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834A -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834A
KR20150030834A KR20130109986A KR20130109986A KR20150030834A KR 20150030834 A KR20150030834 A KR 20150030834A KR 20130109986 A KR20130109986 A KR 20130109986A KR 20130109986 A KR20130109986 A KR 20130109986A KR 20150030834 A KR20150030834 A KR 20150030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weight
parts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684B1 (ko
Inventor
김학수
김남경
김대식
성임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684B1/ko
Priority to US14/136,586 priority patent/US9527990B2/en
Priority to DE102013227127.1A priority patent/DE102013227127A1/de
Priority to CN201310757097.6A priority patent/CN104448545B/zh
Publication of KR2015003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되 필러로서 유리섬유와 탈크를 동시에 최적화 조건으로 사용하고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를 혼합 조성함으로써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방향제 및 각종 화학제품에 노출이 되더라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충격강도, 강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 가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성형수축률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장재용으로 유용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mechanical properties}
본 발명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방향제 및 각종 화학제품에 노출이 되더라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충격강도, 강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 가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내스크래치성 및 성형수축률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장재용으로 유용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지 조성물 중에서 각종 전기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내장 부품의 재질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재질은 ABS 소재가 주로 사용하고 있다. ABS 소재는 비결정성이며 유백색의 반투명한 플라스틱으로서, 아크릴로니트릴(AN)과 부타디엔, 스티렌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상기 ABS 소재는 착색이 용이하고 표면광택이 좋으며 내충격성, 강성 및 내스크래치성과 같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가정용, 사무실용,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표면 소재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용이나 실내 또는 자동차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ABS 소재의 내장재의 경우 방향제 및 각종 화학제품에 노출이 되면 제품에 크랙이 발생하여 깨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비결정성 수지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특성으로 내화학성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체 소재로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준 결정성이며 구조 중에 극성기 또는 반응성기가 전혀 없어 내장 부품 내에 극성을 지닌 분자들이 존재하더라도 상호간에 강한 극성결합이나 수소결합 등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착색이 용이하지 못하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충격강도가 높을수록 내스크래치성이 열등해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성형수축률 또한 ABS 소재에 대비하여 높기 때문에 신규 금형 제작이 별도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로서는 한국특허등록 제857,185호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50-95중량부, 무기섬유 5-40 중량부, 무기충진재 0-15중량부, 열가소성 고무 탄성체 0-15중량부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고, 여기서 무기섬유로 유리섬유를, 충전재로 탈크 등을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등록 제5,965,654호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 코폴리머 53-68부와, 탈크 22-30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고무 12-20부, 추가로 유리섬유와 같은 성분을 더 포함하는 수지조성물 및 자동차 성형품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104110호에서는 아이소탁틱 펩타드 분율이 96% 이상인 초고결정성 올레핀계 수지 40-65중량%, 유리섬유 2-5중량%, 탈크 5-30중량%,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5-25중량%, 알루미늄 조색안료 2-4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유럽특허등록 제437,096호에서는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45-88wt%, 무기 필러 2-25 wt%,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틸렌-부텐 고무) 10-35wt% 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804,823호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90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3-50중량%, 무기충진제 5-50중량% 및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들은 외관특성이 요구되지 않고 기계적 강성의 물성만 요구되는 소재조성물이므로 외관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고, 또한 외관이 중요시되는 제품 또는 자동차 무도장 내장부품 등에서 요구되는 일반적인 물성이나 치수안정성과 더불어 높은 외관품질 및 내스크래치성의 동시 확보할 수 없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각종 전기 전자제품이나 실내용품 또는 자동차 내장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내화학성 및 내충격성, 강성 등과 함께 착색성, 내스크래치성, 성형수축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1. 한국특허등록 제857185호 2. 미국특허등록 제5,965,654호 3. 한국공개특허 제2006-0104110호 4. 유럽특허등록 제437,096호 5. 한국등록특허 제804,823호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오랫동안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존의 ABS 수지를 대체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되 필러로서 유리섬유와 탈크를 동시에 최적화 조건으로 사용하고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를 혼합 조성하는 경우 기계적 물성과 외관 특성이 모두 우수하게 개선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특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특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베이스 수지 40 내지 70 중량부; 유리섬유 10 내지 20 중량부; 탈크 2 내지 10 중량부;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 10 내지 20 중량부; 및 실록산계 화합물과 아마이드계 화합물의 혼합물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방향제 및 각종 화학약품에 노출이 되더라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충격강도, 강성 등의 기계적 물성 밸런스가 뛰어나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성 및 성형수축률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물성으로 인해 자동차용 내장재에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하며, 예컨대 자동차의 컵홀더, 도어가니쉬, 에어벤트, 프론트 트레이, LC Tray, 콘솔 부품, 글라스 페이셔, 노브 등의 재료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내스크래치성 실험을 위해 사용되는 사파이어 긁힘자의 이미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프로플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베이스 수지; 유리섬유; 판상형태의 탈크; 및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여기에 실록산계 화합물과 아마이드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을 구성 성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의 기본 원료로서, 아이소텍틱 인덱스(Isotactic Index)가 97% 이상, 좋기로는 98~99.5%인 고유동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경우 에틸렌 함량은 2 내지 14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충격성능(Toughness)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14 중량%를 초과할 경우 강성(stiffness)가 감소되어 자동차 내장재용 소재 등으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경우는 230 ℃의 용융지수가 10 내지 60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지수가 10 g/10min미만이면 성형성이 좋지 못하며, 그 용융지수가 60 g/10min을 초과하면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충격강도, 강성 등의 기계적 강도가 감소되어 자동차 내장재의 소재로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최종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서 베이스 수지의 함량은 40 내지 7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수지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거나, 7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 및 강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유리섬유의 평균길이가 3 내지 10 mm이고, 평균직경은 4 내지 20 ㎛가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유리섬유의 평균길이가 10 mm를 초과하면 외관의 노출로 표면특성이 저하되고, 흐름방향과 수직방향의 수축율 편차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평균길이가 3 mm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의 평균직경이 20 ㎛를 초과할 경우 강성이 저하되며 4 ㎛ 미만이면 유리섬유 종횡비 (Aspact ratio)가 커지게 되어 강성은 향상되나 폴리프로필렌수지 내에 분산시키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유리섬유는 본 발명의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충격강도, 강성 및 내충격성이 감소하게 되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중상승으로 제품의 중량이 상승되며 적용제품의 표면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유리 섬유와 동시에 사용되는 상기 탈크는 평균입경이 10 ㎛이하, 좋기로는 2 ~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탈크의 평균입경이 10 ㎛를 초과할 경우 강성, 충격성능 및 기계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탈크는 판상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탈크의 함량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2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탈크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 흐름방향과 수직방향의 수축율 편차 감소에 효과가 없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 물성이 심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와 탈크는 함께 혼합되여 무기충전재로 사용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리섬유와 탈크로 이루어지는 무기충전재 전체를 100%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유리섬유 함량은 60~80 중량%이고 판상 형태의 탈크의 함량은 20~4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기로는 유리섬유가 판상 형태의 탈크에 비해 2~3배 가량 더 많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와 판상 형태의 탈크는 상기와 같은 혼합비를 통해 수지 조성물에 대한 적절한 평균수축율을 가지며 흐름방향과 수직방향의 수축율 편차가 최소화되고 강성 및 충격성능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무기충전재에 포함된 유리섬유가 상기 혼합비의 상한을 벗어나 혼합될 경우 흐름방향과 수직방향의 수축율 편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탈크의 혼합비가 상기 혼합비의 상한을 벗어나 혼합될 경우 평균수축율이 증가하고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는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가 포함되며, 이로 인해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두께에 대한 흐름방향과 수직방향의 성형수축률 편차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서 상기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두께에 대한 흐름방향과 수직방향에 성형수축률 편차를 최소화 하지 못할 뿐 아니라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 또한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성형수축률의 편차는 개선되지만 충격강도, 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는 실록산계 화합물과 아마이드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는 슬립재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재에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과 아마이드계 화합물의 혼합물에 대한 혼합비는 1~9 : 9~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20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만 내지 60만인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표면이 잘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높은 분자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컨대 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 자동차 내장재로 가공하게 되면 가공된 표면으로 스며 나와 도포되면서 도포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 도포막이 슬립성을 개선해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아마이드계 화합물은 올레아마이드(Oleamide, C18H35ON)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표면이 잘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낮은 분자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컨대 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자동차용 내장재로 가공하는 경우 가공 과정이나 가공 직후에 표면으로 스며 나와 도포되어 역시 도포막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이 도포막이 마찰계수를 줄이는데 필요한 윤활작용을 하게 되므로 슬립성을 개선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슬립재의 함량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1 내지 2 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슬립재의 사용이 과다할 경우 전체적인 물성이 저하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다른 조성물들과의 상용성을 저해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와 같이 적정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슬립재는 실록산계 화합물과 아마이드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원활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마스터 배치 형태로 제조되어 첨가될 수 있으며, 마스터배치 제작의 기재 수지로는 소성 실리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에는 폴리프로필렌수지의 극성기가 1 내지 2 mol% 그라프트 중합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2 내지 5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2% 미만일 경우 강성 효과가 미비하며, 5% 이상일 경우 강성 상승에 따른 충격성 및 유동성이 저하된다.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들 간의 사용성 및 결합성을 좋게 하고 상호 친화력을 상승시키며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무수말레인산 및 퍼옥사이드의 결합으로 아민 계열의 극성기의 작용으로 폴리프로필렌과 무기 충전재의 결합성을 배가시켜 준다.
상기 성분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방향제 및 각종 화학제품에 노출이 되더라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충격강도, 강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상기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할 수록 성형수축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충격강도, 강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성형수축률을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포함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로서는 예컨대, 자동차의 컵홀더, 도어 가니쉬, 에어벤트, 프론트 트레이, LC Tray, 콘솔 부품, 글라스 페이셔, 노브 등의 재료로 유용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사용량으로 배합하고, 혼합물을 드라이블렌드 한 후 200?로 설정된 이축압출기(제조사: SM, 직경 ø45)를 사용하여 압출한 다음 수지조성물에 대한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상의 조성물을 사출성형기 (제조사: LG기전사, 형체력: 140ton)에서 210℃로 설정하여 물성 측정용 시험편과 EMBO시편, 350/100/3mm 시트 시편을 사출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에서, PP는 폴리프로필렌, EOR은 에틸렌-옥텐 고무, EBR은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 ABS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수지를 의미한다.
실험예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12의 물성측정용 시험편과 시트 시편에 대하여 비중, 인장강도, 굴곡탄성율, 충격강도, 성형수축률,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였다.
자동차 내장트림용 소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의 특성이 정해진 규격에 만족하여야 하며 한 항목이라도 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면 제품 성형 후 실제 사용시에 문제가 발생하여 자동차 내장용 소재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불합격으로 판정하였다.
1) 비중
ASTMD790 기준의 굴곡 시편을 절단하여 비중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한 후 ASTM D792법으로 측정하였다. 사용된 측정설비는 DENSITY METER (제조사: MIRAGE, 측정범위: 200g / 0.0001g)를 사용하였다.
2) 인장강도
ASTM D638법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시험속도(Crosshead speed)는 50mm/min이다. 사용된 측정설비는 INSTRON사의 UTM을 사용하였다.
3) 굴곡탄성율
ASTM D790법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시험속도(Crosshead speed)는 10mm/min이다. 사용된 측정설비는 INSTRON사의 UTM을 사용하였다.
4) 충격강도
ASTM D256법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상온(23?)에서 실시하였다. 사용된 측정설비는 YASUDA사의 충격시험기를 사용하였다.
5) 내스크래치성
도 1의 사파이어 긁힘자를 이용하여 아래 표 2의 조건에서 실험 후 표면 상태를 아래 표 3에 의해 판정한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6) 성형수축률
ASTM D 955법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시편상 측정장비는 0.01mm 까지 표시 가능한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7) 내화학성
그리이스, 내장용 왁스 (HMC 순정품 또는 상당품), 썬크림, 알코올, 차량용 방향제를 각각 적신 헝겊으로 제품을 3회 닦은 후 온도는 23 ±2 ℃와 상대습도 50 ±5 % RH의 표준상태 시험실 중에 1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외관을 확인하는 1차 검수를 거치고 70℃ 항온조 중에 3시간 유지하여 꺼낸 후 2차 검수를 통해 평가한다.
8) 외관
자동차 내장부품 사출품은 태양광 아래 육안으로 외관품질을 판단한다. 성형품은 표면의 흠, 광택얼룩, 탄화, 휨, 은조, CRACK, 색얼룩, 현저한 FLOW MARK, WELD LINE, SINK MARK 등 그 외 다른 결함이 없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비중, 인장강도, 굴곡탄성율, 충격강도, 성형수축률, 내스크래치성, 내화학성 및 외관을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4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6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비중, 강성, 내충격성 및 성형수축율에 있어서 요구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의 경우 현행 ABS소재로 기계적물성과 수축율이 우수하지만 내화학성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며, 비교예 2의 경우 탈크만을 적용한 것으로 기계적 물성, 내스크래치, 성형수축율 모두 만족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및 4의 경우 유리섬유만을 적용한 것으로 기계적 물성은 만족하지만 수축율과 스크래치성능을 만족할 수 없었다.
비교예 5의 경우 유리섬유와 EBR, whisker를 혼용하여 사용한 것으로 충격강도, 스크래치 성능, 성형수축율을 만족할 수 없었다.
비교예 6의 경우 슬립성 부여 첨가제를 처방하지 않음에 따라 스크래치 성능이 부족한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7의 경우 EOR을 적용한 것으로 스크래치와 성형수축율이 요구 특성을 만족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8의 경우 역시 EOR을 적용한 것으로 수축율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고예 9의 경우 유리 섬유 함량이 적어짐(10%↓)에 따라 인장강도, 굴곡 탄성율, 내스크래치성 및 치수에서 부족한 결과가 나왔다.
비교예 10의 경우 유리 섬유 과량시(20%↑) 비중이 상승하게 되며, 유리섬유 외관 노출에 따라 외관이 불량하여 무도장 내장부품으로서 적용이 어려운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1의 경우 EBR 함량을 줄일 경우 충격강도가 요구 수준을 만족하지 못 하였다.
비교예 12의 경우 EBR 함량을 증대시킬 경우 내스크래치가 취약하게 되고, 수축률이 너무 작아지게 되어 ABS 대체시 동일 금형 적용이 어려운 결과를 보였다.
비교예 13의 경우 유리섬유 20%와 탈크 10%를 동시 처방시 무기물 함량 과다에 따른 비중과 내스크래치가 불만족하고 외관 또한 백화가 발생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은 각종 전자기기, 가전제품, 샐래 생활용품, 자동차의 내장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폴리프로필렌, 프로플렌-에틸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베이스 수지 40 내지 70 중량부;
    유리섬유 10 내지 20 중량부;
    탈크 2 내지 10 중량부;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 10 내지 20 중량부; 및
    실록산계 화합물과 아마이드계 화합물의 혼합물 1 내지 3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230 ℃의 용융지수가 10 내지 60 g/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2 내지 1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평균섬유길이가 3 내지 10 mm이고, 평균직경이 4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크는 평균입경이 2 내지 10 ㎛인 판상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과 아마이드계 화합물의 혼합물에서 실록산계 화합물과 아마이드계 화합물의 혼합비는 1~9 :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의 극성기가 1 내지 2 mol% 그라프트 중합 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내장재.
KR1020130109986A 2013-09-12 2013-09-12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152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986A KR101526684B1 (ko) 2013-09-12 2013-09-12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US14/136,586 US9527990B2 (en) 2013-09-12 2013-12-20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DE102013227127.1A DE102013227127A1 (de) 2013-09-12 2013-12-23 Polypropylen-Harz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CN201310757097.6A CN104448545B (zh) 2013-09-12 2013-12-30 具有改进的机械性能的聚丙烯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986A KR101526684B1 (ko) 2013-09-12 2013-09-12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834A true KR20150030834A (ko) 2015-03-23
KR101526684B1 KR101526684B1 (ko) 2015-06-05

Family

ID=5247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986A KR101526684B1 (ko) 2013-09-12 2013-09-12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7990B2 (ko)
KR (1) KR101526684B1 (ko)
CN (1) CN104448545B (ko)
DE (1) DE1020132271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122A (ko) 2017-12-18 2019-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627B1 (ko) 2016-05-02 2018-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촉감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20200030935A (ko) * 2018-09-13 2020-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냄새가 저감된 자동차 내장 부품용 섬유보강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20210071118A (ko) * 2019-12-04 2021-06-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차량 랙하우징 부재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성형된 차량 랙하우징 부재
CN114381065A (zh) * 2021-12-28 2022-04-22 重庆普利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适用于汽车内饰件的长余辉发光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7096B1 (en) 1989-12-27 1996-09-18 Ube Industries, Lt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oating property
JP3401386B2 (ja) 1996-04-26 2003-04-2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この組成物を含む自動車用ピラー成形体
KR100302256B1 (ko) 1999-07-01 2001-09-13 이계안 자동차 타이밍 벨트 커버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N1580115A (zh) * 2003-08-01 2005-02-16 上海普利特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耐划痕滑石粉填充聚丙烯组成及制备方法
US8273826B2 (en) * 2006-03-15 2012-09-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Impact modification of thermoplastics with ethylene/α-olefin interpolymers
US7888423B2 (en) * 2004-12-16 2011-02-15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Polypropylen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KR100638182B1 (ko) 2005-03-29 2006-10-26 삼성토탈 주식회사 금속성 표면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20070017872A (ko) * 2005-08-08 2007-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CN101007885A (zh) * 2006-01-23 2007-08-01 贵州省材料技术创新基地 一种复合填充的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804823B1 (ko) 2006-03-31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857185B1 (ko) * 2006-12-28 2008-09-05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090022835A (ko) 2007-08-31 2009-03-0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무기물 함유 장섬유 강화 펠렛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수지 성형품
KR101526586B1 (ko) * 2009-06-12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10076341A (ko) 2009-12-29 2011-07-06 현대이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CN103131078B (zh) * 2011-11-30 2016-08-10 合肥杰事杰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橱柜用阻燃耐刮擦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532710A (zh) * 2011-12-28 2012-07-04 台州市黄岩明江塑胶有限公司 一种低气味耐刮擦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643482B (zh) * 2012-05-20 2015-01-14 柳州市海达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经济型汽车保险杠用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122A (ko) 2017-12-18 2019-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US10745547B2 (en) 2017-12-18 2020-08-18 Hyundai Motor Company Polypropylen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48545B (zh) 2018-12-14
DE102013227127A1 (de) 2015-03-12
KR101526684B1 (ko) 2015-06-05
US20150073076A1 (en) 2015-03-12
US9527990B2 (en) 2016-12-27
CN104448545A (zh)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684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US10233316B2 (en)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article
US9758656B2 (en) Soft touch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US10745547B2 (en) Polypropylen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KR101526586B1 (ko)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387826B1 (ko) 저광택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0387648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040072936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KR100551787B1 (ko) 자동차 내장재 표피재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US9944782B2 (en) Composition of polypropylene having high impact strength and high adhesion
JP2005179455A (ja) 射出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皮体
KR1004481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34578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51019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855333B1 (ko) 자동차용 무광택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216047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000025221A (ko) 내충격성 보강용 무정형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KR100541496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01687B1 (ko)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9980076717A (ko) 내열성이 우수한 고광택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16191035A (ja) フィラー組成物
KR20110016658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