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823B1 -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823B1
KR100804823B1 KR1020060029730A KR20060029730A KR100804823B1 KR 100804823 B1 KR100804823 B1 KR 100804823B1 KR 1020060029730 A KR1020060029730 A KR 1020060029730A KR 20060029730 A KR20060029730 A KR 20060029730A KR 100804823 B1 KR100804823 B1 KR 100804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ethylene
styrene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279A (ko
Inventor
남민
원정희
김홍장
강봉택
이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2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823B1/ko
Publication of KR2007009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무기충진제 및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수지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를 포함함으로써 총휘발성 유기화합물(TVOCs)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환경 친화적인 소재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다공성 나노볼, 소취제, 기계적 물성,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TVOCs

Description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less amount of TVOCs}
본 발명은 총휘발성 유기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s)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환경 친화적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자재, 생활용품 등에 많이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수지 내에 존재하는 잔류 용매와 단량체 그리고 컴파운딩시 첨가되는 안정제 등의 분해물로 인하여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중에서 특히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탄소수 5 내지 12의 알칸류의 화합물은 강한 자극성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이 포함된 공기에 사람이 장시간 노출되게 되면 두통, 졸음, 멀미, 호흡곤란, 눈, 코, 목 통증 등의 해를 입을 수도 있다.
이러한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양을 줄이기 위하여 종래에는 활성탄이나 제올 라이트 등을 컴파운딩시 적정 함량으로 첨가하였다. 그러나 컴파운딩시 활성탄을 사용할 경우 컬러구현의 어려움이 있으며,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컴파운딩할 경우 제올라이트의 소재 특성상 수분흡수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압출기를 통과한 후 냉각을 위해 워터 배스(water bath)에서 작업시, 또는 이들 컴파운딩 제품의 보관시 펠렛 상태에서 수분흡수가 증가하며, 이를 이용하여 성형품을 사출할 경우 수지 내의 수분에 의한 실버 스트리크(silver streak)와 같은 외관불량이나 물성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를 첨가하는 방법 외에 플라스틱 소재에서 냄새 및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양을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1128호는 미세크기의 중공성 또는 다공성 실리카 입자 내부에 방향성 물질을 함유시켜 이들을 고분자 수지에 블렌딩한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고분자 수지 자체가 다양한 종류의 향기를 장시간 발현하게 하는 기술이지만,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감소시키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66335호는 다중의 기공 구조를 갖는 소취용 첨착 카본 나노볼에 관한 것으로, 다층 구조의 카본 나노볼과 이에 첨착되어 있는 전이금속, 전이금속 산화물 및 알칼리 금속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선택되는 혼합물로부터 탈취성분을 갖는 소취용 첨착 카본 나노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4-0059265호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볼 소취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들은 외부 공기 중의 악취 제거를 위한 소취 제에 관해서만 기술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취제를 포함하여 컴파운딩한 수지로부터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외부 발생을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해서는 설명하고 있지 않고, 또한 이를 포함한 수지 자체의 물성에 대하여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컴파운딩후 수지로부터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수지 자체의 물성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이 미미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 밸런스를 유지하는 동시에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내외장재와 같은 고분자 수지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 내지 90 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3 내지 50 중량5;
무기충진제 5 내지 50 중량%; 및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두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수지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조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일반적인 물성인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동시에,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를 수지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량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무기충진제 및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고결정성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homopolypropylene);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copolypropylene); 및 프로필렌,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삼원공중합체(ter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에틸렌; 또는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함량은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 중 2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2 중량% 미만이거나 15 중량%를 초과하면 강도 또는 강성에 있어서 지나치게 작거나 너무 클 수가 있으므로 물성 밸런스가 유지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α-올레핀은 공중합 효율을 위해서 탄소수 2 내지 10의 탄화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흐름지수가 230℃, 2.16kg 조건에서 1 내지 120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g/10min이다.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1 미만이면 제품의 성형이 어렵고, 120을 초과하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은 전체 열가소성 수지 중 1 내지 9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이다. 상기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가공 성형성이 좋지 않고, 90 중량%를 초과하면 강도 및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신율 및 충격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에틸렌 및 탄소수 3 내지 10을 갖는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에 포함될 수 있는 α-올레핀의 예로는 프로필렌, 부틸렌, 헥센, 옥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부틸렌 고무(EBR) 및 에틸렌-옥텐 고무(EO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또는 에틸렌 옥텐(EOR)고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스티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의 공중합체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 포함될 수 있는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로는 부타디엔, 이 소프렌,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구체적인 예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고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SE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전체 열가소성 수지 중 3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이다. 상기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충격보강 효과가 미미하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유동성이 낮아져서 성형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강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충진제는 내열성 및 변형성 개선, 치수안정성 및 강성 보강, 원가 개선 등을 위해 사용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무기충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진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황산바륨(BaSO4), 수산화알루미늄(A12O3),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마이카(Mica), 월라스토나이트(Wallastonite), 실리카, 클레이(Clay), 유리섬유(Glass Fiber) 및 카본블랙(Carbon Blac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탈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충진제는 평균입경 0.1 내지 15 ㎛인 것을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1 내지 8 ㎛이다. 상기 무기충진제의 평균입경이 0.1 ㎛ 미만인 경우에는 컴파운딩시 원재료의 투입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지며, 15 ㎛를 초과할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충진제의 함량은 전체 열가소성 수지 중 1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이다. 상기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강성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는 구 형상의 탄소구조체 또는 실리카(Si) 구조체로서 크기는 수십 내지 수천 나노미터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의 형상은 내부는 중공구조이고, 외부는 구형의 탄소 또는 실리카로 이루어져 있는 다공성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가 가장 효과적인 소취 효과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내부 구조의 지름이 10 내지 1,000 nm이고, 외부 구조의 두께는 1 내지 200 nm이며, 상기 외부 구조에 포함되어 있는 각 가공(pore)의 평균직경은 1 내지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는 내부의 중공부분과 다공질의 외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흡착성능이 우수하며, 이로 인해 소취 성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 외에 기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취제가 함께 포함될 수 도 있다. 상기 기존의 소취제는 제올라이트(zeolite), 필라이트(phyllite), 활성탄, 염화구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의 함량은 전체 열가소성 수지 중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이다. 상기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소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안료, 열안정제, 활제, 발포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각 성분들을 잘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190 내지 230 ℃의 온도 조건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고, 이어 상기 펠렛을 200 내지 230 ℃의 온도, 300 내지 1000 Kg/cm2의 압력 조건에서 사출함에 따라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성형된 고분자 수지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 물품은 용도에 따라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을 것이 요구되는 분야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물품의 구체적인 예로는 발포성형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폼 또는 폴리우레탄폼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 물품의 또 다른 예로는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내외장재, 전기전자제품 내외장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수지 물품은 높은 물성을 유지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무기 충진제를 사용함으로써 강도와 강성이 보강되었으며, 다공성 나노 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용융흐름지수가 30g/10min인 폴리프로필렌(대한유화의 CB5230) 25중량% 및 용융흐름지수가 100g/10min인 폴리프로필렌(대한유화의 CB5290) 35중량%에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서 SEBS(Kuraray사의 G1657) 20중량%, 무기충진제로서 탈크(KOCH사의 KC-6300) 19.5 중량% 및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로서 카본계 소취제 0.5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190℃ 내지 230℃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고, 이를 냉각하여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은 후 온도가 200℃인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후 하기 평가 항목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적색 부분으로 표시한 함량은 전체 함량이 100%가 되도록 일부 수정한 것입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실시예 2
무기충진제를 19중량% 사용하고,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로서 카본계 소취제를 1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무기충진제를 18중량% 사용하고,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로서 카본계 소취제를 2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로서 실리카계 소취제를 0.5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소취제를 사용하지 않고, 무기충진제를 20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조성에서 카본계 소취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소취제인 활성탄(삼천리사에서 제조된 활성탄소, 30*80mesh) 0.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조성에서 카본계 소취제 및 탈크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소취제인 필라이트(제원상사의 300mesh) 20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조성에서 카본계 소취제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소취제인 제올라이트(COSMO사의 F-9) 0.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사출 성형품을 이용하여 아래의 방법으로 각 성능을 평가하였다.
인장강도 신율
ASTM D638 규격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굴곡강도 굴곡탄성율
ASTM D790 규격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아이조드 충격강도(Kg·cm/cm)
ASTM D256 규격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TVOCs 발생량
Static Head Space Sampler(HP사의 AGLIENT 7964)를 이용하여 펠렛을 일정온도(60℃)에서 평형시킨후 발생한 휘발성분을 정성 및 toluene을 기준 물질로 하여 GC/MS(HP사의 AGLIENT 5973)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성능평가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조성 폴리프로필렌(A) 25 25 25 25 25 25 25 25
폴리프로필렌(B) 35 35 35 35 35 35 35 35
SEBS 20 20 20 20 20 20 20 20
탈크 19.5 19 18 19.5 20 19.5 0 19.5
카본계소취제 0.5 1 2 - - - - -
실라카계소취제 - - - 0.5 - - - -
활성탄 - - - - - 0.5 - -
필라이트 - - - - - - 20 -
제올라이트 - - - - - - - 0.5
성능 인장강도(kg/cm2) 200 180 165 210 210 200 170 180
신율(%) 100 75 60 100 110 80 130 110
굴곡강도(kg/cm2) 300 310 320 290 290 290 260 260
굴곡탄성률(kg/cm2) 19,000 19,500 19,500 18,000 18,000 18,000 13,000 16,500
아이조드 충격강도 23℃ 40 38 35 40 40 38 20 34
-30℃ 6.0 5.5 5.0 6.0 6.5 6.0 3.5 5.0
TVOCs(㎍/g) 5.3 3.7 0.8 7.0 20 9 12 10
폴리프로필렌(A) = 용융흐름지수 30g/10min
폴리프로필렌(B) = 용융흐름지수 100g/10min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로서 카본계 소취제 또는 실리카계 소취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는 인장강도 및 신율면에서 기존 소취제를 사용한 경우와 동등 수준이었으며,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 면에서는 동등 이상이었다. 또한, 23℃의 상온에서의 충격강도 및 -30℃에서의 저온 충격강도 역시 기존 소취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동등 이상이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는 소취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이나 기존의 소취제를 사용한 비교예 2 내지 4에 비하여 TVOCs의 발생량이 획기적으로 줄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충격강화를 위하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함으로써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동시에 무기충진제를 사용함으로써 강성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다공성 나노 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를 사용함으로써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환경 친화적 소재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9)

  1. 폴리프로필렌 수지 1 내지 90 중량%;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3 내지 50 중량%;
    무기충진제 5 내지 50 중량%; 및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 0.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삼원공중합체에서 상기 에틸렌; 또는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함량이 상기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 중 2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α-올레핀이 탄소수 2 내지 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 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흐름지수가 230℃, 2.16kg 조건에서 1 내지 120 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및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부틸렌 고무(EBR) 및 에틸렌-옥텐 고무(EO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스티렌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의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I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E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SEB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제가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황산바륨(BaSO4), 수산화알루미늄(A12O3),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마그네슘(MgO), 마이카(Mica), 월라스토나이트(Wallastonite), 실리카, 클레이(Clay), 유리섬유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제의 평균입경이 0.1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 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가 내부는 중공구조이고 외부는 탄소 또는 실리카로 이루어진 것을 다공성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나노볼 구조를 갖는 소취제의 내부 지름이 10 내지 1,000 nm이고, 외부 두께가 1 내지 200 nm이며, 상기 외부 구조에 포함되어 있는 각 가공(pore)의 평균직경이 1 내지 1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필라이트, 제올라이트, 활성탄, 염화구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안료, 열안정제, 활제, 발포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수지 물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물품은 발포 성형에 의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폼 또는 폴리우레탄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물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물품이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내외장재 또는 전기전자제품 내외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수지 물품.
KR1020060029730A 2006-03-31 2006-03-31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804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730A KR100804823B1 (ko) 2006-03-31 2006-03-31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730A KR100804823B1 (ko) 2006-03-31 2006-03-31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279A KR20070098279A (ko) 2007-10-05
KR100804823B1 true KR100804823B1 (ko) 2008-02-20

Family

ID=3880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730A KR100804823B1 (ko) 2006-03-31 2006-03-31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8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17B1 (ko) 2009-02-05 2009-06-12 손영득 안전발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안전발판 및 안전발판의 제조방법
KR100920086B1 (ko) * 2009-02-05 2009-10-07 손영득 안전발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안전발판 및 안전발판의 제조방법
DE102013227127A1 (de) 2013-09-12 2015-03-12 Hyundai Motor Company Polypropylen-Harz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CN108467528A (zh) * 2018-03-05 2018-08-31 宁波工程学院 一种聚烯烃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432B1 (ko) 2008-03-28 2008-11-11 이재춘 동적 가교된 인조잔디용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1630857B1 (ko) * 2010-01-19 2016-06-16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101329085B1 (ko) * 2011-02-24 2013-11-1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저감시킨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9852076B (zh) * 2017-11-30 2021-04-16 联泓(江苏)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低气味、低voc的改性热塑性弹性体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00077149A (ko) 2018-12-20 2020-06-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저휘발 및 고충격강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396A (ja) 2001-03-23 2002-12-04 Jsp Corp 熱可塑性樹脂発泡体、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KR20040059265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취물질이 첨착된 카본나노볼을 함유하는 소취제
KR20040066335A (ko) * 2003-01-17 2004-07-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중 기공구조를 가지는 소취용 첨착 카본 나노볼
KR20050108863A (ko) * 2004-05-14 2005-11-17 덕양산업주식회사 자동차 실내 정화를 위한 광촉매 적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8002008A (ja) * 2006-06-22 2008-01-10 Gunze Ltd 衣類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396A (ja) 2001-03-23 2002-12-04 Jsp Corp 熱可塑性樹脂発泡体、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KR20040059265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취물질이 첨착된 카본나노볼을 함유하는 소취제
KR20040066335A (ko) * 2003-01-17 2004-07-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중 기공구조를 가지는 소취용 첨착 카본 나노볼
KR20050108863A (ko) * 2004-05-14 2005-11-17 덕양산업주식회사 자동차 실내 정화를 위한 광촉매 적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8002008A (ja) * 2006-06-22 2008-01-10 Gunze Ltd 衣類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17B1 (ko) 2009-02-05 2009-06-12 손영득 안전발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안전발판 및 안전발판의 제조방법
KR100920086B1 (ko) * 2009-02-05 2009-10-07 손영득 안전발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안전발판 및 안전발판의 제조방법
DE102013227127A1 (de) 2013-09-12 2015-03-12 Hyundai Motor Company Polypropylen-Harz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CN108467528A (zh) * 2018-03-05 2018-08-31 宁波工程学院 一种聚烯烃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279A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823B1 (ko)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량이 적은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1459951B1 (ko) 촉감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0280282B1 (ko) 자동차내외장재용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JP2010090199A (ja) 繊維状無機充填材含有樹脂組成物ペレット
JP5297578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76057B1 (ko) 천질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836627B1 (ko) 촉감과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JP2003128849A (ja) 難燃性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US11485844B2 (en) Resin composition and injection-molded article
KR100714194B1 (ko) 고유동 고내충격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H1087919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4885185B2 (ja)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997324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562624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32735A (ja) ブロー中空成形品
KR101437731B1 (ko) 성형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KR100506756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 수지 조성물
JP3700215B2 (ja) 医療容器用止栓
JP4566327B2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US6166136A (en) Resin composition utilizing coated resin moldings and multilayer resin molding
JP3955707B2 (ja) 自動車フェンダー用樹脂組成物
JP2000327846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20040084253A (ko)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00000984A (ko) 기계적 물성 향상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저감된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JPH11228780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