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853B1 -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853B1
KR101990853B1 KR1020120154267A KR20120154267A KR101990853B1 KR 101990853 B1 KR101990853 B1 KR 101990853B1 KR 1020120154267 A KR1020120154267 A KR 1020120154267A KR 20120154267 A KR20120154267 A KR 20120154267A KR 101990853 B1 KR101990853 B1 KR 101990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ene
tri
cured layer
refractive index
optic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4618A (ko
Inventor
이강민
김경종
류득수
신의영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8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52Amides or imides
    • C08F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의 구조에 의해 점도 및 굴절율 조절이 가능하여, 고굴절 특성 및 황변 안정성이 우수한 수지 경화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UV-Curable Resin Compositions and Optical Sheet}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인 LCD는 비발광형 전자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동화상의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천연색상을 양질로 구현해 내기 위해 별도의 광원, 즉 백라이트(Backlight)를 구비하여야 한다. 액정 모듈의 후면에서 빛을 조사하는 일체의 복합체를 Backlight Unit(BLU)라고 하며, 이는 조사방식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 BLU와 에지형(Edge Type) BLU의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되며, 중소형 LCD 백라이트 유니트에서는 측광형 램프를 사용한 에지형(edge type)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LCD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출사된 빛을 유도하는 도광판, 그리고 다수의 확산판, 프리즘 필름(Brightness enhancement film;BE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외에도 반사판과 몰드프레임, 보호시트 등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다수의 광학시트는 에지(edge)방식 또는 직하(direct)방식에 의해 발생된 광의 특성이 화상의 품질을 좌우하는 점을 고려하여, 출사된 광이 균일하고 고휘도의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부품이다.
다수의 광학 시트 중 프리즘 시트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에서 출사된 광선의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야 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단면이 삼각형 형태인 선형 또는 비선형 형태로 배열되는 광선조절 구조체를 가진다.
광선 조절 구조체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광선 조절 구조체가 음각으로 형성된 몰드와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자외선 조사를 통하여 형성시킨다.
광선 조절 구조체를 형성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일반적으로 굴절율이 높을수록 휘도 상승의 효과가 커지나, 유기 Type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굴절율 1.60 이상 달성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또한 고휘도 프리즘 필름을 구현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고점도의 고굴절 수지를 사용하므로 점도 조절을 위해 첨가하게 되는 희석제의 경우, 굴절율을 떨어뜨리거나 향후 신뢰성 황변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고굴절율을 가지면서도 황변 안정성이 우수한 수지 경화층 형성에 적합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굴절율을 가지면서도 황변 안정성이 우수한 수지 경화층이 형성된 광학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굴절율을 가지면서도 황변 안정성이 우수한 수지 경화층이 형성된 복합화된 광학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01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화학식 I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02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한 제2 구현예로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03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화학식 I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04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수지 경화층은 그 표면이 다수의 입체구조가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배열되어 구조화된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광학시트는 기재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한 제3 구현예로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05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화학식 I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06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수지 경화층은 25℃에서의 굴절율이 1.44 내지 1.63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수지 경화층은 25℃에서의 점도가 50 내지 3000cps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수지 경화층은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한 제4 구현예로서, 상기 광학시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굴절 특성 및 황변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는 우수한 휘도특성을 발현하여 백라이트 유닛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07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화학식 I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08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상기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은 벤젠링을 다수 포함하는 벤젠 화합물로서, 고굴절 특성과 동시에 신뢰성(황변 등)에 안정적인 물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R이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는 -CH2- 이거나 -O-(CH2)-CH(OH)-(CH2)- 일 경우 R이 없는 구조 대비 굴절율이 낮아지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는 체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R이 없는 구조 대비 낮은 점도를 나타낼 수 있다.
R이 -NHC(=0)- 일 경우, R이 없는 구조 대비 굴절율이 높아지며 우레탄기(Urethane Group) 특유의 특성에 따라, 경화 후 수지층의 강도, 내열성 및 접착력이 향상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서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로서 사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은 벤젠링을 다수 포함하는 벤젠 화합물은 구조적으로 안정한 형태로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광학시트의 수지 경화층에 적용함으로써, 내황변 안정성을 갖는 고굴절율의 광학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은 벤젠링을 다수 포함하는 벤젠 화합물은 고굴절 물질로 경화 후 수지 경화층의 굴절율을 1.44 내지 1.63 정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열적안정성 우수하여 광학시트의 수지 경화층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전체 광중합성 조성물 중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 중 적어도 1종의 함량은 휘도 향상을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5 중량% 인 것이나, 수지 경화층에서 요구되는 굴절율이나 휘도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 경화층은,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로서, 구조적으로 안정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 중 적어도 1종 외에 다른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은 주로 굴절율이 1.45 이상인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굴절율이 지나치게 큰 경우 조액의 점도를 높여 수지 경화층의 표면 경도를 지나치게 고경도화 할 수 있고 굴절율이 지나치게 낮은 것일 경우라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광학시트의 굴절율을 낮추어 고휘도 달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단량체(들)은 25℃에서의 굴절율이 1.45 내지 1.56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경화층은 25℃에서의 점도가 50 내지 3,000cps일 수 있다. 수지 경화층의 점도는 수지 경화층의 표면경도, 광학시트의 압축변형율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점도가 3,000cps 초과이면 수지 경화층이 브리틀(brittle)해질 수 있고 50cps 미만이면 수지 경화층의 굴절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지 경화층의 굴절율 및 점도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을 선택함에 있어서 각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페닐페녹시에탄올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에이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 메틸스타이렌, 페닐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러 측면에서, 구조적으로 안정한 벤젠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액은 25℃에서의 굴절율이 1.50 이상이고, 25℃에서의 점도가 1 내지 100,000cps인 것이 수지 경화층의 굴절율, 점도 등을 만족시킬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액은 25℃에서의 굴절율이 1.50 내지 1.65일 수 있다.
수지 경화층을 형성하는 조액은 구조적으로 안정한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또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은 벤젠링을 다수 포함하는 벤젠 화합물 및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들의 광중합을 개시하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일예로는 포스핀 옥사이드계, 프로파논계, 케톤계, 포르메이트계 등의 광개시제를 들 수 있다.
그밖에 필요에 따라 조액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일예로는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안정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첨가제로는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시트는 수지 경화층의 25℃에서의 도막 굴절율이 특히 1.56 이상인 경우 휘도향상용의 광학시트로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경화층의 25℃에서의 도막 굴절율이 1.50 내지 1.6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시트는 상기와 같은 광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진 수지 경화층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그 일예로는 기재층 상에 수지 경화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광학시트의 기재층 수지는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투명성을 고려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 등일 수 있고, 좋기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두께는 10 내지 1,000㎛ 정도인 것이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및 필름의 유연성 측면에서 유리하며 투과광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수지 경화층은 그 표면이 다수의 입체구조가 선형 또는 비선형적으로 배열되어 구조화된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 표면이 다수의 입체구조가 배열되어 구조화된 형상을 갖는 광학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예로는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 중 적어도 1종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여 조액을 제조하는 단계; 입체구조물이 인각된 프레임에 상기 조액을 코팅하는 단계; 투명기재필름의 일면을 상기 인각 프레임에 코팅된 조액면과 접촉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조액을 경화시켜 수지 경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인각 프레임으로부터 수지 경화층면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조액 제조시 25℃에서의 점도가 1 내지 50,000cps인 적어도 1종 이상의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를 포함하여 점도 및 굴절율을 조절할 수 있다.
비할로겐계 가교결합성 유도체와 25℃에서의 점도가 1 내지 50,000cps인 적어도 1종 이상의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액을 제조함에 있어서 조액의 굴절율을 1.52 이상으로, 그리고 조액의 점도를 10 내지 100,000cps로 조절하는 것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광학시트의 압축변형율에 있어 유리하고 또한 표면경도 특성 측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에 인각된 입체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수지 경화층의 구조화된 표면 형상이 달라질 수 있는바, 표면 형상은 단면이 다각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인 다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단면이 다각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인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단면이 다각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인 곡선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한 가지 이상의 패턴이 혼합된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수지 경화층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면서, 동심원을 따라 산과 골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시트의 다른 일예로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와 같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또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상기와 같은 광중합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다수의 광학시트를 조합해야 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휘도 향상 측면, 그리고 구조화된 표면으로 인한 휘선 보임을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적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표 1의 조성 및 조성비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통상의 공지된 방법으로 휘도향상기능을 갖는 입체구조물(프리즘층)이 인각된 프레임에 코팅하고, 투명기재필름(PET 필름)의 일면을 상기 인각 프레임에 코팅된 코팅면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명기재필름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프레임에 코팅된 조성물을 광경화시키고, 상기 투명기재필름에 접착되어 경화된 코팅층을 인각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투명기재필름의 일면에 수지 경화층이 형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프리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자외선 시스템은 미국 퓨전사의 무전극형 자외선 조사 장치(600W/inch)에 Type-D bulb를 장착하여 900mJ/㎠ 를 조사하였다.
다음 표 1에 나타낸 조성은 화학식 1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및 광개시제로 이루어진 조액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황변현상 및 굴절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일예일 뿐이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다른 성분들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하기 실시예에 대한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조성물의 굴절율(조액 굴절율)
조성물의 굴절율을 측정하기 위해 굴절계(모델명: 1T, 일본 ATAGO ABBE)를 사용하여 굴절율을 측정한다. 측정을 위한 광원은 589.3nm의 D광선 나트륨램프를 이용한다. 여기서의 굴절율은 25℃에서의 굴절율이다.
(2) 경화 후 도막 굴절율
조성물의 경화 후의 굴절율을 측정하기 위해 PET필름 상부에 조성물을 코팅한 후, 표면위에 매끈한 금속판을 겹쳐 두께가 20㎛가 되도록 압력을 가한 후, 미국 퓨전사의 무전극형 자외선 조사 장치(600W/inch)에 Type-D bulb를 장착하여 700mJ/㎠의 에너지를 PET필름 방향에서 조사하고, 금속판을 분리한다. 조성물이 경화된 PET필름을 굴절계(모델명: 1T, 일본 ATAGO ABBE)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을 위한 광원은 589.3nm의 D광선 나트륨램프를 이용한다. 여기서의 굴절율은 25℃에서의 굴절율이다.
(3) UV 안정성 테스트
15*15 cm 크기의 경화된 시트를 UV-313B 8등이 설치된 자외선 폭뢰계에 투입하여 1000hr의 황변안정성(△b)을 색차 분석계(모델명: Minolta CR-300)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시료의 △b 값이 낮은 것은 내황변성이 우수함을 뜻한다.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화학식1
화합물
- 화학식 I 에서 R=-CH2-인 화합물
함량(중량%) - 20 40 60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R712 (일본화약, 비스페놀 에프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함량(중량%) 99 79 59 39
광개시제(중량%) 1 1 1 1
조액 굴절율(25℃) 1.54 1.55 1.57 1.59
도막 굴절율(25℃) 1.56 1.57 1.59 1.61
UV안정성 Δb 26 21 16 13
*광개시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놀 포스핀옥사이드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화학식1
화합물
화학식 II 에서 R=-CH2-인 화합물
함량(중량%) 20 40 60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R712 (일본화약, 비스페놀 에프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함량(중량%) 79 59 39
광개시제(중량%) 1 1 1
조액 굴절율(25℃) 1.54 1.56 1.58
도막 굴절율(25℃) 1.56 1.58 1.60
UV안정성 Δb 22 18 15
*광개시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놀 포스핀옥사이드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에 대한 조액 굴절율과 도막 굴절율 및 내황변성 측정 결과, 화학식 I 내지 II로 표시되는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우 목적하는 내황변성이 우수한 고굴절 특성을 가지는 프리즘 필름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09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화학식 I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10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화학식 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11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화학식 I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12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경화층은 그 표면이 다수의 입체구조가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배열되어 구조화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기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6.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광확산층; 및
    상기 광확산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3,5-트리(4-아크릴릭페닐)벤젠(1,3,5-tri(4-acrylicphenyl)benzene)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3,5-트리(4-메타크릴릭페닐)벤젠(1,3,5-tri(4-metacrylicphenyl)benzene)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화학식 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13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화학식 II
    Figure 112012108219514-pat00014

    여기서, R은 -CH2-, -O-(CH2)-CH(OH)-(CH2)- 및 -NHC(=0)- 중 선택된다.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경화층은 25℃에서의 굴절율이 1.44 내지 1.6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 경화층은 25℃에서의 점도가 50 내지 3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경화층은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광개시제; 및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시트.
  10.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시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20154267A 2012-12-27 2012-12-27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990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67A KR101990853B1 (ko) 2012-12-27 2012-12-27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67A KR101990853B1 (ko) 2012-12-27 2012-12-27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618A KR20140084618A (ko) 2014-07-07
KR101990853B1 true KR101990853B1 (ko) 2019-06-19

Family

ID=5173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267A KR101990853B1 (ko) 2012-12-27 2012-12-27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8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642B1 (ko) 2008-02-22 2010-06-21 에스화인켐 주식회사 고굴절, 고탄성의 프리즘 시트와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제조 방법
JP2012074711A (ja) 2011-10-24 2012-04-12 Chemiprokasei Kaisha Ltd 1,3,5−トリフェニルベンゼン誘導体を含む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3758A (ko) * 2007-03-13 2008-09-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프리즘 필름
JP6363997B2 (ja) * 2012-06-02 2018-07-25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液晶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642B1 (ko) 2008-02-22 2010-06-21 에스화인켐 주식회사 고굴절, 고탄성의 프리즘 시트와 이를 위한 조성물 및 그제조 방법
JP2012074711A (ja) 2011-10-24 2012-04-12 Chemiprokasei Kaisha Ltd 1,3,5−トリフェニルベンゼン誘導体を含む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CHEM. SOC., PERKIN TRANS. 1, 2000, 2695-2701
TETRAHEDRON 63 (2007) 7443-744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618A (ko) 201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6935B2 (en)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method of fabricating optical film using the same, and optical film including the same
US10774222B2 (en)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860116B1 (ko) 도광판 미세 패턴 형성용 광경화형 임프린팅 조성물 및 그 임프린팅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18633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제조 방법
KR101194553B1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9082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2089663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2393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KR101990853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232560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20140041147A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246684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2274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KR20120131419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0636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332457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포함하는 광학시트
US20130302563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optical sheet comprising cured resin layer formed therefrom
KR101655708B1 (ko) 광중합성 조성물
KR101599063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포함하는 광학시트
KR101469257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8259B1 (ko)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WO2013191516A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20130034517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KR20130026035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KR101229672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