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976B1 -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976B1
KR102229976B1 KR1020140098815A KR20140098815A KR102229976B1 KR 102229976 B1 KR102229976 B1 KR 102229976B1 KR 1020140098815 A KR1020140098815 A KR 1020140098815A KR 20140098815 A KR20140098815 A KR 20140098815A KR 102229976 B1 KR102229976 B1 KR 10222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terminal
information
laundry treatment
external
cou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882A (ko
Inventor
김자연
서민아
오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976B1/ko
Priority to US15/325,821 priority patent/US10487437B2/en
Priority to CN201580041064.9A priority patent/CN106574417B/zh
Priority to EP15826621.3A priority patent/EP3176298B1/en
Priority to PCT/KR2015/006227 priority patent/WO2016017925A1/ko
Publication of KR2016001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882A/ko
Priority to US16/589,743 priority patent/US2020003244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0Starting machine operation, e.g. delayed start or re-start after power cu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197Near field communication nf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전원 입력부, 기 설정된 코스들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도록 형성된 코스 선택부 및 선택된 코스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실행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입력된 후에 그리고 상기 실행 입력부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외부 단말기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의 코스 선택부에 복수개의 코스들이 구비되어 있을 때,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추천 코스의 정보를 통하여 계절 또는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에 따라서 어떠한 코스가 적절한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특히, 세탁기)와 통신하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 습도, 기온 및 먼지 농도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따른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탁기는 건조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펄세이터 세탁기와,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기 내부에 세탁 대상물 및 세제 등이 투입된 후, 세탁기 외부에 구비된 코스 선택부의 조작을 통해 복수개의 코스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로 구동될 수 있다.
복수개의 코스들은 표준 세탁, 스팀 세탁, 알러지 케어, 아기옷, 삶음, 스피드 워시, 란제리, 이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스 선택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코스들은 세탁 강도, 세탁 시간, 헹굼 강도, 헹굼 시간, 탈수 강도, 탈수 시간, 스팀 공급, 건조 시간 등의 설정 인자들이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설정 인자들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나, 코스 선택부에 복수개의 코스들이 구비되어 있을 때, 사용자는 계절 또는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에 따라서 어떠한 코스 및 설정 인자들이 적절한지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의 터브 또는 드럼의 세척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상기 터브 또는 드럼의 세척을 해야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의류처리장치(특히, 세탁기)에는 건조 기능이 포함된 것이 일반적이나, 사용자가 세탁물의 실내건조, 실외건조,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기능을 사용한 건조 중 어떤 방식이 바람직한지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되어야 하는 세제의 양을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류처리장치의 코스 선택부에 복수개의 코스들이 구비되어 있을 때, 계절 또는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에 따라서 어떠한 코스가 적절한지를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추천 코스의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터브 또는 드럼 세척과 관련된 정보를 통하여, 상기 터브 또는 드럼의 세척 시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날씨 또는 계절에 따라서 건조 방식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건조 방식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의 양 및 사용자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되어야 하는 적절한 세제의 양을 안내해 주는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필요한 세제의 양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표시부를 대체할 수 있는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전원 입력부, 기 설정된 코스들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도록 형성된 코스 선택부 및 선택된 코스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실행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입력된 후에 그리고 상기 실행 입력부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외부 단말기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의류처리장치에는 상기 외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거치부에 상기 외부 단말기가 거치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ON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외부 단말기는 NFC 통신을 위한 NFC 모듈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수용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는 NFC 통신을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행된 상기 터브 또는 상기 드럼의 세척 시기 및 현재까지 수행된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달받아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세척 시기 및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브 또는 상기 드럼의 세척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는 계절, 날씨, 습도, 기온, 먼지 농도 및 꽃가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건조, 실외건조 및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기능을 사용한 건조 중 하나의 건조 추천 정보와, 알러지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및 상기 외부 환경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외부 서버와 와이파이(Wi-Fi)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및 상기 외부 환경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코스 선택부가 조작되기 이전에,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가 상기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전원 입력부, 기 설정된 코스들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도록 형성된 코스 선택부, 실행 입력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 구비된 의류 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 상기 코스 선택부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의류 처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코스가 선택되는 코스 선택 단계; 및 실행 입력부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에서, 외부 단말기에는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코스 선택 단계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 중 원하는 코스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는 계절, 날씨, 습도, 기온, 먼지 농도 및 꽃가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코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는, 의류 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외부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의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기에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행 단계 이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가 상기 외부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실시간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스 선택 단계와 상기 실행 단계 사이에, 상기 코스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코스에 따른 의류 처리 시간이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시간의 터치 및 드레그에 의해 의류 처리 완료 시각을 변경하는 시간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의 코스 선택부에 복수개의 코스들이 구비되어 있을 때,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추천 코스의 정보를 통하여 계절 또는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에 따라서 어떠한 코스가 적절한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터브 또는 드럼 세척과 관련된 정보를 통하여, 상기 터브 또는 드럼의 세척 시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날씨 또는 계절에 따라서 건조 방식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건조 방식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의 양 및 사용자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되어야 하는 적절한 세제의 양을 안내하는 외부 단말기를 통하여, 필요한 세제의 양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에 구비된 표시부를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포함된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코스 선택부 및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포함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 제어유닛, 외부 단말기 및 외부 서버 사이의 통신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코스 추천의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예약 설정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7에 추가되는 순서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래 설명되는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를 포함하는 개념이나, 주로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세탁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포함된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코스 선택부 및 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닛(10), 상기 케비닛(10) 내에 의류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는 도어(20), 상기 캐비닛(10)의 외면에 구비되는 메인 코스 선택부(30) 및 이하 설명될 외부 단말기(2)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사용자가 세탁 강도, 헹굼 횟수, 탈수 강도 등의 설정 인자들을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5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외부 단말기(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의류처리장치(1)의 상면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거치부(5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단말기(2)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거치부(50)는 의류처리장치(1)의 상면에 구비되나, 거치대(5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거치부(50)는 의류처리장치(1)의 정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어(20)는 케비닛(10)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회전을 통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스 선택부(30)에는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코스들(a~l)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0)에는 상기 메인 코스 선택부(30)에서 선택된 하나의 코스 및 상기 선택된 코스를 실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설정 인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 인자들은 헹굼횟수, 탈수강도 및 물(세탁수 및 헹굼수)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인자들은 상기 표시부(40)를 통해 입력, 재입력 또는 변경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코스 선택부(30)는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31), 복수개의 코스들(a~l)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형성된 조작부(32) 및 조작부(32)를 통해 선택된 코스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입력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코스들(a~l)은 상기 조작부(32)의 둘레를 따라서 표시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전원 입력부(31)를 통해(예를 들어, 전원 버튼을 눌러서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거치부(50)에는 전원 입력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6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50)에 외부 단말기(2)가 거치되면, 전원 입력부(31)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이 ON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스 선택부(30)에는 상기 조작부(32)와 상기 복수개의 코스들(a~l) 사이에 복수개의 지시등(indicator light, 35)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시등(35)은 조작부(32)와 상기 복수개의 코스들(a~l) 사이에서 복수개의 코스들(a~l)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는 회전 가능한 로터리 놉(rotary knob)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로터리 놉 형태의 조작부(32)를 회전시켜서, 코스 선택부(30)에 표시된 복수개의 코스들(a~l)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스 선택부(30)에는 복수개의 코스들(a~l)이 조작부(32) 둘레를 따라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조작부(32)를 회전시켜서 상기 복수개의 코스들(a~l)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 선택부(30)에 구비된 조작부(32)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복수개의 코스들(a~l)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지시등(35)이 순차적으로 점등(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복수개의 코스들(a~l) 중 원하는 코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지시등(35)이 점등될 때까지 조작부(32)를 회전시킨 후 실행 입력부(33)에 실행 명령을 입력해서(예를 들어, 실행 버튼을 눌러서) 의류처리장치(1)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32)를 회전시킬 때, 지시등(35)은 상기 코스 선택부(30)의 배면에 구비되는 발광부(820, 도 4 참조)에 의해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시등(35)의 점등은 추후 도 4를 통해 설명될 제어부(81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를 참조하면, 표시부(40)에는 세탁강도(m), 헹굼횟수(n), 탈수강도(o), 물(세탁수/헹굼수) 온도(p), 및 세탁시간(q) 등과 같은 설정 인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에 의해 설정 인자들의 정보를 입력 또는 변경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40)를 통하여 세탁강도(m), 헹굼횟수(n), 탈수강도(o) 및 물 온도(p)와 같은 설정 인자들을 입력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코스 선택부(30)에 구비된 복수개의 코스들(a~l)은 각각의 코스들에 따라서 기 설정된 설정 인자들이 있다. 즉, 각각의 코스에는 세탁강도(m)헹굼횟수(n), 탈수강도(o) 및 물 온도(p)와 같은 설정 인자들이 미리 결정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각각의 코스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설정 인자들을 "표준 설정 인자들"이라고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 코스 선택부(30)에서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면,표시부(40)에는 선택된 코스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설정 인자들(즉, 표준 설정 인자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바로 실행 입력부(33)에 실행 명령을 입력해서 표준 설정 인자들에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키거나, 표시부(40)에 표시된 설정 인자들을 변경한 후 실행 입력부(33)에 실행 명령을 입력해서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의류처리시스템에 포함된 의류처리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에 포함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세탁장치, 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비닛(10),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100), 터브(100)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200), 드럼(20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부(300), 세탁물이 수납된 드럼(200) 내로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 분사부(400), 드럼(200)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부(500),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600), 터브(100)의 내부로 열풍 또는 냉풍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700),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의류처리장치(1)를 작동시키는 제어유닛(800), 및 상기 제어유닛(800)과 연계되어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코스 선택부(30)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도 4를 함께 참조).
캐비닛(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며, 후술될 각종 구성요소가 내측 및 외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캐비닛(10)의 전방측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20)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100)는 캐비닛(10)의 내측에 마련되며, 캐비닛(10)에 마련된 도어(20) 측으로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터브(100)는 세제의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드럼(20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터브(100)는 상부의 스프링(110) 및 하부의 댐퍼(12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스프링(110)과 댐퍼(120)는 구동부(300)의 작동에 의해 드럼(200)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터브(100)를 통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 및 감소시킨다.
드럼(200)은 터브(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드럼(200)의 내측에는 도어(20) 측으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적재된다. 드럼(200)에는 세제가 통공되는 다수의 배수공(210)이 형성된다. 드럼(200)의 내측에는 드럼(200)이 회전될 때 드럼(200)에 적재된 세탁물을 거치하여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는 다수의 걸림돌기(220)가 형성된다. 걸림돌기(220)에 의한 세탁물의 유동에 의해 세제와 세탁물간의 혼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후면에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부(300)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드럼(200)을 회전시킨다. 구동부(300)는 제어유닛(800)의 제어에 따라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구동부(300)의 구조, 종류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세제분사부(400)는 터브(100)의 외측에 마련되어 터브(100)의 내측에 위치한 드럼(200)으로 세제를 분사한다. 세제분사부(400)는 세제만을 분사하거나 별도 공급되는 물과 세제를 혼합하여 분사한다. 여기서 기능성 세제는 공급되는 물에 용해되도록 수용성 성분만을 포함하는 액상세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제분사부(400)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조(410)와, 세제저장조(410)로 기능성 세제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수를 공급하는 희석수공급라인(420)과, 희석수에 의해 희석된 기능성 세제를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압력펌프(미도시)와, 압력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기능성 세제를 드럼(200)의 내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430)을 구비한다.
스팀분사부(500)는 드럼(200)에 수납된 세탁물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세탁물에 침투된 기능성 세제의 오염물질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팀분사부(500)는 스팀을 생성하기 위한 스팀수를 공급하는 스팀수공급관(510)과, 스팀수공급관(510)에서 공급되는 스팀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형성하는 스팀발생장치(520)와, 스팀발생장치(520)에서 생성된 스팀을 드럼(200)의 전방에서 세탁물로 분사하는 스팀분사노즐(530)을 구비한다.
배출부(600)는 터브(100)의 외측에 마련되어 터브(100)의 내의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배출부(600)는 배수펌프(610)와, 배수관(620)을 구비한다.
공기순환부(700)는, 터브(10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브(100)내의 공기 또는 의류처리장치(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터브(100)의 내측으로 열풍 또는 냉풍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공기순환부(700)는 공기가 터브(100)의 전방 상측에서 터브(100)의 후방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공급되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순환덕트(710)와, 순환덕트(710)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720)과,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열풍 또는 냉풍을 만드는 열교환장치(7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열교환장치(730)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소자(예를 들어 히터 등, 미도시)와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소자(예를 들어 열전소자 등, 미도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은 외부 단말기(2) 및 상기 외부 단말기(2)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기한 의류처리장치(1)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2)와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통신과 관련된 특징에 대하여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 제어유닛, 외부 단말기 및 외부 서버 사이의 통신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4를 함께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제어유닛(800)은 코스 선택부(30) 및 표시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10), 코스 선택부(30)에 표시된 지시등(35)을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점등하기 위한 발광부(820), 및 상기 코스 선택부(30)와 표시부(4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8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800)은 외부 단말기(2)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유닛(800)과 외부 단말기(2)는 통신 모듈(840, 3)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800)과 외부 단말기(2)는 NFC 통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유닛(800)의 통신모듈(840) 및 외부 단말기(2)의 통신 모듈(3)은 NFC 모듈이 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 및 외부 단말기(2)는 NFC 통신을 위한 NFC 모듈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10)는 사용자에 의해 코스 선택부(30) 및 표시부(40)에 입력된 정보를 전달받고, 그러한 정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그러한 정보를 메모리(830)에 전달한다. 따라서, 메모리(830)에는 코스 선택부(30)를 통해 선택된 코스의 선택 횟수, 표시부(40)에 입력된 설정 인자의 입력 횟수와 같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10)는 코스 선택부(30)에 표시된 복수개의 코스들(a~l)에 대응하는 지시등(35)이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발광부(8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32)를 조작하여(즉, 회전시켜서) 코스 선택부(30)에 표시된 복수개의 코스들(a~l)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조작부(32)의 회전에 따라서 지시등(35)이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1)에 전원이 입력되면, 코스 선택부(30)에 구비된 복수개의 코스들(a~l) 중 가장 첫번째 코스(a)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지시등(35)이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3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첫번째 코스(a)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코스(b 또는 l)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지시등(35)이 점등될 수 있다.
한편, 외부 단말기(2)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의 정보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입력된 후에 그리고 실행 입력부(33)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외부 단말기(2)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의 정보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코스 선택부(30)가 조작되기 이전에, 상기 외부 단말기(2)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의 정보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의류처리장치(1)에 포함된 거치부(50)에는 전원 입력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6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50)에 외부 단말기(2)가 거치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이 ON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 입력부(31)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거치부(50)에 외부 단말기(2)가 거치되면,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이 ON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의 입력은 코스 선택부(30)에 구비된 전원 입력부(31)를 통한 입력 또는 거치부(50)에 외부 단말기(2)의 거치를 통해 가능하다.
상기 외부 단말기(2)는 디스플레이부(4)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 외부 환경에 따른 추천 코스 디스플레이
외부 단말기(2)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의 정보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를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는 계절, 날씨, 습도, 기온, 먼지 농도 및 꽃가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2)는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건조, 실외건조 및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기능을 사용한 건조 중 하나의 건조 추천 정보와, 알러지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4)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를 터치하고,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실행 입력부(33)를 통한 실행 명령의 입력을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되는 실행 아이콘의 터치를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코스 선택부(30)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외부 단말기(2)를 통하여 원하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은 상기한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및 외부 환경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서버(9)를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서버(9)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단말기(2)는 상기 외부 서버(9)와 와이파이(Wi-Fi)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서버(9)에서 업데이트된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는 상기 외부 단말기(2)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 외부 단말기(2)와 외부 서버(9)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미도시)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외부 단말기(2)는 상기 외부 서버(9)로부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및 외부 환경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9)에서 외부 단말기(2)로의 데이터 전송은 실시간으로 또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의 실행 입력부(33)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된 후에 외부 단말기(2)는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는 수행되고 있는 코스 명칭, 남은 헹굼 횟수, 탈수 강도, 스팀 행정 여부, 건조 행정 여부, 남은 세탁 시간(즉, 세탁 종료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에 표시부(40)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1)와 통신하는 외부 단말기(2)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외부 단말기(2)에 의해 의류처리장치(1)의 표시부(40)가 대체될 수 있다. 이하, 외부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되는 추천 코스의 정보에 대하여 예를들어 설명한다.
- 터브 또는 드럼의 세척 필요성 디스플레이
외부 단말기(2)는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1)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행된 터브 또는 드럼의 세척 시기 및 현재까지 수행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에서, 터브(100) 또는 드럼(200)의 세척을 위해 구동한 횟수는 제외된다(즉, 가산되지 않는다).
이때, 가장 최근에 수행된 터브(100) 또는 드럼(200)의 세척 시기 및 현재까지 수행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는 제어유닛(800)에 구비된 메모리(83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810)는 메모리(830)에 저장된 가장 최근에 수행된 터브(100) 또는 드럼(200)의 세척 시기 및 현재까지 수행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의 정보를 외부 단말기(2)로 송신할 수 있으며, 외부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4)에 그러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기(2)는 가장 최근에 수행된 터브(100) 또는 드럼(200)의 세척 시기의 정보 및 현재까지 수행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브(100) 또는 상기 드럼(200)의 세척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단말기(2)에는 메모리 모듈(6) 및 제어 모듈(5)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 모듈(6)에는 터브(100) 또는 드럼(200)의 기 설정된 세척 기간에 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횟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단말기(2)가 의류처리장치(1)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행된 터브(100) 또는 드럼(200)의 세척 시기의 정보를 전달받으면, 제어 모듈(5)은 상기 세척 시기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이 메모리 모듈(6)에 저장된 기 설정된 세척 기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 시기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이 메모리 모듈(6)에 저장된 기 설정된 세척 기간을 초과하였다고 제어 모듈(5)에서 판단되면, 제어 모듈(5)은 디스플레이부(4)에 터브(100) 또는 드럼(200)의 세척 필요성에 대한 문구(예를 들어, "터브 세척 요망" 또는 "드럼 세척 요망")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기 설정된 세척 기간은 30일, 50일, 100일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기(2)가 의류처리장치(1)로부터 현재까지 수행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의 정보를 전달받으면, 제어 모듈(5)은 상기 구동 횟수를 메모리 모듈(6)에 저장된 기 설정된 구동 횟수와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5)은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가 메모리 모듈(6)에 저장된 기 설정된 구동 횟수에 가까워지고 있는지 여부가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4)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구동 횟수는 10회, 30회, 50회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터브(100) 또는 드럼(200)의 세척 이후에,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는 처음부터(즉, 1부터) 다시 계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세탁 전에 터브 또는 드럼의 세척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예약 설정 디스플레이
의류처리장치(1)의 코스 선택부(30) 또는 외부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된 추천 코스의 정보를 통해 하나의 코스가 입력되면, 외부 단말기(2)에는 입력된 코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시작 시각 및 완료 시간이 아날로그시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전체 의류처리(세탁) 시간은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된 상기 시작 시각 및 완료 시각 사이의 공간이 부채꼴 형태로 발광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의류처리장치(1)의 의류처리 완료 시각은 상기 부채꼴 형태로 발광된 부분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및 드레그를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된 전체 의류처리 시간을 터치 및 드레그하여, 의류처리 완료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의류처리장치를 예약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상기한 외부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형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추천 코스의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4)는 복수개의 구획들(D1, D2, D3, D4, D5, D6)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구획들은 제1구획(D1) 내지 제6구획(D6)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에 전원이 입력된 후에 그리고 용자에 의해 코스 선택부(30)가 조작되기 이전에, 디스플레이부(4)에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의류처리장치(1)와 외부 단말기(9)의 NFC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획(D1)에는 세탁조(드럼 또는 터브)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구획(D1)에는 드럼 또는 터브의 세척 필요성에 대한 정보가 "통세척 필요"와 같은 문구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구 하측에는 가장 최근에 수행된 터브 또는 드럼의 세척 시기 및 현재까지 수행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 중 하나가 게이지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구 하측에는 이전의 통세척 이후부터 현재까지 수행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가 게이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는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메모리(830)에 저장된 정보가 외부 단말기(2)로 수신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게이지는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에 따라서 점점 유색으로 채워지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30회)와 동일한 경우, 상기 게이지가 모두 유색으로 채워지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구획(D1)에 디스플레이된 게이지 및 "통세척 필요"와 같은 문구를 통해, 세탁조(드럼 또는 터브)의 바람직한 세척 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구획(D2)에는 건조 방식에 대한 추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구획(D2)에는 습도, 기온 및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의 정보와 함께 실내 건조, 실외 건조 또는 의류처리장치(1)의 건조 기능을 이용한 건조 중 어떠한 건조가 바람직한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단말기(2)는 습도, 기온 및 날씨와 같은 정보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외부 서버(9)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습도, 기온 및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의 정보에 따른 기 설정된 건조 방식이 상기 외부 서버(9) 또는 메모리 모듈(6)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D2에 디스플레이된 건조 방식의 정보에 따라서, 세탁 완료 후에 어떤 방식으로 세탁물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3구획(D3)에는 꽃가루 지수 및 상기 꽃가루 지수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알러지 경고"와 같은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꽃가루 지수는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 등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구획(D3)에 디스플레이된 꽃가루 지수 및 알러지 경고에 따라서, 알러지 케어 코스와 같은 특정 코스를 사용할지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4구획(D4)에는 외부 단말기(2)의 메모리 모듈(6)에 저장된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방법 등을 설명하는 "앱가이드"와 같은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 방법을 잘 모를 경우,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부(4)에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방법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5구획(D5)에는 외부 환경의 정보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5구획(D5)에는 계절, 날씨, 습도, 기온, 먼지 농도 및 꽃가루 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구획(D5)에는 코스 선택부(30)를 통해 선택 가능한 코스 중 외부 환경의 정보에 기초한 추천 코스와, 상기 제1구획(D1) 내지 제3구획(D3)을 통해 추천된 추천 코스(예를 들어, 통세척 코스, 알러지케어 코스, 건조기능 코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5구획(D5)에 디스플레이된 추천 코스들 중 원하는 코스를 디스플레이부(4)의 터치를 통하여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5구획(D5)에 디스플레이된 추천 코스들을 참고하여, 외부 환경에 기초한 바람직한 코스들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5구획(D5)에 디스플레이된 추천 코스들 중 원하는 하나 이상의 코스를 선택한 후, 의류처리장치(1)의 코스 선택부(30)에 구비된 실행 입력부(33)의 조작을 통해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6구획(D6)에는 상기한 제1구획(D1) 내지 제5구획(D5)에 디스플레이된 정보에 기초한 전체적인 추천 세탁 방식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구획(D6)에는 날씨와 관련된 정보, 세탁조(터브 또는 드럼)의 세척과 관련된 정보, 꽃가루 지수와 관련된 정보, 및 건조 방식과 관련된 정보가 서술형 문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의 제1구획(D1) 내지 제5구획(D5)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일일이 보지 않더라도, 제6구획(D6)에 설명된 문구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세탁 및 건조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6구획(D6)에는 제1구획(D1) 내지 제5구획(D5)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들을 포괄하는 정보가 서술형 문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예약 설정 방식을 설명한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4)를 통한 예약 설정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의류처리장치(1)의 코스 선택부(30)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된 추천 코스를 통해 원하는 코스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4)에는 입력된 코스에 따른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시작 시각 및 완료 시각이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날로그 시계(H1)의 형태(즉, 시계 바늘이 구비된 시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아날로그 시계(H1) 하측에는 디지털 시계(H2)의 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시작 시각 및 작동 완료 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탁 시작 시각 및 완료 시각은 현 시간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된 아날로그 시계(H1)에서, 전체 의류처리 시간(Ht)은 상기 시작 시각 및 완료 시각 사이의 공간이 부채꼴 형태로 발광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된 아날로그 시계(H1) 또는 디지털 시계(H2)를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 작동 시작 시각, 완료 시각 및 전체 의류처리 시간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에서 전체 의류처리 시간(Ht)이 표시된 부채꼴 형태로 발광된 부분을 터치 및 드레그하여 의류처리 완료 시각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시계(H1)에서 완료 시각을 나타내는 부분에 "완료"와 같은 문구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문구를 터치하고 원하는 위치(시각)까지 드레그하여 의류처리 완료 시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초기에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된 "완료" 문구의 제1위치(P1)에서 원하는 의류처리 완료 시각의 제2위치(P2)까지 상기 문구를 터치 및 드레그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을 예약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아날로그 시계(H1)의 터치 및 드레그를 통해 완료 시각을 변경한 후 터치를 해제하면, 디지털 시계(H2)에 표시되는 시작 시각 및 완료 시각도 따라서 변경된다.
이때, 의류처리 시작 시각 및 완료 시각만 변경되며, 전체 의류처리 시간은 변경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지털 시계(H2) 하측에 디스플레이되는 "취소" 또는 "예약완료" 터치부(버튼)를 터치하여 예약을 취소하거나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약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는 코스 변경부(CC) 및 날짜 변경부(DC)를 통하여 코스 및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을 원하는 날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된 아날로그 시계(H1)의 일부를 터치 및 드레그하여 용이하게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예약 시간이나 예약날짜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를 참조한 설명에서, 의류처리장치(1)의 코스 선택부(30)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된 추천 코스를 통해 원하는 코스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4)에는 입력된 코스에 따른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시작 시각 및 완료 시각이 디스플레이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시작 시각 및 완료 시각의 디스플레이는 예약 설정을 위한 것이므로, 디스플레이부(4)에 표시되는 별도의 예약 설정 버튼의 입력(즉,터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7 및 8을 통해 설명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구현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6을 통해 설명한 의류처리시스템의 구성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계(S100), 외부 단말기(2)에 구비된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S200), 코스 선택부(30) 또는 외부 단말기(2)의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코스가 선택되는 코스 선택 단계(S300), 및 실행 입력부(31)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실행 단계(S6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S200)에서, 외부 단말기(2)에는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코스 선택 단계(S300)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 중 원하는 코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는 계절, 날씨, 습도, 기온, 먼지 농도 및 꽃가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코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실행 단계(S600) 이후에,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상태가 외부 단말기(2)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실시간 디스플레이 단계(S70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1)가 수행하고 있는 코스 및 행정에 대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2)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코스 선택 단계(S300)와 실행 단계(S600) 사이에, 코스 선택 단계(S300)에서 선택된 코스에 따른 의류처리 시간이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디스플레이단계(S400) 및 외부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된 시간의 터치 및 드레그에 의해 의류처리 완료 시각을 변경하는 시간 변경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은 아날로그 시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입력 가능한 외부 단말기(2)에 표시된 시간의 터치 및 드레그에 의해 의류처리 완료 시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부(4)를 터치 및 드레그 함에 따라서, 용이하게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예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S200)에서, 외부 단말기(2)가 외부 서버(9)에 로그인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에 대하여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7에 추가되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외부 단말기(2)와 외부 서버(9)의 통신 기능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S200)는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S201), 외부 단말기(2)를 통해 외부 서버(9)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단계(S202), 외부 서버(9)로부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의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기(2)로 전송되는 전송 단계(S203), 및 외부 서버(9)로부터 외부 단말기(2)에 수신된 정보가 외부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신 단계(S204)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S201)에서, 외부 단말기(2)에 구비된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외부 단말기의 조작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의 터치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외부 단말기(2)와 의류처리장치(1)는 NFC 통신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단말기(2)는 외부 단말기(2)가 의류처리장치(1)에 소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면 외부 단말기(2)에서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거치부(50)에 외부 단말기(2)가 거치되면 외부 단말기(2)에 구비된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단계(S202)에서, 외부 단말기(2)의 메모리 모듈(6)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 및 의류처리장치 정보가 외부 서버(9)로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9)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단말기(2)를 통해 의류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음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전송 단계(S203)에서, 외부 서버(9)에 저장된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의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기(2)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9)에 저장되는 외부 환경의 정보는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약 5분 간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정보가 외부 서버(9)에서 외부 단말기(2)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신 단계(S204)에서, 외부 단말기(2)는 외부 서버(9)로부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4)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추천 코스의 정보를 통하여 계절 및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에 따라서 어떠한 코스가 적절한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의류처리장치 2 외부 단말기
9 외부 서버 10 케비닛 20 도어 30 코스 선택부 32 조작부 40 표시부
100 터브 200 드럼
300 구동부 400 세제 분사부
500 스팀 분사부 600 배출부
700 공기순환부 800 제어유닛

Claims (15)

  1. 외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외관을 형선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수용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전원 입력부, 기 설정된 코스들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도록 형성된 코스 선택부 및 선택된 코스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실행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입력된 후에 그리고 상기 실행 입력부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외부 단말기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행된 상기 터브 또는 상기 드럼의 세척시기 및 현재까지 수행된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전달받아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는 상기 외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상기 외부 단말기가 거치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이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외부 단말기는 NFC 통신을 위한 NFC 모듈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NFC 모듈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세척 시기 및 의류처리장치의 구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브 또는 상기 드럼의 세척 필요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는 계절, 날씨, 습도, 기온, 먼지 농도 및 꽃가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건조, 실외건조 및 의류처리장치의 건조 기능을 사용한 건조 중 하나의 건조 추천 정보와, 알러지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및 상기 외부 환경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외부 서버와 와이파이(Wi-Fi)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의 데이터 및 상기 외부 환경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코스 선택부가 조작되기 이전에, 상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환경에 따른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가 상기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
  11. 외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전원 입력부, 기 설정된 코스들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도록 형성된 코스 선택부, 실행 입력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에 구비된 의류 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
    상기 코스 선택부 또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의류 처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코스가 선택되는 코스 선택 단계; 및
    실행 입력부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에서, 외부 단말기에는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코스 선택 단계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 중 원하는 코스가 선택되고,
    상기 코스 선택 단계와 상기 실행 단계 사이에,
    상기 코스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코스에 따른 의류처리시간이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디스플레이단계; 및
    상기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시간의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의류처리 완료시각을 변경하는 시간변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는 계절, 날씨, 습도, 기온, 먼지 농도 및 꽃가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코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 실행 단계는,
    의류 처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외부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추천 코스의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기에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외부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가 상기 외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단계 이후에,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가 상기 외부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실시간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삭제
KR1020140098815A 2014-08-01 2014-08-01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2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815A KR102229976B1 (ko) 2014-08-01 2014-08-01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5/325,821 US10487437B2 (en) 2014-08-01 2015-06-19 Clothes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580041064.9A CN106574417B (zh) 2014-08-01 2015-06-19 衣物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EP15826621.3A EP3176298B1 (en) 2014-08-01 2015-06-19 Clothes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5/006227 WO2016017925A1 (ko) 2014-08-01 2015-06-19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6/589,743 US20200032447A1 (en) 2014-08-01 2019-10-01 Clothes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815A KR102229976B1 (ko) 2014-08-01 2014-08-01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882A KR20160015882A (ko) 2016-02-15
KR102229976B1 true KR102229976B1 (ko) 2021-03-19

Family

ID=5535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815A KR102229976B1 (ko) 2014-08-01 2014-08-01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395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543A1 (ko) * 2017-04-25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KR102537583B1 (ko) * 2017-05-11 2023-05-30 코웨이 주식회사 하프 미러 글라스로 이루어진 도어를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448500B1 (ko) * 2017-11-21 202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560730A (zh) * 2019-02-12 2020-08-2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家电的控制方法
KR102481701B1 (ko) * 2021-09-09 2022-12-27 주식회사 티알에이디 데이터를 이용한 스마트 가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291B1 (ko) * 2000-09-11 2003-12-3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972B1 (ko) * 2009-05-11 2015-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291B1 (ko) * 2000-09-11 2003-12-3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395A1 (ko) * 2021-06-28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882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4417B (zh) 衣物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29976B1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2997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32627A (ko) 세탁기,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20028664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280937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20023681A1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5488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34653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19896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US11560661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046418A (ja) 洗濯乾燥システム
KR20160015884A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988882B2 (en) Laundry treatment appliance slider-based user interface
AU2014308064A1 (en) Laundry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150050857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837724B1 (en) Laundry machine equipped with a user interface with a start-up procedure
CN102292495A (zh) 衣物处理机
JP2023183701A (ja) 衣類処理装置
KR102116382B1 (ko) 출력 화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