경화시키기 위한 가열 공정은 150℃ 내지 200℃ 범위에서 3분 내지 1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 공정이 150℃ 미만이거나 3분 미만일 경우에는 본 경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가열 공정이 200℃ 초과이거나 10분 초과일 경우에는 얻어진 커버 플레이트(200)가 균일한 광특성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성형 공정은 음각면을 구비한 제1 프레스(500) 및 상기 음각면에 대응하는 양각면을 구비한 제2 프레스(600) 사이에 상기 젤 상태의 수지(200a)를 올려놓고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스(500) 및 상기 제2 프레스(600)를 상기 온도 범위로 가열함으로써 본경화 공정과 성형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도 6d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0)의 표면에 기능층(210)을 추가로 형성한다.
상기 기능층(210)을 형성하는 공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Hard Coating), 반사방지(Anti-Reflection)층, 지문방지(Anti-Finger)층, 및 터치 센서(Touch sensor)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험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1. 비교예 1
열가소성 수지로서 PMMA(PolymethylMethacrylate)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 공정으로 평평한 기판을 제조한 후 진공 성형 공정으로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2. 비교예 2
열가소성 수지로서 PC(Polycarbonate)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 공정으로 평평한 기판을 제조한 후 진공 성형 공정으로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3. 비교예 3
열경화성 수지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이용하여 압출 성형 공정으로 평평한 기판을 제조한 후 진공 성형 공정으로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4. 실시예
화학식 1의 화합물 96.5 중량%, BPO 1.8 중량%, AIBN 1.2 중량%, 벤조페논계 0.3 중량%, 및 벤조트리아졸계 0.2 중량%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100mJ의 UV를 조사하면서 80℃에서 3분간 가경화한 후 170℃에서 5분간 본경화 및 성형을 하여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5. 신뢰성 평가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를 60℃의 온도 및 90%의 습도의 고온 고습 조건에서 96시간 방치한 후 휘어진 형상의 유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수지조성 공정 신뢰성 평가
(60℃/90%/96시간)
비교예 1 열가소성 수지(PMMA) 압출성형/진공성형 평평한 상태로 복귀
비교예 2 열가소성 수지(PC) 압출성형/진공성형 평평한 상태로 복귀
비교예 3 열경화성 수지(화학식1) 압출성형/진공성형 평평한 상태로 복귀
실시예 열경화성 수지(화학식 1+중합개시제+광안정제) 가경화/본경화 및 성형 휘어진 형상 유지
위의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 및 진공 성형을 통해 휘어진 형상의 커버 플레이를 제조할 경우(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는 다시 평평한 원상태로 복귀하는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은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DC) 계열의 모노머, 중합개시제, 및 광안정제를 이용하여 가경화, 본경화 및 성형 공정으로 휘어진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할 경우(실시예)에는 휘어진 형상을 장기간 유지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는 그 재료의 특성상 가경화이후에 본경화 및 성형 공정은 적용불가능하다.
6. 표면 경도, 내충격성 및 광특성 평가
비교예 1 및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에 대해서 표면 경도, 내충격성 및 광특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표면 경도
(1Kgf하중)
내충격성(22g, 스틸볼, 아크릴지그) 투과도
(%)
헤이즈
(Haze)
황변(YI; Yellow Index)
비교예 1 H 30 Cm 92.24 0.58 1.13
실시예 3~4H 100 Cm 92.31 0.22 0.63
위의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된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표면 경도,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투과도, 헤이즈 및 황변과 같은 광특성 또한 비교예 1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00a, 100b: 디스플레이 패널 200: 커버 플레이트
210: 기능층 300: 가열판
400: 레이저 가공 장치 500: 제1 프레스
600: 제2 프레스

Claims (10)

  1.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는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광안정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내지 50의 정수임)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알킬기, 에테르기, 및 에스테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
    을 모노머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광안정제는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은 94 내지 98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중합개시제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광안정제는 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의 표면에 기능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 Diglycol Carbonate: ADC) 계열의 열경화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및 광안정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가경화시켜 젤 상태의 수지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젤 상태의 수지를 본경화시킴과 동시에 성형하여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경화 공정은 상기 혼합물을 70℃ 내지 90℃ 범위에서 1분 내지 5분 동안 가열하면서 상기 혼합물에 50mJ 내지 200mJ의 범위에서 1분 내지 5분 동안 자외선(UV)를 조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경화 공정은 상기 젤 상태의 수지를 150℃ 내지 200℃ 범위에서 3분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경화 및 성형 공정은 음각면을 구비한 가열된 제1 프레스 및 상기 음각면에 대응하는 양각면을 구비한 가열된 제2 프레스 사이에 상기 젤 상태의 수지를 올려놓고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진 커버 플레이트의 표면에 기능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30115394A 2013-09-27 2013-09-2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89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394A KR102089663B1 (ko) 2013-09-27 2013-09-2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394A KR102089663B1 (ko) 2013-09-27 2013-09-2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158A true KR20150035158A (ko) 2015-04-06
KR102089663B1 KR102089663B1 (ko) 2020-03-16

Family

ID=5303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394A KR102089663B1 (ko) 2013-09-27 2013-09-27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6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5965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807991A (zh) * 2019-11-08 2020-02-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盖板及显示装置
CN114361360A (zh) * 2021-12-30 2022-04-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753B1 (ko) * 2003-07-01 2008-05-20 트랜지션즈 옵티칼 인코포레이티드 편광 광변색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050941A (ja) * 2010-09-02 2012-03-15 Mitsubishi Rayon Co Ltd 積層シートロールの製造方法
JP5245190B2 (ja) * 2005-03-31 2013-07-24 Jsr株式会社 液状硬化性組成物及び硬化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753B1 (ko) * 2003-07-01 2008-05-20 트랜지션즈 옵티칼 인코포레이티드 편광 광변색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245190B2 (ja) * 2005-03-31 2013-07-24 Jsr株式会社 液状硬化性組成物及び硬化膜
JP2012050941A (ja) * 2010-09-02 2012-03-15 Mitsubishi Rayon Co Ltd 積層シートロール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5965A (ja) * 2017-03-17 2018-10-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807991A (zh) * 2019-11-08 2020-02-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盖板及显示装置
CN110807991B (zh) * 2019-11-08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盖板及显示装置
CN114361360A (zh) * 2021-12-30 2022-04-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361360B (zh) * 2021-12-30 2024-02-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663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516B1 (ko)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03181A (ko) 곡면형 투명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97195A (ja) 光学材料および光学素子
KR102089663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35370B1 (ko) 하드 코팅을 가지는 투명 복합 필름,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384400B (en) Ophthalmic lenses
JPH05287050A (ja) 高屈折率光学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639082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JP2005280261A (ja) 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US6455653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WO2015056660A1 (ja) 樹脂シート、及びその用途
KR102050111B1 (ko) 아크릴계 광분산용 플라스틱 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4000885B2 (ja) 重合性組成物及び硬化体
JP3674236B2 (ja) 液晶表示素子
JP2010164823A (ja) 反射防止積層体
KR20160002274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KR101724616B1 (ko) 유리 대체용 경화성 조성물
KR101990853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655708B1 (ko) 광중합성 조성물
TW201544521A (zh) 可光聚合的組成物及光學片
KR101219891B1 (ko) 광학시트
KR20140000636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786569B1 (ko) 자동차용 플라스틱 글레이징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9063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606577B1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