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274A -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 Google Patents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274A
KR20160002274A KR1020140081406A KR20140081406A KR20160002274A KR 20160002274 A KR20160002274 A KR 20160002274A KR 1020140081406 A KR1020140081406 A KR 1020140081406A KR 20140081406 A KR20140081406 A KR 20140081406A KR 20160002274 A KR20160002274 A KR 2016000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ured
cured layer
optical sheet
refractive index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홍구
정영선
김경화
김민정
손영교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274A/ko
Publication of KR2016000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7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친화경적이면서도 신뢰성이 우수한 고굴절의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Optical Sheet}
본 발명은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에 의해 반응이 개시되어 경화층을 형성하는 광중합성 조성물과 이로부터 형성된 경화층을 포함하는 프리즘 시트 등의 광학시트에 관한 것이다.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인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고정하는 몰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광을 제공하는 광원유닛, 광원유닛에서 출광된 광을 가이드하는 도광판, 도광판 하부에 위치하여 도광판 하부로 출광된 광을 다시 도광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시트 및 도광판 상부에 위치하여 액정표시패널로의 광을 고르게 분산시킴과 동시에 집광시키는 광학시트를 포함하고 있는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int)은 LCD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LCD는 소비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편리하여 보편화되고 있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스플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LCD는 자기 발광성이 없으므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고 구조상 광확산층을 통과한 빛이 모든 방향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그만큼 휘도(brigntness)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소비전력으로도 보다 높은 휘도를 발휘하는 LCD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방출된 빛을 집광시키고 빛의 방향을 조절하여 정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시트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광학시트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빛을 파동성과 입자성으로 해석한 간섭, 회절, 편광과 광입자 원리를 적절히 변형시킬 수 있는 입체구조를 사용하여 광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이러한 입체 구조면을 형성하는 물질의 물리적 특성을 변형하면 광의 흐름을 추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광입자의 배출방향을 정렬시켜 그 방향에서의 휘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 물질의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 휘도 향상과 관련되는 특성으로는 일예로 굴절율을 들수 있는데, 굴절율이 높을수록 광학시트의 성능은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광학시트 상에 입체구조면을 형성할 수 있는 굴절율이 높은 수지로는 고분자 수지 사슬 내에 브롬, 염소와 같은 할로겐 원소가 치환된 광경화형 수지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는 환경규제를 통한 환경유해성물질이 들어있는 제품의 무역을 제한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 제품설계와 청정생산기술이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와 생존을 위한 필수 요구조건으로 대두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고분자 수지 사슬 내에 브롬, 염소와 같은 할로겐 원소가 치환된 광경화형 수지층을 갖는 광학 시트는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부적절하다. 특히 할로겐 원소는 환경호르몬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환경문제에 민감한 유럽에서는 비할로겐 제품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할로겐 원소의 사용량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이를 대체하여 고분자 수지 내에 벤젠링을 다량 포함하고, 내열 및 내 UV 안정성이 우수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국제사회의 환경규제에 대응하면서도 신뢰성이 우수한 고굴절 특성을 구현하고 있다.
고분자 수지내에 벤젠링을 포함하고 있는 광경화 수지의 경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94553호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13953호 '대전방지성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조성물'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만, 다수의 벤젠링의 결합으로 구성되어있는 백본(back-bone)에 도입되는 치환기 또는 단량체의 반복단위 등에 의하여 광경화 수지의 물성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광경화 수지 합성에 대한 연구 또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을 통해 친환경적이면서 내열 및 UV안정성이 우수하고 고굴절율을 나타내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아울러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수지 경화층 및 상기 수지 경화층이 형성된 광학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구현에는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광개시제; 첨가제; 및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이때, 상기 화학식에서 n 또는 m은 각각 같거나 다른 0 이상의 정수이되, 단, n+m≥1인 것이 바람직하며, a, b, c, d, e 및 f는 각각 같거나 다른 0 이상의 정수이되, 단, a+b+c≥1 또는 d+e+f≥1일 수 있다. 또한, u, v, w, x, y 및 z는 각각 같거나 다른 1 내지 5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화합물은 광중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의한 광중합 조성물은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100,000cps이고, 굴절율은 ASTM D1218 기준 1.50 내지 1.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이 따른 바람직한 제 2 구현예는, 분자 구조내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가 포함되어 있는 수지 경화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이다.
상기 제 2 구현예에 의한 수지 경화층은 분자 구조내에 반복단위를 수지 경화층 총 중량대비 5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구현예에 의한 수지 경화층은 25℃에서의 굴절율이 ASTM D1218 기준 1.50 내지 1.7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구현예에 의한 수지 경화층은 색차 분석계(Minolta CR-300) 측정 기준으로, 황변도(△b)값으로 대표되는 내열(125℃의 항온, 100hr)안정성이 0 내지 50이고, UV(UV-313B 8등, 1000hr)안정성이 0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구현예에 의한 수지 경화층은 그 표면이 선형 또는 비 선형적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입체구조에 의해 구조화된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구현예에 의한 광학시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구현예에 의한 광학시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상기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3 구현예는 상기 광학시트를 적어도 한 층 이상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이면서 내열성 및 UV 안정성이 우수한 고굴절율을 갖는 수지 경화층 형성에 적합한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로 형성된 수지 경화층으로 포함하는 광학시트는 우수한 휘도특성을 발현하여 백라이트 유니트의 광학시트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이때, 상기 화학식에서 n 또는 m은 각각 같거나 다른 0 이상의 정수이되, 단, n+m≥1인 것이 바람직하며, a, b, c, d, e 및 f는 각각 같거나 다른 0 이상의 정수이되, 단, a+b+c≥1 또는 d+e+f≥1일 수 있다. 또한, u, v, w, x, y 및 z는 각각 같거나 다른 1 내지 50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 중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량은 휘도 향상을 위한 측면에서 조성물 총 중량기준 5 내지 80 중량%이 채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가 채용될 수 있다. 다만 최종 수지 경화층에서 요구되는 굴절율이나 휘도특성 등에 따라서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범위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기준이 5 중량% 미만으로 채용되었을 경우, 수지 경화층에 미치는 굴절율 상승이 미미 할수 있으며, 80 중량% 이상이 채용될 경우, 수지 경화층의 굴절율은 높으나, 제조된 배합물의 점도가 높게되는 특성으로 프리즘을 제조하기가 어려 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 이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다양한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는 굴절율이 ASTM D1218 기준 1.45 이상인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다만, 굴절율이 지나치게 큰 경우 조액의 점도를 높이므로 수지 경화층의 표면 경도를 지나치게 고경도화 할 수 있고, 굴절율이 지나치게 낮은 것일 경우라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광학 시트의 굴절율을 낮게되어 고휘도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외선 단량체(들)는 25℃에서의 굴절율이 1.50 내지 1.65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자외선 경화 단량체(들)는 25℃에서의 점도가 1 내지 50,0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의 물성과 사용 유무를 떠나서 전체 조액(광중합 조성물)의 25℃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100,000cps인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므로 25℃에서의 점도가 1 내지 50,000cps인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조액 점도를 고려하여 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액의 25℃에서의 점도는 가공시의 작업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수지 경화층의 표면경도, 광학 시트의 압축변형율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점도가 100,000cps을 초과하여 지나치게 높은 경우라면 수지 경화층이 브리틀(brittle)해질 수 있고, 조액의 점도가 10cps 미만으로 지나치게 낮은 경우라면 수지 경화층의 굴절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의 함량은 전체 조액의 굴절율이 ASTM D1218 기준 1.50 이상이 되는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최종 경화후의 수지 경화층의 도막 굴절율을 고려하여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의 함량은 전체 조액의 굴절율이 ASTM D1218 기준 1.50 내지 1.65 되는 양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굴절율, 점도 조건을 만족하는 하에서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는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페닐페녹시에탄올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에이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 메틸스타이렌, 페닐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광중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의 광중합을 개시하는 역할로서, 포스핀 옥사이드계, 프로파논계, 케톤계, 포르메이트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광중합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및 대전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은 열적안정성 우수하여 광학시트의 경화층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광학 시트의 수지 경화층에 적용할 경우, 광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수지 경화층의 25℃에서의 도막 굴절율이 ASTM D1218 기준 1.50 내지 1.72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내열성 및 UV안정성 우수한 고굴절율의 광학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는 수지 경화층의 25℃에서의 도막 굴절율이 특히 1.56 이상인 경우 휘도향상용의 광학시트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학시트는 상술한 광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진 수지 경화층 및 기재층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층 상에 수지 경화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수지 경화층은 분자 구조내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수지 경화층 총 중량대비 5 내지 80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굴절율을 높이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수지 경화층은 색차 분석계(Minolta CR-300) 측정 기준으로, 황변도(△b)값으로 대표되는 내열(125℃의 항온, 100hr)안정성이 0 내지 50이고, UV(UV-313B 8등, 1000hr)안정성이 0 내지 50 것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b의 값이 낮으면 낮을수록 높은 신뢰성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만약, 내열 안정성(△b)이 20을 초과하거나 UV안정성(△b)이 50을 초과할 경우라면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에 채용시 황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수지 경화층은 상기 범위내의 신뢰성을 보여 주므로 백라이트 유닛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층 수지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투명성을 고려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등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재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0㎛ 정도인 것이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및 필름의 유연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투과광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수지 경화층은 그 표면이 선형 또는 비 선형적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입체구조에 의해 구조화된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표면이 다수의 입체구조가 배열되어 구조화된 형상을 갖는 수지 경화층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예로는 상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여 조액을 제조하는 단계; 입체구조물이 인각된 프레임에 상기 조액을 코팅하는 단계; 투명기재필름의 일면을 상기 인각 프레임에 코팅된 조액면과 접촉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조액을 경화시켜 수지 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인각 프레임으로부터 수지 경화층면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에 인각된 입체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수지 경화층의 구조화된 표면 형상이 달라질 수 있는바, 표면 형상은 단면이 다각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인 다면체 형상이거나 다각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인 기둥 형상이거나 단면이 다각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인 곡선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한 가지 이상의 패턴이 혼합된 형상일 수도 있다. 아울러 수지 경화층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면서, 동심원을 따라 산과 골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광학시트는 다른 일예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거나 또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상기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다수의 광학시트를 조합해야 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휘도 향상 측면, 그리고 구조화된 표면으로 인한 휘선 보임을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에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특성을 갖는 광학시트를 적어도 한 층 이상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
하기 표 1의 조성 및 조성비로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통상의 공지된 방법으로 휘도 향상기능을 갖는 입체구조물(프리즘층)이 인각된 프레임에 코팅한 다음, 투명기재필름(PET 필름)의 일면을 상기 인각 프레임에 코팅된 코팅면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명기재필름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프레임에 코팅된 조성물을 광경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에 접착되어 경화된 코팅층을 인각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투명기재필름의 일면에 수지 경화층이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프리즘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자외선 시스템은 미국 퓨전사의 무전극형 자외선 조사 장치(600W/inch)에 Type-D bulb를 장착하여 900mJ/㎠ 를 조사하였다.
하기 표 1에는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및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조액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내열성, UV 안정성 및 굴절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일예일 뿐이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다른 성분들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실시예에 대한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조성물의 점도(조액 점도):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회전형 점도계(Brook field사, VISCOMETER DV-II+PRO)로, 회전속도 50 내지 200 RPM으로, 61 내지 64 spindle을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2) 조성물의 굴절율(조액 굴절율): 조성물의 굴절율을 측정하기 위해 굴절계(모델명: 1T, 일본 ATAGO ABBE)를 사용하여 굴절율을 측정하였다. ASTM D1218에 맞추어 측정을 위한 광원은 589.3nm의 D광선 나트륨램프를 이용한다. 여기서의 굴절율은 25℃에서의 굴절율이다.
(3) 경화 후 도막 굴절율: 조성물의 경화 후의 굴절율을 측정하기 위해 PET필름 상부에 조성물을 코팅한 후, 표면위에 매끈한 금속판을 겹쳐 두께가 20㎛가 되도록 압력을 가한 후, 미국 퓨전사의 무전극형 자외선 조사 장치(600W/inch)에 Type-D bulb를 장착하여 700mJ/㎠의 에너지를 PET필름 방향에서 조사하고, 금속판을 분리한다. 조성물이 경화된 PET필름을 굴절계(모델명: 1T, 일본 ATAGO ABBE)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을 위한 광원은 589.3nm의 D광선 나트륨램프를 이용한다. 여기서의 굴절율은 25℃에서의 굴절율이다.
(4) UV 안정성 테스트: 15*15 cm 크기의 경화된 시트를 UV-313B 8등이 설치된 자외선 폭뢰계에 투입하여 1000hr의 황변도(△b)를 색차 분석계(모델명: Minolta CR-300)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시료의 △b 값이 낮은 것은 내황변성이 우수함을 뜻한다.
(5) 내열 안정성: 15*15 cm 크기의 경화된 시트를 125℃의 항온 챔버에 투입하여 500hr의 황변도(△b)를 색차 분석계(모델명: Minolta CR-300)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시료의 △b 값이 낮은 것은 내열 안정성이 우수함을 뜻한다.
(6) 비교예 1 내지 3: 비교예 1은 별도의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이고, 비교예 2 및 3은 고굴절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진 화합물(화학식 2 및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한 것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화학식 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
화합물 - 화학식 2
화합물
n+m=10
화학식 3
화합물
n+m =10
화학식 1 화합물,
a=1,b=c=0, d=1, e=f=0, u=2, x=2, n+m=10
함량
(중량%)
0 50 50 50 60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M1142 (미원스페셜티케미칼사)
함량
(중량%)
99 49 49 49 39
광개시제
(중량%)
1 1 1 1 1
조액 점도
(cps)
120 2,000 1,500 1,700 2,500
조액 굴절율
(25℃)
1.57 1.57 1.57 1.58 1.58
도막 굴절율
(25℃)
1.59 1.59 1.59 1.60 1.60
UV안정성(△b) 25 22 35 16 15
내열안정성(△b) 6 4 9 3 2
*광개시제: diphenyl (2,4,6-trimethylbenzyl) phosphine oxide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한 조액 굴절율과 도막 굴절율 및 내열 및 내UV안정성 측정 결과,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수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내열성 및 UV안정성이 높은 도막을 제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수지 화합물(비교예 2 및 비교예 3)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으로 우수한 고굴절 특성을 가지는 프리즘 시트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광개시제; 첨가제; 및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상기 n 또는 m은 각각 같거나 다른 0 이상의 정수이되, n+m≥1이다. 또한, a, b, c, d, e 및 f는 각각 같거나 다른 0 이상의 정수이되, 단, a+b+c≥1 또는 d+e+f≥1 이며, u, v, w, x, y 및 z는 각각 같거나 다른 1 내지 50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광중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조성물은 25℃ 에서의 점도가 10 내지 100,000cps이고, 굴절율은 ASTM D1218 기준 1.50 내지 1.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4. 분자 구조내에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가 포함된 수지 경화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n 또는 m은 각각 같거나 다른 0 이상의 정수이되, n+m≥1이다. 또한, a, b, c, d, e 및 f는 각각 같거나 다른 0 이상의 정수이되, 단, a+b+c≥1 또는 d+e+f≥1 이며, u, v, w, x, y 및 z는 각각 같거나 다른 1 내지 50의 정수이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경화층은 상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수지 경화층 총 중량대비 5 내지 8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경화층은 25℃에서의 굴절율이 ASTM D1218 기준 1.50 내지 1.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경화층은 색차 분석계(Minolta CR-300) 측정 기준으로, 황변도(△b)값으로 대표되는 내열(125℃의 항온, 100hr)안정성이 0 내지 50이고, UV(UV-313B 8등, 1000hr)안정성이 0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경화층은 그 표면이 선형 또는 비 선형적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입체구조에 의해 구조화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시트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상기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시트를 적어도 한 층 이상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1020140081406A 2014-06-30 2014-06-30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KR20160002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406A KR20160002274A (ko) 2014-06-30 2014-06-30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406A KR20160002274A (ko) 2014-06-30 2014-06-30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74A true KR20160002274A (ko) 2016-01-07

Family

ID=5516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406A KR20160002274A (ko) 2014-06-30 2014-06-30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2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396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블랙뱅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853799A (zh) * 2022-03-10 2022-08-05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薄膜封装的化合物、组合物及封装薄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396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블랙뱅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853799A (zh) * 2022-03-10 2022-08-05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薄膜封装的化合物、组合物及封装薄膜
CN114853799B (zh) * 2022-03-10 2023-12-26 吉林奥来德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薄膜封装的化合物、组合物及封装薄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6550B1 (e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sition and lens sheet
JP4920513B2 (ja) 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45170B1 (ko) 필름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7602A (ko) 무기 미립자 분산액의 제조 방법, 당해 분산액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
KR101508761B1 (ko) 광학 필름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KR20150120627A (ko) 도광판 미세 패턴 형성용 광경화형 임프린팅 조성물 및 그 임프린팅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4553B1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02274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KR101639082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232560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20130042393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KR20190062267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2457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851364B1 (ko) 하드코팅용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TWI540151B (zh) 可光聚合的組成物及光學片
KR101219891B1 (ko) 광학시트
KR20140000636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20160002276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JP6651821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偏光板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を備える透過型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1655708B1 (ko) 광중합성 조성물
KR20100053275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99063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229672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990853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WO2013191516A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