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08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088A
KR20150033088A KR20130112627A KR20130112627A KR20150033088A KR 20150033088 A KR20150033088 A KR 20150033088A KR 20130112627 A KR20130112627 A KR 20130112627A KR 20130112627 A KR20130112627 A KR 20130112627A KR 20150033088 A KR20150033088 A KR 20150033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older member
image sensor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704B1 (ko
Inventor
오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7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088A/ko
Priority to KR1020200097041A priority patent/KR102319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윈도우를 가지는 홀더부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는 적외선 차단필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들로 구성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계에는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모바일 제품의 카메라 모듈은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얇은 두께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얇은 두께의 인쇄회로기판은 카메라 모듈의 높이를 낮출 수는 있지만,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의 변형은 이미지 센서에 영향을 미쳐 이미지 열화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큐브형 카메라 모듈의 경우 모바일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된다. 그런데, 카메라 모듈과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을 ACF 본딩과 같이 고열, 고압으로 결합할 경우, 조립 공정 중에 인쇄회로기판이 변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인쇄회로기판의 강도가 보강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윈도우를 가지는 홀더부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부재와 별도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또는 홀더부재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홀더부재 중 어느 하나와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는 접착 고정되고, 홀더부재와는 면 접촉될 수도 있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는 면 접촉 되고, 홀더부재와는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중심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중심으로 대칭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는 상부면이 바닥면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면과 바닥면이 동일 면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면이 바닥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3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윈도우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경사면; 및 상기 윈도우 하측에 형성된 홀더부재의 내벽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바라보는 면이 윈도우의 내주면과 평행하게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홀더부재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를 가지는 렌즈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홀더부재에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윈도우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주변에 인쇄회로기판의 뒤틀림, 휨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 구조물이 일체로 또는 별개로 형성되므로, 인쇄회로기판이 얇게 구성되더라도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과 압력에 의해 변경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홀더부재(20) 및 렌즈모듈(30)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0)은 대략 중앙 부근에 이미지 센서(11)가 실장 되고, 그 주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능동 및 수동소자 부품들이 실장 될 수도 있다.
홀더부재(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대응 되는 위치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25)가 설치되는 윈도우(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1)는 이미지 센서(11)의 상부면과는 일정 거리 이격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홀더부재(20)에는 상기 윈도우(21) 하측으로 내벽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모듈(30)은 홀더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30)은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31)가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재(20)의 내측에 나사결합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렌즈모듈(30)을 홀더부재(20)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고, 홀더부재(20)와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모듈(30)의 내부에는 조리개와 같은 광학부품들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고, 최후단 렌즈 표면에 적외선 차단 코팅을 수행하여,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0)에는 보강부재(100)가 도 2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면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되는 면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100)는 인쇄회로기판(10)과 함께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 부재로 인쇄회로기판(10) 또는 홀더부재(20)에 부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홀더부재(2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강부재(100)는 이미지 센서(1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 1개나, 어느 일측 방향 또는 4방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강부재(100)의 배치 위치나 개수는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는 수동소자 등과 같은 부품 레이아웃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보강부재(100)는 상부면의 넓이가 바닥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대응되는 부분에 경사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면(22)과 마주보는 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10)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를 나중에 조립할 경우의 구조적인 간섭을 피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지지면(120)은 상기 내벽면(22)과 밀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부재의 도포 없이 지지되거나, 접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부재(100)를 인쇄회로기판(10)과 홀더부재(20)와 별도 부재로 형성할 경우, 보강부재(100)는 인쇄회로기판(10) 또는 홀더부재(20)에 에폭시 등으로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10)에 보강부재(100)를 접착 고정할 경우, 홀더부재(20)와 보강부재(100)는 면 접촉되게 배치할 수도 있고, 추가로 접착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홀더부재(20)에 보강부재(100)를 접착 고정할 경우, 인쇄회로기판(10)과 보강부재(100)는 면 접촉되게 배치할 수도 있고, 추가로 접착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면(120)의 형상은 내벽면(2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바닥면에 수직할 수도 있고, 일정 경사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면(120)의 형상은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0)에는 보강부재(200)가 도 3 및 도 4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2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면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되는 면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200)는 인쇄회로기판(10)과 함께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 부재로 인쇄회로기판(10) 또는 홀더부재(20)에 부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홀더부재(2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강부재(200)는 이미지 센서(1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 1개나, 어느 일측 방향 또는 4방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강부재(200)의 배치 위치나 개수는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는 수동소자 등과 같은 부품 레이아웃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보강부재(200)는 상부면의 넓이와 바닥면의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대응되는 부분은 직선의 내측 지지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면(22)과 마주보는 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외측 지지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지지면(210)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를 나중에 조립할 경우의 구조적인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윈도우(21)의 내주면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지지면(220)은 상기 내벽면(22)과 밀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부재의 도포 없이 지지되거나, 접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부재(200)를 인쇄회로기판(10)과 홀더부재(20)와 별도 부재로 형성할 경우, 보강부재(200)는 인쇄회로기판(10) 또는 홀더부재(20)에 에폭시 등으로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10)에 보강부재(200)를 접착 고정할 경우, 홀더부재(20)와 보강부재(200)는 면 접촉되게 배치할 수도 있고, 추가로 접착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홀더부재(20)에 보강부재(200)를 접착 고정할 경우, 인쇄회로기판(10)과 보강부재(200)는 면 접촉되게 배치할 수도 있고, 추가로 접착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측 지지면(220)의 형상은 내벽면(2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바닥면에 수직할 수도 있고, 일정 경사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외측 지지면(220)의 형상은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0)에는 보강부재(300)가 도 5 및 도 6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3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면으로, 상기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되는 면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300)는 인쇄회로기판(10)과 함께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 부재로 인쇄회로기판(10) 또는 홀더부재(20)에 부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홀더부재(2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강부재(300)는 이미지 센서(1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 1개나, 어느 일측 방향 또는 4방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강부재(300)의 배치 위치나 개수는 인쇄회로기판(10)에 실장되는 수동소자 등과 같은 부품 레이아웃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보강부재(300)는 상부면의 넓이가 바닥면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대응되는 부분에 오목한 경사면(310)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면(22)과 마주보는 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310)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5)를 나중에 조립할 경우의 구조적인 간섭을 피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경사면(310)은 제 1 보강부재(300)의 바닥면이 이미지 센서(11)와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지지면(320)은 상기 내벽면(22)과 밀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부재의 도포 없이 지지되거나, 접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부재(300)를 인쇄회로기판(10)과 홀더부재(20)와 별도 부재로 형성할 경우, 보강부재(300)는 인쇄회로기판(10) 또는 홀더부재(20)에 에폭시 등으로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10)에 보강부재(300)를 접착 고정할 경우, 홀더부재(20)와 보강부재(300)는 면 접촉되게 배치할 수도 있고, 추가로 접착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홀더부재(20)에 보강부재(300)를 접착 고정할 경우, 인쇄회로기판(10)과 보강부재(300)는 면 접촉되게 배치할 수도 있고, 추가로 접착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면(320)의 형상은 내벽면(2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바닥면에 수직할 수도 있고, 일정 경사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면(320)의 형상은 주변 부품들과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얇은 두께의 인쇄회로기판(10)이 조립 과정 중에 고열 및 고압에 노출되더라도 휨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 장착 후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11)의 변형에 기인한 카메라 모듈의 오작동이나 화상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11; 이미지 센서
20; 홀더부재 21; 윈도우
22; 내측벽 25; 적외선 차단 필터
30; 렌즈모듈 31; 렌즈
100; 제 1 보강부재 110; 경사면
120; 지지면 200; 제 2 보강부재
210; 내측 지지면 220; 외측 지지면
300; 제 3 보강부재 310; 경사면
320; 지지면

Claims (17)

  1.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윈도우를 가지는 홀더부재;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부재와 별도 부품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홀더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홀더부재 중 어느 하나와 접착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는 접착 고정되고, 홀더부재와는 면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는 면 접촉 되고, 홀더부재와는 접착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중심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중심으로 대칭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부면이 바닥면보다 좁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부면이 바닥면보다 넓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윈도우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경사면; 및
    상기 윈도우 하측에 형성된 홀더부재의 내벽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부면과 바닥면이 동일 면적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바라보는 면이 윈도우의 내주면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렌즈를 가지는 렌즈모듈이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홀더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윈도우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30112627A 2013-09-23 2013-09-23 카메라 모듈 KR10214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627A KR102142704B1 (ko) 2013-09-23 2013-09-23 카메라 모듈
KR1020200097041A KR102319553B1 (ko) 2013-09-23 2020-08-03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627A KR102142704B1 (ko) 2013-09-23 2013-09-23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41A Division KR102319553B1 (ko) 2013-09-23 2020-08-03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88A true KR20150033088A (ko) 2015-04-01
KR102142704B1 KR102142704B1 (ko) 2020-08-07

Family

ID=5303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627A KR102142704B1 (ko) 2013-09-23 2013-09-2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7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773A (ko) * 2016-04-28 2019-02-11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촬영 모듈 및 그 몰딩 감광 어셈블리, 몰딩 감광 어셈블리의 반제품과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WO2019066128A1 (ko) * 2017-09-27 2019-04-04 최도영 카메라 모듈
KR20190112079A (ko) * 2017-02-04 2019-10-02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카메라 모듈 및 이의 몰딩 회로 기판 어셈블리, 회로 기판 및 응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553B1 (ko) * 2013-09-23 2021-11-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410A (ko) * 2008-07-18 2010-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101037685B1 (ko) * 2009-09-07 2011-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구조체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20120009272A (ko) * 2010-07-23 2012-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20072754A (ko) * 2010-12-24 2012-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5136A (ko) * 2011-11-18 2013-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059571A (ko) * 2011-11-29 2013-06-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410A (ko) * 2008-07-18 2010-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101037685B1 (ko) * 2009-09-07 2011-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조립구조체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20120009272A (ko) * 2010-07-23 2012-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20072754A (ko) * 2010-12-24 2012-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5136A (ko) * 2011-11-18 2013-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059571A (ko) * 2011-11-29 2013-06-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773A (ko) * 2016-04-28 2019-02-11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촬영 모듈 및 그 몰딩 감광 어셈블리, 몰딩 감광 어셈블리의 반제품과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190112079A (ko) * 2017-02-04 2019-10-02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카메라 모듈 및 이의 몰딩 회로 기판 어셈블리, 회로 기판 및 응용
KR20210011079A (ko) * 2017-02-04 2021-01-29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카메라 모듈 및 이의 몰딩 회로 기판 어셈블리, 회로 기판 및 응용
US11039052B2 (en) 2017-02-04 2021-06-15 Ningbo Sunny Opotech Co., Ltd. Camera module and molding circuit board assembly, circuit board and application thereof
US11451693B2 (en) 2017-02-04 2022-09-20 Ningbo Sunny Opotech Co., Ltd. Camera module and molding circuit board assembly, circuit board and application thereof
WO2019066128A1 (ko) * 2017-09-27 2019-04-04 최도영 카메라 모듈
US11650390B2 (en) 2017-09-27 2023-05-16 Do Young Choi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704B1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721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CN100468192C (zh) 照相机模组的固定结构、其固定方法及应用其的移动终端
JP5671684B2 (ja)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CN114114480B (zh)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设备
JP2014194585A (ja) ウエハーレベル光学部品を用いた自動焦点/ズームモジュール
KR101455124B1 (ko) 촬상 센서 패키지를 구비한 촬상장치
KR101123159B1 (ko) 카메라 모듈
JP5084480B2 (ja) 光電変換素子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10219713A (ja) 撮像装置
KR20150033088A (ko) 카메라 모듈
US20150021730A1 (en) Camera module
US10110789B1 (en) Image pickup modu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26633A (ko) 카메라 모듈
US20190064471A1 (en) Support frame and image capturing device
KR2018010294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TWI498636B (zh) 顯示裝置
JP200610671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50055350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060203875A1 (en) Optical module comprising an image sensor and a lens unit that is supported on the sensitiv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CN104333679A (zh) 相机模组
JP200814825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WO2018061295A1 (ja) 光学機器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319553B1 (ko) 카메라 모듈
JP200726411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WO2022083548A1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