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62B1 -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62B1
KR102018662B1 KR1020170138227A KR20170138227A KR102018662B1 KR 102018662 B1 KR102018662 B1 KR 102018662B1 KR 1020170138227 A KR1020170138227 A KR 1020170138227A KR 20170138227 A KR20170138227 A KR 20170138227A KR 102018662 B1 KR102018662 B1 KR 102018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input device
command input
control
control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529A (ko
Inventor
이성훈
김환용
박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62B1/ko
Priority to EP18871734.2A priority patent/EP3701726A4/en
Priority to PCT/KR2018/012621 priority patent/WO2019083268A1/en
Priority to US16/169,360 priority patent/US11171801B2/en
Publication of KR2019004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62B1/ko
Priority to US17/471,711 priority patent/US1163771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4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magnetically coupled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21Programming remote control devices via third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H04Q2209/883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where the sensing device enters an active or inactive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된 가전기기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로 확정하고, 확정된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명령입력장치에 활성화하는 명령입력장치 및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Command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오피스텔이나 상가건물, 오피스 빌딩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실내/외에서는 내부 사용자에 대한 이용상의 편의성과 외부의 침입자로부터의 방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고, 가전기기 상태를 보여주는 컨트롤러가 각각의 가전기기에 대응되게 하나 씩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각각의 가전을 별개에 제어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다수의 가전을 제어하는 것이 개발되고 있는데, 하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 다수의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확정하지 못하여 제어의 혼선이 발생되고, 각각의 가전기기에 맞는 리모트 오브젝트가 활성화 되지 않아, 각각의 가전기기에 맞는 세세한 제어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명령입력장치가 가전기기에 접촉되면, 가전기기에 맞는 맞춤형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하여 복수 개의 가전기기를 하나의 디바이스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명령입력장치가 가전기기에 접촉되면, 가전기기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고, 가전기기와 접촉이 해제되면,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에너지를 절약하는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은 가전기기와 명령입력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단계, 상기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된 가전기기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로 확정하는 제어대상 확정 단계 및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명령입력장치에 활성화하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모듈, 가전기기와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모듈 및 명령입력장치의 전반적인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접촉된 가전기기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확정하고,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전력 수신모듈이 구비되면, 명령입력장치의 전원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명령입력장치를 별도로 충전할 필요가 없으며, 명령입력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둘째, 하나의 명령입력장치를 통해 다수의 가전기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명령입력장치의 공용화가 가능한 이점도 있다.
셋째, 명령입력장치가 가전기기와 비 접촉 시에는 대기모드 또는 슬립모드를 유지하므로, 명령입력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는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이점이 존재한다.
넷째, 사용자가 원하는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페어링이 필요없이 단순히 원하는 가전기기에 명령입력장치를 부착하면 되므로, 사용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명령입력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명령입력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명령입력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가 가전기기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명령입력장치가 가전기기에 부착된 일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700) 시스템은 복수의 가전기기(700)와 복수의 가전기기(700)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면 접촉된 가전기기(700)를 제어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명령입력장치(200)를 포함한다. 물론, 가전기기(700)의 시스템에는 명령입력장치(200) 또는/및 가전기기(700)와 무선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가전기기(700)는 통상적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70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가전기기(700)는 텔레비전, 에어컨, 오디오, 냉장고, 조명기기, 공기 청정기 및 조리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전기기(70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300)는 휴대용기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이동 단말기(300)는 명령입력장치(200) 또는/및 가전기기(7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명령입력장치(200)는 이동 단말기(300) 또는/및 가전기기(7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통해 가전기기(700)를 제어하고, 가전기기(7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하나의 명령입력장치(200)를 통해 다수의 가전기기를 세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명령입력장치(200)는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면, 접촉된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확정하고,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한다.
이하, 명령입력장치(200)에 대해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700)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명령입력장치(200)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230),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240),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모듈(260), 가전기기(700)와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모듈(290) 및 명령입력장치(200)의 전반적인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또한, 명령입력장치(200)는 전력 수신모듈(250), 전원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30)은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명령입력장치(2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모듈(230)은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210)에 전달하고, 제어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제어대산 가전기기(700)에 전달한다.
통신모듈(23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통신모듈(230)은 전력망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2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시각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가전기기(7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검색된 가전기기(700)들과 가전기기(700)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에는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79)가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입력모듈(260)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40)에는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에 의해 가전기기(700)의 정보와 가전기기(700)의 제어정보를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화면이 구현되고, 터치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리모트 오브젝트(79)가 표시될 수 있다. 리모트 오브젝트(79)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입력모듈(26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것이다. 입력모듈(260)은 입력된 제어명령을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입력모듈(260)은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입력모듈(260)은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280)는 명령입력장치(200)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공급하고, 전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전원부(280)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280)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에서 전원이 공급되기 전에 명령입력장치(200)의 대기모드를 유지하고, 명령입력장치(200)가 초기에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인식코드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정도의 축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수신모듈(250)은 제어대상 가전기기에서 송신된 전력을 공급받아 전원부(280) 또는/및 명령입력장치(200)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전력 수신모듈(250)은 접촉 또는 비접촉,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 받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수신모듈(250)은 도 5에서 도시하는 것 처럼 가전기기(700)의 송신코일(253)이 발생한 자기장으로부터 전자기유도에 의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수신코일(251)이거나, 도 9 또는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전기기(700)에서 노출된 전극에 접촉되는 수신전극(251a, 2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모듈(250)이 구비되면, 명령입력장치(200)의 전원부(280)를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명령입력장치(200)를 별도로 충전할 필요가 없으며, 명령입력장치(20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접촉 감지모듈(290)은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하는 것을 감지한다. 여기서,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한다 함은, 완전한 의미의 접촉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지근거리(대략 1mm 이내) 이내에 위치되는 것도 포함한다.
접촉 감지모듈(290)은 가전기기(700)의 케이싱(761)의 일면과 명령입력장치(200)의 하우징(21, 22) 접촉을 감지하거나, 가전기기(700)의 케이싱(761)의 일면과 명령입력장치(200)의 하우징(21, 22)이 지근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다.
접촉 감지모듈(290)은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210)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접촉 감지모듈(290)은 명령입력장치(200)의 외면과 가전기기(700)의 일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을 감지하거나, 명령입력장치(200)의 외면 또는 가전기기(700)의 일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을 감지하거나, 명령입력장치(200)의 외면과 가전기기(700)의 일면 사이의 전기적인 통전 여부를 측정하여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 감지모듈(290)은 가압센서,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및 광 센서(optical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감지모듈(290)은 명령입력장치(200) 또는 가전기기(70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제어모듈(210)의 동작 중, 제어모듈(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제어모듈(210)과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제어모듈(210)이 가전기기(700)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모듈(210)는 메인 메모리(220)가 저장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가전기기(700)를 검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가전기기(700)를 동작시키는 방식에 관한 동작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220)에는 기존에 입력모듈(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가전기기(700)를 제어했던 방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220)에는 보안을 위한 비밀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명령입력장치(200)의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실행하여서 가전기기(7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명령입력장치(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에,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이를 실행하여서 가전기기(7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명령입력장치(200) 또는 가전기기(7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명령입력장치(200)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가전기기(700)에 구비되거나,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통신모듈(230)에서 전달된 가전기기의 데이터를 통해 가전기기(700)의 종류 및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접촉 감지모듈(290)에서 감지된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하고, 접촉된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확정하고,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접촉 감지모듈(290)에서 감지된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가압센서에서 측정된 압력 또는 가전기기(700)의 일면과 명령입력장치(200)의 일면이 지근거리로 접근하는 경우,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통전되는 경우,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전에 명령입력장치(200)를 대기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유지한다.
제어부(210)는 접촉된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로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에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명령입력장치(200)와 접촉된 가전기기(700)에서 식별코드를 송신하고, 가전기기(700)와 접촉된 명령입력장치(200)가 식별코드를 수신하게 한다. 반대로,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에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가전기기(700)와 접촉된 명령입력장치(200)에서 식별코드를 송신하고, 명령입력장치(200)와 접촉된 가전기기(700)가 식별코드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 상태라고 판단하는 경우, 접촉된 가전기기(700) 또는 명령입력장치(200)가 식별코드를 송신하고, 접촉된 가전기기(700) 또는 명령입력장치(200)가 식별코드를 수신하게 하여,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확정한다. 제어부(210)는 서로 식별코드가 송수신되는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페어링(Pairing)된다. 명령입력장치(200)에 페어링된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라고 명명한다.
제어부(210)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가전기기(700)에서 명령입력장치(200)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의 전력 송신모듈을 작동시켜 명령입력장치(200)로 전력을 송신하게 한다.
제어부(210)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명령입력장치(200)에 활성화한다. 또는, 제어부(210)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되었다고 판단되고, 가전기기(700)의 전력 송신모듈을 작동시킨 후,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명령입력장치(200)에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명령입력장치(200)에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 한다는 것은 명령입력장치(200)가 가전기기(700)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210)은 명령입력장치(200)와 페어링된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는, 제어부(210) 은 명령입력장치(200)와 페어링된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하는 입력모듈(260)을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가전기기(700)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의 종류 및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이다.
또한, 제어부(210)는 명령입력장치(200)와 무선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이동단말기에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이동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300)(300) 또는 명령입력장치(200)가 가전기기(700)의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300) 또는 명령입력장치(200)가 서버(10)에서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다운받고 이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0)은 활성화된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리모트 오브젝트에 제어대상 가전기기의 현재 상태 및 제어대상 가전기기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모듈(260), 관리어플리케이션(270), 리모트 컨트롤러, 리모트 오브젝트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10)는 생성된 제어신호가 통신모듈(230)을 통해 제어대상 가전기기로 송신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이 해제되면, 명령입력장치(200)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명령입장치의 대기모드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활성화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비활성화되게 하거나, 디스플레이부(240)를 오프(off) 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어부(210)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이 해제되면, 가전기기(700)가 명령입력장치(200)로 전력송신을 중단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가전기기(700)의 전력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이하, 명령입력장치(20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2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명령입력장치(200)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명령입력장치(2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명령입력장치(200)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200)가 가전기기(700)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명령입력장치(200)가 가전기기(700)에 부착된 일면에 대한 단면도이다.
명령입력장치(200)는 하우징(21, 22)과, 자성체(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 22)은 디스플레이부(240), 전력 수신모듈(250), 통신모듈(230), 입력모듈(260)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거나,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1, 22)은 일방향(상세히는, 상부)에 디스플레이(370)를 노출한 상태로 디스플레이(370)를 수용한다. 하우징(21, 22)은 일체형 또는 다수의 부품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하우징(21, 22)은 조립의 편의성, 부품 배치의 자율도를 고려하여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우징(21, 22)은 어퍼 하우징(21)과, 로어 하우징(2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하우징(21)에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노출하는 윈도우(21a)와, 입력모듈(260) 중 물리버튼(261)을 노출하는 버튼홀(21b)을 형성된다. 로어 하우징(22)은 어퍼 하우징(21)과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외면에 입력모듈(260) 중 하나로 다이얼(262)이 회전 결합되게 한다. 로어 하우징(22)에는 다이얼(262)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모듈(26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입력모듈(260)은 하우징(21, 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우징(21, 22)과 결합되는 다이얼(262)과, 다이얼(262)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어퍼 하우징(21)을 통해 노출된 물리버튼(261)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모듈(250)은 가전기기(700)의 송신코일(253)이 발생한 자기장으로부터 전자기유도에 의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수신코일(251)을 포함한다. 수신코일(251)은 로어 하우징(22)의 상부에 배치된다. 수신코일(251)은 로어 하우징(22)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1, 22)에 자성체(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자성체(25)는 가전기기(700)의 케이싱(761)과 인력이 작용되어 명령입력장치(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하게 하며, 자력으로 인해, 가전기기(700)의 표면에 명령입력장치(200)가 부착되게 한다.
자성체(25)는 자력을 가지는 물질이다. 예를 들면, 자성체(25)는 마그네틱을 포함한다. 자성체(25)는 영구자석 또는 일시자석을 포함한다.
자성체(25)는 수신코일(251)과 배치를 고려하여서, 로어 하우징(22)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가전기기(700)의 케이싱(761)에는 자성체(25)와 인력이 작용되는 반응체(764)가 구비된다. 반응체(764)는 자성체(25)와의 자기력에 의해 명령입력장치(200)가 이동되더라도 원 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력을 제공한다. 또한, 반응체(764)는 자성체(25)와 자기력에 의해 명령입력장치(200)와 제어대상 장치의 자성체(25)와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하우징(21, 22)은 자성체(25)와 반응체(764)의 인력에 의해 제어대상 가전기기 상의 원위치에 정렬된다.
반응체(764)는 케이싱(761)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반응체(764)는 자성체(25)와 인력이 작용되는 마그네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자성체(25)는 제1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틱이고, 반응체(764)는 제1극성과 반대극성인 제2극성을 가지는 마그네틱이다.
다른 예를 들면, 자성체(25)는 마그네틱이고, 반응체(764)는 자성체(25)와 인력이 작용되는 자성금속을 포함한다. 자성금속은 금속으로써 마그네틱의 자력에 인력을 받는 자성물질을 포함한다. 자성금속은 강자성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반응체(764)는 Ni, Cr, Mo 및 Fe 중 어느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거나, 이들 원소들의 합금이다.
즉, 명령입력장치(200)의 자성체(25)는 가전기기(700)의 케이싱(761) 자체와의 자력 또는 가전기기(700)의 케이싱(761)에 설치된 반응체(764)와의 자력에 의해 그 위치가 정렬되고 고정된다.
하우징(21, 22)은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하우징(21, 22)의 정렬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부(26)는 로어 하우징(22)에서 돌출된 정렬돌기이거나, 로어 하우징(22)이 함몰되어 형성된 정렬 그루브일 수 있다.
가전기기(700)의 케이싱(761)은 단일 부재로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무선전력 송신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가전기기(700)의 케이싱(761)의 일 실시예는 상부 케이싱(761a)과, 상부 케이싱(761a)과 마주보면 이격되게 배치되는 하부 케이싱(761b) 및 상부 케이싱(761a)과 하부 케이싱(761b)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재(761c)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모듈 중 하나인 송신코일(253)은 상부 케이싱(761a)과 하부 케이싱(76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응체(764)는 상부 케이싱(761a)과 하부 케이싱(76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싱(761a)에는 명령입력장치(200)의 위치결정부(26)와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700)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에의 가전기기(700) 시스템은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가 전달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명령입력장치(200)의 로어 하우징(22)에는 수신전극(251a, 251b)이 배치되고, 가전기기(700)의 케이싱(761)에는 수신전극(253a, 253b)이 배치된다. 수신전극(251a, 251b)과 수신전극(253a, 253b)은 서로 접촉되어 전력을 전달한다.
수신전극(253a, 253b)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수신전극(251a, 251b)은 수신전극(253a, 253b)과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고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700)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에의 가전기기(700) 시스템은 도 9와 수신전극(251a, 251b) 및 수신전극(253a, 253b)의 형태가 상이하다.
복수개의 수신전극(251a, 251b)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감싸게 배치된다. 수신전극(253a, 253b)은 수신전극(251a, 251b)과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고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20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200)의 제어방법은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단계,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었다 감지되면, 접촉된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확정하는 제어대상 확정 단계 및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명령입력장치(200)에 활성화하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대상 확정단계는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면, 접촉된 가전기기(700)에서 명령입력장치(200)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전력 수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입력장치(200)의 제어방법은 명령입력장치(200)에 활성화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가전기기(700)의 종류와 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 단계, 명령입력장치(200)에 활성화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명령 송신단계,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판단하는 접촉해제 판단단계,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이 해제되면, 전력송신을 중단하는 전력송신 중단단계, 명령입력장치(200)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대기모드 전환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210)는 접촉 감지모듈(290)을 제어하여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의 접촉을 감지한다(S5).
이후, 제어부(210)는 접촉 감지모듈(290)에서 감지된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을 판단한다 (S10).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가압센서에서 측정된 압력 또는 가전기기(700)의 일면과 명령입력장치(200)의 일면이 지근거리로 접근하는 경우,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통전되는 경우,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었다고 판단한다(S10).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전에 명령입력장치(200)를 대기모드 또는 슬립모드로 유지한다.
이후,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면, 접촉된 가전기기(700)에서 명령입력장치(200)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20).
이후, 제어부(210)는 접촉된 가전기기(700)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로 확정할 수 있다 (S30). 구체적으로,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에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명령입력장치(200)와 접촉된 가전기기(700)에서 식별코드를 송신하고, 가전기기(700)와 접촉된 명령입력장치(200)가 식별코드를 수신하게 한다. 반대로,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에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가전기기(700)와 접촉된 명령입력장치(200)에서 식별코드를 송신하고, 명령입력장치(200)와 접촉된 가전기기(700)가 식별코드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 상태라고 판단하는 경우, 접촉된 가전기기(700) 또는 명령입력장치(200)가 식별코드를 송신하고, 접촉된 가전기기(700) 또는 명령입력장치(200)가 식별코드를 수신하게 하여,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확정한다.
이후, 제어부(210)는 제어대상 확정 단계 및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명령입력장치(200)에 활성화한다 (S40). 활성화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명령입력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에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를 출력하거나, 명령입력장치(200)와 무선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이동단말기에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거나, 명령입력장치(200)가 제어대상 가전기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명령입력장치(200)가 서버로부터 제어대상 가전기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10)는 명령입력장치(200)에 활성화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가전기기(700)의 종류와 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한다(S50).
이후, 제어부(210)는 명령입력장치(200)에 활성화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송신한다(S60).
이후, 제어부(210)는 기 가전기기(700)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이 해제되는 것을 판단한다(S70).
이후, 제어부(210)는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명령입력장치(200)가 접촉이 해제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대상 가전기기가 전력송신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S80).
명령입력장치(200)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대기모드 전환단계를 포함한다(S90).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명령입력장치의 위치결정부와 가전기기의 상기 위치결정부의 대응홈을 정렬하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단계;
    상기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된 가전기기를 제어대상 가전기기로 확정하는 제어대상 확정 단계; 및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상기 명령입력장치에 활성화하는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명령입력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명령입력장치와 무선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이동단말기에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이동단말기에 출력하는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명령입력장치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명령입력장치가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는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단계는,
    상기 가전기기의 케이싱의 일면과 상기 명령입력장치의 접촉을 감지하는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가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된 가전기기에서 상기 명령입력장치로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전력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입력장치에 활성화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명령 송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방법.
  9. 가전기기와의 접촉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상기 가전기기의 대응홈과 결합하는 위치결정부;
    상기 가전기기와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모듈;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오브젝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모듈;
    명령입력장치의 전반적인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접촉된 가전기기를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를 확정하고,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대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활성화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명령입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케이싱과 인력이 작용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명령입력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제어대상 가전기기에서 송신된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명령입력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명령입력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모듈을 포함하는 명령입력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 노출된 물리버튼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현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명령입력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에 송신하는 명령입력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활성화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비활성화되게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명령입력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오프(off)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명령입력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가 접촉되면, 상기 가전기기에서 상기 명령입력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대상 가전기기와 상기 명령입력장치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가전기기의 전력송신을 중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명령입력장치.

KR1020170138227A 2017-10-24 2017-10-24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1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227A KR102018662B1 (ko) 2017-10-24 2017-10-24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18871734.2A EP3701726A4 (en) 2017-10-24 2018-10-24 COMMAND INPUT DEVICE AND CONTROL PROCEDURE FOR IT
PCT/KR2018/012621 WO2019083268A1 (en) 2017-10-24 2018-10-24 INSTRUCTION INPU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US16/169,360 US11171801B2 (en) 2017-10-24 2018-10-24 Command inpu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7/471,711 US11637717B2 (en) 2017-10-24 2021-09-10 Command inpu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227A KR102018662B1 (ko) 2017-10-24 2017-10-24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529A KR20190045529A (ko) 2019-05-03
KR102018662B1 true KR102018662B1 (ko) 2019-09-05

Family

ID=6617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227A KR102018662B1 (ko) 2017-10-24 2017-10-24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171801B2 (ko)
EP (1) EP3701726A4 (ko)
KR (1) KR102018662B1 (ko)
WO (1) WO2019083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4487B1 (en) * 2018-12-03 2020-11-10 V Charles Douglass Coleman Wall art music speaker system
KR20210087347A (ko) * 2020-01-02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D929349S1 (en) * 2020-06-15 2021-08-31 Ningbo Sunfree Motor Technology Company Limited Curtain controller
CN111580408A (zh) * 2020-06-29 2020-08-2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电系统和控制方法
USD937228S1 (en) * 2020-07-23 2021-11-30 Shenzhen Founder Industrial Co., Ltd LED controller
US11121590B1 (en) * 2020-09-04 2021-09-14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with communications
USD1003256S1 (en) * 2022-06-28 2023-10-31 Bear Down Brands, Llc Controller for heating pad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598A (ja) 1989-07-28 1991-03-15 Nippon Seiki Co Ltd 充電式ワイヤレスリモコン
KR100188658B1 (ko) * 1996-09-30 1999-06-01 윤종용 복합 기능의 리모콘 및 그에 의한 복합 제품의제어 방법
JP2000112634A (ja) * 1998-10-08 2000-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イヤレスキー伝送装置の制御システム
US7245291B2 (en) * 2000-07-11 2007-07-17 Imran Sharif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appliance data entry and navigation
KR100359827B1 (ko) * 2000-11-27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JP2002354557A (ja) * 2001-05-29 2002-12-06 Fujitsu Ltd 機器制御システム
US6650247B1 (en) * 2002-02-20 2003-11-1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home applianc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40169590A1 (en) * 2002-03-01 2004-09-0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ppliance power awareness to select a remote control command set
US6642852B2 (en) * 2002-03-01 2003-11-04 Universa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with appliance power awareness
US7274303B2 (en) * 2002-03-01 2007-09-25 Universal Electronics Inc. Power strip with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ality
US6788241B2 (en) * 2002-09-25 2004-09-07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keystroke data to configure a remote control device
KR20040040141A (ko) * 2002-11-06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US20040210933A1 (en) * 2003-01-07 2004-10-21 Universal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KR100514191B1 (ko) * 2003-01-23 2005-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용셋톱박스
KR100534611B1 (ko) * 2003-06-04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US7685341B2 (en) * 2005-05-06 2010-03-23 Fotonation Vision Limited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sumer electronic appliances
CN100440107C (zh) * 2004-02-29 2008-12-03 深圳市朗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无线的控制家庭数码设备的系统
US7872642B2 (en) * 2004-03-12 2011-01-18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trolling device having multiple user interfaces
KR20060035236A (ko) * 2004-10-22 2006-04-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리모콘 무접점 충전장치
JPWO2006103875A1 (ja) * 2005-03-28 2008-09-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Av機器操作システム
US7694048B2 (en) * 2005-05-06 2010-04-06 Fotonation Vision Limited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printer appliances
KR20070010589A (ko) * 2005-07-1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20070099679A1 (en) * 2005-11-01 2007-05-03 Mikko Saarisalo Wireless near field communication control using device state or orientation
US20070293208A1 (en) * 2006-06-15 2007-12-20 Newict (M) Sdn. Bhd. Wireles switching control system for building automation, lighting, security and appliances
US7973647B2 (en) * 2006-08-24 2011-07-05 Elbex Vide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operating appliances from video interphones or shopping terminals
US10637724B2 (en) * 2006-09-25 2020-04-28 Remot3.It, Inc. Managing network connected devices
US8391921B2 (en) * 2007-02-13 2013-03-05 Google Inc.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HK1109017A2 (en) * 2007-03-29 2008-05-23 House Brands Plus Ltd Hand-held remote control for electronic entertainment appliance
US8154381B2 (en) * 2007-12-31 2012-04-10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ppliance control
US9852615B2 (en) 2011-03-25 2017-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ppliance control via a smart device
KR20100033606A (ko) 2008-09-22 2010-03-31 김유신 터치패널식 통합 리모콘
US9953519B2 (en) * 2008-11-17 2018-04-24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apid configuration of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US9398242B2 (en) * 2008-11-17 2016-07-1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apid configuration of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US8805439B2 (en) * 2009-03-05 2014-08-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020432B2 (en) * 2009-11-30 2015-04-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program
US8508401B1 (en) * 2010-08-31 2013-08-13 Logitech Europe S.A. Delay fixing for command codes in a remote control system
US9226020B2 (en) * 2011-05-03 2015-12-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3703732B (zh) * 2011-07-20 2019-06-18 Lg电子株式会社 使用无线电力信号的双向通信方法及设备
WO2013035213A1 (ja) * 2011-09-09 2013-03-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及び電気機器
CN102411840B (zh) * 2011-12-15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遥控装置
CN102867400A (zh) * 2012-08-31 2013-0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智能适配器及应用该智能适配器的远程遥控系统
KR101924961B1 (ko) * 2012-11-29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9159222B2 (en) * 2013-05-17 2015-10-13 Aeng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of an electric appliance
US9843196B2 (en) * 2013-06-11 2017-12-12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 home appliances
KR20150017581A (ko) * 2013-08-07 2015-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장치에 접촉되는 전자기기 및 그의 메뉴 표시방법
KR102114860B1 (ko) * 2013-09-04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3984A (ko) * 2013-09-25 2015-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제어 시스템
WO2015060570A1 (en) * 2013-10-23 2015-04-30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6460287B (zh) * 2014-03-11 2019-11-12 Lg电子株式会社 洗涤物处理装置
KR102254886B1 (ko) * 2014-06-30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DE102014217616A1 (de) * 2014-09-03 2016-03-03 BSH Hausgeräte GmbH Generisches Bedienelement für vernetzte Hausgeräte
KR101665554B1 (ko) * 2014-09-23 2016-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43071B1 (ko) * 2014-11-18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60067706A (ko) * 2014-12-04 2016-06-14 유진영 사물 인식 리모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CN105223815B (zh) * 2015-07-22 2017-10-31 广东天诚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家居无线控制系统
US9812006B1 (en) * 2016-05-06 2017-11-07 Nxcontrol System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frared remote controls of home appliances
US10812526B2 (en) * 2017-04-24 2020-10-20 Caligo Systems Ltd. Moving target defense for securing internet of things (IoT)
KR102313298B1 (ko) * 2019-09-23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71801B2 (en) 2021-11-09
KR20190045529A (ko) 2019-05-03
WO2019083268A1 (en) 2019-05-02
US20210409237A1 (en) 2021-12-30
US20190123929A1 (en) 2019-04-25
EP3701726A1 (en) 2020-09-02
EP3701726A4 (en) 2021-07-21
US11637717B2 (en)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662B1 (ko)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932347B2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ystem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9967959B2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ystem learning exclus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10709001B2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ystem scene list selec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9839099B2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11017963B2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releasable faceplate
US11044794B2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ystem zone identific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8305172B2 (en) Toggle switch with magnetic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US10203126B2 (en) Rotation detection for ring-shaped user input member of smart-home device
WO2020192200A1 (zh) 分体式家电设备的控制方法、智能操控设备和系统
US10524332B2 (en) Intelligent lighting control system air gap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N110770510A (zh) 空调系统以及移动终端
CN109426278B (zh) 物联网控制装置
US10389149B2 (en) Sensory and control platform for an automation system
CN215576154U (zh) 用于家用电器的控制旋钮组件和智能家居系统
JP2015201385A (ja) スイッ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