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206A -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 - Google Patents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206A
KR20150026206A KR20130104716A KR20130104716A KR20150026206A KR 20150026206 A KR20150026206 A KR 20150026206A KR 20130104716 A KR20130104716 A KR 20130104716A KR 20130104716 A KR20130104716 A KR 20130104716A KR 20150026206 A KR20150026206 A KR 20150026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alignment state
alignment
inspec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436B1 (ko
Inventor
정진민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4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은 피검사체를 파지하는 단계; 상기 피검사체의 파지시 정렬 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정렬 상태가 정상일 경우 후속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정렬 상태가 비정상일 경우 상기 피검사체를 파지하는 부재 자체에서 상기 정렬 상태를 보정하거나 또는 상기 피검사체를 정렬 부재로 이송시켜 상기 정렬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 상태가 보정된 상기 피검사체의 보정 정렬 상태가 정상일 경우 상기 후속 공정을 수행하고, 비정상일 경우 경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Method for aligning article}
본 발명은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에스디(SSD)의 제조에 적용되는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피검사체를 정렬하기 위한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소자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의 제조에서는 패키징된 집적회로 소자(이하, '반도체 소자'라 함)를 대상으로 전기적 성능, 열적 스트레스 등과 같은 성능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성능, 열적 스트레스 등과 같은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의 예로서는 테스트 핸들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소자 중 에스에스디(SSD : Solid State Drive)의 경우에는 베어 상태에서 성능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상기 에스에스디의 제조에 적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대상으로 성능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 에스에스디의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이에 상기 에스에스디의 제조에 적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경우 그 크기가 일정하지 하지 않아 상기 테스트시 정렬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테스트에서도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이송 경로를 따라 로딩 및 언로딩함에 의해 테스트 핸들러에 부속되는 리트프(lift) 유니트, 해드(head) 유니트, 랙(rack) 유니트 등과 같은 다수개의 유니트들 각각에 안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는 다수개의 유니트들 각각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상황이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테스트 핸들러 자체를 에러 상태로 설정하여 테스트 핸들러의 가동을 중단하고, 작업자가 이를 보정함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의 경우에는 상기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의 안착에 따른 불량이 발생할 경우 테스트 핸들러의 가동을 중단하고, 작업자가 이를 보정하기 때문에 테스트 핸들러의 운용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테스트에 따른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피검사체에 대한 성능을 테스트할 때 피검사체를 파지하는 부재 또는 정렬 부재를 사용하여 피검사체의 정렬을 보정할 수 있는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은 피검사체를 파지하는 단계; 상기 피검사체의 파지시 정렬 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정렬 상태가 정상일 경우 후속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정렬 상태가 비정상일 경우 상기 피검사체를 파지하는 부재 자체에서 상기 정렬 상태를 보정하거나 또는 상기 피검사체를 정렬 부재로 이송시켜 상기 정렬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 상태가 보정된 상기 피검사체의 보정 정렬 상태가 정상일 경우 상기 후속 공정을 수행하고, 비정상일 경우 경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언급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에서, 상기 피검사체의 정렬 상태에 대한 보정은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에 따르면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피검사체에 대한 성능을 테스트할 때 피검사체를 파지하는 부재 또는 정렬 부재를 사용하여 피검사체의 정렬을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개의 유니트들 각각에 피검사체가 안착되는 불량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검사체의 검사 방법을 적용하여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 등에 대한 성능을 테스트할 경우에는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의 안착에 따른 불량이 발생하여도 언급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정렬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피검사체의 검사 방법을 이용하는 검사 장치의 운용에 따른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더불어 성능 테스트에 따른 시간의 단축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먼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장치의 예로서는 테스트 핸들러를 들 수 있다. 아울러, 피검사체의 예로서는 에스에스디로 제조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등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은 상기 테스트 핸들러를 사용한 상기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시 상기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을 정렬하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스트 핸들러를 사용하여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에스에스디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스에스디는 베어 상태에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으로써, 베어 구조는 케이스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베어 상태의 에스에스디는 인쇄회로기판, 다수개의 플래쉬 메모리, 제어기, 입출력 제어기,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플래쉬 메모리, 제어기, 입출력 제어기, 커넥터 등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제어기와 입출력 제어기가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플레쉬 메모리가 실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스트 핸들러를 사용한 에스에스디의 신뢰성 테스트에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피검사체로 이해할 수 있고, 이에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정렬하는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언급한 베어 상태의 에스에스디, 즉 인쇄회로기판은 용량, 구조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의 경우에도 동일한 테스트 핸들러를 사용하여 성능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즉,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각각에 부합되는 테스트 핸들러 각각을 별도로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테스트 핸들러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의 경우에는 상기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이 이송 경로를 따라 로딩 및 언로딩함에 의해 테스트 핸들러에 부속되는 리트프 유니트, 해드 유니트, 랙 유니트 등과 같은 다수개의 유니트들 각각에 안착될 때 그 크기가 일정하지 하지 않기 때문에 정렬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는 언급한 바와 같이 리트프 유니트, 해드 유니트, 랙 유니트 등과 같은 다수개의 유니트들을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테스트 핸들러를 사용한 상기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성능을 테스트할 때 상기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이 리트프 유니트, 해드 유니트, 랙 유니트 등과 같은 다수개의 유니트들 사이를 이송 경로를 따라 로딩 및 언로딩하고, 그리고 다수개의 유니트들 각각에 안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으로써 상기 테스트 핸들러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정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피검사체를 인쇄회로기판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상기 피검사체를 파지하는 부재를 로봇암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검사체인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한다.(S11)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주로 파지 부재로써 로봇암 등을 사용하여 파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피검사체의 정렬 상태를 확인한다.(S13)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렬 상태가 정상으로 확인되면 후속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정렬 상태가 비정상으로 확인되면 정렬 상태의 보정을 수행한다.(S15)
여기서, 상기 정렬 상태의 확인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파지하는 상기 로봇암에 구비되는 센서를 사용함에 의해 달성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정렬 상태의 보정은 상기 로봇암 자체에서 수행하거나 또는 피검사체를 정렬하기 위한 부재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정렬 상태를 보정한 이후 상기 보정된 정렬 상태를 확인한다.(S17) 이때, 상기 보정된 정렬 상태가 정상이면 후속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보정된 정렬 상태가 비정상이면 다시 상기 비정상인 정렬 상태를 보정한다. 여기서, 상기 비정상인 정렬 상태의 보정은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설정된 횟수는 임의적으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정상적인 정렬 상태의 보정을 설정된 횟수만큼 진행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비정상적인 정렬 상태로 확인될 경우에는 경보를 제공하고(S19), 작업을 종료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검사체인 인쇄회로기판의 로딩 및 언로딩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정령 상태에 대한 보정을 테스트를 위한 장치인 테스트 핸들러의 가동 중단없기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을 테스트 핸들러에 적용할 경우 테스트 핸들러의 가동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 상태의 보정시 상기 피검사체를 정렬하기 위한 부재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피검사체를 정렬 상태를 보정하기 위한 정렬 유니트는 챔버, 푸싱바, 구동부, 제1 센서, 제2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검사체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핸들러는 테스트 핸들러는 리트프 유니트, 해드 유니트, 랙 유니트 등과 같은 다수개의 유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피검사체인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리트프 유니트, 해드 유니트, 랙 유니트 등과 같은 다수개의 유니트 사이를 이송 경로를 따라 로딩 및 언로딩하고, 그리고 다수개의 유니트 각각에 안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언급한 리트프 유니트, 해드 유니트, 랙 유니트 등과 같은 다수개의 유니트 사이를 이송 경로를 따라 로딩 및 언로딩하고, 이에 다수개의 유니트 사이에서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파지시 정렬 상태를 확인하고, 아울러 다수개의 유니트 각각에 안착될 때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상황에 따른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렬 유니트를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정렬한 후 다시 언급한 유니트 각각에 안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정렬 유니트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테스트를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이 이송 경로를 따라 로딩 및 언로딩함에 의해 파지가 이루어지는 인쇄회로로기판의 정렬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여 정렬 상태를 보정한 후 다시 상기 유니트들 각각에 안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언급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이 파지에 따른 정렬 상태 또는 다수개의 유니트 각각에 안착되는 상황이 비정상으로 확인될 경우 에러를 통한 테스트 핸들러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정렬 유니트를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자체적으로 정렬시킴으로써 테스트를 위한 공정을 테스트 핸들러의 가동 중단없이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렬 유니트는 상기 리트프 유니트, 해드 유니트, 랙 유니트 등과 같은 다수개의 유니트들 중 어느 하나의 유니트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테스트를 위한 대상물인 인쇄회로기판의 로딩 및 언로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리프트 유니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정렬 유니트에서 상기 챔버는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보다 다소 큰 크기를 갖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푸싱바는 상기 챔버 내에 수용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챔버 일측으로 푸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챔버 내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경우 언급한 바와 같이 그 크기를 서로 달리하기 때문에 상기 챔버 일측으로 푸싱하여 정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써, 이에 상기 푸싱바를 이용하여 챔버 내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챔버 일측으로 푸싱하여 정렬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푸싱바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써, 주로 상기 푸싱바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및 상기 푸싱바와 연결되는 실린더 등과 같은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스프링의 텐선에 의해 푸싱바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챔버 내에 수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챔버 일측으로 푸싱할 수 있고, 아울러 실린더 등과 같은 부재에 의해 상기 푸싱바를 직선 운동시킴으로써 푸싱바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는 푸싱바의 푸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챔버 일측으로 푸싱됨에 따라 정렬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정렬 상태를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챔버 일측으로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하는 상태를 센싱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센서와 연결되는 것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상기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뢰기판의 테스트를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이 이송 경로를 따라 로딩 및 언로딩함에 의해 파지가 이루어지는 정렬 상태 또는 다수개의 유니트 각각에 안착되는 정렬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로봇암 자체에서 정렬 상태를 보정하거나 또는 상기 정렬 유니트를 사용하여 정렬 상태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테스트 핸들러는 상기 로봇암 등과 같은 파지 부재 자체에서 인쇄회로기판의 정렬 상태를 보정하거나 또는 정렬을 위한 부재인 상기 정렬 유니트를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정렬 상태를 보정함으로써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의 테스트를 위하여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이 이송 경로를 따라 로딩 및 언로딩함에 의해 파지 부재에서의 정렬 상태 또는 다수개의 유니트들 각각에 안착되는 정렬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될 경우 신속하게 정렬 상태를 보정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검사체의 검사 방법을 적용하여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 등에 대한 성능을 테스트할 경우에는 에스에스디의 인쇄회로기판의 안착에 따른 불량이 발생하여도 자체적으로 정렬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장치인 테스트 핸들러의 운용에 따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성능 테스트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피검사체를 파지하는 단계;
    상기 피검사체의 파지시 정렬 상태가 정상 또는 비정상인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정렬 상태가 정상일 경우 후속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정렬 상태가 비정상일 경우 상기 피검사체를 파지하는 부재 자체에서 상기 정렬 상태를 보정하거나 또는 상기 피검사체를 정렬 부재로 이송시켜 상기 정렬 상태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 상태가 보정된 상기 피검사체의 보정 정렬 상태가 정상일 경우 상기 후속 공정을 수행하고, 비정상일 경우 경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체의 정렬 상태에 대한 보정은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
KR1020130104716A 2013-09-02 2013-09-02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 KR101837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16A KR101837436B1 (ko) 2013-09-02 2013-09-02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16A KR101837436B1 (ko) 2013-09-02 2013-09-02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06A true KR20150026206A (ko) 2015-03-11
KR101837436B1 KR101837436B1 (ko) 2018-03-12

Family

ID=5302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716A KR101837436B1 (ko) 2013-09-02 2013-09-02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9405A (zh) * 2018-05-28 2018-11-13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一种基于六轴机械臂的自动测试路径规划方法及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7112B2 (ja) * 2008-10-06 2013-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部品検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9405A (zh) * 2018-05-28 2018-11-13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一种基于六轴机械臂的自动测试路径规划方法及其系统
CN108789405B (zh) * 2018-05-28 2021-04-27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一种基于六轴机械臂的自动测试路径规划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436B1 (ko)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4219B2 (ja) 検査装置におけるプリアライメント方法及びプリアライメント用プログラム
WO2018168263A1 (ja) 検査装置の診断方法および検査システム
KR20120110612A (ko) 핸들러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스템
KR20160146328A (ko) 교체용 트레이 이송 장치
KR101837436B1 (ko) 피검사체의 정렬 방법
US9013201B2 (en) Method of testing an objec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0950034B1 (ko) 메모리모듈 실장 테스트 핸들러
US10078111B2 (en) Handler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150019262A (ko) 반도체 패키지의 검사 방법
KR20140017303A (ko) 기판 검사 장치 및 기판 검사 방법
KR102001467B1 (ko) 테스트 핸들러 및 이를 사용하는 테스트 방법
TW201933504A (zh) 檢測系統及檢測方法
US9720034B2 (en) Semiconductor tes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307841B1 (ko) 피커 유닛 검사 시스템
KR20140015902A (ko) 테스트 핸들러
KR102270542B1 (ko) 검사 시스템
KR101065332B1 (ko) 위치 검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웨이퍼 이송 방법
JP2750448B2 (ja) 半導体検査装置
KR102065601B1 (ko) 테스트 핸들러의 접속 장치 및 방법
TWI733889B (zh) 檢測系統的調整方法及其使用的輔助套件
US202303755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90122646A (ko) 트레이 이송 방법, 이를 적용한 이송 장치 및 테스트핸들러
KR20220017680A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장치
KR20170043187A (ko) 통신 인터페이스 시험 장치
TW201527775A (zh) 電子零件之檢查裝置、電子零件之檢查方法及檢查方法之程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