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643A -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643A
KR20150027643A KR20130106326A KR20130106326A KR20150027643A KR 20150027643 A KR20150027643 A KR 20150027643A KR 20130106326 A KR20130106326 A KR 20130106326A KR 20130106326 A KR20130106326 A KR 20130106326A KR 20150027643 A KR20150027643 A KR 2015002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information
mobile terminal
cours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860B1 (ko
Inventor
하미경
박준필
성병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860B1/ko
Priority to US14/916,531 priority patent/US9739004B2/en
Priority to CN201480054734.6A priority patent/CN105594221B/zh
Priority to PCT/KR2014/008301 priority patent/WO2015034278A1/en
Priority to EP14841508.6A priority patent/EP3042506B1/en
Publication of KR2015002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부, 통신부, 메모리, 표시부, 입력부, 구동제어부, 그리고 세탁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정기기, 상기 가정기기와 통신부, 저장부, 표시부, 입력부, 스피커, 이동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a controlling method of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는 세탁물 처리기기, 공기조화기, 영상표시장치, 냉장고 등과 같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기 제품을 칭한다.
가전기기 중에서 세탁물 처리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겸용 세탁기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의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물이 담긴 드럼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탑로드(top load) 방식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방식으로 구분된다.
건조기는 피 건조물에 온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장치로, 회전하는 드럼 내에 피 건조물을 투입하고, 드럼 내로 온풍 또는 냉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건조 겸용 세탁기는 세탁기능과 건조 기능을 함께 갖춘 것으로, 회전하는 드럼 내에 의류 등의 세탁물을 투입하고,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가전기기는 가전기기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동작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가전기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제품별로 각각 작동하여야 하고, 그에 따른 각각의 가전기기별 제품 사용법의 숙지가 요구되어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기기에 접촉하여 가전기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태그부, 통신부, 메모리, 표시부, 입력부, 구동제어부, 그리고 세탁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가전기기 시스템은 상기 가전기기와 통신부, 저장부, 표시부, 입력부, 스피커, 이동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근거리 무선 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가전기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 가전기기의 정보 확인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둘째, 직관적이고 보다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와 태깅을 통하여 가전기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 복잡한 키조작 없이도 가전기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가전기기의 정보, 예를 들어, 사용이력, 상태정보, 유지보수 시기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이동 단말기로 구성되는 세탁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세탁기의 접촉을 통한 통신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작동 제어를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세탁기간의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작동 제어를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제1 접촉이 제2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접촉이 제1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 및 제2 접촉은 둘 모두 접촉이지만, 동일한 접촉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이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한은 복수 형태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표시의 사용은 그 용어의 단수 용법 또는 복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참조하며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의 "포함한다 (comprises)" 및 /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 들 및 /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
"~는 경우(if)"라는 용어는 "~할 때(when)" 또는 "~ 시(upon)", 또는 문맥에 따라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정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라는 구문은 문맥에 따라, "결정시" 또는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의] 검출 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들, 그러한 장치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프로세스 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가전기기 중에서 세탁물 처리기기를 예로써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공기조화기, 영상표시장치, 냉장고 등 가전기기에 포함되는 기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 적용 또는 전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이동 단말기로 구성되는 세탁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기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탁기 시스템은 세탁기(1)와, 근거리 무선 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세탁기와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2)를 포함한다.
세탁기(1)는 가전기기의 제품에 대한 정보, 운전 상태 또는 고장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됨은 물론 이동 단말기(2)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태그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태그부(140)는 이동 단말기(2)가 태그부(140)에 접촉되거나, 소정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경우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경우에 따라 태그부(140)는 세탁기(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세탁기의 운전상태 및 운전설정에 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2), 운전설정을 입력하는 입력부(13), 세탁기 내부로 의류 등의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도어(11)를 포함한다.
표시부(12)는 LCD, LED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입력부(13)는 하나 이상의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터치 조작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되는 터치패드가 구비될 수 있고,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은 입력부로써 기능 한다.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 등의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포함하며, 드럼의 내주면에는 리프터가 구비되어,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의류를 퍼 올렸다가 떨어뜨려 세탁물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그외 세탁기(1)는 급수, 배수,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1)의 태그부(140)와 근거리 무선 통신(NFC)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되며,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여 세탁기로 특정 데이터를 전송하고, 세탁기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은 통신모듈을 통해 세탁기의 태그부(140)에 접촉하여 세탁기의 데이터를 수신함은 물론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태그부(140)에 기록 저장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2)은 세탁기(1)의 태그부(140)에 한번의 접촉으로 데이터의 수신 및 송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접촉은 이동 단말기와 태그부(140)의 물리적 접촉은 물론, 물리적으로 접촉되지 않더라도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상호 기기를 인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1)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태그부(140)와의 접촉을 통해 수신되는 세탁기(1) 정보를 표시하고, 세탁기를 제어하며, 세탁기의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세탁기의 접촉을 통한 통신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를 세탁기(1)의 태그부(140)에 접촉함거나 일정 거리로 접근하여 세탁기(1)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1)의 태그부(140)에 접촉하거나 일정 거리로 접근하여,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세탁기의 태그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시에 세탁기에 대한 설정데이터는 태그부(140)로 전송하여 태그부(140)에 저장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2)의 표시부 화면(451)에는 세탁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소정 시간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안내가 표시된다. 안내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고, 또한 동시에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2)는 통신완료에 따른 안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효과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태그부(140), 통신부(170), 메모리(120), 표시부(130), 입력부(150), 구동제어부(160), 그리고 세탁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기(1)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세탁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 전원부(미도시)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는 온도, 압력, 전압, 전류, 수위, 회전수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감지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70)는 세탁기에서 급수 또는 배수 시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 급수된 물의 온도, 세탁조 또는 드럼의 회전속도 등을 측정한다.
구동제어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세탁기(1)가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그 구동을 제어한다. 그에 따라 세탁기(1)는 세탁행정, 행굼행정, 탈수행정과 같은 일련의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게 된다.
구동제어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드럼을 회전 동작시키는 모터를 제어한다.
메모리(120)에는 세탁기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세탁기 코스 또는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데이터,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설정데이터, 표시부(130)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저장되는 인터페이스 데이터, 그리고 세탁기 동작 중 감지되는 측정데이터 및 이상 발생시 동작에 대한 고장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태그부(140)를 통해 이동 단말기(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서버 접속을 위한 연결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이동 단말기 제어부(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세탁기로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세탁기의 동작에 따라, 운전코스, 운전설정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입력부(150)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로터리 스위치, 조그 다이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름, 회전, 압력, 접촉 등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입력데이터를 발생하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입력부(150)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세탁기의 동작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2)과의 태그 접촉 시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설정된 접속정보에 따라 세탁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그에 따른 접속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LED, LCD, 유기 EL과 같은 형태의 발광체로서, 세탁기(1)의 상태정보, 또는 고장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0)는 세탁기의 정보를 문자, 이미지, 숫자, 특수문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한다.
또한, 세탁기(1)는 표시부(130) 이외에도 점등 또는 점멸되는 램프, 진동소자, 스피커 등의 출력수단을 더 포함한다.
통신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여, 접속 설정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70)는 네트워크 접속 시 서버(3)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동 단말기(2)의 요청에 따라 세탁기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70)는 서버 접속 시 세탁기의 고유정보를 바탕으로 접속하며, 이동 단말기(2)과 연결되는 경우 아이디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50) 및 표시부(130)에 의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메모리(120)의 데이터를 관리하며, 통신부(170) 및 태그부(140)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태그부(140)에 세탁기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태그부(140)에 기록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세탁기의 설정을 변경하고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태그부(140)의 상태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기록한다.
제어부(110)는 태그부(140)의 플래그(flag) 설정에 따라 이동 단말기(2)과 연결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새로운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태그부(140)의 헤더(Header) 데이터를 읽어 플래그 설정에 따라 이동 단말기(2)과의 연결여부, 데이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태그부(140)가 대기 상태인 경우 태그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은 후 태그부(140)의 상태를 재설정하고, 세탁기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이를 태그부(14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세탁기 에러 발생 시 그에 따른 진단데이터를 태그부(140)에 기록한다.
태그부(140)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태그저장부(142)와, 이동 단말기(2) 또는 제어부(11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송수신부(144)를 포함한다.
태그부(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이동 단말기(2)과의 단순 접촉(태깅 동작)으로 작동할 수 있고, 데이터를 원하는 대로 가공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다양한 기기 간의 호환이 가능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이동 단말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규격을 맞추면,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10cm 미만의 통신거리 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통신거리가 짧아, 개인정보의 유출의 우려가 적을 수 있다. 태그부(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태그된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태그부(140)는 이동 단말기(2) 접촉 시, 플래그(flag)를 설정하여 이동 단말기와 접촉중임을 나타내고 새로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에 따른 플래그를 설정하여 데이터 상태를 표시한다.
태그 저장부(142)에는 이동 단말기(2)로부터 수신되어 기록된 데이터와, 제어부(110)에 의해 기록된 세탁기 데이터가 각각 구분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태그 저장부(142)에는 이동 단말기(2)에 의한 세탁기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데이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세탁기 운전 시 감지된 데이터의 조합으로 세탁기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데이터 또는 진단결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또한 현재 세탁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태그 저장부(142)에는 세탁기(1)의 고유정보 및 모델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모델정보는 세탁기의 제조회사, 세탁기의 모델명 및 세탁기의 통신가능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44)는 이동 단말기(2) 접촉 시 태그 저장부(142)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되는 데이터가 태그 저장부(142)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송수신부(1440)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방식에 따라 이동 단말기(2)와 통신한다.
태그부(140)는 세탁기(1)가 전원 오프되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세탁기와 별도로 동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세탁기(1)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세탁기가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 태그부(140)에 이동 단말기(2)이 접촉된 경우 태그부(140)는 기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2)로 전송할 뿐 아니라, 이동 단말기(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새로운 데이터의 존재를 플래그로 표시한다.
제어부(110)는 전원이 입력되고 세탁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태그부(140)의 상태를 확인하여 전원오프 상태에서 기록된 태그부(140)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설정을 변경하거나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태그부(140)에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탁기를 제어하거나 특정 데이터를 태그부(140)에 저장하고, 특히 태그부(140)에 저장된 데이터가 네트워크 접속정보인 경우 이를 메모리(120)에 저장하고, 통신부(170)로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인가하여, 통신부(170)를 통해 지정된 AP(Access Point)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이동 단말기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 이동 단말기기를 예로 들어 이동 단말기(2)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이동 단말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하여 NFC 기능이 탑재된 모든 타입의 휴대 이동 단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은 통신부(230), 저장부(220), 표시부(240), 입력부(260), 스피커(250), 그리고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저장부(22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동작데이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표시부(240)는 이동 단말기제어부(2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동작상태 또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세탁기의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표시부(240)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40)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입력부(260)로써 기능 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별도의 터치패드를 포함하여, 통화, 마우스 포인트 이동이나 화면 스크롤,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스피커(250)는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미도시)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미도시)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세탁기(1)의 태그부(140)와 접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태그통신모듈(232)와, 소정의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소정의 서버(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넷모듈(234)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23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제어부(210)는 입력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동 단말기제어부(210)는 입력부(260) 또는 통신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표시부(240) 또는 스피커(2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제어부(210)는 통신부(230)의 태그통신모듈(232)를 통해 수신되는 세탁기의 데이터를 표시부(24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특히 이동 단말기제어부(210)는 세탁기(1)의 모델 정보 및 고유정보를 아이디에 매칭하여 통신부의 인터넷모듈(234)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3)에 등록한다. 이동 단말기제어부(210)는 서버(3)의 응답에 대응하여, 세탁기가 정상 등록되는 경우 이후 매칭된 아이디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세탁기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제어부(210)는 입력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세탁기(1)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설정하고, 태그통신모듈(232)을 통해 세탁기(1) 태그 접촉 시,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세탁기(1)의 태그부(140)에 기록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제어부(210)는 무선통신 설정 시, 접속 가능한 AP(Access Point)를 탐색하고, 선택된 AP에 대한 정보 및 그에 대한 비밀번호, 보안설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설정하여 세탁기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세탁기(1)는 태그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네트워크 접속정보를 저장하고 선택된 AP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제어부(210)는 세탁기(1)가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모델인 경우, 기 등록된 세탁기인 경우, 세탁기 정보에 에러가 있는 경우 , 표시부(240)에 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작동 제어를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메뉴를 선택한다(S210).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은 이동 단말기(2) 표시부(240)에 표시된 메뉴의 일 영역을 터치 입력하는 동작일 수 있다.
한편, 메뉴는 가전기기를 제어, 진단, 가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메뉴는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이다. 진단 메뉴는 가전기기의 상태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이다. 가이드 메뉴는 가전기기의 작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메뉴이다..
메뉴를 선택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가전기기의 정보 수신을 위해, 가전기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한다(S220). 이 때, 태깅이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NFC)에 따라 이동 단말기(2)가 가전기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접촉하거나 일정거리 내에서 위치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태깅 동작을 통해, 이동 단말기(20)는 가전기기로 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깅 동작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2)는 가전기기의 운전내역 또는 가전기기의 유지보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경우, 가전기기는 운전내역 또는 가전기기의 유지보수 정보는 가전기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에 저장한다. 이동 단말기는 가정기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NFC)에 따른 태깅 동작을 통해 가전기기의 운전내역 또는 가전기기의 유지보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은 다양한 기기 간의 호환이 가능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규격을 맞추면, 데이터 동기화가 가능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10cm 미만의 통신거리 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전기기의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가전기기의 운전내역을 표시한다(S230). 여기서 가전기기의 운전내역은 가전기기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어떤 동작모드들로 운전을 하였는지 여부, 가전기기가 몇번이나 운전을 하였는지 여부, 유지 보수의 시기까지 남은 운전 횟수, 가전기기가 가장 최근에 어떤 모드로 운전하였는지 여부 등을 포함한다.
가전기기의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는 가전기기의 유지보수 정보를 표시한다(S235). 여기서, 가전기기의 유지보수 정보는 가전기기의 유지보수가 몇번 수행되었는지 여부, 가전기기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시점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S230단계 이후에 S235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S235단계 이후에 S230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고, S230단계 및 S235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가전기기의 운전 내역 또는 유지보수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운전 내역 또는 유지보수 정보를 바탕으로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 또는 코스를 선택한다(S240).
예를 들어, 가전기기가 세탁기인 경우, 세탁기의 운전내역에 최근 사용 코스가 스피드 워시일 수 있다. 여기서, 스피드 워시는 표준 코스에 대비하여 세탁시간을 줄인 소정의 코스이다.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표시부(240)에 표시된 최근 사용 코스인 스피드 워시를 선택할 수 있다.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 또는 코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선택된 작동 모드에 따라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명령 전송을 위해 가전기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한다(S250).
가전기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의 태깅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2)는 S240단계에서 선택한 작동 모드로 가전기기가 작동 될 수 있도록 작동 명령을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세탁기간의 데이터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세탁 코치 메뉴를 선택한다(S310). S310 단계는 도6의 S210단계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이 때, 사용자의 입력은 이동 단말기(2)의 표시부(240)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에서 세탁 코치 메뉴를 터치 입력하는 동작일 수 있다.
세탁 코치 메뉴는 세탁기 사용 가이드 메뉴이다. 세탁 코치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탁 다이어리, 세제 등록 및 세제량 가이드 또는 통 세척 알림을 선택할 수 있는 하위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세탁 다이어리는 세탁기(1)의 운전내역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세탁 다이어리는 세탁기(1)의 최근 10회의 코스사용이력, 자주 쓰는 코스, 최근 사용 코스의 정보를 제공한다.
세제 등록은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을 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는 세제를 등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세제량 가이드는 세탁기(1)가 감지한 포량에 따라 투입되어야 하는 세제량을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통 세척 알림은 통세척의 시기, 방법, 통 세척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세탁 코치 메뉴를 선택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세탁기의 정보 수신을 위해, 세탁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한다(S320). S320단계는 도6의 S220단계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이때, 이 때, 태깅이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NFC)에 따라 이동 단말기(2)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접촉하거나 일정거리 내에서 위치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S320단계는 이동 단말기(2)가 세탁기(1)로 세탁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S323) 및 이동 단말기(2)가 세탁기(1)로부터 세탁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S3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정보는 세탁기의 운전 내역, 세탁기의 유지 보수 정보, 적정 투입 세제 관련 정보, 기 등록된 세제 정보, 통 세척 내역, 또는 통 세척 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 정보를 수신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세탁 정보를 표시한다(S330). S330단계는 S230단계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표시되는 세탁 정보는 세탁 다이어리, 세탁기의 통 세척 내역 및 통세척 시기 또는 세제관련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다이어리가 표시된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1)의 최근 10회 동안의 코스사용이력, 자주 쓰는 코스 또는 최근 사용 코스의 정보를 표시한다.
세탁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표시된 세탁 정보를 바탕으로 세탁 모드를 선택한다(S340). S340단계는 S240단계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최근 10회 동안의 코스사용이력, 자주 쓰는 코스 또는 최근 사용 코스가 포함된 세탁 다이어리가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아, 최근 사용 코스인 스피드 워시를 선택할 수 있다.
세탁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의 작동 명령 전송을 위해 세탁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한다(S350). S350단계는 S250단계의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이 때, 태깅이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NFC)에 따라 이동 단말기(2)가 가전기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접촉하거나 일정거리 내에서 위치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세탁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의 태깅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2)는 S340단계에서 선택한 작동 모드로 가전기기가 작동 될 수 있도록 작동 명령을 세탁기(1)에 전송한다.
선택된 세탁 모드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 명령을 수신한 경우, 세탁기(1)는 명령에 따라 작동한다(S360).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단말기가 세탁 다이어리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 제어를 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는 가전기기의 제어, 진단 또는 사용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1)의 태그부(140) 접촉을 통한 세탁기의 제어(태그온), 세탁기 원격 제어(스마트 원격제어), 세탁기에 대한 진단(스마트 진단), 세탁 코스 다운로드(스마트 코스 다운로드), 세탁기 설정(스마트 매니저)을 실시하는 메뉴가 각각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세탁기(1)의 태그부(140) 접촉을 통한 세탁기 제어 아이콘(태그온)이 선택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태그온 진단, 태그온 코스 다운로드, 세탁코치, 원터치 세탁과 같은 메뉴들을 표시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2)는 태그온 기능에 대한 설명을 표시한다.
세탁 코치가 선택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탁 코치 메뉴에 대한 설명을 팝업창을 통해 표시한다.
"확인"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하는 동작 중에는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가 연결중에 있다는 표시와 함께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태깅 동작이 완료된 후,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탁 코치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세탁 코치화면은 통세척 시기 코치, 적정 세제량 코치 및 세탁 다이어리 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다이어리는 도 6의 S230단계 또는 S240단계에서 설명한 가전기기의 운전 내역의 일 실시예이다.
세탁 다이어리 보기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8(g) 및 도 8(h)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탁 다이어리의 내용을 표시한다. 세탁 다이어리는 최근 10회 동안의 코스사용이력, 자주 쓰는 코스, 최근 사용 코스 등의 운전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10회 동안의 코스사용이력은 최근 10회 동안 세탁기 사용에 이용한 코스의 통계를 표시한다. 예를 들여, 스피드워시를 2회, 표준세탁을 3회, 찌든때를 0회, 란제리/울을 1회 사용한 경우, 이동 단말기(2)는 각각의 사용 횟수를 표시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2)는 각각의 코스의 수치에 따른 그래프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자주 쓰는 코스는 세탁기의 사용자가 세탁에 자주 이용하는 코스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자주 쓰는 코스가 표준세탁인 경우, 표준세탁으로 기 설정된 세탁, 헹굼, 탈수 또는 물온도에 대한 내용을 표시한다.
최근 사용 코스는 세탁기의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세탁에 이용한 코스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최근 사용 코스가 스피드워시인 경우, 스피드워시로 기 설정된 세탁, 헹굼, 탈수 또는 물온도에 대한 내용을 표시한다.
한편, 세탁 다이어리의 표시 화면이 이동 단말기(2)의 표시부(240)에 전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플리킹 입력을 수신하여,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세탁 다이어리가 표시된 상태에서, 최근 사용 코스의 세탁 바로 시작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8(i)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하는 동작 중에는 도 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가 연결중에 있다는 표시와 함께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태깅 동작이 완료된 후, 도 8(k)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을 통하여 이동단말기(2)는 스피드워시로 세탁이 시작되었다는 안내문구가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는 팝업창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초)동안 표시한다.
도 9는 세탁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거나 세탁기가 기 동작 중일 때, 이동 단말기가 세탁 다이어리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 제어를 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세탁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세탁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사용 코스의 세탁 바로 시작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하는 동작 중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가 연결을 시도 하는 중에 있다는 표시와 함께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만약, 세탁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므로 세탁을 할 수 없다는 안내 문구를 팝업창을 통해 표시한다. 이경우, "닫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2)는 세탁 다이어리 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9(e) 내지 도 9(h)는 기 세탁 중인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세탁기가 기 동작 중인 경우에,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사용 코스의 세탁 바로 시작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하는 동작 중에는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가 연결중에 있다는 표시와 함께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태깅 동작이 완료되고, 세탁기가 기 동작 중인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가 이미 선택된 코스에 따라 운전 중이므로 이동 단말기(2)는 선택된 세탁코스인 스피드 워시로는 운전 할 수 없다는 안내 문구를 팝업창을 통해 표시한다. 이경우, "닫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이동 단말기(2)는 세탁 다이어리 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10은 사용 세제 등록 동작 제어를 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태그온 진단", "태그온 코스 다운로드", "세탁코치" 및 "원터치 세탁"을 표시할 수 있다.
"세탁코치"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하는 동작 중에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가 연결중에 있다는 표시와 함께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태깅 동작이 완료된 후,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탁 코치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세탁 코치화면은 통세척 시기 코치, 적정 세제량 코치 및 세탁 다이어리 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정 세제량 코치에서 사용 세제의 "등록"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복수의 세제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는 "옥시크린", "비트", "표준세제" 또는 "한.입 세제" 등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세제들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비트"를 선택하는 경우,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비트" 세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는 제품명, 제조회사, 제품 타입, 세제 타입 또는 농축유무를 표시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2)는 "비트" 세제를 등록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는 상기 "비트" 세제에 대한 정보와 태킹하는 방법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태깅 동작 완료 후, 도 1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안내 문구를 팝업창을 통해 표시한다. 이때, "닫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탁 코치 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11은 사용 세제 등록 요청 동작 제어를 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는 복수의 세제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는 "옥시크린", "비트", "표준세제" 또는 "한.입 세제"를 표시한다. 세제의 종류가 많은 경우, 이동 단말기(2)는 플리킹 입력을 수신받아, 복수의 세제를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등록하기를 원하는 세제가 리스트에 없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 요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세제 등록 요청하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 요청 화면을 표시한다. 세제 등록 요청 화면에는 요청자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부분, 제조 회사 입력부분, 세제 이름 입력부분, 세제 정보 선택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동 단말기(2)는 이메일 주소, 제조 회사, 세제 이름, 세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한 후, "요청 메일 전송하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요청 메일 전송하기"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메일 전송 중이라는 메시지가 표시한다.
메일 전송이 완료된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 요청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닫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탁코치 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12는 세제 등록 요청 동작 중에 세제 정보 옵션 설정을 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 요청 화면을 표시한다. 세제 등록 요청 화면에는 요청자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부분, 제조 회사 입력부분, 세제 이름 입력부분, 세제 정보 선택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세제 정보에서 "세제 용도"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제 용도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세제 용도 리스트는 드럼, 일반, 드럼/일반 겸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표시된 리스트 중에서 드럼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취소"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 요청 화면을 표시한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 요청 화면을 표시한다. 세제 정보에서 "세제 종류"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제 종류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세제 종류 리스트는 액체, 가루,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표시된 리스트 중에서 액체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취소"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 요청 화면을 표시한다.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 요청 화면을 표시한다. 세제 정보에서 "농축도"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농축도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농축도 리스트는 표준, 2배, 4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표시된 리스트 중에서 표준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취소"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제 등록 요청 화면을 표시한다.
도 13은 자동세제 투입 세탁기에서, 세제량 가이드 동작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세탁기가 보유한 세제량이 세탁을 하기에 충분한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적정 세제량 코치에 "남은 세제량 충분" 및 "투입 될 세제량 15g"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세제 투입 세탁기는 세제 잔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세제 잔량과 감지된 포량의 비교를 통해 투입될 세제량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세탁기가 보유한 세제량이 세탁을 하기에 부족한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적정 세제량 코치에 "남은 세제량 부족", "세제를 보충해 주세요" 및 "투입될 세제량 15g"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세제 투입 세탁기는 세제 잔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세제 잔량과 감지된 포량의 비교를 통해 투입될 세제량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4는 자동세제 투입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세탁기에서, 세제량 가이드 동작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가 포의 양을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2)가 포의 양을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기(2)는 "필요 세제량 15g" 및 "세제를 투입해주세요"를 표시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 투입 후 세탁기가 동작 중인 경우, 이동 단말기(2)는 "필요 세제량 15g" 및 "적정 세제량 사용을 권유 합니다"를 표시한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이동 단말기(2)는 필요 세제량에 대한 내용을 표시하지 않는다.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가 포의 양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탁 시작 후 옷감량(포량)을 확인해 적정 세제량을 알려 드립니다"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경우, 세탁기(1)는 포량을 감지하고 및 포량에 대응한 세제량을 산정한다. 세탁기의 포량 감지 및 세제량 산정 이후에,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 동작을 수행한다. 태깅 동작을 통해, 이동 단말기(2)는 감지된 포량 및 산정된 세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단말기(2)는 감지된 포량에 대응한 세제량을 표시한다.
도 15는 통 세척 알림을 표시 동작을 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여기서, 통 세척은 도 6의 S235단계 또는 S240단계에 설명한 가전기기의 유지보수의 일 실시예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세척 시기가 아닌 경우, 이동 단말기(2)는 "5회 더 세탁하신후 통 세척을 권장합니다"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 경우, 통 세척을 위한 권장 세탁 횟수는 기 설정된 횟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5회를 예시하였으나, 통 세척을 위한 권장 세탁 횟수는 세탁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세척 시기인 경우, 이동 단말기(2)는 "통 세척 시기입니다. 통 세척을 해주세요"와 같이 통 세척 시기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만약, "통 세척 방법"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통 세척 방법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통 세척 방법을 표시 동작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 코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통 세척 방법"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통 세척 방법"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도 16(b) 및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통 세척 방법에 대한 설명 내용을 표시한다. 이 경우, 설명 내용이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플리킹 입력을 수신하여 연속적으로 설명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통 세척 바로 시작"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통 세척 바로 시작"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도 16(d)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하는 동작 중에는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가 연결중에 있다는 표시와 함께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태깅 동작이 완료된 후, 도 1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세탁 코치 화면을 표시한다. 세탁 코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통 세척이 시작되었다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2)는 유지 보수의 시기까지 남은 운전 횟수, 즉, 통 세척 시기까지 남은 운전횟수를 표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작동 제어를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카테고리를 선택한다(S443). 선택된 카테고리에서, 이동 단말기(2)는 항목을 선택한다(S445). S443단계 및 S445단계는 도 6의 S240단계의 일 실시예이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2)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기능, 목적 별로 카테고리들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2)는 세탁물의 상태에 따른, 선택된 카테고리의 기능, 목적 달성에 최적화하는 항목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세탁기의 동작 카테고리는 "위생,탈취 코스", "의류케어 코스", "절약 코스", "시간, 날씨별 코스", "얼룩, 찌든때 제거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위생, 탈취 코스" 카테고리의 항목은 "침구류 냄새재거, 살균하기", "이불 먼지 털기", "물 세탁 없이 의류 냄새 제거하기", "알레르기 물질 제거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류케어 코스" 카테고리의 항목은 "구김 적게 세탁하기", "보푸라기 적게 세탁하기",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절약 코스" 카테고리 항목은 "적은 빨래를 돌릴 때", "에너지 최저로 세탁하기", "최소 시간으로 세탁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간, 날씨별 코스" 카테고리의 항목은 "장마 철 보송보송하게 건조까지 완료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얼룩, 찌든 때 제거 코스" 카테고리의 항목은 "와이셔츠(소매/목) 집중 세탁하기", "땀 얼룩 집중 세탁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카테고리 및 항목에 대한 내용은 표1에 기재한다.
[원터치 세탁 코스]
카테고리 항목 설명
위생, 탈취 코스


침구류 냄새제거,
살균하기
스팀 클리닝 세탁조를 계속 돌리면서 고온의 열풍으로 침구류의 냄새 및 세균을 제거
이불 먼지 털기 이불 살균 털기 세탁조를 계속 돌리면서 고온의 열풍으로 이불의 먼지를 털어줌
물세탁 없이 의류 냄새 제거하기 스팀 클리닝 스팀으로 의류에 밴 냄새를 제거
알레르기 물질
제거하기
알러지 케어 스팀으로 알러지 유발균을 살균
의류케어 코스

구김 적게 세탁하기 표준코스 + 구김방지 옵션 탈수 강도를 줄여 세탁 후 의류의 구김을 줄임
보푸라기 적게 세탁하기 기능성의류 포 엉킴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도록 제공되는 소정의 모션으로 보푸라기를 줄여줌
헹굼 신경 써서 깨긋이 세탁하기 표준코스 + 헹굼2회추가 표준코스에 헹굼을 추가하여 헹굼력을 높여줌
절약 코스

적은 빨래를 빨리 돌릴 때 스피드 워시 표준코스에 대비하여 세탁시간을 줄이는 소정의 코스를 이용함
에너지 최저로 세탁하기 찬물 세탁 찬물로 세탁해 에너지는 절감하고 강력한 모션으로 세탁력을 유지
최소 시간으로 세탁하기 스피드 워시 표준코스에 대비하여 세탁시간을 줄이는 소정의 코스를 이용함
시간, 날씨별 코스 장마 철 보송보송하게 건조까지 완료하기 표준코스 + 강력건조 탈수 강도를 높여 세탁물의 물기를 최소화함
얼룩, 찌든때 제거 코스
와이셔츠(소매/목) 집중 세탁하기 찌든 때(불림) 코스 냉수와 온수로 단계적으로 세탁물을 불려 찌든때를 줄임
땀 얼룩 집중 세탁하기 찌든 때 코스 냉수와 온수로 단계적으로 세탁물을 불려 찌든때를 줄임
각 항목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침구류 냄새재거, 살균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스팀클리닝 기능을 이용한다. "침구류 냄새재거, 살균하기"는 세탁조를 계속 돌리면서 고온의 열풍으로 침구류의 냄새 및 세균을 제거하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이불 먼지 털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이불 살균 털기 기능을 이용한다. "이불 먼지 털기"는 세탁조를 계속 돌리면서 고온의 열풍으로 이불의 먼지를 털어주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물 세탁 없이 의류 냄새 제거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스팀클리닝 기능을 이용한다. "물 세탁 없이 의류 냄새 제거하기"는 스팀으로 의류에 밴 냄새를 제거하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알레르기 물질 제거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알러지 케어 기능을 이용한다. "알레르기 물질 제거하기"는 스팀으로 알러지 유발균을 살균하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구김 적게 세탁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표준코스 기능에 구김방지 옵션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용한다. "구김 적게 세탁하기"는 탈수 강도를 줄여 세탁 후 의류의 구김을 줄여주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보푸라기 적게 세탁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성의류 기능을 이용한다. "보푸라기 적게 세탁하기"는 포(옷감) 엉킴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도록 제공되는 소정의 모션으로 보푸라기를 줄여주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 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표준코스 기능에 헹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용한다.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는 표준코스에 헹굼을 추가하여 헹굼력을 높여주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적은 빨래를 돌릴 때"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스피드워시 기능을 이용한다. "적은 빨래를 돌릴 때"는 표준코스에 대비하여 세탁시간을 줄이는 소정의 코스를 이용한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에너지 최저로 세탁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찬물세탁 기능을 이용한다. 물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에너지가 소요된다. "에너지 최저로 세탁하기"는 물을 가열하지 않아 에너지가 소요되지 않게 하면서 찬물을 직접 이용한다. "에너지 최저로 세탁하기"는 상기 소요되지 않아 절약된 에너지로 모터 구동력을 증가시켜 포에 강한 물리력을 제공한다. 찬물을 세탁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포에 작용하는 강한 물리력에 의해서 효과적인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최소 시간으로 세탁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스피드워시 기능을 이용한다. "최소 시간으로 세탁하기"는 표준코스에 대비하여 세탁시간을 줄이는 소정의 코스를 이용한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장마 철 보송보송하게 건조까지 완료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표준코스 기능에 강력건조 기능을 추가하여 이용한다. "장마 철 보송보송하게 건조까지 완료하기"는 탈수 강도를 높여 세탁물의 물기를 최소화하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와이셔츠(소매/목) 집중 세탁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찌든때(불림)코스를 이용한다. "와이셔츠(소매/목) 집중 세탁하기"는 냉수와 온수로 단계적으로 포(세탁물)를 불려 찌든때를 줄여주는 동작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세탁기(1)는 먼저 온수를 이용하여 포의 찌든때를 불려주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후에, 냉수를 이용하여 헹굼등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땀 얼룩 집중 세탁하기"는 세탁기에서 제공하는 찌든때 코스를 이용한다. "땀 얼룩 집중 세탁하기"는 냉수와 온수로 단계적으로 포(세탁물)를 불려 찌든때를 줄여주는 동작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세탁기(1)는 먼저 온수를 이용하여 포의 찌든때를 불려주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후에, 냉수를 이용하여 헹굼등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항목 선택 완료 후, 이동 단말기(2)는 선택된 항목에 따른 가전기기 작동 명령 전송을 위해,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의 태깅 동작을 수행한다(S450). S450단계는 도6의 S250단계의 일 실시예이다.
여기서, 태깅이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NFC)에 따라 이동 단말기(2)가 가전기기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접촉하거나 일정거리 내에서 위치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의 태깅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2)는 S443단계 및 S445단계에서 선택한 카테고리 및 항목으로 가전기기가 작동 될 수 있도록 작동 명령을 세탁기(1)에 전송한다.
S443단계 및 S445단계에서 선택된 카테고리 및 항목에 따른 최적의 세탁 코스를 이용하여 세탁기(1)가 작동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1)에 작동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2)는 선택된 항목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운전패턴으로 세탁기의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명령을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전패턴은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세탁코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명령은 상기 세탁코스들 중에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세탁코스가 실시되도록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는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 항목을 선택한다. 이동 단말기(2)는 작동 명령 신호를 세탁기(1)에 전송하고 세탁기(1)는 작동 명령을 수신한다.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의 작동 명령을 수신한 경우, 세탁기는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에 대응하여 표준코스에 헹굼 2회 추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작동한다.
다르게는, 상기 작동명령은 세탁기를 통해 기 제공되는 운전패턴을 변경하여 새로운 운전패턴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세탁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선택된 항목에 따른 세탁물의 처리에 보다 적합하게 세탁기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 항목을 선택한다. 이동 단말기(2)는 작동 명령 신호를 세탁기(1)에 전송하고 세탁기(1)는 작동 명령을 수신한다.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의 작동 명령을 수신한 경우, 세탁기(1)는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에 대응한 운전패턴이 기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기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2)의 작동명령에 따라 운전패턴을 변경하여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에 대응하여 표준코스에 헹굼 2회 추가 동작을 수행하는 운전패턴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작동한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터치 세탁에 따른 세탁기의 동작 제어를 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는 가전기기의 제어, 진단 또는 사용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1)의 태그부(140) 접촉을 통한 세탁기의 제어(태그온), 세탁기 원격 제어(스마트 원격제어), 세탁기에 대한 진단(스마트 진단), 세탁 코스 다운로드(스마트 코스 다운로드), 세탁기 설정(스마트 매니저)을 실시하는 메뉴가 각각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세탁기(1)의 태그부(140) 접촉을 통한 세탁기 제어 아이콘(태그온)이 선택되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태그온 진단, 태그온 코스 다운로드, 세탁코치, 원터치 세탁과 같은 메뉴들을 표시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2)는 태그온 기능에 대한 설명을 표시한다.
원터치 세탁이 선택되면,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원터치 세탁 메뉴에 대한 설명을 팝업창을 통해 표시한다.
"확인"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하는 동작 중에는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가 연결중에 있다는 표시와 함께 안내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2)는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의 태깅 동작을 통해, 세탁기(1)의 종류에 따른 카테고리 및 항목을 수신한다. 예를 들면, 제1 세탁기에 따른 카테고리 및 항목은 제1 카테고리 및 제1 항목이고, 제2 세탁기에 따른 카테고리 및 항목은 제2 카테고리 및 제2 항목인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제1 세탁기와 태깅 동작을 수행했을 때는 제1 카테고리 및 제1 항목을 수신할 수 있다.
태깅 동작이 완료된 후, 도 1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원터치 세탁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원터치 세탁 화면은 "위생,탈취 코스", "의류케어 코스", "절약 코스", "시간, 날씨별 코스", "얼룩, 찌든때 제거 코스", "모두보기"의 카테고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카테고리 선택은 도 6의 S240단계에서 설명한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 선택의 일 실시예이다.
카테고리 중에서 "위생,탈취 코스"의 터치입력이 수신된 경우, 도 18(f)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위생,탈취 코스" 카테고리에서의 항목을 표시한다. "위생,탈취 코스" 카테고리에서의 항목은 "침구류 냄새재거, 살균하기", "이불 먼지 털기", "물 세탁 없이 의류 냄새 제거하기", "알레르기 물질 제거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는 "침구류 냄새재거, 살균하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침구류 냄새재거, 살균하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를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에 포함된 태그부(140)와 태깅하는 동작 중에는 도 1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는 이동 단말기(2)와 세탁기(1)가 연결중에 있다는 표시와 함께 안내 문구를 표시한다.
태깅 동작이 완료된 후, 도 1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세탁의 카테고리 또는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단말기(2)는 팝업창으로 "침구류 냄새재거, 살균하기"로 세탁이 시작되었다는 안내문구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는 팝업창을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초)동안 표시한다.
도 19는 원터치 세탁에서 코스 모두보기를 표시하는 동작 제어를 하는 경우, 표시부(240)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세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는 "모두보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이경우, 이동 단말기(2)는 도 19(a) 내지 도 19(d)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카테고리 및 카테고리 내의 항목들을 표시한다. 즉, "위생, 탈취 코스" 카테고리의 항목에 "침구류 냄새재거, 살균하기", "이불 먼지 털기", "물 세탁 없이 의류 냄새 제거하기", "알레르기 물질 제거하기"를 표시한다.
또한, "의류케어 코스" 카테고리의 항목에 "구김 적게 세탁하기", "보푸라기 적게 세탁하기", "헹굼 신경 써서 깨끗이 세탁하기"를 표시한다.
또한, "절약 코스" 카테고리 항목에 "적은 빨래를 돌릴 때", "에너지 최저로 세탁하기", "최소 시간으로 세탁하기"를 표시한다.
또한, "시간, 날씨별 코스" 카테고리의 항목에 "장마 철 보송보송하게 건조까지 완료하기"를 표시한다.
또한, "얼룩, 찌든 때 제거 코스" 카테고리의 항목에 "와이셔츠(소매/목) 집중 세탁하기", "땀 얼룩 집중 세탁하기"를 표시한다.
"모두보기"의 표시 화면이 이동 단말기(2)의 표시부(240)에 전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플리킹 입력을 수신하여,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세탁기
2 : 이동 단말기
110 : 제어부
140 : 태그부
210 : 이동 단말기 제어부
230 : 통신부

Claims (20)

  1. 가전기기에 포함된 태그부와의 태깅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태그통신모듈;
    상기 가전기기에 관한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메뉴에서 태깅을 통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제1 태깅시, 상기 태그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며,
    제2 태깅시, 상기 태그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에 상기 작동 모드에 기초한 작동 명령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세탁기인 이동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의 운전내역 정보이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세탁기의 운전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면에 대한 터치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세탁 코스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세탁기의 세탁 코스 사용 이력 정보, 자주 사용되는 세탁 코스 정보, 가장 최근 사용한 세탁 코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에서 이용 가능한 세제 정보이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세탁기에서 사용되는 세제를 등록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면에 대한 터치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 세제를 등록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에서 감지한 포량에 따라 투입되어야 하는 세제량 정보이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기 투입된 세제량이 상기 포량에 비해 부족한 경우, 세제 보충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에 구비된 통의 세척 내역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통 세척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면에 대한 터치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통 세척 동작을 선택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의 모델 정보이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모델 정보에 따른 세탁 코스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는 세탁 코스의 하위 항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하위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코스는 세탁물의 냄새 및 세균을 제거하는 위생/탈취 코스, 세탁물의 손상을 줄이도록 세탁하는 의류케어 코스, 시간 또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세탁하는 절약 코스, 소정 시간 또는 날씨에 적합하게 세탁하는 시간/날씨별 코스 및 세탁물의 소정 부위를 집중 세탁하는 얼룩/찌든때 제거 코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가전기기에 관한 메뉴에서 태깅을 통한 상기 가전기기의 제어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에 포함된 태그부에 제1 태깅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가전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전기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부에 제2 태깅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가전기기에 상기 작동 모드에 기초한 작동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세탁기인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의 운전내역 정보이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기의 운전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세탁 코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세탁기의 세탁 코스 사용 이력 정보, 자주 사용되는 세탁 코스 정보, 가장 최근 사용한 세탁 코스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에서 이용 가능한 세제 정보이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세탁기에서 사용되는 세제를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 세제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에서 감지한 포량에 따라 투입되어야 하는 세제량 정보이고,
    기 투입된 세제량이 상기 포량에 비해 부족한 경우, 세제 보충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에 구비된 통의 세척 내역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통 세척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통 세척 동작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정보는 상기 세탁기의 모델 정보이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모델 정보에 따른 세탁 코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되는 세탁 코스의 하위 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코스는 세탁물의 냄새 및 세균을 제거하는 위생/탈취 코스, 세탁물의 손상을 줄이도록 세탁하는 의류케어 코스, 시간 또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세탁하는 절약 코스, 소정 시간 또는 날씨에 적합하게 세탁하는 시간/날씨별 코스, 세탁물의 소정 부위를 집중 세탁하는 얼룩/찌든때 제거 코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19.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태그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및
    상기 태그부에 제1 태깅시,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전기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전기기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태그부에 제2 태깅시, 상기 가전기기에 작동 모드에 기초한 작동 명령을 전송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세탁기인 가전기기 시스템.
KR1020130106326A 2013-09-04 2013-09-04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4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26A KR102114860B1 (ko) 2013-09-04 2013-09-04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4/916,531 US9739004B2 (en) 2013-09-04 2014-09-04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home appliance
CN201480054734.6A CN105594221B (zh) 2013-09-04 2014-09-04 家用电器、家用电器系统和控制家用电器的方法
PCT/KR2014/008301 WO2015034278A1 (en) 2013-09-04 2014-09-04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home appliance
EP14841508.6A EP3042506B1 (en) 2013-09-04 2014-09-04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with a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26A KR102114860B1 (ko) 2013-09-04 2013-09-04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43A true KR20150027643A (ko) 2015-03-12
KR102114860B1 KR102114860B1 (ko) 2020-05-25

Family

ID=5262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326A KR102114860B1 (ko) 2013-09-04 2013-09-04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39004B2 (ko)
EP (1) EP3042506B1 (ko)
KR (1) KR102114860B1 (ko)
CN (1) CN105594221B (ko)
WO (1) WO201503427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557A (ko) * 2015-05-18 201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및 세탁물 처리시스템
KR20170011571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사물인식 기반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WO2018230820A1 (ko) * 2017-06-16 2018-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90041334A (ko) * 2017-10-12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WO2021107667A1 (ko) * 2019-11-29 2021-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81972A1 (ko) * 2021-02-25 2022-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시스템
KR102603216B1 (ko) * 2022-12-07 2023-11-16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IoT 기반의 펄세이터형 세탁기 초음파 세척 서비스 지원 시스템
WO2024019291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4575B1 (en) * 2014-06-04 2016-03-22 Grandios Technologies, Inc. Transmitting appliance-specific content to a user device
CN105846830B (zh) * 2015-01-14 2019-07-30 北京航空航天大学 数据处理装置
CN106032616B (zh) 2015-03-10 2020-01-1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智能衣物洗涤管理装置及方法
CN105068467B (zh) * 2015-07-13 2018-0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USD781250S1 (en) * 2015-11-25 2017-03-14 Vornado Air Llc Remote control
US9742581B2 (en) * 2015-12-18 2017-08-22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network with messaging
CN106120243B (zh) * 2016-06-30 2019-08-2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洗涤桶的清洁方法、装置及洗衣机
EP3290565B1 (en) * 2016-08-31 2021-04-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with a touch display
DE102016225823A1 (de) * 2016-12-21 2018-06-21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Behandlungsparametern über einen Informationsträger
CN106920380A (zh) * 2017-03-14 2017-07-04 蒙柳 一种通用服务机器人安全遥控器
US10934657B2 (en) * 2017-03-16 2021-03-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asher dryer machine and control method
CN108625096B (zh) * 2017-03-24 2021-07-0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洗衣机远程控制系统
CN108729111B (zh) * 2017-04-24 2020-08-0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WO2018199543A1 (ko) * 2017-04-25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CN109385840B (zh) * 2017-08-10 2021-10-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衣物识别系统及该系统的绑定和衣物识别方法
CN109426160B (zh) * 2017-08-22 2021-04-23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系统
KR102551537B1 (ko) 2017-08-30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8952B1 (ko) * 2017-08-31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KR102018662B1 (ko) 2017-10-24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91592B1 (ko) * 2017-12-22 2019-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음성 인식에 기반하여 세탁 코스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WO2019135661A1 (en) * 2018-01-08 2019-07-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US10423869B1 (en) * 2018-06-28 2019-09-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nterchangeable tag communications systems for consumer appliances
KR101991632B1 (ko) * 2018-07-13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세탁기 및 서버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
KR20210125122A (ko) * 2019-03-08 2021-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0171513A (ja) * 2019-04-11 2020-10-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及び洗濯システム
US20210238787A1 (en) * 2019-05-26 2021-08-05 Nurpsphere Inc Appliance Comprising Weight Sensing Technology
DE102019212701B4 (de) * 2019-08-23 2021-10-21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Reinigungs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Reinigungsgut und Verfahren zum Betrieb mindestens einer Reinigungsvorrichtung
DE102019212699B4 (de) * 2019-08-23 2021-07-29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Reinigungs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Reinigungsgut und Verfahren zum Betrieb mindestens einer Reinigungsvorrichtung
CN110528230A (zh) * 2019-08-28 2019-12-03 金羚电器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衣液投放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3308851B (zh) * 2020-02-27 2022-11-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涤剂推荐方法及设备
CN111399392B (zh) * 2020-04-02 2022-02-0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基于智慧屏的智能家居交互控制方法、装置和智慧屏
CN114815634A (zh) * 2021-01-27 2022-07-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Nfc家用电器的智能控制方法
CN112981851A (zh) 2021-02-03 2021-06-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洗衣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725322B2 (en) 2021-10-06 2023-08-15 Whirlpool Corporation Better dosing with a virtual and adaptive low cost doser
DE102022115351A1 (de) * 2022-06-21 2023-12-21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gerätes unter Verwendung eines mobilen Endgerätes,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en Endgerätes, Haushaltgerät und mobiles Endgerät
US20240150953A1 (en) * 2022-11-09 2024-05-09 E.G.O. Elektro-Geraetebau Gmbh Water bearing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487A (ko) * 2011-12-28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US20130214935A1 (en) * 2011-08-22 2013-08-22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2712B1 (en) * 1999-01-22 2005-04-19 Pointse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programmable features of an appliance
JP2003210887A (ja) * 2002-01-22 2003-07-29 Toshiba Corp ランドリーシステム
US7340509B2 (en) * 2002-07-18 2008-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Reconfigurable appliance control system
US7096601B2 (en) * 2003-12-26 2006-08-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drying system
KR20090041003A (ko) * 2007-10-23 2009-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1563487B1 (ko) *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WO2011145873A2 (ko) 2010-05-17 201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8667112B2 (en) * 2010-07-20 2014-03-04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etworked smart devices
KR101276861B1 (ko)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US9850613B2 (en) * 2011-09-09 2017-12-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aundry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program and washing machine
WO2013089713A1 (en) 2011-12-14 2013-06-20 Draeger Safety, Inc. Obtaining operational data from devices using proximity-based communication protocols
KR101924962B1 (ko) * 2012-10-04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9294575B1 (en) * 2014-06-04 2016-03-22 Grandios Technologies, Inc. Transmitting appliance-specific content to a use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4935A1 (en) * 2011-08-22 2013-08-22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KR20130080487A (ko) * 2011-12-28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557A (ko) * 2015-05-18 201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및 세탁물 처리시스템
KR20170011571A (ko) * 2015-07-23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사물인식 기반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WO2018230820A1 (ko) * 2017-06-16 2018-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80137147A (ko) * 2017-06-16 2018-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859327B2 (en) 2017-06-16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190041334A (ko) * 2017-10-12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동작방법
US11535967B2 (en) 2017-10-12 2022-12-2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WO2021107667A1 (ko) * 2019-11-29 2021-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81972A1 (ko) * 2021-02-25 2022-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시스템
WO2024019291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603216B1 (ko) * 2022-12-07 2023-11-16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IoT 기반의 펄세이터형 세탁기 초음파 세척 서비스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2506B1 (en) 2019-02-27
EP3042506A4 (en) 2017-03-22
KR102114860B1 (ko) 2020-05-25
US9739004B2 (en) 2017-08-22
US20160215430A1 (en) 2016-07-28
CN105594221A (zh) 2016-05-18
WO2015034278A1 (en) 2015-03-12
CN105594221B (zh) 2019-09-06
EP3042506A1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860B1 (ko)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722668B2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32627A (ko)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5969532B2 (ja) 洗濯機制御システム及び洗濯機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362376B1 (ko) 지능형 옷장, 그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4131442B (zh) 洗衣机远程控制方法及系统
EP2706138A1 (en) 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558653B2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50109070A1 (en) Laundry system including home terminal device and laundry apparatus with communicating function
KR20110126436A (ko)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6574417A (zh) 衣物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10054843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CN112095289B (zh) 一种洗衣机控制方法
KR20110126437A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29976B1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217752B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JP2002085888A (ja) ランドリー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ランドリー機器
JP2005034186A (ja) 洗濯乾燥システム
JP2021007635A (ja) 衣類処理装置
KR20180015927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7045873B2 (ja) 衣類処理装置
JP2021132811A (ja) 衣類処理システム、衣類処理装置
CN117888325A (zh)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