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768A -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 - Google Patents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768A
KR20150030768A KR1020157003793A KR20157003793A KR20150030768A KR 20150030768 A KR20150030768 A KR 20150030768A KR 1020157003793 A KR1020157003793 A KR 1020157003793A KR 20157003793 A KR20157003793 A KR 20157003793A KR 20150030768 A KR20150030768 A KR 20150030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pod
key plate
casing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마츠모토
신겐 다케다
다카시 운세키
료타 구로이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63H2005/10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with drive shafts of second or further propellers co-axially passing through hub of first propeller, e.g. counter-rotating tandem propellers with co-axial drive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 B63H2005/1258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with electric power transmission to propellers, i.e. with integrated electric propeller mo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Toy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선박은, 주 프로펠러 (20) 와, 조타 기구 (11) 에 의해 조타되는 포드 추진기 (30) 와, 조타 기구 (12) 에 의해 조타되는 키판 (40) 을 구비한다. 주 프로펠러 (20), 포드 추진기 (30), 키판 (40) 은, 선체 중심선 (C) 상에 배치된다. 포드 추진기 (30) 는, 케이싱 (31) 과, 포드 프로펠러 (33) 와, 스트러트 (34) 를 구비한다. 포드 추진기 (30) 는 주 프로펠러 (20) 의 후방에 배치된다. 키판 (40) 은 스트러트 (34) 의 후방에 배치된다. 주 프로펠러 (20) 및 포드 프로펠러 (33) 은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한다. 포드 추진기 (30) 및 키판 (40) 의 타각이 모두 제로일 때, 키판 (40) 의 전연 (41) 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싱 (31) 의 후단 (31a) 보다 전후 위치가 전방측이다. 이로써, 고속 항행 조타시에 있어서 CRP (Contra Rotating Propeller) 효과를 유지하고, 포드 추진기 이외에 형성되는 키에 의한 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CONTRA-ROTATING PROPELLER PROPULSION-TYPE SHIP}
본 발명은 주 프로펠러와 포드 추진기의 프로펠러가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포드 추진기를 구비한 선박이 알려져 있다. 포드 추진기는, 포드와, 포드 내에 형성된 프로펠러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한다.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 기능이 얻어진다. 선체 내에 형성된 조타 기구에 의해 포드 추진기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조타 기능이 얻어진다.
특허문헌 1 은, 포드 추진기를 구비한 선박을 개시하고 있다. 선체의 후부 등의 선체 외판에 포드 추진기가 스트러트를 개재하여 수직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선박은, 포드 추진기에 추가하여, 독립된 조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타 장치의 키판은 스트러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수직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선체에 장착되어 있다. 스트러트와 키판이 충돌하는 등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키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운전의 조타 시험시, 고속 항행시, 또는 긴급 회피를 위한 대타각 (大舵角) 조타시에는, 포드 추진기에 의한 조타는 실시하지 않거나 약간의 타각에 의한 조타를 실시하고, 독립된 조타 장치의 키판을 필요한 타각, 예를 들어 최대 타각으로 하여 충분한 타력을 발생시킨다. 스트러트의 후방에 근접하여 키판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에 대한 상호 간섭을 이용하여 큰 타력을 얻을 수 있다. 포드 추진기에 의한 조타는 실시하지 않거나 약간의 타각에 의한 조타가 실시되기 때문에, 포드 추진기에 큰 힘이 작용하지도 않고, 에로션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된다. 또한, 특허문헌 1 은, 포드 추진기의 프로펠러와 다른 프로펠러에 의해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2 는, 주 프로펠러와 포드형 추진 장치의 프로펠러가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선박을 개시하고 있다. 포드형 추진 장치는, 선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축과, 지지축의 하단부에 장착된 동체부와, 동체부의 하면에 장착된 핀과, 동체부 내에 내장된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축은, 선체 내에 형성된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포드형 추진 장치는, 지지축 및 핀이 모두 키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선박은 포드형 추진 장치의 측방에 2 개의 키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키는 선체의 센터 라인과 선측의 중간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선박은 키의 기능을 갖는 지지축을 구비한 포드형 추진 장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본래는 2 개의 키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고속 항행시에는 지지축 근방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한다. 이 캐비테이션은 타각이 클수록 현저하기 때문에, 고속 항행시에는 지지축의 타각을 소정 각도 내로 제한한다. 그렇게 하면 선박의 항행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2 개의 키를 형성한 것이다.
특허문헌 2 는, 주 프로펠러와 포드형 추진 장치의 프로펠러가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다른 선박을 개시하고 있다. 다른 선박은, 포드형 추진 장치의 후방에 1 개의 키가 설치되어 있다. 키가 1 개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2 개의 키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설치 비용이 저감된다. 게다가, 주 프로펠러 및 포드형 추진 장치의 프로펠러에 의한 수류를 받는 위치에 키가 있기 때문에, 키가 1 개여도 충분한 조타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허문헌 3 은, 선수측으로부터 주 프로펠러, POD 추진기, 키의 순서로 킬선 상에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한 선박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0349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820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121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주 프로펠러와 포드 추진기의 프로펠러가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선박에 있어서, 고속 항행 조타시에 있어서 CRP (Contra Rotating Propeller) 효과를 유지하고, 포드 추진기 이외에 형성되는 키 (보조키) 에 의한 저항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의한 선박은, 주 프로펠러와, 제 1 조타 기구에 의해 조타되는 포드 추진기와, 제 2 조타 기구에 의해 조타되는 키판을 구비한다. 상기 주 프로펠러,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은, 선체 중심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포드 추진기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프로펠러 구동 기구와, 상기 프로펠러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포드 프로펠러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된 스트러트를 구비한다. 상기 포드 추진기는 상기 주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키판은 상기 스트러트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주 프로펠러 및 상기 포드 프로펠러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한다.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의 타각이 모두 제로일 때, 상기 키판의 전연 (前緣) 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싱의 후단보다 전후 위치가 전방측이다.
상기 키판의 상기 전연은, 전연 하측 부분과, 상기 전연 하측 부분보다 연직에 가까운 전연 상측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러트의 후연 (後緣) 은, 후연 하측 부분과, 상기 후연 하측 부분보다 연직에 가까운 후연 상측 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의 타각이 모두 제로일 때, 상기 후연 하측 부분의 후방에 상기 전연 하측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후연 상측 부분의 후방에 상기 전연 상측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전연 하측 부분과 상기 후연 하측 부분이 대략 평행이고, 상기 전연 상측 부분과 상기 후연 상측 부분이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선박의 조타 방법은, 주 프로펠러와, 제 1 조타 기구에 의해 조타되는 포드 추진기와, 제 2 조타 기구에 의해 조타되는 키판을 구비하는 선박의 조타 방법이다. 상기 주 프로펠러,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은 선체 중심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포드 추진기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프로펠러 구동 기구와, 상기 프로펠러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포드 프로펠러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된 스트러트를 구비한다. 상기 포드 추진기는 상기 주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키판은 상기 스트러트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의 타각이 모두 제로일 때, 상기 키판의 전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싱의 후단보다 전후 위치가 전방측이다. 그 선박의 조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선회류를 상기 포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회수하고 있을 때, 상기 키판의 타각을 크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 프로펠러와 포드 추진기의 프로펠러가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하는 선박에 있어서, 고속 항행 조타시에 있어서 CRP 효과가 유지되고, 포드 추진기 이외에 형성되는 키 (보조키) 에 의한 저항 증가가 억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부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부의 하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의 선미부의 측면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박 및 선박의 조타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은, 선체 (10) 와, 선체 (10) 내에 형성된 조타 기구 (11) 와, 선체 (10) 내에 형성된 조타 기구 (12) 와, 주 프로펠러 (20) 와, 포드 추진기 (30) 와, 키판 (40) 을 구비하고 있다. 조타 기구 (11 및 12) 는 조타기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포드 추진기 (30) 는, 포드형 케이싱 (31) 과, 케이싱 (31) 내에 형성된 프로펠러 구동 기구 (32) 와, 프로펠러 구동 기구 (32) 에 의해 구동되는 포드 프로펠러 (33) 와, 케이싱 (31) 에 장착된 스트러트 (34) 와, 케이싱 (31) 에 장착된 핀 (36) 을 구비한다. 핀 (36) 은 케이싱 (31) 의 하방에 배치된다. 프로펠러 구동 기구 (32) 는, 예를 들어 전동 모터를 구비한다. 스트러트 (34) 는 케이싱 (31) 의 상방에 배치되고, 키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주 프로펠러 (20) 는 선체 (10) 내에 형성된 주기 (主機) (도시 생략) 에 의해 구동된다. 포드 추진기 (30) 는 조타 기구 (11) 에 의해 조타된다. 키판 (40) 은 조타 기구 (12) 에 의해 조타된다. 키판 (40) 의 타각은 포드 추진기 (30) 의 타각과 독립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포드 추진기 (30) 는 주 프로펠러 (22) 의 후방에 배치된다. 키판 (40) 은 스트러트 (34) 의 후방에 배치된다. 키판 (40) 의 하단 (42) 은, 포드 프로펠러 (33) 의 회전축심 (S)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도 되고, 회전축심 (S)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스트러트 (34) 및 키판 (40) 은 단면 형상이 날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를 참조하여, 주 프로펠러 (20), 포드 추진기 (30) 및 키판 (40) 은, 선체 중심선 (C) 상에 배치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포드 추진기 (30) 및 키판 (40) 의 타각은 모두 제로이며, 포드 프로펠러 (33) 는 케이싱 (31) 의 전방에 배치된다. 즉, 포드 프로펠러 (33) 는 주 프로펠러 (20) 의 후방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주 프로펠러 (20) 및 포드 프로펠러 (33) 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한다. 키판 (40) 과 포드 추진기 (30) 의 스트러트 (34) 가 가능한 한 근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키판 (40) 의 전연 (41) 의 적어도 일부는 케이싱 (31) 의 후단 (31a) 보다 전후 위치가 전방측이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타 방법을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이 고속 항행할 때, 포드 추진기 (30) 및 키판 (40) 의 타각은 모두 제로 또는 제로의 근방이다. 주 프로펠러 (20) 및 포드 프로펠러 (33) 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한다. 즉, 주 프로펠러 (20) 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선회류를 포드 프로펠러 (33) 의 회전에 의해 회수하는 CRP (Contra Rotating Propeller) 효과가 얻어진다. CRP 효과에 의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얻어진다. 조타시에는, 포드 추진기 (30) 의 타각을 CRP 효과가 얻어지는 각도로 유지하면서, 키판 (40) 의 타각을 크게 한다. 이로써, 고속 항행 조타시에 있어서 CRP 효과가 유지된다. 또한, 고속 항행시에 포드 추진기 (30) 를 사용하여 조타를 실시하면, CRP 효과가 상실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키로서의 키판 (40) 이 보조키로서 스트러트 (34) 의 후방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포드 추진기 (30) 의 양측에 2 개의 키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보조키에 의한 저항 증가가 억제된다. 예를 들어, 어느 조건의 경우, 포드 추진기 (30) 의 양측에 2 개의 키를 형성한 경우의 저항 증가는 약 3 % 이지만, 키판 (40) 을 형성한 것에 의한 저항 증가는 약 1 % 정도이다. 또한, 키판 (40) 의 전연 (41) 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싱 (31) 의 후단 (31a) 보다 전후 위치가 전방측이기 때문에, 키판 (40) 과 포드 추진기 (30) 의 스트러트 (34) 가 근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키판 (40) 에 의한 저항 증가가 매우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키판 (40) 이 주 프로펠러 (20) 및 포드 프로펠러 (33) 에 의해 가속된 수류 중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포드 추진기 (30) 의 양측에 2 개의 키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동일 키 면적의 경우에도 동일 타각에 있어서의 타력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어느 조건의 경우, 약 20 % 이상의 타력 향상이 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포드 추진기 (30) 의 양측에 2 개의 키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타수 및 동일 타력 발생을 위한 필요 키 면적이 삭감되기 때문에, 키판 및 조타기를 포함한 키 전체의 비용이 삭감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및 선박의 조타 방법은, 이하의 설명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및 조타 방법과 동일하다.
도 3 을 참조하여, 키판 (40) 의 전연 (41) 은, 전연 하측 부분 (41a) 과 전연 상측 부분 (41b) 을 구비한다. 전연 상측 부분 (41b) 은 전연 하측 부분 (41a) 의 상방에 배치되고, 전연 하측 부분 (41a) 보다 연직에 가깝다. 스트러트 (34) 의 후연 (35) 은, 후연 하측 부분 (35a) 과 후연 상측 부분 (35b) 을 구비한다. 후연 상측 부분 (35b) 은 후연 하측 부분 (35a) 의 상방에 배치되고, 후연 하측 부분 (35a) 보다 연직에 가깝다.
포드 추진기 (30) 및 키판 (40) 의 타각이 모두 제로일 때, 후연 하측 부분 (35a) 의 후방에 전연 하측 부분 (41a) 이 배치되고, 후연 상측 부분 (35b) 의 후방에 전연 상측 부분 (41b) 이 배치되고, 전연 하측 부분 (41a) 과 후연 하측 부분 (35a) 이 대략 평행이고, 전연 상측 부분 (41b) 과 후연 상측 부분 (35b) 이 대략 평행이다. 따라서, 키판 (40) 과 스트러트 (34) 사이의 간극을 좁게 할 수 있고, 키판 (40) 을 형성한 것에 의한 저항 증가가 더욱 억제된다.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선박 및 선박의 조타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선박 및 선박의 조타 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변경을 가하거나 상기 실시형태끼리를 조합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출원은 2012년 8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183130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를 인용에 의해 여기에 편입한다.

Claims (3)

  1. 주 프로펠러와,
    제 1 조타 기구에 의해 조타되는 포드 추진기와,
    제 2 조타 기구에 의해 조타되는 키판을 구비하고,
    상기 주 프로펠러,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은, 선체 중심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포드 추진기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프로펠러 구동 기구와,
    상기 프로펠러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포드 프로펠러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된 스트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드 추진기는 상기 주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키판은 상기 스트러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주 프로펠러 및 상기 포드 프로펠러는 이중 반전 프로펠러를 구성하고,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의 타각이 모두 제로일 때, 상기 키판의 전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싱의 후단보다 전후 위치가 전방측인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판의 상기 전연은,
    전연 하측 부분과,
    상기 전연 하측 부분보다 연직에 가까운 전연 상측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러트의 후연은,
    후연 하측 부분과,
    상기 후연 하측 부분보다 연직에 가까운 후연 상측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의 타각이 모두 제로일 때, 상기 후연 하측 부분의 후방에 상기 전연 하측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후연 상측 부분의 후방에 상기 전연 상측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전연 하측 부분과 상기 후연 하측 부분이 대략 평행이고, 상기 전연 상측 부분과 상기 후연 상측 부분이 대략 평행인 선박.
  3. 주 프로펠러와, 제 1 조타 기구에 의해 조타되는 포드 추진기와, 제 2 조타 기구에 의해 조타되는 키판을 구비하는 선박의 조타 방법으로서,
    상기 주 프로펠러,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은, 선체 중심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포드 추진기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된 프로펠러 구동 기구와,
    상기 프로펠러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포드 프로펠러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된 스트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드 추진기는 상기 주 프로펠러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키판은 상기 스트러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포드 추진기 및 상기 키판의 타각이 모두 제로일 때, 상기 키판의 전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싱의 후단보다 전후 위치가 전방측이고,
    상기 주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선회류를 상기 포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회수하고 있을 때, 상기 키판의 타각을 크게 하는 선박의 조타 방법.
KR1020157003793A 2012-08-22 2013-08-22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 KR201500307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3130 2012-08-22
JP2012183130A JP5972711B2 (ja) 2012-08-22 2012-08-22 二重反転プロペラ推進方式の船舶
PCT/JP2013/072409 WO2014030697A1 (ja) 2012-08-22 2013-08-22 二重反転プロペラ推進方式の船舶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016A Division KR102042906B1 (ko) 2012-08-22 2013-08-22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768A true KR20150030768A (ko) 2015-03-20

Family

ID=501500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793A KR20150030768A (ko) 2012-08-22 2013-08-22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
KR1020177015016A KR102042906B1 (ko) 2012-08-22 2013-08-22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016A KR102042906B1 (ko) 2012-08-22 2013-08-22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3856B2 (ko)
EP (1) EP2873605B1 (ko)
JP (1) JP5972711B2 (ko)
KR (2) KR20150030768A (ko)
CN (1) CN104540729A (ko)
WO (1) WO2014030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3160A (zh) * 2016-01-05 2016-04-27 上海船舶研究设计院 对转桨前后桨桨毂连接结构
WO2017158204A1 (en) 2016-03-18 2017-09-21 Rolls-Royce Marine As Steerable contra-rotating propulsion system
KR102209085B1 (ko) * 2017-07-04 2021-01-27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 장치
CN107521647A (zh) * 2017-09-12 2017-12-29 南京中船绿洲机器有限公司 一种船舶混合对转推进系统
CN108622357A (zh) * 2018-05-11 2018-10-09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挂桨臂式对转装置、对转系统及船舶
CN110789698A (zh) * 2018-08-01 2020-02-14 西门子股份公司 空泡监测系统和吊舱驱动器
JP6473543B1 (ja) * 2018-09-05 2019-02-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旋回型推進機及び旋回型推進機の制御方法
CN113148091A (zh) * 2020-01-07 2021-07-23 肖荣祥 一种双螺旋桨手摇推进器
CN112896448A (zh) * 2021-04-07 2021-06-04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混合对转吊舱推进船舶的水池试验方法及数据分析方法
CN114455053B (zh) * 2022-01-22 2023-03-07 嘉兴市锦佳船舶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河湖巡查船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2198U (ja) * 1983-09-20 1985-04-12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用推進器
JPS60114097U (ja) * 1984-01-11 1985-08-01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用推進器
CN87214029U (zh) 1987-10-08 1988-10-26 中国船舶工业总公司七院第702研究所 对转桨全回转推进装置
DE10111910A1 (de) 2001-03-13 2002-09-19 Man B&W Diesel A/S, Copenhagen Sv Hybride dieselmechanische und -elektrische Antriebsanlage für einen sicheren und anpassungsfähigen Schiffsbetrieb
JP3958051B2 (ja) 2002-01-22 2007-08-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3962678B2 (ja) * 2002-12-03 2007-08-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及び船舶の航行装置
FI115210B (fi) 2002-12-20 2005-03-31 Abb Oy Laite propulsiojärjestelmässä
FI116129B (fi) * 2003-04-07 2005-09-30 Waertsilae Finland Oy Vesialuksen propulsioyksikkö
FI20030556A0 (fi) 2003-04-11 2003-04-11 Abb Oy Menetelmä ja laitteisto laivan ohjaamiseksi
JP4012967B2 (ja) * 2003-07-29 2007-11-28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ポッドプロペラ船
JP2005255127A (ja) * 2004-03-15 2005-09-22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ポッド推進船の操舵装置
JP2006103490A (ja) * 2004-10-05 2006-04-20 Ihi Marine United Inc ポッド推進器を備えた船舶
CN101104439A (zh) * 2006-07-10 2008-01-16 般若科技股份有限公司 高效率船艇推进系统
JP5524672B2 (ja) * 2009-04-01 2014-06-18 新潟原動機株式会社 舶用推進装置
FI123164B (fi) * 2010-12-21 2012-11-30 Waertsilae Finland Oy Vesialus
KR20140004148A (ko) * 2011-01-31 2014-01-10 에이비비 오와이 선박을 조향하고 추진 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40729A (zh) 2015-04-22
EP2873605A4 (en) 2015-07-08
US20150239540A1 (en) 2015-08-27
EP2873605B1 (en) 2016-11-30
JP2014040169A (ja) 2014-03-06
JP5972711B2 (ja) 2016-08-17
KR20170065678A (ko) 2017-06-13
US9463856B2 (en) 2016-10-11
KR102042906B1 (ko) 2019-11-27
WO2014030697A1 (ja) 2014-02-27
EP2873605A1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0768A (ko) 이중 반전 프로펠러 추진 방식의 선박
JP4789953B2 (ja) 船舶用推進システム
KR102255356B1 (ko) 조타 장치 및 그 조타 방법
JP2004306947A (ja) 船体推進ユニット
JP5453625B2 (ja) 二軸推進器付船舶
US9630692B2 (en) Steerable tractor-type drive for boats
JP7485737B2 (ja) 操舵装置
JP2005239083A (ja) ポッド型推進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
JP7422839B2 (ja)
JP2008221881A (ja) 一軸二舵システム
JP2008230379A (ja) 一軸二舵船の操舵方法及び操舵装置
JP2006103490A (ja) ポッド推進器を備えた船舶
JP6554743B2 (ja) 近接二軸船のフィン付舵、船舶
US8881666B2 (en) Ship
KR101431497B1 (ko) 선박
KR20100005903U (ko) 선박용 방향전환 장치
JP2024053807A (ja) 船舶推進装置
JP2007230509A (ja) ポッド推進器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JP7107668B2 (ja)
EP2692628A1 (en) Ship with a propeller and a rudder mounted in a recess, whereby the rudder is oriented towards the bow
KR20200043833A (ko) 선박용 러더
KR20130012433A (ko) 선박용 러더 및 이를 갖춘 선박
JP2020090160A (ja) 船舶、船舶の航行方法
JP2021195013A (ja) スラスター配置船尾構造
JP2005255127A (ja) ポッド推進船の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