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638A - 자동차용 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638A
KR20150026638A KR20130105738A KR20130105738A KR20150026638A KR 20150026638 A KR20150026638 A KR 20150026638A KR 20130105738 A KR20130105738 A KR 20130105738A KR 20130105738 A KR20130105738 A KR 20130105738A KR 20150026638 A KR20150026638 A KR 20150026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box
box body
louvers
voi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131B1 (ko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1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5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protecting electronic components against vibration and moisture, e.g. potting, holders for relatively large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박스의 외관과 골격을 박스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10)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2몸체(12)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발성부(20)가 있다. 상기 발성부(20)의 내부에는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설치된 기판(17)에 실장된 발성수단(22)이 있다. 상기 제2몸체(12)의 내면에는 상기 발성수단(22)의 상단부가 내부에 위치하는 소리전달통(24)이 형성된다. 상기 소리전달통(24)은 상기 발성수단(22)의 상단부를 둘러싼다. 상기 소리전달통(24)의 내면에는 요철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리전달통(24)과 연통되게 상기 제2몸체(12)에는 발성관통부(28)가 형성되고, 상기 발성관통부(28)에는 발성부그릴(30)이 형성되어 소리는 외부로 전달하고 이물질이 소리전달통(24)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메시지 알림 소리를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잘 전달하면서도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박스몸체(10)의 내부공간(13)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박스{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설치된 발성수단의 소리가 외부로 잘 전달되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박스의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박스에는 정션박스, 퓨즈박스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박스는 많은 종류의 부품을 모아서 배치할 수 있어 자동차의 조립작업성을 높이고 공간활용성을 높여주는 좋은 점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박스가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전기자동차가 개발되어 상용화되면서 더욱 그 효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박스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설치된 기판 상에 부품을 실장하거나 내부의 특정 위치에 부품을 설치하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여야 했다. 자동차용 박스 내부의 기판 상에 부품을 실장한 경우에는 자동차용 박스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물론, 해당 부품이 자동차용 박스의 내부에서만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되는 것이라면 상관이 없다.
하지만, 자동차용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지만, 자동차용 박스의 외부로 까지 해당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자동차용 박스의 몸체나 커버에 통공을 형성하여야 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통공은 자동차용 박스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므로 외부에서 내부로 이물질이 전달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3268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1918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내부에서 발생된 소리를 박스의 외부로 전달하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박스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기판을 포함하는 부품들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몸체와. 상기 기판에 설치된 터미널이 상기 박스몸체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외부연결부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발성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발성수단에서 나온 소리가 상기 박스몸체의 외부로 전달되어 소정의 메시지를 제공하는 발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성수단은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소리전달통이 상단을 둘러싸도록 위치된다.
상기 소리전달통의 내면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발성부에는 상기 발성수단에서 나온 소리를 박스몸체의 외부로 전달하는 발성부그릴이 구비되는데, 상기 발성부그릴에는 상기 박스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발성관통부를 가로질러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루버와 소리의 전달방향으로 상기 제1루버보다 하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루버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루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사이에는 연결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루버의 사이에 형성된 제1연통부와 상기 제2루버의 사이에 형성된 제2연통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발성부그릴은 상기 박스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발성관통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돌출되게 형성된 그릴벽체가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그릴벽체의 내면에 상기 제1 및 제2 루버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2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발성관통부에 발성부그릴을 형성함에 있어서 제1루버와 제2루버가 소리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동시에 소리의 유동단면에 대해 상기 제1루버와 제2루버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소리는 상기 제1루버의 사이와 제2루버의 사이를 통해 외부로 잘 전달되나 이물질은 상기 제1루버와 제2루버가 유동단면에 대해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 박스 내부로 쉽게 전달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발성관통부의 내측에 발성수단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소리전달통이 제2몸체에 형성되는데, 상기 소리전달통의 내부에는 발성수단에서 나온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는 요철구조를 두었으므로, 발성수단에서 나온 소리가 외부로 증폭되어서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소리전달통은 발성수단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어 발성관통부와 박스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박스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발성수단까지만 전달되어 박스 내부가 이물질로 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발성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소리전달통의 구조와 발성부그릴의 내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박스의 외관과 골격을 박스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10)는 본 실시례에서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2)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내부공간(13)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공간(1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17)등 박스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구성들이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박스몸체(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몸체(11)의 일측에 장착브라켓(1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14)은 박스를 자동차의 프레임이나 패널 등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몸체(12)의 외면 일측에는 외부연결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연결부(16)는 커넥터와 같은 것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를 통해 박스의 내부와 외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16)에는 상기 내부공간(13)에 설치된 기판(17)에 실장된 터미널(18)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18)은 상기 제2몸체(12)를 관통하여 선단을 포함하는 일부가 상기 외부연결부(16) 내에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18)은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몸체(12)의 일측 외면에는 발성부(20)가 있다. 상기 발성부(20)는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몸체(12)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지만, 그 위치는 어디라도 상관없다. 즉, 몸체(10)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형성된다면, 어디라도 상관없다. 이는 발성부(20)에서 발생된 소리가 박스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상기 발성부(20)에는 발성수단(22)이 있다. 상기 발성수단(22)은 실제로 소리를 만들어내는 소자이다. 상기 발성수단(22)의 예로는 부저가 있다. 상기 발성수단(22)은 상기 기판(17)에 실장되어 있다. 상기 발성수단(22)은 기판(17)에 구비된 제어소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기판(17)에 반드시 상기 발성수단(22)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성수단(22)에서 발생된 소리는 상기 발성수단(22)의 일측 외면을 통해 외부로 나오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소리전달통(24)의 내부에 있도록 발성수단(22)의 상면에 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발성수단(22)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소리전달통(24)이 있다. 상기 소리전달통(24)은 상기 제2몸체(12)의 내부 천정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소리전달통(24)은 상기 발성수단(22)의 상단을 둘러쌀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소리전달통(24)이 상기 발성수단(22)의 상단을 둘러쌈에 의해 상기 제2몸체(12)를 관통하여 형성된 아래에서 설명될 발성관통부(28)를 통해 박스몸체(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소리전달통(24)이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는 상기 발성수단(22)의 형상에 맞춰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소리전달통(24)의 구조는 상기 발성수단(22)에서 발생된 소리를 증폭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소리전달통(24)의 내면에는 요철구조(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구조(26)는 반사음들이 소리전달통(24)의 내부에 고르게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소리전달통(24)의 내부에 고르게 반사음들이 퍼지면 아래에서 설명될 발성관통부(28)의 제1연통부(33) 및 제2연통부(35)를 통해 외부로 잘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리전달통(24)의 내부와 연통되게 발성관통부(28)가 상기 제2몸체(12)에 형성된다. 상기 발성관통부(28)는 상기 소리전달통(24)과 거의 같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발성관통부(28)는 상기 소리전달통(24) 내의 소리가 박스몸체(10)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발성관통부(28) 내에는 발성부그릴(30)이 있다. 상기 발성부그릴(3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제2몸체(12)의 외면에 상기 발성관통부(28)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돌출되게 그릴벽체(31)가 있다. 상기 그릴벽체(31)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발성관통부(28)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발성부그릴(30)에는 제1루버(32)와 제2루버(34)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루버(32)는 상기 발성부그릴(30)중에서 상기 발성관통부(28) 내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1루버(32)는 상기 발성관통부(28)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가장 길이가 긴 제1루버(32)는 상기 발성관통부(28)의 중심을 통과하거나 중심에 인접한 것이다. 상기 제1루버(32)들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데, 이 간격을 제1연통부(33)라 하기로 한다. 상기 제1연통부(33)의 폭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루버(34)의 폭과 같다.
상기 제2루버(34)는 상기 발성부그릴(30)을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제1루버(32) 사이의 간격인 제1연통부(33)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2루버(34)의 폭은 상기 제1연통부(33)의 간격과 같다. 상기 제2루버(34) 사이의 간격을 제2연통부(33)라 하기로 한다. 상기 제2연통부(35)의 폭은 상기 제1루버(32)의 폭과 같다.
하지만, 상기 제1루버(32)에 비해 상기 제2루버(34)는 상기 발성부그릴(30)의 외측에 있다. 즉, 발성수단(22)에서 나온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경로 상에서 상대적으로 하류부에 상기 제2루버(34)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루버(32)와 제2루버(34) 사이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공간(36)이 있다. 상기 연결공간(36)은 상기 제1연통부(33)와 제2연통부(35) 사이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박스는 제1몸체(11)의 내부에 상기 기판(17)을 설치하고, 상기 제2몸체(12)를 상기 제1몸체(11)에 결합하여 상기 기판(17)이 노출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제2몸체(12)의 내부에 형성된 소리전달통(24)이 상기 기판(17)에 설치된 발성수단(22)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한다. 상기 소리전달통(24)의 내부에 상기 발성수단(22)의 상단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소리전달통(24)의 내부는 상기 내부공간(13)과 연통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발성부(20)의 발성관통부(28)를 통해 이물질이 상기 소리전달통(24)의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내부공간(13)으로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몸체(11)와 제2몸체(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브라켓(14)을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한다. 상기 장착브라켓(14)이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되면, 상기 발성부(20)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출된다. 상기 외부연결부(16)에는 커넥터가 결합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사용중, 상기 발성수단(22)이 동작하여야 할 경우에는 상기 발성수단(22)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에 의해 상기 발성수단(22)이 동작된다. 상기 발성수단(22)이 동작되면, 소리가 발생하게 되고, 이 소리는 자동차의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소정의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발성수단(22)에서 발생된 소리는 상기 소리전달통(24)의 내부로 전달되고, 상기 소리전달통(24) 내에서 증폭되어 상기 발성관통부(28)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소리전달통(24) 내에서는 상기
상기 발성관통부(28)에서는 상기 제1루버(32)의 사이에 형성된 제1연통부(33)를 소리가 통과한다. 상기 제1연통부(33)를 통과한 소리는 상기 연결공간(36)으로 전달되고, 상기 연결공간(36)에서 상기 제2연통부(35)를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소리전달통(24)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구조(26)는 발성수단(22)에서 나온 소리가 골고루 퍼지게 하여 상기 제1연통부(33)들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소리가 한쪽으로 치우칠 경우 제1루버(32)에 의해 소리가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소리전달통(24) 내부로 소리가 퍼지도록 하여 상기 제1연통부(33)들을 통해서 소리가 연결공간(36)으로 전달되고, 계속해서 상기 연결공간(36)에서 다시 제2연통부(35)를 통해 외부로 소리가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발성부(20)에서 나와서 박스몸체(10)의 외부로 전달된 소리는 상기 박스몸체(10)가 설치된 공간 내에서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어 특정한 메시지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발성수단(22)이 상기 기판(17)에 실장되어 있으나, 상기 발성수단(22)이 반드시 기판(17)에 실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박스몸체(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10: 박스몸체 11: 제1몸체
12: 제2몸체 13: 내부공간
14: 장착브라켓 16: 외부연결부
17: 회로기판 18: 터미널
20: 발성부 22: 발성수단
24: 소리전달통 26: 요철구조
28: 발성관통부 30: 발성부그릴
32: 제1루버 33: 제1연통부
34: 제2루버 35: 제2연통부
36: 연결공간

Claims (6)

  1. 내부에 기판을 포함하는 부품들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박스몸체와.
    상기 기판에 설치된 터미널이 상기 박스몸체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외부연결부와,
    상기 박스몸체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발성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발성수단에서 나온 소리가 상기 박스몸체의 외부로 전달되어 소정의 메시지를 제공하는 발성부를 포함하는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성수단은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박스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소리전달통이 상단을 둘러싸도록 위치되는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전달통의 내면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박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성부에는 상기 발성수단에서 나온 소리를 박스몸체의 외부로 전달하는 발성부그릴이 구비되는데, 상기 발성부그릴에는 상기 박스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발성관통부를 가로질러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루버와 소리의 전달방향으로 상기 제1루버보다 하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루버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루버를 포함하는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루버와 제2루버의 사이에는 연결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루버의 사이에 형성된 제1연통부와 상기 제2루버의 사이에 형성된 제2연통부를 연통시키는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성부그릴은 상기 박스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발성관통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돌출되게 형성된 그릴벽체가 외면을 형성하고, 상기 그릴벽체의 내면에 상기 제1 및 제2 루버가 형성되는 박스.
KR1020130105738A 2013-09-03 2013-09-03 자동차용 박스 KR10209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738A KR102090131B1 (ko) 2013-09-03 2013-09-03 자동차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738A KR102090131B1 (ko) 2013-09-03 2013-09-03 자동차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638A true KR20150026638A (ko) 2015-03-11
KR102090131B1 KR102090131B1 (ko) 2020-04-14

Family

ID=5302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738A KR102090131B1 (ko) 2013-09-03 2013-09-03 자동차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1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186U (ko) * 1985-02-08 1986-08-21
KR20000013740U (ko) * 1998-12-24 2000-07-15 황창선 휴즈박스
KR20090119182A (ko) 2008-05-15 2009-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정션박스용 와이어링 보호장치
KR20100032686A (ko) 2008-09-18 2010-03-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와이어 고정구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186U (ko) * 1985-02-08 1986-08-21
KR20000013740U (ko) * 1998-12-24 2000-07-15 황창선 휴즈박스
KR20090119182A (ko) 2008-05-15 2009-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정션박스용 와이어링 보호장치
KR20100032686A (ko) 2008-09-18 2010-03-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와이어 고정구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131B1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16802B (zh) 包括扬声器设备和发光设备的扬声器
US11073600B2 (en) Radar sensor
WO2020078316A1 (zh) 一种电动汽车的行人警示装置
WO2004007097A8 (en) Acoustic-signal emitting device for vehicles
US6166623A (en) Modular alarm assembly
JP4648049B2 (ja) アンテナ装置
US10142723B2 (en) Motor vehicle combined instrument having a helmholtz resonator as acoustic element
EP3010770B1 (en) Appliance with volumetric detector, usable in particular in anti-break-in systems for vehicles
ATE500692T1 (de) Gehäuse und gehäusesystem für einen lautsprecher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KR20150026638A (ko) 자동차용 박스
JP2015038575A (ja) 圧電式ブザー
CN210807563U (zh) 一种硅麦克风
KR101979167B1 (ko) 발음기
CN112369045B (zh) 壳体组件以及电子设备
JP4796634B2 (ja) 消火栓格納箱の機器取付構造
RU2729774C1 (ru) Структура размещения датчика взлома
JP2007248969A (ja) 発音装置
JPS58162994A (ja) 電気式警音器
JP2006310961A (ja) スピーカー装置
GB2421620A (en) Fire alarm sounder
KR102601986B1 (ko) 가상엔진 사운드발생장치
JP2009188491A (ja) グースネック型マイクロホン
WO2008046815A3 (de) Geräuschveränderungsvorrichtung
JP2006232040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20090055667A (ko) 운전석 클러스터내의 경고음 발생용 스피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