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739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739A
KR20150026739A KR20140014956A KR20140014956A KR20150026739A KR 20150026739 A KR20150026739 A KR 20150026739A KR 20140014956 A KR20140014956 A KR 20140014956A KR 20140014956 A KR20140014956 A KR 20140014956A KR 20150026739 A KR20150026739 A KR 20150026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operating
housing
cover
oper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오 이시다
다이치 모리
료타 소케이
아키히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스위치 장치(16)는 하우징(23), 조작체(26), 기판(24) 및 규제수단(68)을 구비한다. 조작체(26)는 하우징(23)의 전면 측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기판(24)은 하우징(23) 내에 배치되고, 조작체(26)의 후방으로의 이동으로 눌리며 또한 그 누름 가능하게 하는 누름 범위(a)를 갖고 있는 스위치 본체(43)가 실장된다. 규제수단(68)은 조작체(26)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스위치 본체(43)의 누름 범위(a) 내에서 규제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DEVICE}
본 발명은 조작체로 스위치 본체를 누름 조작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벽 스위치 등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하우징의 전면 측에 조작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우징 내에 스위치 본체를 실장한 기판이 배치되어 있어, 조작체로 스위치 본체를 누름 조작하는 구성이 있다.
스위치 본체는 예를 들어 택트 스위치 등이 사용되고 조작체에 의해 누름 가능하게 하는 누름 범위 내에서 눌러짐으로써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 구조를 갖는다.
일본 특허 제4530072호 공보
그러나, 조작체가 강하게 눌리고, 스위치 본체의 누름 범위를 초과하여 조작체가 이동한 경우, 스위치 본체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손상되거나, 기판이 변형되어 기판상의 부품의 땜납 접속부분 등이 손상되는 등, 스위치 장치의 고장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 조작체, 기판 및 규제수단을 구비한다. 조작체는 하우징의 전면 측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기판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조작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으로 눌러지고 또한 그 누름 가능하게 하는 누름 범위를 갖고 있는 스위치 본체가 실장된다. 규제수단은 조작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스위치 본체의 누름 범위 내에서 규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규제수단에 의해 조작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스위치 본체의 누름 범위 내로 규제함으로써, 스위치 본체나 기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5의 스위치 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와 동일한 도 5의 스위치 장치의 B-B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와 동일한 도 5의 스위치 장치의 C-C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와 동일한 스위치 장치의 분해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와 동일한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와 동일한 스위치 장치를 사용한 조명제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9의 스위치 장치의 D-D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와 동일한 스위치의 조작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와 동일한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조명제어 시스템(11)의 블럭도를 도시한다. 조명제어 시스템(11)은 예를 들어 사무실이나 점포 등의 설비에서 층마다 또는 구역마다 등의 복수의 조명 케이블마다 조명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비의 관리실 등에 설치되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주조작반(12)을 갖고, 이 주조작반(12)에 2선의 전송선(13)을 통하여 주조작반(12)으로부터의 지령으로 복수의 조명장치(14)의 온/오프나 조광 등의 조명제어상태를 제어하는 복수의 단말기(15), 조명장치(14)의 조명제어상태를 수동 조작하는 복수의 스위치 장치(16) 등이 서로 신호전송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각 단말기(15)는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를 갖고, 상기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주조작반(12)과의 사이에서 전송하는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미리, 복수의 조명 그룹마다 복수의 조명장치(14)가 각 단말기(15)를 통하여 할당되고, 주조작반(12)에 설정 등록되어 있다. 상기 조명 그룹의 할당 등은 스위치 장치(16)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설정기(17)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위치 장치(16)는 고유의 어드레스를 갖고 조명그룹마다의 조명장치(14)의 조명제어상태를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5에 스위치 장치(16)를 도시한다. 스위치 장치(16)는, 도시하지 않지만, 벽면재에 설치되는 설치구멍을 통하여, 벽면재의 이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배선 박스에 나사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6)는, 커버 본체(21)와 상기 커버 본체(21)의 후면 측에 부착되는 후방 커버(22)를 갖는 하우징(23), 상기 하우징(23) 내에 배치되는 기판(24), 하우징(23)의 전면 측으로부터 설치되는 복수의 도광체(25), 복수의 조작체(26), 및 화장 커버(27)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23)의 폭방향으로 폭이 넓은 도광체(25) 및 조작체(26)가 4개씩 사용되고, 이들 도광체(25) 및 조작체(26)가 하우징(23)의 전면 측에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열된 4개 타입의 스위치 장치(16)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기판(2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커버 본체(21)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료로, 배선 박스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지지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21)는 상하 방향으로 긴 평판 형상의 전면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부(30)의 상하 단부에는 배선 박스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부착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21)의 전면부(30)에는 하나의 도광체(25)와 하나의 조작체(26)를 세트로 하여 전방으로부터 배치되는 복수의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32)는 전면부(3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간된 복수 부분에, 하우징(23)의 폭방향을 따라서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32)에는 도광체(25) 및 조작체(26)의 일부가 각각 하우징(23) 내에 삽입 통과되도록 복수의 삽입통과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부(30)에는 삽입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21)의 후면에는 후방 커버(22)가 조합되는 사각형상의 테두리부(3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 커버(22)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료로 전면에 개구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 커버(22)의 주변부에는 후방 커버(22)를 커버 본체(21)의 테두리부(35)와 조합시킨 상태에서, 테두리부(35)에 걸어 고정시키는 복수의 걸림고정편(38)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 커버(22)의 후면에는 전송선(13)을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가 배치되는 한 쌍의 단자배치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24)은 후방 커버(22)의 내측에 끼워넣어지고, 또한 이 후방 커버(22)를 커버 본체(21)의 테두리부(35)에 조합시킨 상태에서 커버 본체(21)와 후방 커버(22) 사이에 끼어, 하우징(23) 내에 위치 결정 유지된다. 기판(24)의 전면에는 각 도광체(25)에 대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42), 각 조작체(26)로 조작되는 복수의 스위치 본체(43), 삽입 구멍(34)으로부터 삽입되는 설정기(17)의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등이 실장되어 있다. 또한, 기판(24)의 후면에는 전송선(13)을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전자기기는 생략되어 있다.
기판(24)은 스위치 본체(43)의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어드레스와 함께 전송선(13)을 통하여 주조작반(12)에 전송하거나, 주조작반(12)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자기의 어드레스의 신호를 수신하여 광원을 점등 표시하게 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42)은 하나의 도광체(25)마다 대응하여 한 쌍씩 사용되고 있다. 한 쌍의 광원(42)에는 다른 발광색의 L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스위치 본체(43)는 누름 조작에 의해 스위치 기구의 접점이 전환되고, 누름조작의 해제에 의해 스위치 기구의 접점이 원래대로 되돌아가는 택트 스위치이다. 스위치 본체(43)는 기판(24)의 전면에 실장되는 베이스(44), 및 상기 베이스(44)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누름 조작 가능하게 하는 누름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부(45)는 베이스(44)에 대하여 소정의 누름 범위(a) 내에서 누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스위치 기구 등이 갖는 부세수단에 의해 베이스(44)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부(45)가 눌러짐으로써 스위치 기구의 접점이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체(25)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한 도광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광체(25)는 한 쌍의 도광부(48), 이들 도광부(48)의 후면에 형성된 입사면(49), 한 쌍의 도광부(48)의 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50), 및 이 연결부(50)의 전면에 형성된 출사면인 표시부(51)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50) 및 표시부(51)는 폭방향을 따라서 폭넓게 형성되고, 연결부(50)의 폭방향 양측에 한 쌍의 도광부(48)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0)의 후단 주변부로부터 부착부(52)가 돌출되고, 상기 부착부(52)로부터 후방으로 복수의 걸림고정편(53)이 돌출되어 있다.
연결부(50)에는 한 쌍의 도광부(48)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서 홈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54)는 연결부(50)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적어도 절반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부(54)를 향하는 측면 부분이 도광부(48)로부터 연결부(50)에 도광된 광을 반사 가능하게 하는 반사부(5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부(52)가 커버 본체(21)의 오목부(32)에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복수의 걸림고정편(53)이 커버 본체(21)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도광체(25)가 하우징(23)에 고정되어 있다. 각 도광부(48)는 커버 본체(21)의 삽입통과구멍(33)을 통하여 하우징(23) 내에 돌출되고, 각 도광부(48)의 입사면(49)이 기판(24)의 각 광원(42)에 대향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26)는 예를 들어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체(26)는 폭방향으로 폭넓고, 도광체(25)의 표시부(51)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조작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58)의 전면은 상측보다 하측이 전방으로 돌출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58)의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돌출편(59)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이들 돌출편(59)에는 선단에 돌출조(60)를 갖는 걸림고정편(61)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이들 돌출편(59)에는 조작부(58) 및 돌출편(59)의 상방 영역에 돌출되는 대략 L자 형상의 탄성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62)와 조작부(58) 및 돌출편(59) 사이에는 도광체(25)의 연결부(50)가 삽입 통과되는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58)의 후부 중앙으로부터 누름편(64)이 돌출 설치되고, 조작부(58)의 후부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가이드편(65)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누름편(64)은 가이드편(65)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누름편(64)의 선단은 중앙이 양측보다 돌출되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58)의 후부 및 돌출편(59)이 커버 본체(21)의 오목부(32)에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양측의 걸림고정편(61)이 커버 본체(21)의 삽입통과구멍(33)을 삽입 통과하여 돌출조(60)가 커버 본체(21)의 후면 측에 걸림 고정되고, 또한 누름편(64) 및 가이드편(65)이 커버 본체(21)의 삽입통과구멍(33)을 통하여 하우징(23) 내에 돌출되어 조작체(26)가 하우징(23)의 전면 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부(62)는 커버 본체(21)의 전면 및 도광체(25)의 부착부(52)의 전면과 화장커버(27)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 본체(21)의 전면 및 도광체(25)의 부착부(52)의 전면과 화장 커버(27)의 후면이, 탄성부(62)가 접촉되는 접촉부(67)로서 구성되어 있다.
누름편(64)의 선단이 스위치 본체(43)의 누름부(45)에 접촉되어 있다. 조작체(26)를 누름 조작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스위치 본체(43)의 누름부(45)가 베이스(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부세되어 있어, 누름편(64)를 통하여 조작체(26)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조작체(26)의 후방으로 누름 조작했을 때에는 스위치 본체(43)의 누름 범위(a) 내에서, 조작체(26)의 후부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조작체(26)의 후부와 커버 본체(21)의 전면이, 조작체(26)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스위치 본체(43)의 누름 범위(a) 내에서 규제하는 규제수단(68)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편(64)의 선단이 스위치 본체(43)의 가동부(45)에 접촉되고, 조작체(26)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체(26)의 후부와 커버 본체(21)의 전면의 간격(b)은 스위치 본체(43)의 누름 범위(a) 보다 좁은 관계를 갖고 있다.
또한, 화장 커버(27)는 부착틀(71), 및 상기 부착틀(71)에 부착된 패널(72)을 갖고 있다. 부착틀(71)의 주변부에는 커버 본체(21)에 부착되는 복수의 걸림고정편(7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부착틀(71)의 전면에는 도광체(25)의 표시부(51) 및 조작체(26)의 조작부(58)가 각각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개구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부(74)의 상측의 중앙 위치 및 양측 위치에 접촉편(75)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접촉편(75)이 접촉부(67)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패널(72)에는 도광체(25)의 표시부(51) 및 조작체(26)의 조작부(58)가 각각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창부(7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장치(16)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커버 본체(21)의 전면으로부터 도광체(25) 및 조작체(26)를 순서대로 조립하여 부착한다. 후방 커버(22)에 기판을 조립하고, 커버 본체(21)의 틀부(35)에 후방 커버(22)를 부착한다. 마지막으로 (시공시에),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화장 커버(27)를 부착한다.
스위치 장치(16)의 조립 상태에서는 기판(24)이 커버 본체(21)와 후방 커버(22) 사이에 끼어 하우징(23) 내에 위치 결정 유지되어 있다.
도광체(25)는 커버 본체(21)에 걸림 고정되고, 도광부(48)의 입사면(49)이 광원(42)에 대향하여 광원(42)으로부터의 광을 도광부(48) 내에 입사 가능하게 하고 있다.
조작체(26)는 커버 본체(21)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누름편(64)이 스위치 본체(43)의 누름부(45)에 접촉되어 있다. 조작체(26)를 누름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위치 본체(43)의 누름부(45)가 베이스(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부세되어 있어, 누름편(64)을 통하여 조작체(26)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체(26)의 후부와 커버 본체(21)의 전면의 간격(b)은 스위치 본체(43)의 누름 범위(a)보다 좁아져 있다. 또한, 탄성부(62)는 커버 본체(21)의 전면 및 도광체(25)의 부착부(52)의 전면과 화장 커버(27)의 후면(부착틀(71)의 접촉편(7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광체(25)의 표시부(51) 및 조작체(26)의 조작부(58)가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화장 커버(27)의 창부(76)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58)는 표시부(5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체(26)의 조작부(58)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조작체(26)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누름편(64)으로 스위치 본체(43)의 누름부(45)가 눌러지고, 스위치 본체(43)의 스위치 기구의 접점이 전환된다.
이 때, 조작부(58)를 강하게 누름 조작했다고 해도, 스위치 본체(43)의 누름 범위(a) 내에서 조작체(26)의 후부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접촉되고, 조작체(26)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스위치 본체(43)나 기판(24)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58)의 중앙을 누름 조작한 경우에는 조작체(26)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대하여 평행인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기 쉽지만, 조작부(58)의 일측을 누름 조작한 경우에는 조작체(26)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대해서 비스듬해진 상태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가령, 조작체(26)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대하여 크게 기울어진 경우, 조작체(26)의 한쪽이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접촉되어 이동이 규제된 시점에서, 조작체(26)의 다른 쪽이 커버 본체(21)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누름편(64)이 스위치 본체(43)의 누름부(45)를 스위치 기구의 접점이 전환될 때까지 누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조작체(26)는 폭방향의 양측에 탄성부(6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작체(26)가 기울어지면, 탄성부(62)가 커버 본체(21)의 전면 및 도광체(25)의 부착부(52)의 전면이나 부착틀(71)의 접촉편(75)에 접촉되고, 조작체(26)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그 때문에, 조작체(26)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조작체(26)에서 스위치 본체(43)를 확실하게 누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62)에 의한 작용에 추가하여, 조작부(58)의 일측의 가장 단측을 누름 조작했으므로, 조작체(26)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조작체(26)의 타측이 커버 본체(21)에 압입되지 않고 커버 본체(21)의 전방 측으로 들뜨도록 이동하려고 하면, 타측의 걸림고정편(61)의 돌출조(60)가 커버 본체(21)의 후면 측에 걸리므로, 그 부분이 지점이 되어 누름편(64)에서 스위치 본체(43)의 누름부(45)를 누름 조작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본체(43)의 조작에 따라서, 예를 들어 한 쌍의 광원(42) 중 어느 한쪽이 점등, 다른 쪽이 소등된다. 점등된 광원(4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도광체(25)의 입사면(49)으로부터 도광부(48)에 입사되고, 도광부(48) 내를 도광하여 연결부(50)를 통하여 표시부(51)로부터 출사된다.
표시부(51)를 정면에서 본 경우, 도광부(48)의 정면 측에서의 점등 표시의 시인성이 좋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51)를 폭방향의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도, 도광부(48)의 정면 측에서의 점등표시의 시인성이 좋다. 가령, 연결부(50)에 홈부(5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광부(48)로부터 연결부(50)에 인도된 광이 연결부(50) 내에서 폭방향으로 확산되므로, 표시부(51)를 폭방향의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경우 점등표시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광부(48)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을 향하여 홈부(54)가 형성되어 있고, 홈부(54)를 향하는 측면 부분이 반사부(55)가 되어 도광부(48)로부터 연결부(50)에 도광된 광을 반사시키므로, 표시부(51)를 폭방향의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도 도광부(48)의 정면 측에서 점등 표시의 시인성이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16)에서는 규제수단(68)에 의해 조작체(26)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스위치 본체(43)의 누름 범위(a) 내로 규제함으로써, 스위치 본체(43)나 기판(24)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장의 발생이 적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체(26)가 하우징(23)의 전면 측으로부터 부착되는 구조이므로, 규제수단(68)은 하우징(23)의 전부와 조작체(26)의 후부의 접촉으로 규제할 수 있고, 규제수단(68)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규제수단(68)으로서는 하우징(23)의 전부 또는 조작체(26)의 후부의 한쪽에 돌기(스토퍼)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조작체(26)의 폭방향의 양측에 탄성부(62)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하우징(23) 측의 고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부(67)와의 접촉에 의해 조작체(26)가 하우징(23)에 대해서 비스듬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위치 본체(43)를 확실하게 누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광체(25)의 연결부(50)에 도광부(48)의 폭방향의 측부를 따라 반사부(55)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표시부(51)의 폭방향을 따른 비스듬한 방향에서 표시부(51)를 본 경우에, 반사부(55)에서 반사되는 광을 시인할 수 있고, 점등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부(48)의 폭방향의 측부를 따라서 연결부(50)에 홈부(54)를 형성함으로써 반사부(55)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체(26)의 조작부(58)와 도광체(25)의 표시부(51)가 상하로 병설되어 있어도 조작부(58)가 표시부(51)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조작부(58)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58)의 전면에는 상측보다 하측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사람이 조작하는 손가락의 각도와 조작부(58)의 전면의 각도가 가까워 조작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9에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구성이나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51) 및 조작부(58)가 하우징(23)의 상하 방향으로 4단, 폭방향으로 2열 배열된 8개 타입의 스위치 장치(16)이다.
기판(24)에는 8개의 스위치 본체(43)가 실장되고 또한 각 스위치 본체(43)의 폭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광원(42)이 실장되어 있다.
도광체(25)는 한 쌍의 도광부(48), 입사면(49), 연결부(50), 표시부(51), 부착부(52), 홈부(54) 및 반사부(55) 등을 포함하는 한 쌍의 도광체 구조를 부착부(52)로 연결한 일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체(26)는 조작부(58), 돌출편(59), 탄성부(62), 누름편(64) 및 가이드편(65) 등을 포함하는 한 쌍의 조작체 구조를 탄성부(62)로 연결한 일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각 탄성부(62)에는 부착틀(71)의 접촉편(75)에 접촉 가능하게 하는 돌기(62a)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체(26)의 한쪽의 조작부(58)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한쪽의 조작부(58)의 누름편(64)으로 대응하는 스위치 본체(43)를 누름 조작한다. 이 경우, 조작체(26)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어도 조작체(26)의 각 탄성부(62)가 커버 본체(21)의 전면 및 도광체(25)의 부착부(52)의 전면이나 부착틀(71)의 접촉편(75)에 접촉되고, 조작체(26)가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대하여 비스듬해지는 것을 억제한다. 그 때문에, 한쪽의 조작부(58)를 누름 조작해도 대응하는 스위치 본체(43)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또한, 한쪽의 조작부(58)의 누름조작을 해제하면, 눌려 있던 스위치 본체(43)의 부세에 의해 조작체(26)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각 탄성부(62)의 돌기(62a)가 접촉편(75)에 접촉되고 조작체(26)를 커버 본체(21)의 전면에 대하여 평행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16)의 설치 후, 화장 커버(27)가 벗겨진 상태에서 커버 본체(21)의 전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삽입구멍(34)으로부터 설정기(17)의 플러그를 기판(24)의 커넥터에 접속하고, 설정기(17)에서 각종 설정을 실시할 수 있다. 설정항목으로서는 예를 들어 각 스위치 본체(43)의 어드레스 설정, 단말기(15)와 스위치 본체(43)의 할당, 그룹에 할당되는 단말기(15)의 설정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스위치 본체(43)의 어드레스 설정시, 스위치 본체(43)에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상기 스위치 본체(43) 및 대응하는 단말기(15)가 정상이면 스위치 본체(43)를 누름 조작하면 광원(42)이 점등한다.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스위치 본체(43)를 누름 조작하면 광원(42)이 점멸하고,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린다. 그 때문에, 광원(42)이 점멸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광원(42)이 점등 및 점멸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15) 측이 원인인 경우와, 스위치 본체(43) 측이 원인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설정기(17)에서 스위치 본체(43)의 어드레스를 삭제하는 조작을 한 후, 다시 스위치 본체(43)를 누름 조작했을 때 광원(42)이 점멸되면 단말기(15) 측이 원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광원(42)이 점멸하지 않으면 스위치 본체(43) 측이 원인이라고 판별할 수 있어 원인을 분별할 수 있다.
또한, 그룹에 할당되는 단말기(15)를 설정하는 경우, 예를 들어 좌측열의 4개의 조작부(58)에 대응하는 단말기(15)를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4개의 조작부(58)를 동시에 누름 조작함으로써 대응하는 4개의 스위치 본체(43)를 선택하게 되어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 때, 4개의 스위치 본체(43)가 누름 조작되어 있는 시간이 통상의 조명 상태를 전환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본체(43)의 누름 조작되는 시간에 상당하는 소정의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그룹의 선택으로 판단하고, 조명상태를 전환하지 않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6: 스위치 장치 23: 하우징
24: 기판 26: 조작체
43: 스위치 본체 62: 탄성부
67: 접촉부 68: 규제수단

Claims (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 측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으로 눌러지고 또한 그 누름 가능하게 하는 누름 범위를 갖고 있는 스위치 본체가 실장된 기판;
    상기 조작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상기 스위치 본체의 누름 범위 내에서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 측으로부터 부착되고,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전부와 상기 조작체의 후부의 접촉으로 규제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서 가로로 길게 설치되고 또한 폭방향의 양측에 탄성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측의 고정위치에, 상기 탄성부가 접촉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
KR20140014956A 2013-08-30 2014-02-10 스위치 장치 KR20150026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0485A JP6195060B2 (ja) 2013-08-30 2013-08-30 スイッチ装置
JPJP-P-2013-180485 2013-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739A true KR20150026739A (ko) 2015-03-11

Family

ID=5145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4956A KR20150026739A (ko) 2013-08-30 2014-02-10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95060B2 (ko)
KR (1) KR20150026739A (ko)
CN (1) CN203812763U (ko)
TW (1) TW2015087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1440B2 (ja) * 2015-03-18 2019-03-13 三菱電機株式会社 壁スイッチ装置
JP6941283B2 (ja) * 2016-09-28 2021-09-29 日立金属株式会社 タービンブレード用素材の製造方法
JP6832529B2 (ja) * 2017-04-21 2021-0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端末器
JP6908467B2 (ja) * 2017-08-21 2021-07-28 株式会社ミツバ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0521U (ja) * 1982-02-12 1983-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イツチ動作規制機構
JPS61260510A (ja) * 1985-05-15 1986-1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キ−ボ−ド装置
JPH0731960B2 (ja) * 1986-04-16 1995-04-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押釦装置
JPH11162283A (ja) * 1997-11-28 1999-06-18 Mitsumi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キー装置
JP2004022435A (ja) * 2002-06-19 2004-01-22 Smk Corp キー釦の進退装置
JP4530072B2 (ja) * 2008-04-24 2010-08-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操作端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812763U (zh) 2014-09-03
JP2015050013A (ja) 2015-03-16
JP6195060B2 (ja) 2017-09-13
TW201508791A (zh) 201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4979A1 (en) Illumination module and illuminated keyboard having the same
US9304250B2 (en) Light emitting unit
KR20150026739A (ko) 스위치 장치
US7220929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11801752B2 (en)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KR20150026740A (ko) 스위치 장치
US7492423B2 (en) Light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4161972B2 (ja) 照明器具
US7455415B2 (en) Operation device
JP644749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押しボタンスイッチユニット
JP6365903B2 (ja) スイッチ装置
US10056201B2 (en) Push switch
JP4470779B2 (ja) スイッチ用プリズ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波動スイッチ
US10535831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planar light source
CN113428076A (zh) 照明灯及照明灯的框状体
KR101488689B1 (ko) 광원 모듈을 구비한 단자 접속 장치
CN111746430A (zh) 开关结构
JP641385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6168455B2 (ja) スイッチ
JP7189508B2 (ja) 照明器具
KR102330130B1 (ko) 액정표시장치
CN111381691B (zh) 具有活动发光结构的鼠标
KR102557248B1 (ko)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JP5330900B2 (ja) 表示灯
JPH067982Y2 (ja) 車両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