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071B1 -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071B1
KR101743071B1 KR1020150018356A KR20150018356A KR101743071B1 KR 101743071 B1 KR101743071 B1 KR 101743071B1 KR 1020150018356 A KR1020150018356 A KR 1020150018356A KR 20150018356 A KR20150018356 A KR 20150018356A KR 101743071 B1 KR101743071 B1 KR 101743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power transmission
wireless
receiv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9395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527,16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08472B2/en
Priority to PCT/KR2015/001218 priority patent/WO2016080594A1/ko
Publication of KR2016005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and dc network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7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power transfer
    • H04B5/24
    • H04B5/79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분야에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무선 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전송 코일이 구비된 전력 변환부,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에 각각 대응되는 전력 전송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전송 코일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POWER TRANSMITTER,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분야에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장치들에게 유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 대신에, 최근에는 접촉 없이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무선으로 에너지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에 의하여 직접 구동되거나,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기술을 다루는 무선 전력 협의체(Wireless Power Consortium)는 2010년 4월 12일에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호환성(interoperability)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설명서, 제1권, 저전력, 파트 1: 인터페이스 정의, 버전 1.00 RC1(System Description Wireless Power Transfer, Volume 1, Low Power, Part 1: Interface Definition, Version 1.00 Release Candidate 1)" 표준 문서를 공개하였다.
상기 버전 1.00은 5W 전력 송수신의 로우파워에 관한 것이며, 이는 주로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저전력 제품 외에 수십W 이상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가전기기에 무선전력 전송기술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또 다른 기술표준협의체인 파워매터스얼라이언스(Power Matters Alliance)는 2012년 3월 설립되어, 인터페이스 표준의 제품군을 발전시키고, 유도 공진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도 결합 기술을 기반으로 한 표준 문서를 공개하였다.
상기와 같은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은 우리 생활에서 이미 자주 접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은 전동 칫솔, 무선커피포트 등에서 상용화되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전력을 요하는 주방기기 분야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전력 전송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중전력을 전달 및 수신하는 장치들과 같이, 고전력 전류의 신호를 수시로 방사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를 확인하는 과정은, 전자파 규제를 만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측면에서도 구현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나아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송장치와, 이러한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주방기기, 즉,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간에, 통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통신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중전력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가전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들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대기전력을 최소화시키면서,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무선 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전송 코일이 구비된 전력 변환부,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에 각각 대응되는 전력 전송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전송 코일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망 내에서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Bluetooth®)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전력 전송 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 중 제1 전송 코일이 배치된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구비된 NFC 태그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전력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량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address)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 중인 상대방 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 중이 상대방 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 사이의 통신 및 상기 제1 송신 코일을 통한 무선 전력 전달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 사이의 통신 및 상기 제1 송신 코일을 통한 무선 전력 전달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과 다른 제2 전력 전송 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체크 결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2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전송 영역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2 송신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체크 결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모듈 이용하여, 상기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체크 결과, 상기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므로,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되기 전까지는, 고전력 전류를 방사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대기전력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달에 있어서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전자 기기 사이에 패킷을 송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에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에서 수행되는 변조 및 복조에서의 신호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달방법에 사용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동작 상태들을 도시한다.
도 14, 도 15a, 도 15b, 도 16 내지 도 18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간의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9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들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들이다.
도 22a, 도 22b 및 도 23은 도 20 및 도 21에서 살펴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26, 도 27a, 도 27b, 도 28a 및 도 28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장치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mission)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무선 충전회로 및 방법, 그 외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정의
다대일 통신 방법: 송신기 (Tx) 하나가 다수의 수신기 (Rx)와 통신하는 방법
단방향 통신: 단지 수신기가 송신기 쪽으로만 필요한 메세지를 전송하는 통신 방법
양방향 통신: 송신기는 수신기로, 수신기는 송신기로, 즉 양쪽에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통신 방법
여기서, 송신기 및 수신기는 각각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와 동일한 의미이며, 이하, 이들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개념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필요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전달 장치일 수 있다 .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필요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동작이 가능한 기기이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영상 또는 음성의 보조 출력장치 등의 입출력장치를 비롯하여, 휴대폰, 셀룰러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태블릿, 혹은 멀티미디어 기기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셀룰러폰, 태블릿)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상호간 접촉이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한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과 특정한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한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하나의 코일에서 변화하는 자기장 통해 다른 코일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서 전송한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서 공진이 발생하고,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관한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2a 및 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력 전달부(Power Transmission Unit)(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전력 변환부(Power Conversion Unit)(111) 및 전력 송신 제어부(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송신측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는 진동(oscillation)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각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의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2차 코일에 전류를 유도시키기 위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1차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공진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코일(또는 안테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술된 유도 결합 방식과 공진 결합 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인가되는 전압, 전류 등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전달부(11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공급 장치(100)를 제어하는 다른 제어부(미도시)와 통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활동 영역(active area)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신호가 통과하는 영역을 말한다. 다음으로, 감지 영역(semi-active area)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관심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placement)되거나 제거(removal)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센서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인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영향을 받아,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력의 특성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활동 영역 및 감지 영역은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 등의 무선 전력 전달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검출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시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의 결정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정류된 전력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는 그 밖의 다른 제어 동작으로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 전력 전달과 관련된 일반적인 제어 동작을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 관련된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할 정보를 수신하거나, 기기간의 인증 등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외의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Power Communications Modulation/Demodulation Unit)(1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113)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하여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In-band two-way communication을 지원 하는 경우]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환경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전송하는 데이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전력 제어 메시지를 보내도록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장치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200)는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력 수신부(291) 및 전력 수신 제어부(2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각 방식에 따라 필요한 서로 구성 요소들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진동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른 구성 요소로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변화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구성 요소로서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발생되는 코일 및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하나의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각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 회로(rectifier) 및 평활 회로(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수신된 전력 신호에 의하여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원 공급부(29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무선 전력 신호의 전달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특성을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외의 사용자 데이터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Power Communications Modulation/Demodulation Unit)(29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전술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를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각각의 변복조부(113 및 293)가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한 전력 제어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의하여 수신된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변복조부(293)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과 연결된 변복조부(293)의 리액턴스(reactance)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전력량이 그에 따라 변하도록 변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전력량의 변경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가져온다. 이 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변복조부(113)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감지하여 복조(demodul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packet)을 생성하여 상기 패킷이 포함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의 복조 과정 수행 결과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디코드함으로써, 상기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에,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In-band two-way communication을 지원 하는 경우]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환경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충전부(298) 및 배터리(299)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로부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299)를 충전한 후 상기 배터리(299)에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전부(298)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유도 결합 방식
도 3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의 전력 전달이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전력 전달부(110) 내의 1차 코일(primary coil)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화되면, 그 전류에 의해 1차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변화된 자기장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내의 2차 코일(secondary coil) 측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자기 유도에서의 1차 코일로 동작하는 전송 코일(Tx coil)(1111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자기 유도에서의 2차 코일로 동작하는 수신 코일(Rx coil)(2911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수신 코일이 근접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전송 코일(1111a)의 전류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수신 코일(2911a)에 유도된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은, 주파수 특성에 따른 영향은 적으나, 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평평한 표면(flat surface) 형태의 인터페이스 표면(interface surface)(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놓일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는 상기 전송 코일(1111a)가 장착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는 장착된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 사이의 수직 공간(vertical spacing)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일들 간의 거리는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작게 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놓일 위치를 지시하는 배열 지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열 지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된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수신 코일(2911a) 사이의 배열이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지시한다. 상기 배열 지시부는 단순한 표시(marks)이거나,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돌출 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열 지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석과 같은 자성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내부에 장착된 다른 극의 자성체와의 상호간 인력에 의하여 상기 코일들이 적합한 배열을 이루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 중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과 적합하게 배열된 일부의 코일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유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전달부(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포함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송 코일(Tx coil)(1111a) 및 인버터(1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a)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전류의 변화에 따라 무선 전력 신호에 해당하는 자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전송 코일(1111a)은 평판 나선형태(Planar Spiral type) 또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Cylindrical Solenoid typ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DC input)을 교류 파형(AC waveform)으로 변형시킨다. 상기 인버터(1112)에 의해 변형된 교류 전류는 상기 전송 코일(1111a) 및 커패시터(capacitor)(미도시)를 포함하는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구동시킴으로써 자기장이 상기 전송 코일(1111a)에서 형성된다.
그 밖에,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위치 결정부(Positioning Unit)(11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전력 전달은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활동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중심간 거리(distance)가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중심이 중첩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1111a)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위치 감지부(detection unit)(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의 배열 또는 거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배열 또는 거리에 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복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면,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 중에서 어느 것이 전력 전달을 위하여 사용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력 센싱부(11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센싱부(1115)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과 상기 검출된 전원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의 상기 확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스위칭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전송 코일(1111a)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수신 코일(Rx 코일)(2911a) 및 정류 회로(29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a)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에 변화에 의하여 상기 수신 코일(2911a)에서 전류가 유도된다.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구현 형태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평판 나선 형태 또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을 높이거나 공진 감지(resonant detection)를 위해 직/병렬 커패시터들(series and parallel capacitors)이 상기 수신 코일(2911a)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코일(2911a)은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전류에 대하여 전파 정류(full-wave rectification)를 수행한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예컨대, 4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브릿지(full bridge) 정류 회로, 또는 능동 소자(active components)를 이용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정류된 전류를 보다 평탄하고 안정적인 직류로 만들어 주는 평활 회로(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 회로(2913)의 출력 전원은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각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정류 회로(2913)은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각 구성 요소(예컨대, 충전부(298)와 같은 회로)에 필요한 전원에 맞추기 위하여 적정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과 연결되고, 직류 전류에 대해서는 저항(resistance)이 변하는 저항성 소자로 구성될 수 있고, 교류 전류에 대해서는 리액턴스(reactance)가 변하는 용량성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변복조부(293)의 저항 또는 리액턴스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력 센싱부(29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전력 센싱부(2914)는 상기 정류 회로(2913)에 의하여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적절한 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의 전력 변환부(111)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은 부분적으로 겹치는 1차 코일들의 배열(an array of partly overlapping primary coils)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중 일부에 의하여 활동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 중 일부의 코일들의 연결을 수립하고 해제하는 다중화기(Multiplexer)(1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놓인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감지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과 유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는 코일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다중화기(1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구비된 상기 위치 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 상의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을 각각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 상의 물체로부터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전력 제어 메시지 또는 상기 물체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중 어느 코일의 위치와 근접한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활동 영역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일부로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때 높은 효율의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활동 영역을 통과하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단일 전송 코일 또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의 조합을 주요 셀(primary cell)로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감지된 위치를 기초로 활동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활동 영역에 대응되는 주요 셀의 연결을 수립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와 상기 주요 셀에 속한 코일들이 유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다중화기(1113)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연결된 코일들과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형성하도록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매칭부(impedance matching unit)(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공진 결합 방식
도 6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먼저, 공진(resonance)(또는 공명)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진(resonance)이란, 진동계가 그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공진은 역학적 진동 및 전기적 진동 등 모든 진동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진동계에 진동시킬 수 있는 힘을 가했을 때 그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주는 힘의 진동수가 같으면 그 진동은 심해지고 진폭도 커진다.
같은 원리로, 일정 거리 내에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진동체들이 서로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은 상호 공진하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 간에는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전기 회로에서는 인덕터과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공진 회로를 만들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전달이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전력 전달부(110)에서 교류 전원에 의하여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서 공진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내에서는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하여 전력이 발생된다.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어,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수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5012763054-pat00001
여기서, 공진 주파수(f)는 회로 내의 인덕턴스(L) 및 커패시턴스(C)에 의하여 결정된다. 코일을 사용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는 상기 코일의 회전 수 등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커패시턴스는 상기 코일 사이의 간격, 면적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 외에 용량성 공진 회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자기장이 형성되는 전송 코일(Tx coil)(1111b) 및 상기 전송 코일(1111b)와 연결되고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공진 회로(1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1116)는 용량성 회로(capacitors)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인덕턴스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가 결정된다.
상기 공진 회로(1116)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상기 전송 코일(1111b)과 병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진 회로(2912) 및 수신 코일(Rx coil)(2911b)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공진 회로(2912)는 역시 용량성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공진 회로(2912)는 상기 수신 코일(2911b)의 인덕턴스와 상기 공진 회로(2912)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결정되는 공진 주파수가 상기 형성된 자기장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진 회로(2912)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이 일어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상기 수신 코일(2911b)과 직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서의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는 LTx, CTx를 가지고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LRX 및 CRX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한 결과가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서는 공진이 일어난다.
공진 결합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각각 동일 주파수로 공진하는 경우 전자파가 근거리 전자장을 통해 전달되게 되므로, 주파수가 다르면 상기 기기간 에너지 전달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은, 주파수 특성에 따른 영향이 큰 반면, 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배열 및 거리에 따른 영향은 유도 결합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공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공진 결합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전달부(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송 코일(Tx coil)(1111b), 인버터(1112) 및 공진 회로(1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b)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송 코일(1111a)과 별도로 장착될 수 있으나, 하나의 단일 코일을 이용하여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b)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회로(1116)는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인덕턴스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진동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 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을 교류 파형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변형된 교류 전류가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에 인가된다.
그 밖에,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 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주파수 조절부(111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구성하는 회로내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결정되므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가 변경되도록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는, 예를 들어, 상기 공진 회로(1116)에 포함된 커패시터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커패시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회전 수(number of turns) 또는 직경을 조절하여 인덕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커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를 결정하는 능동 소자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력 센싱부(11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의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다.
도 7b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포함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 코일(Rx coil)(2911b) 및 공진 회로(29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전력 수신부(291)는 공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된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정류 회로(29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센싱부(29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2914)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 및 각 전송 코일들과 연결된 공진 회로(1116-1 내지 1116-n)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 중 일부의 코일들의 연결을 수립하고 해제하는 다중화기(Multiplexer)(1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되거나, 일부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과 각각 연결된 상기 공진 회로(1116-1 내지 1116-n)들이 어떠한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를 갖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과 각각 연결된 상기 공진 회로(1116-1 내지 1116-n)들의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 band communication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달에 있어서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통하여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전자 기기 사이에 패킷을 송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포함된 전송 코일(1111)을 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10a)는 전자 기기(200)에 도달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에 포함된 전력 수신부(291)를 통하여 수신된다. 상기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포함된 수신 코일(2911)을 통하여 수신된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와 연결된 상기 변복조부(293)을 제어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중에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한다. 상기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가 변조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 내에서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므로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중에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10b)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113)는 상기 감지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고, 복조된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상기 패킷을 디코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와 상기 전자 기기(200)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변조 방법은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진폭 변조 방식은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형성한 무선 전력 신호(10a)의 진폭을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변복조부(293)가 변경시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변복조부(293)가 상기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10b)의 진폭을 검출하는 백스캐터 변조(backscatter modulation) 방식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 및 복조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의 변조 및 복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에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에서 수행되는 변조 및 복조에서의 신호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를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되지 않은 무선 전력 신호(10a)이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 내의 공진 형성 회로(2912)에 의하여 설정된 공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200)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사이에 공진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신 코일(2911b)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10a)가 수신된다.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을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10a)를 상기 변복조부(293) 내의 부하 임피던스(Impedance)를 변경시킴으로써 변조한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10a)를 변조하기 위한 수동 소자(2931) 및 능동 소자(29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이 포함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신호(10a)를 변조한다. 이때, 상기 패킷은 상기 변복조부(293) 내의 상기 능동 소자(2932)에 입력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10b)를 포락선 검출(Envelop Detection) 과정을 통하여 복조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10c)를 디지털 데이터(10d)로 디코드한다. 상기 복조 과정은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이 HI 상태(HI state) 및 LO 상태(state)로 두 가지 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상태들에 따라 구분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포락선 검출된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CLK)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비트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되는 인코딩된 비트는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변조 과정에서 사용된 비트 인코딩 방법에 따라 인코딩 된 것이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비트 인코딩 방법은 NRZ(non-return to zero)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비트 인코딩 방법이 2-위상(bi-phase) 인코딩일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검출되는 비트는 차동 2-위상(differential bi-phase; DBP) 인코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DBP 인코딩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데이터 비트 1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두 번의 상태 전이(transitions)를 갖도록 하고, 데이터 비트 0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한 번의 상태 전이를 갖도록 한다. 즉, 데이터 비트 1은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 및 하강 에지(falling edge)에서 HI 상태 및 LO 상태간의 전이가 발생하도록 인코딩된 것이고, 데이터 비트 0은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HI 상태 및 LO 상태간의 전이가 발생하도록 인코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비트 인코딩 방법에 따라 검출된 비트열로부터 패킷을 구성하는 바이트 포맷(byte format)을 이용하여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검출된 비트열은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11 비트 비동기 직렬 포맷(11-bit asynchronous serial format)을 이용하여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즉, 바이트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 비트(start bit)와 종료를 알리는 종료 비트(stop)를 포함하고, 시작 비트와 종료 비트 사이에 데이터 비트들(b0 내지 b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한 패러티 비트(parity bit)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구성한다.
[in-band two-way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 경우]
이상, 도 9에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형성한 반송파 신호(carrier signal)(10a)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패킷을 송신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되었으나,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도 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보낼 데이터가 상기 반송파 신호(10a)에 실리도록 변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상기 변조된 상기 반송파 신호(10a)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변복조부(293)를 제어하여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패킷 포맷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한 통신에서 사용되는 패킷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달방법에 사용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도시한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명령 패킷(command_packet)(510)의 형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명령 패킷(510)은 헤더(511) 및 메시지(5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511)는 상기 메시지(512)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종류를 지시하는 필드가 나타내는 값을 기초로 상기 메시지의 크기 및 그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더(511)는 상기 패킷의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소 필드는 상기 전자 기기(200)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속한 그룹의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패킷(510)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패킷(510)의 상기 주소 필드가 자신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도록 상기 패킷(510)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12)는 상기 패킷(510)의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512)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상대방에 대한 보고 사항(report), 요청 사항(request) 또는 응답 사항(response)일 수 있다.
한편, 어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명령 패킷(510)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명령 패킷(510)에 포함된 상기 헤더(511)는 일정한 크기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헤더(511)는 두 바이트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헤더(511)는 수신 주소 필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신 주소 필드는 6 비트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헤더(511)는 OCF(Operation command field) 또는 OGF(Operation group field)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GF는 상기 전자 기기(200)를 위한 커맨드의 그룹별로 부여되는 값이며, OCF는 상기 전자 기기(200)가 포함된 각 그룹 내에 존재하는 커맨드 별로 부여되는 값이다.
상기 메시지(512)는 파라미터의 길이(length) 필드(5121)와 파라미터의 값(value) 필드(5122)로 구분하여 표현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킷(510)의 발신자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길이-값 쌍(5121a-5122a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는 상기 명령 패킷(510)에 전송을 위한 프리앰블(520) 및 체크섬(530)을 부가한 패킷의 형태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520)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수신되는 데이터와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명령 패킷(510)의 시작 비트를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프리앰블(520)은 동일한 비트가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리앰블(520)은 상기 DBP 인코딩에 따른 데이터 비트 1이 11번 내지 25번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섬(530)은 전력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는 도중에 상기 명령 패킷(510)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동작 상태( Phases )
이하에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동작 상태들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동작 상태들을 도시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8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간의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들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동작 상태는 선택 상태(Selection Phase) (610), 검출 상태(Ping Phase)(620), 식별 및 설정 상태(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630), 그리고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64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물체(object)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감지된 물체로 검출 신호를 보내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을 보낸다.
또한,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이전 상태들을 통하여 선택된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식별하고 전력 전달을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여 전송하는 전력을 조절하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을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동작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선택 상태 ( Selection Phase )
상기 선택 상태(610)에 있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선택하기 위하여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감지 영역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해당 영역 내의 물체가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력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상기 검출 상태(620)와 비교하여,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선택을 위한 검출 과정은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방식 대신에,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변환부에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력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 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의 검출 과정은 후술될 검출 상태(620)에서 디지털 형식의 패킷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를 검출하는 점에서 아날로그 검출 과정(analog ping)으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 내에 물체가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 내에 있는 물체들 중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 그 밖의 물체들(예를 들어, 열쇠, 동전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거리가 다르므로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물체가 검출되는 감지 영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먼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물체들의 배치 및 제거를 감지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표면(미도시)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놓인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상기 검출 상태(620)로 진입하고,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 각각의 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물체로부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그 후 상기 식별 상태(630)로 진입하여 상기 물체로부터 식별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감지된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될 코일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 내의 물체로 인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는 것을 감지함으로 써 상기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검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각 전력 전송 방식에 따른 물체 검출 과정을 수행하고, 이후에 다른 상태들(620, 630, 640)로 진행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한 결합 방식 중에서 상기 물체를 검출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무선 전력 신호와 이후 상태들(620, 630, 640)에서의 디지털 검출, 식별, 설정 및 전력 전송을 위하여 형성하는 무선 전력 신호는 그 주파수, 세기 등의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선택 상태(610)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대기 상태(idle phase)에 해당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대기 중의 소비 전력을 줄이거나, 또는 효율적인 물체 검출을 위하여 특화된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2) 검출 상태 ( Ping Phase )
상기 검출 상태(620)에 있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해 상기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무선 전력 신호의 특성 등을 이용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검출 과정과 비교하여,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의 검출 과정은 디지털 검출 과정(digital ping)이라 불릴 수 있다.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검출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하여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전송의 대상이 되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인지 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상태(620)에 있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디지털 검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검출 신호는 특정 동작 포인트(operating point)의 전력 신호를 일정한 시간 동안 인가함으로써 형성되는 무선 전력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동작 포인트는 전송 코일(Tx coil)에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 듀티 사이클(duty cycle) 및 진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특정 동작 포인트의 전력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를 일정한 시간 동안 생성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것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수신한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strength)를 나타내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포함된 신호 강도 패킷(Signal Strength Packet)( 5100)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5100)은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12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수신한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5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130) 내의 전력 신호의 강도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전력 전송을 위한 유도 결합 또는 공진 결합의 정도(degree of coupling)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발견한 후에, 상기 디지털 검출 과정을 연장하여 식별 및 검출 상태(630)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발견한 후에 상기 특정 동작 포인트의 전력 신호를 유지하여 상기 식별 및 검출 상태(630)에서 필요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갈 수 있다.
3) 식별 및 설정 상태 ( 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전송하는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전력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예컨대,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포함된 식별 패킷(Identification Packet)(5200) 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5200)은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22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5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23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규약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2531 및 5232),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제조 업체를 식별하는 정보(5233), 확장 장치 식별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5234) 및 기본 장치 식별자(52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장치 식별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5234)에 확장 장치 식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장 장치 식별자를 포함한 확장 식별 패킷(Extended Identification Packet)(5300) 이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패킷(5300)은 확장 장치 식별자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320) 및 확장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5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 장치 식별자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 업체의 식별 정보(5233), 상기 기본 장치 식별자(5235) 및 상기 확장 장치 식별자(5330)에 기초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패킷(Configuration Packet)(5400) 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설정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420) 및 상기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54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430)는 전력 클래스(5431),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5432), 무선 전력 전송장치 측의 주요 셀의 전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지시자(5433), 선택적인 설정 패킷들의 수(54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5433)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규약에 명시된 대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 측의 주요 셀의 전류가 결정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 전력 충전에 사용되는 전력 전달 규약(power transfer contract)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은 상기 전력 전달 상태(640)에서의 전력 전달 특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들의 한정 사항들(limit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달 상태(640)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를 종료하고,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찾기 위하여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를 종료할 수 있다.
4) 전력 전송 상태 ( Power Transfer Phase )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에서의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을 전송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력을 전송하는 도중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력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코일의 전력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제어 메시지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오류 패킷(Control Error Packet)( 55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킷(5500)은 제어 오류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520)와 제어 오류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55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제어 오류 값에 따라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는 상기 제어 오류 값이 0인 경우에 유지되고, 음수(negative value)인 경우에 감소되고, 양수(positive value)인 경우에 증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에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전력 전달 규약(power transfer contract) 내의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의 전력 전송이 상기 전력 전달 규약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한정 사항들을 위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송을 취소하고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갈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달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무선 전력 전송을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송의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종료하고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이미 생성된 전력 전달 규약을 갱신하기 위하여 재협상(renegotiation) 또는 재설정(reconfigure)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현재 전송되는 전력량보다 많거나 적은 양의 전력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의 재협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의 재협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종료하고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예컨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력 전송 중단 패킷(End Power Transfer Packet)(5600)일 수 있다. 상기 패킷(5600)은 전력 전송 중단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620) 및 중단의 이유를 나타내는 전력 전송 중단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56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송 중단 코드는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내부 오류(Internal Fault), 과열(Over Temperature),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배터리 오류(Battery Failure), 재설정(Reconfigure), 무응답(No Response), 알려지지 않은 오류(Unknown)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다수의 전자 기기의 통신 방법
이하,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들이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19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들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200')들을 위하여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9에는 두 개의 전자 기기들(200, 200')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방법은 도시된 전자 기기들의 숫자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활동 영역 및 감지 영역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공진 결합 방식의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유도 결합 방식의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각 무선 전력 전달 방식을 지원 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각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하여 전력 전달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에서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동일한 무선 전력 전달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 기기들(200, 200')을 위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들(200, 200')이 서로간 충돌 없이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 의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10a)는 제 1 전자 기기(200') 및 제 2 전자 기기(200)에 도달한다. 상기 제 1 전자 기기(200') 및 제 2 전자 기기(200)는 상기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기기(200') 및 제 2 전자 기기(200)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장치로 동작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상기 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291', 291);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에 대하여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하는 변복조부(293', 293); 및 전력 수신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92', 29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WPC 규격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중전력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에서, 중전력용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중전력의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전달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를 의미한다. 나아가, 중전력용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중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중전력은 수십 W 이상 급의 전력을 의미하며, 이러한 중전력을 이용하는 가전기기(appliance)는, 예를 들어, 착즙기(citrus press), 핸드블렌더(handblender), 분쇄기(blender), 주스기(jeicer), 스마트팬(smart pan), 전기주전자(kettle), 밥솥(rice cooker)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전기기들은, Guaranteed Power에 따라, 아래의 표 1과 같이 크게 Class A, Class B, Class C로 분류될 수 있다.
Appliance Class Diameter Guaranteed Power
A 18-24 cm 2.4kW
B 13-17 cm 800W
C 8-12 cm 200W
상기 표 1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서, 중전력용 SPEC 논의를 위해 설립된, KWG(KitchenWorking Group)에서 제안하고 있는 Class 별 SPEC이다. 여기에서, Diameter는, 중전력용 가전기기의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서 수신용 코일의 지름 또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서 송신용 코일의 지름을 의미한다.
중전력용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는, 높은 효율을 위하여 높은 인덕턴스(Inductance)를 갖는 송수신 코일이 사용되고, 이러한 송수신용 코일에는, 수십 V ~ 수백 V의 높은 전압이 유도된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전력 전송 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지 체크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검출 과정(analog ping) 및 디지털 검출 과정(digital ping)을 위한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송수신한다. 이때, 무선 전력 전송장치가, 저전력 제품들과 같이, 송신 코일에서, 아날로그 검출 과정(analog ping) 및 디지털 검출 과정(digital ping)을 위한 신호를 방사하는 경우, 전자파 규제를 만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력 효율이 매우 좋지 않으며, 시스템 측면에도 구현이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력 전송 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지 체크하기 위하여, 송신 코일에서 기 설정된 간격 또는 주기적, 또는 수시로 무선 신호를 방사하지 않더라도, 전력 전송 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지 체크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검출 과정을 수행하는 상태를, '대기모드'라고 명명하고, 아날로그 검출 과정의 수행을 완료한 후, 디지털 검출 과정 및 무선 전력을 전달하는 과정을 '웨이크업 모드'라고 명명한다.
즉, 본원발명에서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무선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 및 무선 전력을 전달하는 과정의 전단계에서는, 대기모드로 동작한다. 이러한, 대기모드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전송코일의 자속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 경우, 전송코일은 구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선 전력 전달과, 통신 신호 전달을 별도의 구성요소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수신장치간에 통신으로 인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들이고, 도 22a, 도 22b 및 도 23은 도 20 및 도 21에서 살펴본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송수신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 간의 통신방식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송수신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먼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전력 전달부(Power Transmission Unit)(110), 통신부(1200), 전원 공급부(190) 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전력 변환부(Power Conversion Unit)(111) 및 전력 송신 제어부(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 이하, '제어부'로 명명함, 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송신측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로 변환하여 도 21에 개시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는 진동(oscillation)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각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의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2차 코일에 전류를 유도시키기 위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1차 코일(이하, '송신 코일'이라 명명함, 1111a, 1111b, ... 1111n)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술된 유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인가되는 전압, 전류 등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전달부(11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 및 통신부(1200) 및 전원 공급부(190) 등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활동 영역(active area)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신호가 통과하는 영역을 말한다. 다음으로, 감지 영역(semi-active area)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관심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placement)되거나 제거(removal)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활동 영역 및 감지 영역을, '전력 전송 영역'으로 통칭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전송장치는, 통신부(1200)와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앞서 살펴본 아날로그 검출 과정 및 디지털 검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아날로그 검출 과정은, 도 22a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존재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선택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검출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해당 영역 내의 물체가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력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은, 무선 전력을 전달하는 코일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12)는 통신부(1200)에 구비된 제1 통신 모듈(1200a)을 이용하여, 도 2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 200b)가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위치하는지 검출할 수 있다. 즉, 통신부(200)에 구비된 제1 통신 모듈(1200a)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수신장치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아날로그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제1 통신 모듈(1200a)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통신 모듈(1200a)인, 근거리 통신 모듈은 특히, RFID의 일종인 13.56Mhz의 주파수 영역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신호를 통해 객체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 근거리 통신, 근거리 자기장 통신 또는 인접 자기장 통신이라고도 표현하며, 'Near Filed Communication(NFC)를 이용한다'라고도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은 수 센티미터(cm) ~ 수십 센티미터(cm) 이내로 전력 수신장치를 가져다 대는 것만으로 데이터의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의 하단에는,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력 전송용 코일(또는 전송 코일(1111))이 구비되며, 제1 통신 모듈(1200a)은, 이러한, 전력 전송용 코일(1111)과 함께,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위치하는, 전력 수신장치(200a, 200b)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수신장치(200a, 200b) 역시, NFC 통신 모듈(2200a, 도 23 참조)을 구비해야함은 몰론이다. 전력 수신장치에 구비되는 NFC 통신 모듈은, 마이크로칩을 내장한 태그, 스티커 또는 카드일 수 있다.
즉, 제1 통신 모듈(1200a)은, 전력 수신장치(200a, 200b)가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태깅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마이크로칩을 내장한 태그, 스티커 또는 카드를 감지하고, 이러한, 마이크로칩을 내장한 태그, 스티커 또는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한편,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구비된 제1 통신 모듈(1200a)에 해당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은, 해당 전력 전송 영역에 근접 또는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범위, 또는 거리가 해당 전력 전송 영역의 범위에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서는, 아날로그 검출 과정을 수행하는 대기모드에서, 전송 코일을 이용하여, 신호를 방사하지 않더라도,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기 모드에서의 대기 전력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통신 모듈(1200a)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NFC 태그, 스티커 또는 카드 등에 포함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제품 정보, 식별 정보, 통신 모듈 정보, 통신 정보, 블루투스 어드레스(Bluetooth Adress: BLE Adress) 등 다양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2)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200a)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검출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시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의 결정은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정류된 전력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는 그 밖의 다른 제어 동작으로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 전력 전달과 관련된 일반적인 제어 동작을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 관련된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할 정보를 수신하거나, 기기간의 인증 등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전력 제어 메시지는, 통신부(1200)에 구비된, 제2 통신 모듈(1200b)을 통해 송수신 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200b)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원발명과 같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이용할 경우, Inband만으로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경우 문제가 되는 데이터 전송량 제한(80bit)을 해결할 수 있어, 수신부의 파워, 종류, 상태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블루투스(또는 BLE)의 통신 스펙에 의하면, Max. 1Mbit/s의 data rate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6msec의 Duration 동안 750byte=6000bit(유효 데이터 512byte=4096bit)의 방대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BLE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inband에서 제한된 data량 극복을 위해 수개의 data packet에 정보를 분리해서 보낸 뒤, 이 data를 de-segment 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 없어지며, 시스템 복잡도가 크게 향상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WPC에서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inband(or time multiplexing) 통신 프로토콜 이외 Out-of-band 방식인 BLE(Bluetooth 4.0이상 Bluetooth Low Energy)와 NFC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2)는,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존재하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것에 대응하여,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에서 전송 코일은,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달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의 아날로그 검출과정 및 디지털 검출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전력 또는 고전력 전류를 전송 코일에 방사시키지 않아도 된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은 각각 전력 전송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은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은, 각각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전력 전송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전송 코일은 다른 전력 전송 영역에 배치된 코일들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제1 및 제2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각각 구비된 전송 코일 중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어느 하나의 전송 코일만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각각에는,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 통신 모듈(1200a, 1200b)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각 전송 코일들에는, 해당 전송 코일을 통한 전력 전달을 위하여,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통신하는 제1 및 제2 통신 모듈(1200a, 1200b)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 중 일부의 코일들의 연결을 수립하고 해제하는 다중화기(Multiplexer)(1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놓인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도 22b의 200a, 200b 참조))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감지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과 유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는 코일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다중화기(1113)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는, 앞서 살펴본, 제1 통신 모듈(1200a)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즉, 각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의 하단에는, NFC 통신 모듈이 각각 구비되어, 해당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연결된 코일들과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형성하도록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매칭부(impedance matching unit)(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Out-of-band 방식인 BLE(Bluetooth 4.0이상 Bluetooth Low Energy)와 NFC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통신 모듈(1600a), 즉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BLE 통신하고 있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서, 상기 BLE 통신 모듈이 배치된 전력 전송 영역에 계속하여 위치하고 있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즉, BLE와 같이, out of band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라도, 이러한 제어부(112)는 위치 변경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계속하여 전송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이 전달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1 통신 모듈, 즉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out of band 통신을 하는 경우에도, inband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코일(1111')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out of band 통신과 inband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거나,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inband 및 out of band 통신을 위해서, 통신 대상이 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 또한, inband 및 out of band 통신을 위한 통신 코일(2911') 또는 통신 모듈(2200a, 2200b)를 구비해야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200)는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력 수신부(291) 및 전력 수신 제어부(292), 통신부(2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각 방식에 따라 필요한 서로 구성 요소들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진동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른 구성 요소로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변화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 회로(rectifier) 및 평활 회로(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수신된 전력 신호에 의하여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원 공급부(29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무선 전력 신호의 전달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통신부(2200)에 의하여 전달될 수 있다.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제1 통신 모듈(2200a)은 NFC 통신 모듈, 또는, 마이크로칩을 내장한 태그, 스티커 또는 카드 등일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2200a)과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의 통신이 완료되면, 제2 통신 모듈, 즉, 블루투스 통신 모듈(2200b)를 통해, 전력 제어 메시지가,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 전송된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out of band 통신을 하는 경우에도, inband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코일(2911')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out of band 통신과 inband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거나,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inband 및 out of band 통신을 위해서, 통신 대상이 되는 무선 전송 장치 또한, inband 및 out of band 통신을 위한 통신 코일(1111') 또는 통신 모듈(1200a, 1200b)를 구비해야됨은 물론이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Power Communications Modulation/Demodulation Unit)(29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전술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를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과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각각의 변복조부(113 및 293)가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한 전력 제어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의하여 수신된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변복조부(293)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과 연결된 변복조부(293)의 리액턴스(reactance)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전력량이 그에 따라 변하도록 변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전력량의 변경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가져온다. 이 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변복조부(113)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감지하여 복조(demodul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packet)을 생성하여 상기 패킷이 포함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의 복조 과정 수행 결과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디코드함으로써, 상기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충전부(298) 및 배터리(299)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로부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299)를 충전한 후 상기 배터리(299)에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전부(298)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살펴본,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통신부의 구성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의 전력전달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서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고, 도 26, 도 27a, 도 27b, 도 28a 및 도 28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장치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먼저, 도 2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통신부(1200)에 구비된 제1 통신 모듈(1200a)을 이용하여,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 200b)가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위치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2410) 즉, 통신부(200)에 구비된 제1 통신 모듈(1200a)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한 수신장치가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아날로그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제1 통신 모듈(1200a)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통신 모듈(1200a)인, 근거리 통신 모듈은 특히, RFID의 일종인 13.56Mhz의 주파수 영역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신호를 통해 객체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 근거리 통신, 근거리 자기장 통신 또는 인접 자기장 통신이라고도 표현하며, 'Near Filed Communication(NFC)를 이용한다'라고도 표현될 수 있다.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의 하단에는, 전력 전송용 코일(또는 전송 코일(1111)), 제1 통신 모듈(1200a) 및 제2 통신 모듈(1200b)이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제어부(112)는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위치하는, 전력 수신장치(200a, 200b)를, 해당 영역에 위치한 제1 통신 모듈(1200a), 즉, NFC 통신 모듈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수신장치(200a, 200b) 역시, NFC 통신 모듈(2200a, 도 23 참조)을 구비해야함은 몰론이다. 전력 수신장치에 구비되는 NFC 통신 모듈은, 마이크로칩을 내장한 태그, 스티커 또는 카드일 수 있다.
즉, 제1 통신 모듈(1200a)은, 전력 수신장치(200a, 200b)가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태깅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마이크로칩을 내장한 태그, 스티커 또는 카드를 감지하고, 이러한, 마이크로칩을 내장한 태그, 스티커 또는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통신 모듈(1200a)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NFC 태그, 스티커 또는 카드 등에 포함된 정보를 읽어올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Bluetooth Adress: BLE Adres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2410단계에서, 제1 통신 모듈(1200a)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와의 통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제2 통신 모듈(1200b)를 통해, 상기 감지된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전력 제어 메시지(또는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 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2420).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통신 모듈(1200a)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가 감지되면, 제어부(112)는 제2 통신 모듈(1200b)과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제2 통신 모듈(2200a) 간의 페어링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모듈(1200b)로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이용할 경우, Inband만으로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경우 문제가 되는 데이터 전송량 제한(80bit)을 해결할 수 있어, 수신부의 파워, 종류, 상태를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블루투스(또는 BLE)의 통신 스펙에 의하면, Max. 1Mbit/s의 data rate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6msec의 Duration 동안 750byte=6000bit(유효 데이터 512byte=4096bit)의 방대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BLE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inband에서 제한된 data량 극복을 위해 수개의 data packet에 정보를 분리해서 보낸 뒤, 이 data를 de-segment 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 없어지며, 시스템 복잡도가 크게 향상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WPC에서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inband(or time multiplexing) 통신 프로토콜 이외 Out-of-band 방식인 BLE(Bluetooth 4.0이상 Bluetooth Low Energy)와 NFC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 중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전송 코일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S2430).
한편, 제어부(112)는,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전력 전송 영역(1600a, 1600b)에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존재하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것에 대응하여,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에서 전송 코일은,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달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의 아날로그 검출과정 및 디지털 검출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전력 또는 고전력 전류를 전송 코일에 방사시키지 않아도 된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장치 간에 NFC 통신 및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전력 전송 영역 위에 NFC 태그를 가진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놓이게 되면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정보를 2msec이내에서 송 수신 완료하고, NFC 통신이 성공적으로 확인되면, 블루투스 통신을 시작한다. NFC 통신을 수행하는 시기에,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전력 변환부 및 제2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대기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NFC 통신이 성공적으로 확인되면,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만약 NFC 통신이 실패하게 되면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서는 계속해서 NFC 리딩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이때, 시스템 버전 및 설정에 따라 NFC 통신이 실패하더라도 inband 통신을 바로 실행할 수도 있다.
한편, NFC 통신이 성공적으로 확인되면,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블루투스(BLE) 통신을 시작하는데, 이러한, BLE 통신의 경우, inband 통신과 시작시기/주기는 동일하며, 단 보다 많은 정보 처리를 위해 최소 4msec 이상, 예를 들어, 6msec의 간격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통신 모듈(1600a), 즉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BLE 통신하고 있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서, 상기 BLE 통신 모듈이 배치된 전력 전송 영역에 계속하여 위치하고 있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즉, BLE와 같이, out of band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라도, 이러한 제어부(112)는 위치 변경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계속하여 전송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이 전달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제1 통신 모듈, 즉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2)는,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위치한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 도 22b 참조)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모듈(1200a, 또는 NFC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주기(또는 수시로, 또는 실시간)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지 체크한다. 이때, 상기 제1 통신 모듈(1200a)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address)를 수신한다. 제어부(112)는,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현재 제2 통신 모듈(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1200b)과 통신 중인 상대방 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위치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2)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200a)을 통해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현재 제2 통신 모듈(1200b)과 통신 중이 상대방 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서, 무선 전력을 공급받고 있었던 장치를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12)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200a)을 통해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서, 무선 전력을 공급받고 있었던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제어부(112)는, 체크 결과,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1200b)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 사이의 통신 및 송신 코일을 통한 무선 전력 전달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에 의하면,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이 계속하여 유지되는 경우더라도, NFC 통신을 통해 해당 무선 전력 전송 영역에서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블루통신 및 무선 전력 전달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도 2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112)는, 체크 결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2)는,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 사이의 통신 및 상기 제1 송신 코일을 통한 무선 전력 전달을 종료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12)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2)는, 상기 제1 통신 모듈(1200a)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과 함께, 도 2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과 다른 제2 전력 전송 영역(1600b)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위치하는지 또한 체크할 수 있다. 이는,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도 27a와 같이,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에 위치하다가, 도 28a와 같이, 제2 전력 전송 영역(1600b)에 위치한 경우를 의미한다. 한편, 제1 전력 전송 영역(1600a)과 다른 제2 전력 전송 영역(1600b)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위치하는지는, 제2 전력 전송 영역(1600b)에 배치된 제1 통신 모듈 또는 NFC 통신 모듈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2)는, 체크 결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상기 제2 전력 전송 영역(1600b)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전송 영역(1600b)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2 송신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로 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2)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a)가 놓인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계속하여, 무선 전력 전송 장치(200a)로 무선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12)는, 체크 결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가 상기 제2 전력 전송 영역(1600b)에 위치하는 경우, 도 2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200a)의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출력부(150)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150)에는, 상태정보(ex: 동작 중(ON), 동작 종료(off)), 현재 전송 파워 정보(ex: 1.87kW), 전원 ON 이후 소비 전력량 정보(ex: 2.5kWh (약 1,600원)), 전력 수신 제품 정보(ex: 전기주전자), 수신 제품 상태 정보(ex: 정상 동작 중), 수신 제품 통신 정보(ex: NFC + BLE), 전력 수신 파워 정보(ex: 1.57kW) 시간 정보(ex:약 30초 후 동작 종료 예정)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므로,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되기 전까지는, 고전력 전류를 방사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장치의 대기전력은 최소화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전송 코일이 구비된 전력 변환부;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에 각각 대응되는 전력 전송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하는 상기 무선 전력의 주파수 대역 외의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전력량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하는 상기 무선 전력의 주파수 대역 외의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된 전송 코일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상기 전력량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 전력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량 정보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수신 코일의 지름 및 보장 전력(guaranteed power)전력에 기반한 전력 클래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망 내에서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Bluetooth®)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상기 전력 전송 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해당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 중 제1 전송 코일이 배치된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에 구비된 NFC 태그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인식이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인식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전력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량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address)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 중인 상대방 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 중이 상대방 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한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 사이의 통신 및 상기 제1 전송 코일을 통한 무선 전력 전달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 사이의 통신 및 상기 제1 전송 코일을 통한 무선 전력 전달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과 다른 제2 전력 전송 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체크 결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2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전력 전송 영역에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2 전송 코일을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체크 결과, 상기 제1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무선 전력 장치가 상기 제1 전력 전송 영역을 벗어났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모듈 이용하여, 상기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지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체크 결과, 상기 전력 전송 영역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를, 상기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는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장치.
KR1020150018356A 2014-11-18 2015-02-06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43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27,162 US10608472B2 (en) 2014-11-18 2015-02-06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PCT/KR2015/001218 WO2016080594A1 (ko) 2014-11-18 2015-02-06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81292P 2014-11-18 2014-11-18
US62/081,292 2014-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395A KR20160059395A (ko) 2016-05-26
KR101743071B1 true KR101743071B1 (ko) 2017-06-02

Family

ID=5610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356A KR101743071B1 (ko) 2014-11-18 2015-02-06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08472B2 (ko)
EP (1) EP3223386B1 (ko)
KR (1) KR101743071B1 (ko)
WO (1) WO201608059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3326B2 (en) 2017-07-27 2020-06-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trolling effective load resistance, and effective load resistance control method
WO2020166784A1 (ko) * 2019-02-14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력 할당 및 아웃밴드 활성화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0185051A1 (ko) * 2019-03-14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및 중전력 호환 무선충전 수신 장치 및 방법
WO2020222415A1 (ko)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력 클래스를 협상하는 무선충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953B1 (ko) * 2015-09-09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1001B1 (ko) * 2015-09-18 202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WO2017050290A1 (en) * 2015-09-25 2017-03-30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ireless charging receiver
US11201492B2 (en) * 2015-12-24 2021-12-14 Intel Corporation Detecting objects placed on wireless charger
US11293644B2 (en) * 2016-04-06 202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ing cooker system, and cooking device
WO2018005855A1 (en) * 2016-06-29 2018-01-04 University Of Massachusett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wer-proportional communication
WO2018070003A1 (ja) * 2016-10-13 2018-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US10418856B2 (en) * 2016-11-16 2019-09-17 X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ing
CN107248769B (zh) * 2017-07-31 2019-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电路、无线充电方法、无线充电系统及移动终端
KR102018662B1 (ko) 2017-10-24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0380517B (zh) * 2018-04-11 2022-10-2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无线电能传输系统及传输方法
WO2019203990A1 (en) 2018-04-19 2019-10-24 General Electric Company Receiver unit of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KR102615237B1 (ko) * 2018-06-27 202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코일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8076B1 (ko) * 2018-07-16 2023-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KR20200014065A (ko) * 2018-07-31 202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812700B (zh) * 2018-09-07 2023-08-21 美商奇異電器公司 無線電力傳送系統之接收器單元、方法及整合式電子組件
JP7233898B2 (ja) 2018-11-28 2023-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00572B2 (ja) * 2018-12-14 2022-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00976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WO2020171418A1 (ko) * 2019-02-20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CN113748606B (zh) * 2019-03-20 2023-08-08 鲍尔马特技术有限公司 与无线电力发射器的通信
KR20210054357A (ko) * 2019-11-05 2021-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Wpt 쿡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892800B1 (en) 2020-01-06 2021-01-12 Nucur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including pulse width encoded data communications
US11303164B2 (en) 2020-07-24 2022-04-12 Nucurrent, Inc. Low cost communications demodula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303165B2 (en) 2020-07-24 2022-04-12 Nucurrent, Inc. Low cost communications demodulation for wireless power receiver system
EP4186166A1 (en) * 2020-07-24 2023-05-31 NuCurrent, Inc. Low cost communications demodulation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277035B1 (en) 2021-02-01 2022-03-15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tters
US11431204B2 (en) 2021-02-01 2022-08-30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US11569694B2 (en) 2021-02-01 2023-01-31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receivers
US11431205B2 (en) 2021-02-01 2022-08-30 Nucur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er beaconing in wireless power systems
US11277034B1 (en) 2021-02-01 2022-03-15 Nucur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er beaconing in wireless power systems
US11811244B2 (en) 2021-02-01 2023-11-07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tters
US11277031B1 (en) 2021-02-01 2022-03-15 Nucurrent, Inc.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mmunications demodu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tters
EP4327627A1 (de) * 2021-04-19 2024-02-28 BSH Hausgeräte GmbH Induktionsenergieübertragungssystem
EP4335248A1 (de) * 2021-05-03 2024-03-13 BSH Hausgeräte GmbH Induktions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2179A (en) * 1971-12-29 1973-06-26 Gen Electric Induction cooking appliance including wireless transmission of temperature data
FR2646049B1 (fr) * 1989-04-18 1991-05-24 Cableco Sa Plaque electrique chauffante amovible
US5231265A (en) * 1990-09-28 1993-07-27 Balance Dynam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fer of electrical power to a balancer
US5648008A (en) * 1994-11-23 1997-07-15 Maytag Corporation Inductive cooking range and cooktop
EP2101546B1 (en) * 1999-12-02 2016-07-13 Panasonic Corporation Induction-heating cooking device
US7355150B2 (en) * 2006-03-23 2008-04-08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Food preparation system with inductive power
CA2729136A1 (en) * 2008-06-24 2009-12-30 Aktiebolaget Electrolux Cooking appliance
US20100000980A1 (en) * 2008-07-02 2010-01-07 Bogdan Popescu Induction Heating System with Versatile Inductive Cartridge
US8497658B2 (en) * 2009-01-22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wer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of devices
JP2012516665A (ja) * 2009-02-11 2012-07-19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デバイスのための無線による電力およびデータの伝達
DE102009029250B4 (de) * 2009-09-08 2023-11-30 BSH Hausgeräte GmbH System mit Basisstationen und mindestens einem Haushalts-Aufsatz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Systems
US20110056215A1 (en) * 2009-09-10 2011-03-1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heating or cooling
US9391463B2 (en) * 2011-12-22 2016-07-12 Hanrim Postech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CN104025219A (zh) * 2012-01-08 2014-09-03 捷通国际有限公司 感应烹饪系统
KR20130099699A (ko)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팬택 무접점 충전 장치, 피충전 단말기 및 무접점 충전 방법
US9431839B2 (en) 2012-10-26 2016-08-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ptimized device-to-device charging
TWM449362U (zh) * 2012-10-31 2013-03-21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射頻天線的無線充電薄膜電池
US9647481B2 (en) * 2012-12-04 2017-05-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docking a dockee with a docking host utilizing a wireless charger in a wireless docking environment
KR20140124709A (ko) * 2013-04-17 2014-10-2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WO2015007624A1 (en) * 2013-07-17 2015-01-22 Koninklijke Philips N.V. Wireless inductive power transfer with temperature control of the receiver
WO2015062947A1 (en) * 2013-10-30 2015-05-07 Koninklijke Philips N.V. Thermal barri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11293644B2 (en) * 2016-04-06 202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ing cooker system, and cook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3326B2 (en) 2017-07-27 2020-06-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ntrolling effective load resistance, and effective load resistance control method
WO2020166784A1 (ko) * 2019-02-14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력 할당 및 아웃밴드 활성화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0185051A1 (ko) * 2019-03-14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및 중전력 호환 무선충전 수신 장치 및 방법
US11817717B2 (en) 2019-03-14 2023-11-14 Lg Electronics Inc. Low power- and medium power-compatibl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and method
WO2020222415A1 (ko) * 2019-04-30 202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력 클래스를 협상하는 무선충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0594A1 (ko) 2016-05-26
US10608472B2 (en) 2020-03-31
KR20160059395A (ko) 2016-05-26
US20170353054A1 (en) 2017-12-07
EP3223386B1 (en) 2022-11-16
EP3223386A4 (en) 2018-08-15
EP3223386A1 (en)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071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912253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US10630345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788603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08312B1 (ko) 무선 전력 수신 및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60057278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667725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4319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 home appliances
KR102099819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212032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50870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EP3158622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2852025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having same
KR101649655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8158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70031094A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13956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40146530A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677655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312096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31447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4656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60086685A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60096397A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