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365A -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365A
KR20150031365A KR20130110351A KR20130110351A KR20150031365A KR 20150031365 A KR20150031365 A KR 20150031365A KR 20130110351 A KR20130110351 A KR 20130110351A KR 20130110351 A KR20130110351 A KR 20130110351A KR 20150031365 A KR20150031365 A KR 2015003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lvic acid
acid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미정
이광식
이건국
허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허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허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20130110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365A/ko
Publication of KR2015003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는 세포증식 효과, 마우스에 대한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풀빅산을 화장료로 개발하였을 경우 피부 주름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mprising the Fulvic acid}
본 발명은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성들의 화장품 기능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의 기본기능인 청결 및 미적 기능뿐만 아니라 서양 여성들과 같은 하얀 피부를 나타내는 미백효과, 피부의 주름 개선 및 억제 효과 등을 갖는 고기능성 제품이 등장하게 되면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어려보이는 "동안"이라는 단어가 등장, 젊음을 유지하고 싶어 하는 많은 여성들이 주름 개선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름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의 노화로 생기며, 노화된 피부란 노화의 과정과 연관된 자연적 변화의 총체이다. 피부 노화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나이와 관련된 피부 기능, 구조 모양의 변화로 나타내는 생리적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구분된다.
외부의 유해한 환경으로 인해 섬유아세포의 대사과정이 원활하지 않아도 노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섬유아세포는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며 세포외 간질에 콜라겐을 생성한다. 콜라겐은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견고한 3중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된 기능은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세포접착의 지탱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고령화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하여 섬유아세포의 기능이 저하되어 그 생성량이 감소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제 효소 활성으로 콜라겐 감소를 촉진시킨다. 일반적으로 80세에서는 20세에 비해 65%정도가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러한 현상으로 피부의 주름 형성에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태양광 중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은 반응성이 높은 활성 산소종으로 세포 구성물질인 당, 단백질, DNA, 세포막 지질 등의 생체 주요 성분을 산화시키거나 변형시켜 세포 손상 및 사멸을 일으킨다. 특히, 피부에서 세포노화를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자유라디칼은 생체가 호흡과정 중 산소의 환원이나 자회선 조자, 식균작용 등으로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짝을 이루지 못한 전자를 가지고 있는 원소 또는 분자로 수명이 수천분의 일 정도로 매우 짧고, 불안정하여 매우 공격적인 성질을 나타내어 세포손상을 일으킨다.
현재, 주름 개선 화장료로는 레티노이드, 아데노신, 동물 태반 유래 단백질, 베툴린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레티놀은 콜라겐을 합성 촉진하며 엘라스타제 효소를 저해하는 물질이지만 불안정하여 피부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에는 많은 화장품 회사들이 피부 유효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중에 하나로 식물 추출물 또는 광물 같은 천연물질을 피부 화장료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천연물질이 부작용이 적고 독성이 적기 때문이다.
최근, 천연휴믹물질(Natural Humic substance)이라 하여 수질환경 및 양어장 환경개선에 상당한 효과를 이루면서도 항균, 항진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질이 새로운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천연휴믹물질은 식물의 잔재물이 퇴적되어 수천만년동안 분해과정을 거친 퇴적토양인 휴민토양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천연휴믹물질에서 추출한 저분자량의 산으로 구성된 풀빅산은 생물활성이 높고 분자구조 중에 미네랄과 요소와 쉽게 결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백종의 복합 미네랄과 다수의 영양수, 그리고 다량의 용존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표면장력이 낮아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다.
풀빅산은, 일반적으로 국제적인 학회인 International Humic Substances Society (천연 휴믹 물질)에서 정한 강염기/강산 처리 추출법을 통해 고순도의 정제물을 얻을 수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풀빅산의 추출 및 정제방법(강염기/강산 처리법 등)이 잘 정립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1-0027154호, 제10-2011-0027117등에 자세히 수록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비공지문헌으로서, 강염기/강산 처리법이 아닌, 정제수로 추출하는 정제수 추출법을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13-0064560호로 출원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 중 피부주름에 특히 효과가 좋은 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천연휴믹물질로부터 분리한 풀빅산을 화장료에 적용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달성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풀빅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는 세포증식 효과(실험예 2), 마우스에 대한 주름 개선 효과(실험예 3)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풀빅산을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풀빅산은, 천연 휴믹물질로부터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정제수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것이다. 더 자세히 언급하자면, 천연 휴믹 물질의 농도가 5-10%가 되도록 정제수를 부가한 다음 60-70℃의 온탕에서 교반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여과/농축하여 추출된 것이다.
또한, 풀빅산은 국제적인 학회인 International Humic Substances Society (천연 휴믹 물질)에서 정한 일반적인 추출방법인 강산/강염기 처리에 의한 추출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도 있다. 더 자세히 언급하자면, 천연 휴믹 물질을 강산(0.1M HCl)으로 처리하여 추출되거나, 강염기(0.1M NaOH, pH 10)로 처리 후 강산 (6M HCl, pH 1)에서 휴믹산를 침전시켜 용존하고 있는 풀빅산을 분리 및 추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풀빅산은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분리된 풀빅산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순도를 높이기 위해 필터레이션(filteration), 흡착크로마토그래피, 양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 및 투석을 추가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풀빅산의 농도를 더 높이기 위하여 동결건조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풀빅산은 시판되는 공지 물질을 구입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공지 물질이 순도가 낮을 경우, 상기 등의 추가적인 정제방법을 가미할 수도 있다.
추출된 또는 구입한 풀빅산은 정제수 또는 용매에 녹여 사용한다.
상기 풀빅산은 고순도의 경우 pH 1.0 내지 2.0을 나타내므로, 제형의 pH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양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풀빅산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 10중량% 이다. 이때 풀빅산의 함량이 상기 최소 함량 미만일 경우 뚜렷한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최대 함량을 초과할 때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의 안정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풀빅산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담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실시예 1~10
풀빅산은 YG-BIO사에서 99% 이상의 고순도의 풀빅산을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이 풀빅산은 천연 휴믹 물질에 정제수를 부가하여 60-70℃의 온탕에서 교반한 후 고속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여과/농축한 것으로, 사용 전에 정제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은 정제수에 농도별로 희석한 풀빅산을 나타내었다.
정제수에 농도별로 희석한 풀빅산
풀빅산 농도
실시예 1 99% 원액
실시예 2 90%
실시예 3 80%
실시예 4 70%
실시예 5 60%
실시예 6 50%
실시예 7 40%
실시예 8 30%
실시예 9 20%
실시예 10 10%
1. 실험예 1 : 풀빅산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실시예 6에서 제조한 60% 농도의 풀빅산을 1,3-부틸렌글라이콜에 재용해하여 최종 농도 0.1%, 0.3% 및 0.5%가 되도록 인간 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를 실험 하였다.
1) 실험방법
인간유래 섬유아세포를 세포배양용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10% FBS(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하는 배지에 35℃, 5% CO
Figure pat00001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 후, 배지를 혈청에 함유되지 않은 DMEM배지로 교체하고, 미리 준비한 풀빅산을 농도별로 배지와 함께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 풀빅산을 함유하지 않은 배양액을 사용했다. 배양 마지막 24시간 전에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50㎕/㎖)을 첨가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켰다. 배양 후 각 웰을 세척하고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 타입 IC-펩타이드(PICP)양을 키트 (일본 교토소재의 TAKARA)을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PICP 양)을 측정하였으며 PICP양은 ng/2×104 세포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풀빅산의 콜라겐 합성율
농 도 (%) 콜라겐 합성량
(0)대조군 124
0.1 185
0.3 237
0.5 275
상기 결과로부터 풀빅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라겐의 합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로서 풀빅산이 콜라겐 합성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2 . 실험예 2 : 풀빅산의 농도에 따른 세포증식효과
1) 실험방법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1
Figure pat00002
10
Figure pat00003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DMEM 배지에 24시간 배양 하였다. 배양 후 실시예 6의 풀빅산을 1,3-부틸렌글라이콜에 용해하여 최종농도가 0.1%, 0.3% 및 0.5%가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였다. 이때 배지는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를 사용한 것이며, 풀빅산 처리시간은 24시간동안 실시하였다. MTT용액 [3-(4,5-디메틸아졸-2-일) 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5㎎/㎖] 100㎕씩 첨가하여 4시간 방치한 후 배지 부분을 버렸다. 각 웰당 100㎕의 디메틸 설폭시드 용액을 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상기 실험은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풀빅산에 의한 섬유아 세포 증식의 효과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3 에 나타내었다.
2) 실험 결과
Figure pat00004
농 도 (%) 흡광도(570nm) 세포증식효과(%)
대조군 0.33 -
0.1 0.389 29.3
0.3 0.441 42.4
0.5 0.541 76.1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풀빅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섬유아 세포의 증식효과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풀빅산은 세포 증식효과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3. 실험예 3 : 마우스에 대한 주름개선효과
6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 5마리를 이용하여 광에 의해 유발되는 주름에 대하여 풀빅산의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풀빅산은 실시예 6에서 제조된 60% 농도의 풀빅산을 이용하여 최종 0.5%로 증류수에 희석하여 마우스에 적용하였으며,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1) 실험방법
헤어리스 마우스에 태양광 자극기(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2MED로 1주일에 3일 10주간 조사하고 주름을 형성시키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증류수를 처리한 대조군과 0.5% 풀빅산을 1일 2회 0.5ml/cm2씩 6주간 처리한 군을 대상으로 개선 정도를 정성 판단하였다.
주름개선 정도의 판단은 먼저 시료 처리 부위를 육안과 사진 촬영을 통해 육안 판정 하였고, 판정 기준은 각각의 풀빅산 처리군 및 풀빅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시표 처리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판정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마우스에 대한 주름개선 효과 (육안판정)
실시예 6 개선없음 약간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
대조군 5 0 0 0
0.5% 0 1 2 2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풀빅산은 헤어리스 마우스의 광에 의해 생성된 주름에 대해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풀빅산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처방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처방예 1 : 유연화장수(스킨)
풀빅산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스킨)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풀빅산 0.1
글리세린 5.0
1,3-부칠렌글라이콜 3.0
피이지-32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5
이디티에이-2엔에이(EDTA-2NA) 0.02
소듐히알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2. 처방예 2 : 수렴화장수
풀빅산을 함유한 화장료 중 수렴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풀빅산 1.0
글리세린 2.0
1,3-부칠렌글라이콜 2.0
피이지-32 1.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이디티에이-2엔에이(EDTA-2NA) 0.02
마치현추출물 2.0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3
에탄올 15.0
피피지-26-부테스-26 0.1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1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3. 처방예 3 : 영양화장수(로션)
풀빅산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풀빅산 2
글리세린 5.0
1,3-부칠렌글라이콜 3.0
소듐히알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3
이디티에이-2엔에이(EDTA-2NA) 0.0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에스이 1.5
세테아릴알콜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디메치콘 0.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
트리에탄올아민 0.12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4. 처방예 4 : 영양크림
풀빅산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풀빅산 1.5
글리세린 5.0
소듐히알루로네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이디티에이-2엔에이(EDTA-2NA) 0.0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에스이 2.0
세테아릴알콜 3.0
밀납 1.0
스테아린산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디메치콘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0
트리에탄올아민 0.2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5. 처방예 5 : 마사지크림
풀빅산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마사지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풀빅산 2
글리세린 6.0
소듐히알루로네이트 4.0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5.0
광물유 35.0
이디티에이-2엔에이(EDTA-2NA) 0.0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에스이 2.0
세테아릴알콜 3.0
밀납 1.0
스테아린산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5.0
디메치콘 2.0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우즈 0.12
트리에탄올아민 0.7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6. 처방예 6 : 에센스
풀빅산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풀빅산 3
글리세린 5.0
소듐히알루로네이트 8.0
에탄올 6.0
광물유 35.0
이디티에이-2엔에이(EDTA-2NA) 0.02
옥틸도데세스-16 0.4
세테아릴알콜 1.0
경화식물유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디메치콘 2.0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우즈 0.12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7. 처방예 7 : 팩
풀빅산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풀빅산 10
글리세린 3.0
피이지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4
에탄올 6.0
사이클로덱스트린 0.15
글리시리친산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피이지-40캐스터오일 0.3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빅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인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0351A 2013-09-13 2013-09-13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1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351A KR20150031365A (ko) 2013-09-13 2013-09-13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351A KR20150031365A (ko) 2013-09-13 2013-09-13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365A true KR20150031365A (ko) 2015-03-24

Family

ID=5302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351A KR20150031365A (ko) 2013-09-13 2013-09-13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3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114B1 (ko) * 2019-04-04 2019-09-23 한국콜마주식회사 풀브산 함유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를 위한 조성물
CN112190576A (zh) * 2020-10-19 2021-01-08 江苏集萃新型药物制剂技术研究所有限公司 皮肤外用制剂的组合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114B1 (ko) * 2019-04-04 2019-09-23 한국콜마주식회사 풀브산 함유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를 위한 조성물
WO2020204670A1 (ko) * 2019-04-04 2020-10-08 한국콜마주식회사 풀브산 함유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를 위한 조성물
CN112190576A (zh) * 2020-10-19 2021-01-08 江苏集萃新型药物制剂技术研究所有限公司 皮肤外用制剂的组合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6266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용매추출법 및 그 추출물, 및 이추출물이 포집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430865A (zh) 包含桦褐孔菌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及其用途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51321B1 (ko) 알로에 베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100288A (ko) 흑효모로 발효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7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38491A (ko)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49657B1 (ko) 황칠나무 수액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1365A (ko) 풀빅산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4203206A (zh) 包含由大豆和酵母的肽提取物的组合组成的协同trf2蛋白活化系统的化妆品组合物及其用途
KR101883307B1 (ko) 황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0302B1 (ko) 풍란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5534A (ko) 천연배지를 이용한 잔나비걸상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100467501B1 (ko) 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JP5449703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