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554B1 -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554B1
KR101665554B1 KR1020140126900A KR20140126900A KR101665554B1 KR 101665554 B1 KR101665554 B1 KR 101665554B1 KR 1020140126900 A KR1020140126900 A KR 1020140126900A KR 20140126900 A KR20140126900 A KR 20140126900A KR 101665554 B1 KR101665554 B1 KR 101665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sensing unit
touch
lower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382A (ko
Inventor
정남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554B1/ko
Priority to US14/566,575 priority patent/US20160085321A1/en
Priority to CN201410834821.5A priority patent/CN105788935A/zh
Publication of KR20160035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B60K2360/126
    • B60K2360/139
    • B60K2360/144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01H2025/004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perating member being depressabl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s

Abstract

차량의 조작 또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는 하부바디와, 하부바디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바디와, 상부바디에 설치되어 상부바디와 함께 회전하고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NTROL APPARATUS USING DIAL,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VEHICLE}
본 발명은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조작 또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이용되는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다양해지고 그 기능 또한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의 운영 복잡도가 증가하므로, 이를 단순화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통합 운영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적용이 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경우가 조그 다이얼(Jog Dial) 등의 다이얼 조작장치라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탑승자가 인위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다이얼 조작장치를 회전하는 경우, 다이얼 조작장치는 회전 과정에서 기계적인 전기 접촉을 이루어 차량에 이용되는 멀티미디어 기기들의 기능 선택과 이에 따른 동작 등을 구현한다.
다이얼 조작장치는 리스트를 탐색하거나 연속적으로 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버튼식 입력장치에 비해 수행시간이 짧고 사용 편의성이 높으며 조작이 직관적인 장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807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07767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8345호
본 발명은 터치부와 손잡이부가 함께 회전 가능하면서도 손잡이부의 회전 정도에 상관없이 터치부를 입력할 수 있는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바디; 및 상기 상부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바디와 함께 회전하고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사이의 감지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는 다이얼 조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의 외주연에 사용자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터치부는 상기 상부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터치패드 수용홈에 수용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에는 제1톱니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바디에는 상기 제1톱니부와 치합하는 제2톱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는 다이얼 조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외주연에 서로 다른 표지로 구분되도록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접속되는 상기 제1감지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는 다이얼 조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부는 서로 다른 저항을 가지는 복수의 저항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감지부와 접속하여 전류가 흐르는 다이얼 조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의 상부면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 단부 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로 마련되는 다이얼 조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터치부의 외측으로부터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이얼 조작장치; 및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사이의 감지 동작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방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감지부를 인식하여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외주연에 서로 다른 표지로 구분되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접속되는 상기 제1감지부에 따라 다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향 감지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서로 다른 저항을 가지는 복수의 저항체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저항체와 접속하여 전류가 흐르는 저항센서를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바디를 구비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상부바디에 마련되는 터치부에 대한 터치조작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터치조작을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 정도에 따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터치조작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2감지부 사이의 감지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상기 제1감지부는 서로 다른 표지로 구분되도록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2감지부가 접속되는 상기 제1감지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방향 감지부가 상부바디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여 송출하는 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제1감지부를 인식하여 송출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향 감지부가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방법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서로 다른 저항을 가지는 복수의 저항체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저항체와 접속하여 전류가 흐르는 저항센서를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이용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은 터치부와 손잡이부를 일체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감을 상승시키고 작동자가 느끼는 손목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의 회전 정도에 상관없이 터치부의 기준점을 확보할 수 있어 터치부의 입력정보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를 구비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조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를 조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도이다.
도 8은 터치패드의 회전에 따른 글자 입력의 차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신호 전송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신호 전송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 차륜(12, 13)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16), 차량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1),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5)를 포함한다.
차륜(12, 13)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12),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13)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16)는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12) 또는 후륜(13)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1)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5)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은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 후방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박스(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은 기어박스(20), 센터페시아(30) 및 스티어링 휠(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2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변속 기어(21)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장치(31)나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50)가 기어박스(20)에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 시계, 오디오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3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30)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페시아(30)에는 네비게이션 장치(31)가 설치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31)는 차량의 센터페시아(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장치(31)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네비게이션 장치(31)의 입력부는 센터페시아(30)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31)의 입력부는 네비게이션 장치(31)의 디스플레이부 주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네비게이션 장치(31)의 입력부는 기어박스(2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티어링 휠(40)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 및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포크에는 차량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는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32)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2)의 조작패널에 형성된 버튼들은 라디오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미디어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두 모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버튼들로 나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50)는 회전조작이 가능한 다이얼 조작장치(100)를 포함하고,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내의 기어박스(2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기어박스(20)는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변속을 위한 기어 스틱(21) 및 변속과 관련된 다양한 부품이 설치 또는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각종 버튼이 기어박스(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고 회전 조작이 가능한 노브(knob)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주변에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별도의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버튼(51)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의 회전축을 따라 소정의 방향(R1, R2)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전후좌우 방향(d1 내지 d4)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이보다 더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 조작장치(100)를 조작하여 다이얼 조작장치(10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소정의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상면에는 터치를 통한 입력이 가능한 터치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터치부(113)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부(113)는 감압식 또는 정전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113a, 도 10 참고)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이얼 조작장치(100) 내부에는 다이얼 조작장치(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각 종 부품, 일례로 베어링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축 부재는 다이얼 조작장치(100)를 전술한 네 가지 방향(d1 내지 d4)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모터(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틸팅된다.
또한 다이얼 조작장치(100) 내부에는 각종 반도체칩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은 정보 처리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반도체칩은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움직임 또는 다이얼 조작장치(100)에 형성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된 내용에 따라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제어부나 디스플레이부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과 도 7을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특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62)를 구비하는 다이얼 조작장치(60)를 조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를 조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도이다.
도 6은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6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다이얼 조작장치(60)는 상면에 마련되는 터치부(62)와 외주연에 마련되는 손잡이부(61)가 독립적으로 결합된다. 즉, 터치부(62)는 본체에 고정되어 위치하고, 손잡이부(61)가 본체부와 터치부(62) 주위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이얼 조작장치(60)를 동작하기 위해서는 터치부(62) 아래의 손잡이부(61)를 쥐고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어색한 손모양으로 인한 불편이 발생한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그립감 또는 조작감을 상실하게 된다.
만일, 조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손잡이부(61)의 내측에 터치부(62)가 마련되도록 하는 경우 터치부(62)의 면적이 작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터치부(62)와 손잡이부(61) 사이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기 위한 구성들이 개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비교하여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터치부(113)와 손잡이부(112)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터치부(113)와 손잡이부(112) 사이에 별도로 회전 운동을 위한 부재들이 삽입될 필요가 없어 터치부(113)의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12)가 티치부(113)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그립감 또는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터치부의 회전에 따른 글자 입력의 차이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a)는 기준 방향에 맞게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 (b)는 기준 방향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10도 회전된 각도로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 (c)는 기준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10도 회전된 각도로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를 도시한다.
터치부(113)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스처는 기준 방향(일 예로, 도면의 p축 방향)을 기준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8의 (a)에는 기준 방향(p)에 맞게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터치부(113)와 손잡이부(112)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112)를 회전시킬 때 터치부(113)에서 입력되는 제스처의 입력 방향(일 예로, 도면의 q축 방향)이 기준 방향(p)에 어긋나도록 배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스처의 입력 방향(p)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기준 방향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제스처가 기준 방향(p)에서 시계 방향이나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입력되는 경우 인식률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터치부(113)가 손잡이부(112)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입력되는 제스처의 입력 방향(q)이 기준 방향(p)에서 어긋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터치부(113)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기준 방향에서 얼만큼 회전하였는지를 알 수 있고 제스처의 입력 방향(q)을 기준 방향(p)으로 보정하여 인식률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상부바디(110), 하부바디(120), 상부바디(110)와 하부바디(120)에 수용되는 코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외주연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손잡이부(112)와, 몸체부(111)의 상부에 마련되는 터치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1)는 하측이 개구되어 코어부(130)가 삽입되고, 개구부는 코어부(130)의 상단을 수용할 수 있는 코어부 수용홈(111b)으로 연장된다. 몸체부(111)의 하단부에는 물결 형상의 제1톱니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12)는 사용자가 그립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부(113)는 몸체부(111) 상단에 형성되는 패치패널 수용홈(111d)에 수용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접촉을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처까지 인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약속된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문자, 숫자, 또는 도형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손잡이부(112)는 터치부(11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12)의 상면은 터치부(113)와 같은 면상에 마련되거나 더 낮도록 마련된다. 또한, 손잡이부(112)의 외측 상부에는 경사부(112b)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부(113)를 조작할 때 손잡이부(112)가 간섭됨으로써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손잡이부(112)의 외측면은 터치부(113)의 외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손잡이부(112)를 그립할 때 터치부(113)가 간섭됨으로써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부바디(120)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몸체부(121)를 포함하며, 몸체부(121)에는 코어부(130)를 수용하는 관통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21)의 상단부에는 물결 형상의 제2톱니부(121a)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2톱니부(121a)는 상부바디(110)의 제1톱니부(111a)와 서로 치합하도록 마련된다.
코어부(130)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몸체부(131)와 상부바디(11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부(130)는 하부바디(120)의 관통공(122)을 관통하여 상부바디(110)의 코어부 수용홈(111b)에 수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132)는 몸체부(121)의 외경에 마련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32)는 상부바디(110)를 하부바디(120)로부터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 및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부바디(110)의 코어부 수용홈(111b)과 하부바디(120)의 관통공(122)은 코어부(130)의 몸체부(131) 외경에 마련되는 탄성부재(132)까지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구비할 수 있다.
코어부(130)는 탄성부재(132)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하단 지지턱(133)을 구비할 수 있다. 하단 지지턱(133)은 코어부(130)의 외경에 돌출되는 플랜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바디(110)는 탄성부재(132)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는 상단 지지턱(111c)을 구비할 수 있다. 상단 지지턱(111c)은 코어부(130)가 수용되는 코어부 수용홈(111b)의 내경에 요입되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단 지지턱(111c)은 코어부(130) 수용홈(111b)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코어부 수용홈(111b)과 상단 지지턱(111c) 사이에는 단차가 구비될 수 있다.
코어부(130)는 상부바디(110)에 연결되어 상부바디(110)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코어부(130)가 하부바디(120)에 연결되어 상부바디(110)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바디(110)와 하부바디(120)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부바디(110)는 하부바디(120)와 동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부바디(110)는 하부바디(120)와 기어 결합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1톱니부(111a)와 하부바디(12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제2톱니부(121a)가 치합함으로써 단계적인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바디(110)의 제1톱니부(111a)와 하부바디(120)의 제2톱니부(121a)는 물결 형상을 함으로써 상부바디(110)가 하부바디(120) 상에서 회전할 때 부드러운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1톱니부(111a)와 제2톱니부(121a)의 구체적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바디(110)는 코어부(130) 또는 하부바디(120)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바디(110)는 물결모양 제2톱니부(121a)의 골에서 마루 높이까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하부바디(120)의 제2톱니부(121a)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부바디(110)는 탄성부재(13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항시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은 힘의 회전력만으로도 부드럽게 상부바디(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톱니부(111a)와 제2톱니부(121a)의 형상 및 탄성부재(132)의 탄성력은 사용자의 회전방향 조작감과 하나의 톱니를 지날 때 마다 느껴지는 단계적인 조작감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부바디(110)와 코어부(130)의 접촉면에는 상부바디(110)의 누름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부(134)와 스위치 접속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코어부(130) 상단에는 스위치부(134)가 마련되고, 상부바디(110) 내측 코어부(130) 상단과 마주보는 면에는 스위치 접속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부바디(110)에 압력을 가하여 누르는 경우 스위치 접속부(114)가 스위치부(134)에 접속되고, 스위치부(134)는 그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32)는 상부바디(110)를 하부바디(12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들뜬 상태가 되도록 유지함으로써 상부바디(110)가 눌러질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하부바디(120)의 관통공(122) 내주면에는 코일(123)이 권취될 수 있다. 코일(123)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부바디(110) 또는 코어부(130)와 연동하여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상부바디(110) 또는 코어부(130)에는 코일(123)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과 상반되는 극성이 인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바디(110)가 특정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면 코일(123)에 전원이 인가되고 전자력이 발생되어 상부바디(110)와 하부바디(12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는 결과 상부바디(11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이 때, 상부바디(110)의 위치는 제1감지부(141)와 제2감지부(142)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제1감지부(141)와 제2감지부(14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는 상부바디(110)의 제1톱니부(111a)의 톱니부 마다 제1감지부(141)가 설치되고 하부바디(120)의 제2톱니부(121a) 중 하나의 톱니에 제2감지부(142)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1감지부(141) 또는 제2감지부(142)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부바디(120)에 제1감지부가 설치되고 상부바디(110)에 제2감지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또는 제2톱니부(111a, 121a)가 아닌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감지부(141)가 하나의 톱니에 설치되고 제2감지부(142)가 톱니마다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감지부(141)와 제2감지부(142)는 서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감지부(141)는 자성을 지니는 마그네틱일 수 있고, 제2감지부(142)는 마그네틱을 감지하는 마그네틱 센서일 수 있다. 다만, 마그네틱 센서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광센서 또는 저항센서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터치부(113)는 초기 기준 방향을 설정하고 그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를 인식하고 해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같은 제스처를 입력하여도 초기 기준 방향과의 상대적 위치(또는 각도)가 달라지면 다른 제스처로 인식되거나 인식할 수 없는 제스처로 판단될 수 있다.
터치부(113)에서 인식하는 초기 기준 방향은 제스처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자세에 맞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동승자가 터치부(113)에 제스처를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차량의 전후 방향을 초기 기준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부바디(110)와 함께 터치부(113)가 회전하면서 터치부(113)의 초기 기준 방향 역시 회전하는데, 사용자가 의도하는 기준 방향은 여전히 차량의 전후 방이다. 따라서 상부바디(110)의 회전에 불구하고 터치부(113)에 입력되는 제스처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인식되는 것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는 제2감지부(142)가 제1감지부(141)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상부바디(110)가 얼마만큼 회전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회전각만큼 초기 기준 방향을 보정하여 보정 기준 방향을 설정한다. 그 후, 재설정된 보정 기분 방향을 기준으로 제스처를 해석 수 있다. 일 예로, 상부바디(110)가 90도만큼 회전한 경우 초기 기준 방향 역시 90만큼 회전하게 되는데, 초기 기준 방향을 -90도 만큼 회전하여 보정 기준 방향을 설정한 후 그에 따라 제스처를 해석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도 11은 제2감지부(142)가 다수의 제1감지부 중 1번째 제1감지부(141-1)를 인식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1번째 제1감지부(141-1)가 제2감지부(142)에 대응되는 상태가 터치부(113)가 초기 기준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즉, 터치부(113)가 제스처를 인식하는 기준 방향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부바디(110)가 위치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3은 제2감지부(142)가 2번째 제1감지부(141-2)를 인식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즉, 제1감지부(141)가 시계 방향으로 1 피치(pitch, 인접하는 톱니 이빨의 마루와 마루 또는 골과 골 사이의 거리)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상부바디(110)가 1 피치만큼 회전하면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제스처의 기준 방향(차량의 전후 방향)은 터치부(113)의 초기 기준 방향과 소정 각도만큼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터치부(113)의 초기 기준 방향을 차량 전후 방향에서 계산된 각도의 차이만큼 보정해 준다면 사용자가 의도하는 제스처의 기준 방향과 터치부(113)에서 입력받는 데 기준으로 사용하는 보정 기준 방향이 일치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가 1 피치만큼 회전할 때 터치부(113)의 초기 기준 방향이 회전하는 각도는 360도에서 피치의 개수만큼 나누어 주면 된다. 일 예로, 총 36 피치가 마련되는 경우 상부바디(110)가 1 피치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터치부(113)의 초기 기준 방향은 시계 방향으로 10도 회전하게 된다. 10도의 차이는 터치부(113)에서 인식하는 제스처의 인식률의 정확도에 충분히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므로, 터치부(113)의 초기 기준 방향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터치부(113)는 초기 기준 방향을 기준으로 제스처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초기 기준 방향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10도 회전시킨 것을 보정 기준 방향으로 설정하여 제스처를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제스처의 해석이 가능하다.
도 11에서 도 13은 사용자가 상부바디(110)의 손잡이부(112)를 쥐고 시계 방향으로 한 피치 이동하는 모습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서 제1톱니부(111a)와 제2톱니부(121a)가 꽉 맞물려 있지 않고 일정 거리(d) 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탄성부재(132)가 상부바디(1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회전 조작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2는 다음 톱니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2감지부(142)는 아무 것도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도 13은 상부바디(110)가 시계 방향으로 한 피치 이동하여 제2감지부(142)가 2번째 제1감지부(141-2)를 인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일 예로, 사용자는 상부바디(110)를 회전 함으로써 UI(User Interface)에서 한 방향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가 상부바디(110)를 누른 상태(Push)를 도시한다. 가압력(F)에 의해 탄성부재(132)가 압축되어 제1톱니부(111a)와 제2톱니부(121a)가 서로 맞닿을 수 있다. 가압력(F)이 제거되면 도 13과 같이 상부바디(110)와 하부바디(120)가 일정 간격(d) 떨어진 상태로 복귀한다. 일 예로, 도 14와 같이 사용자는 상부바디(110)를 누름으로써 현재 UI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100)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부바디(110)에 마련되는 제1감지부(141)와 하부바디(120)에 마련되는 제2감지부(142) 사이의 감지 동작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부바디(110)가 회전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지부(141)와 제2감지부(142)는 감지동작에 의해 상부바디(110)의 회전 정도에 관한 정보(일 예로, 회전 각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송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감지부(141)는 상부바디(110)의 외주연에 서로 다른 표지로 구분되도록 복수로 마련되고, 제2감지부(142)는 접속되는 제1감지부(141)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1감지부(141)는 서로 다른 저항을 가지는 복수의 저항체이고, 제2감지부(142)는 제1감지부(141)와 접속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마련되는 저항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감지부(142)가 제1감지부(141)와 접속하였을 때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하여 제1감지부(141)의 저항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감지부(142)가 현재 제1감지부(141) 중 어느 것과 접속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이 정보를 토대로 상부바디(110)가 초기 위치에서 얼만큼 회전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1감지부(141)가 상부바디(110)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감지부(142)는 제1감지부(141)를 인식하는 때마다 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150)는 이 신호를 토대로 상부바디(110)의 회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상부바디(110)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 하였는지에 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의 회전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방향 감지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 감지부(143)는 상부바디(110)의 회전 방향을 구분할 수 있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방향 감지부(143)는 관련 기술 분야의 공지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바디(110)에 마련되고 서로 다른 저항을 가지는 복수의 저항체와, 하부바디(120)에 마련되고 저항체와 접속하여 전류가 흐르는 저항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에서 한 제1감지부(141)와 제2감지부(142)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바디(110)가 회전하게 되면 제2감지부(142)가 제1감지부(141)를 인식(200)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송출한다(210). 이 때, 제2감지부(142)는 제1감지부(141)를 인식할 때 마다 동일한 신호를 송출하거나, 접속되는 제1감지부(141)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 신호를 통해 상부바디(110)의 회전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이를 저장소에 저장한다(220). 또는 저장하는 과정 없이 바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터치부(113)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인식한다(230). 이 때, 저장된 상부바디(110)의 회전 정보를 인출하여 제스처의 기준 방향을 보정한다(240). 이렇게 보정된 기준 방향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해석(250)하여 그에 따른 실행 명령을 내릴 수 있다(260).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기어박스,
30: 센터페시아, 40: 스티어링 휠,
50: 입력장치, 51: 버튼,
100: 다이얼 조작장치, 110: 상부바디,
111: 몸체부, 111a: 제1톱니부,
111b: 코어부 수용홈, 111c: 상단 지지턱,
111d: 터치패드 수용홈, 112: 손잡이부,
112a: 홈, 112b: 경사부,
113: 터치부, 114: 스위치 접속부,
120: 하부바디, 121: 몸체부,
121a: 제2톱니부, 122: 관통공,
123: 코일, 130: 코어부,
131: 몸체부, 132: 탄성부재,
133: 하단 지지턱, 134: 스위치부,
141: 제1감지부, 142: 제2감지부,
143: 방향 감지부, 150: 제어부.

Claims (17)


  1. 하부바디;
    상기 하부바디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바디와 함께 회전하고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되, 연속된 터치신호인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어느 하나에 서로 다른 표지로 구분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접속되는 상기 제1감지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를 해석하되,
    상기 기준 방향은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 정도에 따라 보정되는 다이얼 조작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의 외주연에 사용자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마련되고,
    상기 터치부는 상기 상부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터치패드 수용홈에 수용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에는 제1톱니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바디에는 상기 제1톱니부와 치합하는 제2톱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는 다이얼 조작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는 서로 다른 저항을 가지는 복수의 저항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감지부와 접속하여 전류가 흐르는 다이얼 조작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의 상부면은 상기 손잡이부의 일 단부 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로 마련되는 다이얼 조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터치부의 외측으로부터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
  9. 상기 제1항에 따른 다이얼 조작장치; 및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사이의 감지 동작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방향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제1감지부를 인식하여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외주연에 서로 다른 표지로 구분되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접속되는 상기 제1감지부에 따라 다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부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감지부는,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서로 다른 저항을 가지는 복수의 저항체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저항체와 접속하여 전류가 흐르는 저항센서를 포함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3.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연속된 터치신호인 제스처 터치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부를 구비하는 다이얼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어느 하나에 서로 다른 표지로 구분되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제2감지부는 상기 제2감지부가 접속되는 상기 제1감지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터치부에 입력되는 제스처 터치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 터치신호를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 정도에 따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터치신호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가 회전한 정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방향 감지부가 상부바디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여 송출하는 신호와, 상기 제2감지부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제1감지부를 인식하여 송출하는 신호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감지부가 상기 상부바디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방법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서로 다른 저항을 가지는 복수의 저항체와, 상기 상부바디 또는 상기 하부바디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저항체와 접속하여 전류가 흐르는 저항센서를 통해 송출되는 신호를 이용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40126900A 2014-09-23 2014-09-23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6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00A KR101665554B1 (ko) 2014-09-23 2014-09-23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4/566,575 US20160085321A1 (en) 2014-09-23 2014-12-10 Dial-type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CN201410834821.5A CN105788935A (zh) 2014-09-23 2014-12-26 拨盘式控制装置、具有该装置的车辆以及控制车辆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900A KR101665554B1 (ko) 2014-09-23 2014-09-23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382A KR20160035382A (ko) 2016-03-31
KR101665554B1 true KR101665554B1 (ko) 2016-10-13

Family

ID=5552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900A KR101665554B1 (ko) 2014-09-23 2014-09-23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85321A1 (ko)
KR (1) KR101665554B1 (ko)
CN (1) CN1057889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90A (ko) 2020-03-19 2021-09-2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글라스 타입의 터치패드 다이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6354A (ja) * 2013-09-30 2015-04-13 オムロン株式会社 遊技機
JP2015066352A (ja) * 2013-09-30 2015-04-13 オムロン株式会社 遊技機
USD765611S1 (en) * 2014-12-11 2016-09-06 Wacker Neuson Beteilingungs GmbH Jog dial
US9846495B2 (en) * 2015-07-23 2017-12-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for controlling vehicular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USD807309S1 (en) * 2016-08-10 2018-01-09 Caterpillar Inc. Rotary dial for a switch panel user interface
USD807308S1 (en) * 2016-08-10 2018-01-09 Caterpillar Inc. Jog dial for a switch panel user interface
USD807836S1 (en) * 2016-08-10 2018-01-16 Caterpillar Inc. Button for a switch panel user interface
USD848381S1 (en) * 2017-07-20 2019-05-14 Weibing Cheng Automobile multimedia wireless controller
KR102018662B1 (ko) 2017-10-24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명령입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86124B1 (ko) * 2018-03-15 2019-06-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524294B1 (ko) * 2018-11-20 2023-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얼 노브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USD886070S1 (en) * 2018-12-12 2020-06-02 Deere & Company Rotary switch module
CN109747565A (zh) * 2019-01-11 2019-05-14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操作装置、方向盘组件和车辆
JP7262240B2 (ja) * 2019-02-15 2023-04-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操作装置、および作業機械
KR20200113601A (ko) * 2019-03-26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778A (ja) * 2005-09-16 2007-03-29 Yuhshin Co Ltd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ー及びタッチセンサー付き回転操作ノブ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367B2 (ja) 1991-09-21 2001-01-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装置
JP4435227B2 (ja) 2007-11-09 2010-03-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操作型電気部品
US20090303188A1 (en) * 2008-06-05 2009-12-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value using a touchscreen sli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778A (ja) * 2005-09-16 2007-03-29 Yuhshin Co Ltd 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ー及びタッチセンサー付き回転操作ノ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90A (ko) 2020-03-19 2021-09-2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글라스 타입의 터치패드 다이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85321A1 (en) 2016-03-24
CN105788935A (zh) 2016-07-20
KR20160035382A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554B1 (ko)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28334B1 (ko)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133357B2 (en)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gesture recognition
WO2012029558A1 (ja) 入力装置
US20150253950A1 (en) Manipulating device
US20120123636A1 (en) Operation input device for vehicle
US10802701B2 (en)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JP5079582B2 (ja) タッチ式センサ
KR101685891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US10126938B2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817526B1 (ko) 다이얼 조작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
US20160320939A1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619893B1 (ko)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6220357B2 (ja) 車両用操作システム
US20170060312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US11474647B2 (e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1042332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211305B1 (ko) 다이얼 조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72254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550602B1 (ko) 차량용 운전 조작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1696592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70086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50747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user support
KR102543537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KR101744736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