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883A - 승강기 부품 장착 방법 및 장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부품 장착 방법 및 장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883A
KR20150024883A KR20157000118A KR20157000118A KR20150024883A KR 20150024883 A KR20150024883 A KR 20150024883A KR 20157000118 A KR20157000118 A KR 20157000118A KR 20157000118 A KR20157000118 A KR 20157000118A KR 20150024883 A KR20150024883 A KR 20150024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mounting
support
support platform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르만 윌츠
마틴 마데라
마이클 네우마이어
홀거 제레렐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5002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2Mining-hoist operation installing or exchanging gu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6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inside contour of a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수직 통로(38)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장착 시스템(10; 100; 120)을 이용하여 수직 통로(38) 내에 승강 시스템의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승강 시스템은 통로(38) 내에서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를 가지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맞춤 시간을 보다 짧게 하고 건물의 건축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에 따른 의존성을 적게 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 시스템(10; 100; 120)은 통로 내에 위치되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있도록 배치되는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40)을 가지고 승강 및 견인 장치(42, 125)를 가지며,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40)은 통로(38) 내의 제 위치에 교대로 고정되고, 임의의 시간에 제 위치에 고정되지 않은 플랫폼(12, 40)이 제 위치에 고정된 플랫폼(12, 40)에 대하여 승강 및 견인 장치(42; 125)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장착 시스템(10; 100; 12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 부품 장착 방법 및 장착 시스템{METHOD AND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LIFT COMPONENTS}
본 발명은, 건물의 수직 통로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직 통로 내에 승강기 시스템의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승강기 시스템은 통로 내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를 가지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시스템은 건물의 수직 통로 내에 장착되는 일련의 승강기 부품을 가진다. 승강기 시스템은, 예를 들면, 통로의 벽에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차가 수직 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주행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을 가진다. 대개의 경우, 승강기 부품은 일단 통로 구간 내에서 통로 내에 도입되고 통로 내에 고정되는 복수의 장착 플랫폼에 의해 장착된다. 그런 다음, 승강기 부품,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은 통로의 작업 영역에 장착되며, 작업 영역은 장착 플랫폼에 의해 장착 플랫폼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그런 다음, 장착 플랫폼이 제거되고, 보다 높은 통로 구간에서 통로 내로 다시 도입되고 고정된다. 따라서, 승강기 부품은 장착 플랫폼의 설치 및 제거에서 항상 반복되는 경비를 들이면서 구간별로 장착된다. 장착은 건물이 여전히 건축 중에 있는 동안과 같이 일찍 수행될 수 있다. 장착에 드는 비용은 운반 높이가 증가할 수록 증가한다. 높은 운반 높이를 가지는 건물에서는 장착 플랫폼의 설치에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이는 승강기 시스템의 상당한 장착 비용과 연관된다.
또한, 통로 내에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는 장착 바스켓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었다. 장착 바스켓은, 통로 내의 유지 장치에 매달리고, 통로 내에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케이블 구동 기구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소위 "허위 차(false car)"가 또한 알려져 있으며, 이 허위 차는 통로 내에 고정된 유지 장치에 매달릴 수 있고 케이블 구동 기구에 의해 상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장착 바스켓에 대조적으로, 허위 차는 이미 장착되어있고 또한 일반적으로 포획 장치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에서 가이드된다. 장착 바스켓 및 허위 차는 모두 매달리기 위해 유지 장치를 필요로 하며, 유지 장치는, 예를 들면, 이미 완성된 통로 천장, 임시 지지대 또는 통로 내의 지지점에 고정된다. 유지 장치용 고정점으로서 임시 지지대 또는 지지점을 사용하는 것은 통로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을 때와 같이 일찍 승강기 부품을 장착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통로의 건축의 진행에 높은 의존도를 필요로 하며 마찬가지로 상당한 설치 시간 및 장착 비용과 연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시스템의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는 방법과, 또한 비교적 짧은 설치 시간 및 통로의 건축의 진행에 비교적 낮은 수준의 의존성을 가지는 방법을 실시하는 장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장착 시스템이 통로 내에 위치되고, 장착 시스템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있도록 배치되는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을 가지고, 승강 및 견인 장치를 가지고,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은 통로 내에서 제 위치에 교대로 고정되며, 제 위치에 각각 고정되지 않은 플랫폼은 제 위치에 고정된 플랫폼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일반적인 타입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을 가지는 장착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된다. 두 개의 플랫폼이 서로에 대하여 취하는 수직 거리는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두 개의 플랫폼 중 하나는 통로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며, 다른 플랫폼은 제 위치에 고정된 플랫폼에 대하여 통로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통로 내에 승강기 부품,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 또는 다른 전기적 케이블류 또는 다른 센서를 장착하기 위해, 장착 시스템을 무한궤도 방식으로 상하측으로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장착 플랫폼은, 통로 내에서 지지 플랫폼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고 승강기 부품이 통로 내에 장착될 수 있는 작업 플랫폼을 형성한다. 승강기 부품은 통로의 건축의 진행에 크게 관계 없이 장착된다.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는 과정은 건물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을 때와 같이 일찍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승강기 부품이 건물의 하부 영역에 미리 장착되도록 하여, 그런 다음 상부 건물 영역에서 건축 과정이 여전히 실시되고 있는 동안 승강기 시스템이 하부 건물 영역에서 설치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은, 예를 들면, 제1 단계에서, 지지 플랫폼은 제1 위치에서 통로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되고, 제2 단계에서, 장착 플랫폼은 통로 내에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상승되고, 제3 단계에서, 장착 플랫폼은 상승된 위치에서 통로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되며, 제4 단계에서, 지지 플랫폼의 고정이 제거되고, 지지 플랫폼이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상측으로 당겨지며, 제1 위치 위에 배치된 제2 위치에서 다시 제 위치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은 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 통로 벽에 지지되거나 통로 벽에 고정되는 지지 요소에 지지된다. 예를 들면, 통로 벽의 요홈 또는 패널 또는 통로 벽에 고정되는 스틸 지지대에서 제 위치에 고정되는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이 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지지 플랫폼과 장착 플랫폼이 모두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는 것은 전체 장착 시스템을 무한궤도 방식으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 플랫폼과 장착 플랫폼이 모두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고,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이 가이드 레일에 교대로 고정되며, 고정되지 않은 플랫폼은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개선점에서, 가이드 레일은 끝단에서 서로 연결 요소에 의해 쌍으로 연결되며,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은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연결 요소에 지지된다. 이러한 종류의 방법의 개선점에서, 연결 요소는, 서로 바로 인접된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기능 이외에도,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에 지지력을 가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연결 요소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로 전달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통로 베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이 제 위치에 고정될 때 지나치게 높은 하중이 통로 벽에 가해지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제1 단계에서, 지지 플랫폼은 제1 연결 요소에 지지되고, 제2 단계에서, 장착 플랫폼은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상승되어, 제3 단계에서, 제1 연결 요소의 위에 배치되는 제2 연결 요소에 지지되며, 제4 단계에서, 지지 플랫폼은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상측으로 당겨지고, 제1 연결 요소의 위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연결 요소에 지지되는 것이 편리하다.
제4 단계에서 지지 플랫폼이 제2 연결 요소에 지지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장착 플랫폼 및 지지 플랫폼은 동일한 연결 요소에 지지된다. 이는 승강기 시스템을 장착하고 그런 다음 수직으로 조절 가능한 장착 플랫폼에 의해 통로 내에 하나의 위에 다른 하나가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기 시작할 때 피트(pit)에서 장착 시스템을 구성하는 옵션을 제공하며,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이 제1 연결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장착 플랫폼은 제1 연결 요소에 지지될 수 있고, 그 후, 지지 플랫폼이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상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마찬가지로 지지 플랫폼은 제1 연결 요소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장착 플랫폼은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제3 가이드 레일은 제2 가이드 레일에 끼워질 수 있으며, 제3 가이드 레일은 제2 연결 요소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에 연결된다. 그런 다음, 장착 플랫폼은 제2 연결 요소에 지지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지지 플랫폼이 당겨질 수 있다.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을 연결 요소에 지지시키기 위해 제2 결합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결합 장치를 구비하며, 제2 결합 장치는 각각 연결 요소에 고정된다. 이는 장착 플랫폼 및 지지 플랫폼을 제1 및 제2 결합 장치에 의해 연결 요소에 지지시킨다.
제1 결합 장치가 제2 결합 장치에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제2 결합 장치에 절개부가 제공될 수 있고, 제1 결합 장치가 이 절개부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2 결합 장치는 각각 연결 요소에 끼워지고 가이드 레일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발생하는 수직 힘은 제1 및 제2 결합 장치에 의해 연결 요소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며, 힘은 연결 요소로부터 가이드 레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결합 장치가 비의도적으로 연결 요소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결합 장치는 가이드 레일에 해제 가능하게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가이드 레일에 클램프 결합되는 제2 결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특히, 가이드 레일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건물의 통로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지지 플랫폼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요소에 지지되며, 제2 단계에서, 각각의 제3 가이드 레일은 장착 플랫폼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끼워지고 제2 연결 요소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며, 제3 단계에서, 장착 플랫폼은 제2 연결 요소에 지지된다. 그런 다음, 제4 단계에서, 지지 플랫폼이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장착 플랫폼의 방향으로 상승되고, 마찬가지로 제2 연결 요소에 지지된다. 따라서, 피트에서 시작하여, 가이드 레일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연결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통로의 벽에 추가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 플랫폼과 장착 플랫폼은 연결 요소에 지지될 수 있고, 장착 시스템은 통로 내에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한다.
통로 내에서의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의 대안적인 고정은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을 피트로부터 시작하여 상측으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의 수직으로 하측으로의 이동이 또한 가능하다. 이는 승강기 부품 및 조립 인원을 수직으로 상측으로 및 수직으로 하측으로 수송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장착 플랫폼은 통로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지지 플랫폼은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수직으로 하측으로 하강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마찬가지로, 통로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후속하는 방법 단계에서, 장착 플랫폼의 고정이 그런 다음 제거될 수 있고, 장착 플랫폼이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하측으로 하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장착 플랫폼이 다시 고정될 수 있고, 이 후, 지지 플랫폼이 더 하강될 수 있다.
방법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승강기 부품을 상승시키기 위해 승강 장치가 지지 플랫폼에 고정된다. 이러한 종류의 구성에 의해, 지지 플랫폼은 승강 및 견인 장치 및 장착 플랫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승강기 부품을 더 상승시키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승강 장치가 지지 플랫폼에 고정된다.
예로서, 지지 플랫폼에 고정되는 케이블 윈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지지 플랫폼의 아래에 위치되는 승강기 부품이 케이블 윈치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승강기 부품의 장착을 단순화하기 위해, 승강 장치가 승강기 부품을 상승시키도록 장착 플랫폼에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장착 플랫폼은 바람직하게는 조립 인원용 작업 플랫폼의 형태이다.
장착 플랫폼은 조립 인원이 보다 용이하게 승강기 부품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승강 장치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승강 크레인이 장착 플랫폼에 고정되고, 승강기 부품이 장착 플랫폼에 의해 상승될 수 있는 것이 편리하다. 특히, 장착 플랫폼에 배치된 승강 크레인은 장착 플랫폼에 의해 통로의 벽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을 보다 용이하게 상승시키도록 한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착 시스템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을 가지며, 또한,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 사이의 수직 거리를 변화시키는 승강 및 견인 장치를 가진다.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은 통로 내에서 제 위치에 교대로 고정될 수 있고, 제 위치에 각각 고정되지 않은 플랫폼은 제 위치에 고정된 플랫폼에 대하여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장착 시스템은 건물이 완성되기 전에도 건물의 통로 내에 승강기 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두 개의 플랫폼은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통로 내에 이동될 수 있다. 장착 플랫폼은 승강기 부품, 특히, 가이드 레일이 통로 내에 장착될 수 있는 작업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은 통로 벽에 지지될 수 있거나, 통로 벽에 고정되는 지지 요소에 지지될 수 있다. 예로서, 통로 벽의 요홈 또는 패널에 지지되는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통로 벽에 고정되는 스틸 지지대에 지지되는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은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장착 시스템의 이동 중 낮은 수준의 힘이 통로 벽에 가해지고, 대신에 발생하는 힘이 장착 시스템으로부터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피트로 전달되는 이점을 가진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은 유리하게는 서로 끝단에서 연결 요소에 의해 쌍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플랫폼 및/또는 장착 플랫폼이 연결 요소에 지지되는 것이 편리하다.
제1 결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에 배치되고, 제1 결합 장치가 제2 결합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결합 장치는 승강기 시스템의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을 끝단에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 장치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 편리하다. 예로서, 제1 결합 장치의 결합 요소, 예를 들면, 이동 가능 연장 아암이 도입될 수 있는 요홈을 가지는 제2 결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장착 플랫폼의 제1 결합 장치 및 지지 플랫폼의 제1 결합 장치가 동시에 제2 결합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 특히 유리한데, 이는 장착 플랫폼 및 지지 플랫폼이 서로에 대하여 작은 수직 거리를 가질 때 장착 플랫폼 및 지지 플랫폼이 동일한 제2 결합 장치에 의해 연결 요소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2 결합 장치는 각각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을 끝단에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에 끼워진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감합 방식으로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각각 U 형상으로 설계되고 두 개의 인접하는 가이드 레일의 상호 대면하는 끝단 영역 둘레에 결합하는 연결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결합 장치는 편리하게는 각각 지지 플랫폼 또는 장착 플랫폼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유지되는 두 개의 연장 아암을 포함하여, 연장 아암이 비작동 위치 및 작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으로 이동될 수 있다. 비작동 위치에서, 연장 아암은 건물의 통로 내에 이미 장착된 가이드 레일로부터 수평 거리로 이격될 수 있고, 작동 위치에서, 연장 아암은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을 끝단에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에 고정되는 제2 결합 장치에 연결될 수 있을 정도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 플랫폼은 지지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수직으로 돌출되며 각각 제1 결합 장치를 가지는 두 개의 필러(pillar)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승강 및 견인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고, 승강 및 견인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외면하는 상단에서 장착 플랫폼을 가진다. 지지 플랫폼이 장착 플랫폼의 방향으로 상승되면,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필러는, 제1 결합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필러의 자유단에 배치되는, 지지 플랫폼의 제1 결합 장치를 장착 플랫폼의 제1 결합 장치에 이미 연결된 제2 결합 장치에 연결한다. 따라서, 필러의 길이는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이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취할 수 있는 수직 최소 거리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승강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에 적용될 수 있는 가이드 요소가 필러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예로서, 가이드 레일과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슈로서 설계되는 가이드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플랫폼은 가이드 레일에서 가이드 요소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는 한편, 가이드 레일에서 장착 플랫폼을 가이드하는 과정이 제거될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장착 플랫폼은 비작동 위치 및 작동 위치 사이에서 왕복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결합 요소를 가지는 제1 결합 장치가 유지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가진다. 예로서, 결합 요소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 플랫폼에 유지될 수 있다.
장착 플랫폼은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자기 지지 방식으로 지지 플랫폼에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 결과, 장착 플랫폼용 추가적인 가이드 요소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이러한 종류의 개선점에서, 승강 및 견인 장치는 장착 플랫폼을 지지 플랫폼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상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장착 플랫폼을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장착 플랫폼은, 승강 및 견인 장치와 같이 마찬가지로, 지지 플랫폼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하나의 유리한 개선점에서, 승강 및 견인 장치는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은 그 자체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은 상대적으로 낮은 고유의 중량으로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랫폼이 제1 연결 요소에서 지지되면, 장착 플랫폼은 제2 연결 요소에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는 이미 장착 플랫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 요소에 마찬가지로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지지 플랫폼을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에 의해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승강 및 견인 장치는 케이블 윈치를 가진다. 이는 케이블 윈치 및 견인 케이블에 의해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 사이에서 수직 거리를 감소시키는 옵션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하중이 케이블 윈치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도 1은 지지 플랫폼이 제1 가이드 레일을 제2 가이드 레일에 연결하는 제1 연결 요소에 지지되고 장착 플랫폼이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장착 플랫폼이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 연결 요소에 지지되고 지지 플랫폼이 장착 플랫폼의 방향으로 상승되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지지 플랫폼이 두 개의 연결 요소에 지지되고 장착 플랫폼이 제3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 상승되는, 도 1의 장착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제2 결합 장치가 연결 요소에 끼워지는, 연결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의 상호 대면하는 끝단 영역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2 결합 장치가 장착 플랫폼에 배치되는 제1 결합 장치에 연결되는, 도 4의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의 끝단 영역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지지 플랫폼이 제1 가이드 레일을 제2 가이드 레일에 연결하는 제1 연결 요소에 지지되고, 장착 플랫폼이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장착 플랫폼이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2 연결 요소에 지지되고 지지 플랫폼이 장착 플랫폼의 방향으로 상승되는, 도 6의 장착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지지 플랫폼이 두 개의 연결 요소에 지지되고 장착 플랫폼이 제3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 상승되는, 도 6의 장착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지지 플랫폼이 제1 가이드 레일을 제2 가이드 레일에 연결하는 제1 연결 요소에 지지되고, 장착 플랫폼이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0으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장착 시스템(10)은 두 개의 필러(pillar)(16, 18)가 수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플레이트(14)를 가지는 지지 플랫폼(12)을 포함한다. 필러(16, 18)는 각각, 그 상단에서, 연장 아암(23)을 가지는 제1 결합 장치(20, 22)를 가지며, 도 1에서, 연장 아암(23)은 수평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도 4에 도시된 제2 결합 장치(24)에 연결되는 작동 위치에 위치한다. 제1 결합 장치(20, 22)는 각각 제2 결합 장치(24)에 의해 제1 연결 요소(26)에 지지되며, 제1 가이드 레일(28a, 28b)은 연결 요소(26)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30a, 30b)에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28a, 28b)은 유지 요소(32)에 의하여 통로(38)의 통로 벽(34, 36)에 고정된다.
지지 플랫폼(12) 이외에도, 장착 시스템(10)은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42) 형태인 승강 및 견인 장치에 의해 지지 플랫폼(12)의 지지 플레이트(14)에 자기 지지(self-supporting) 방식으로 유지되는 장착 플랫폼(40)을 가진다. 장착 플랫폼(40)은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4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 플랫폼(12)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장착 플랫폼(40)은 난간(46)을 가지며 조립 인원용 작업 플랫폼을 가지는 장착 플레이트(44)를 가진다. 그리고, 비작동 위치 및 작동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연장 아암(23)을 가지는 제1 결합 장치(48, 50)가 장착 플레이트(44)에서 유지된다. 장착 플랫폼(40)의 제1 결합 장치(48, 50)는 지지 플랫폼(12)의 제1 결합 장치(20, 22)와 동일한 디자인을 가진다.
도 1에서, 지지 플랫폼(12)은 제1 가이드 레일(28a, 28b)의 상단에 위치하며, 지지 플랫폼은 제1 결합 장치(20, 22) 및 제2 결합 장치(24)에 의해 제1 연결 요소(26)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다. 도 1에서, 장착 플랫폼(40)은 제2 가이드 레일(30a, 30b)의 상단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장착 플랫폼(40)의 장착 플레이트(44)에 서 있는 조립 인원이 제2 연결 요소(52)를 제2 가이드 레일(30a, 30b)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제2 연결 요소는 제1 연결 요소(26)와 동일한 디자인을 가진다.
도 4 및 도 5에서 명확하듯이, 제1 연결 요소(26)는, 제2 연결 요소(52)와 같이 마찬가지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 형상 디자인을 가지며, 웹(web)(58)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두 개의 다리(limb)(54, 56)를 포함한다. 제1 연결 요소(26)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28a, 30a, 28b, 30b)의 상호 대면하는 끝단 영역 둘레에 결합하고, 제2 가이드 레일은 연결 스크류(60)에 의해 가이드 레일(28a, 30a, 28b, 30b)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웹(54, 56)을 통하여 통로 벽(34, 36)에 대면하는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의 후방면(7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U 형상은 연결 요소(26, 52)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연결 요소(26, 52)는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 알려진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연결 요소는 또한 T 형상 또는 평탄한 디자인일 수 있다.
필러(16, 18)는 각각 서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며 각각 가이드 레일과 접촉될 수 있는 가이드 슈(shoe)(62, 64)의 형태인 두 개의 가이드 요소를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가이드 슈는 그 자체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지지 플랫폼(12)의 지지 플레이트(14)는, 그 바닥면에서, 승강기 부품이 상승되고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윈치(66)의 형태인 승강 장치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조립 인원은 지지 플레이트(14)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서 명확하듯이, 두 개의 결합 장치(24)는 플레이트형 디자인이고, 연결 요소(26, 52)의 상측 지향 끝단면(68)에 끼워질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의 후방면(70)을 평탄하게 지지하고 클램핑 요소(72)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에 클램프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 장치(24)는 각각, 그 상부에서, 사다리꼴의 형태로 동일한 디자인인, 두 개의 내부 요홈(74, 75) 및 두 개의 요홈(76, 77)을 가진다. 내부 요홈(74, 75) 및 외부 요홈(76, 77)은 가이드 레일의 양측에 배치된다.
지지 플랫폼(12)의 제1 결합 장치(20, 22)는, 장착 플랫폼(40)의 제1 결합 장치(48, 50)와 같이 마찬가지로, 각각 연장된 작동 위치에서 단면이 사다리꼴인 동일한 디자인을 가지며 제2 결합 장치(24)의 요홈에 감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두 개의 연장 아암(23)을 가진다. 도 5는 연장된 위치에서 장착 플랫폼(40)의 제1 결합 장치(48)의 연장 아암(23)을 도시한다. 그 작동 위치에서, 장착 플랫폼(40)의 제1 결합 장치(48, 50)의 연장 아암(23)은 제2 결합 장치(24)의 두 개의 내부 요홈(74, 75) 내로 들어간다. 지지 플랫폼(12)의 제1 결합 장치(20, 22)의 연장 아암(23)은, 그 작동 위치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큰 거리로 이격되며, 제2 결합 장치(24)의 두 개의 외부 요홈(76, 77)에 결합한다.
제2 가이드 레일(30a, 30b)의 상단에서 제2 연결 요소(52)를 장착하는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장착 플랫폼(40)의 장착 플레이트(44)에 위치하는 조립 인원은 제3 가이드 레일(78a, 78b)을 제2 가이드 레일(30, 30b)에 끼울 수 있고, 유지 요소(32)를 이용하여 제3 가이드 레일을 통로 벽(34, 36)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2 연결 요소(52)를 통하여 제3 가이드 레일을 제2 가이드 레일(30a, 30b)에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장착 플랫폼(40)의 제1 결합 장치(48, 50)의 연장 아암(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 아암(23)이 제2 결합 장치(24)의 내부 요홈(74, 75)에 결합하는 작동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플랫폼(40)은 제1 결합 장치(48, 50) 및 연관된 제2 결합 장치(24) 및 제2 연결 요소(52)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30a, 30b)에 지지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10)이 이제 장착 플랫폼(40) 및 제2 연결 요소(52)에 의해 수직으로 지지되므로, 지지 플랫폼(12)의 제1 결합 장치(20, 22)의 연장 아암(23)이 제1 연결 요소(26)로부터 그 후퇴된 비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지지 플랫폼(12)은 지지 플랫폼(12)의 제1 결합 장치(20, 22)가 제2 연결 요소(52)에 배치되는 제2 결합 장치(24)에 도달할 정도로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52)에 의하여 장착 플랫폼(40)의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지지 플랫폼(12)의 제1 결합 장치(20, 22)의 연장 아암(23)이 제2 결합 장치(24)의 외부 요홈(76, 77) 내로 들어가는 작동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는 지지 플랫폼(12)이 제1 가이드 레일(28a, 28b)의 상단에서의 위치로부터 제2 가이드 레일(30a, 30b)의 상단으로 이동함에 따른 장착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제1 결합 장치(20, 22)가 제2 연결 요소(52)에 위치되는 제2 결합 장치(24)에 연결된 이후에, 장착 플랫폼(40)의 제1 결합 장치(48, 50)의 연장 아암(23)이 그 비작동 위치로 이동되고, 장착 플랫폼(40)이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42)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다. 후속하는 장착 단계에서, 추가적인 가이드 레일이 장착 플랫폼(40)에 의하여 제3 가이드 레일(78a, 78b)에 끼워질 수 있으며, 추가적인 가이드 레일은 유지 요소에 의하여 통로 벽(34, 36)에 체결될 수 있고 추가적인 연결 요소에 의해 제3 가이드 레일(78a, 78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마지막으로 장착된 연결 요소에 지지된 장착 플랫폼(40)과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42)에 의해 상승된 지지 플랫폼(12)에 의해 장착 방법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시스템(10)은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40)을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플랫폼 모두는 장착 시스템(10)에 의해 통로(38)에 장착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에 지지된다.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40)이 건물에 지지될 필요가 없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00으로 표시되고,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제3 실시예와 같이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장착 시스템(10)과 대체로 동일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서 사용되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들 부품에 대한 상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장착 시스템(100)은, 장착 플랫폼(40)의 장착 플레이트(44)가 통로(38)에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승강 크레인(102) 형태의 승강 장치를 가진다는 점에서만, 장착 시스템(10)과 다르다.
지지 플랫폼(12)과 장착 플랫폼(40) 모두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28a, 30a, 28b, 30b)을 장착 시스템(100)의 끝단에서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26, 52)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플랫폼(12)은, 가이드 요소, 예를 들면, 가이드 슈(62, 64)에 의해,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에서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는 한편, 장착 플랫폼이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42)에 의해 지지 플랫폼(12)에 자기 지지 방식으로 유지되므로 장착 플랫폼(40)을 수직으로 가이드하는 과정이 제거될 수 있다.
도 9는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2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착 시스템(120)은, 지지 플랫폼(12)과 장착 플랫폼(40)이 가이드 레일이 아닌 통로 벽에 지지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장착 시스템(10, 100)과 다르다. 이를 위하여, 장착 시스템(120)의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40)은, 지지 플랫폼 및 장착 플랫폼(40)을 각각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통로 벽(34, 36)의 요홈(123)으로 들어갈 수 있는 이동 가능 연장 아암(123)을 가진다. 이는 가이드 레일에 관계 없이 장착 시스템(120)을 이동시킨다. 장착 시스템(120)의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40)은 통로 벽(34, 36)에 직접 지지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20)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통로 벽(34, 36)에 고정되는 지지 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장착 시스템(120)의 연장 아암(123)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되는 지지 요소는, 예를 들면, 스틸 지지대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장착 시스템(120)은 또한,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42) 이외에도, 견인 케이블(126) 및 케이블 윈치(128)를 가지는 케이블-견인 시스템(125)을 포함하는 승강 및 견인 장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장착 시스템(10, 100)과 다르다. 견인 케이블(126)은 고정된 끝단에 의해 장착 플랫폼(44)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지지 플레이트(14)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편향 롤러(130, 132) 둘레에서 가이드되며, 지지 플레이트(14)에 배치되는 케이블 윈치(128)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이는 케이블 윈치(128)에 의해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40) 사이의 수직 거리를 감소시켜, 장착 플랫폼(40)이 연장 아암(123)에 의해 통로(38)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될 때 지지 플랫폼이 케이블 윈치(128)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120)에서,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42)은 지지 플랫폼(12)이 통로(38)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되고 장착될 때 장착 플랫폼(40)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Claims (23)

  1. 건물의 수직 통로(38)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장착 시스템(10; 100; 120)을 이용하여 수직 통로(38) 내에 승강기 시스템의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시스템은 상기 통로(38) 내에서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를 가지며,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있도록 배치되는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40)을 가지며 승강 및 견인 장치(42, 125)를 가지는 장착 시스템(10; 100; 120)이 상기 통로(38) 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통로(38) 내의 제 위치에 교대로 고정되며, 제 위치에 각각 고정되지 않은 상기 플랫폼(12 또는 40)이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42, 125)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 상기 플랫폼(12 또는 4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상기 지지 플랫폼(12)은 제1 위치에서 상기 통로(38)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되고, 제2 단계에서,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통로(38) 내에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42, 125)에 의해 상승되고, 제3 단계에서,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통로(38)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되며, 제4 단계에서, 상기 지지 플랫폼(12)의 고정이 제거되고, 상기 지지 플랫폼(12)이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42, 125)에 의해 수직으로 상측으로 당겨지며, 상기 제1 위치 위에 배치된 제2 위치에서 다시 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또는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 상기 통로 벽(34, 36)에 지지되거나, 상기 통로 벽(34, 36)에 고정된 지지 요소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또는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통로(38)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은 서로 연결 요소(26, 52)에 의해 끝단에서 쌍으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또는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 상기 연결 요소(26, 5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 상기 지지 플랫폼(12)은 제1 연결 요소(26)에 지지되고, 제2 단계에서,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승강기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42)에 의해 상승되어,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연결 요소(26)의 위에 배치되는 제2 연결 요소(52)에 지지되며, 제4 단계에서, 상기 지지 플랫폼(12)은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42)에 의해 수직으로 상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제1 연결 요소(26)의 위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연결 요소(5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지지 플랫폼(12)은 상기 제2 연결 요소(5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 상기 장착 플랫폼(40)을 상기 연결 요소(26, 52)에 지지시키기 위해 제2 결합 장치(24)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결합 장치(20, 22)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 장치(24)는 각각 연결 요소(26, 5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장치(24)는 각각 연결 요소(26, 52)에 끼워지고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지지 플랫폼(12)은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요소(26)에 지지되고, 상기 제2 단계에서, 각 제3 가이드 레일(78a, 78b)은 상기 장착 플랫폼(40)에 의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30a, 30b)의 상단에 끼워지고, 제2 연결 요소(26)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28a, 28b)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제2 연결 요소(52)에 지지되며,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지지 플랫폼(12)은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42)에 의해 상승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연결 요소(5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는 장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착 시스템(10; 100; 120)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있도록 배치되는 지지 플랫폼(12) 및 장착 플랫폼(40)을 가지며 또한 승강 및 견인 장치(42, 125)을 가지고,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통로(38) 내의 제 위치에 교대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제 위치에 각각 고정되지 않은 상기 플랫폼(12, 40)이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42, 125)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 상기 플랫폼(12, 4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또는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통로 벽(34, 36)에 지지되거나, 상기 통로 벽에 고정된 지지 요소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또는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은 서로 연결 요소(26, 52)에 의해 끝단에서 쌍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또는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연결 요소(26, 52)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결합 장치(20, 22, 48, 50)는 상기 지지 플랫폼(12) 및 상기 장착 플랫폼(40)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결합 장치는 각각 제2 결합 장치(24)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결합 장치(24)는 상기 승강기 시스템의 두 개의 가이드 레일(28a, 28b, 30a, 30b)을 끝단에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26, 52)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 장치(20, 22, 48, 50, 24)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랫폼(12)의 상기 제1 결합 장치(20, 22)는 각각, 상기 장착 플랫폼(40)의 제1 결합 장치(48, 50)에 이미 연결된 제2 결합 장치(24)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18. 제15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장치(24)는 각각 연결 요소(26, 52)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장치(20, 22, 48, 50)는 각각 작동 위치 및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연장 아암(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랫폼(12)은 두 개의 필러(16, 18)가 수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플레이트(14)를 가지며, 제1 결합 장치(20, 22)는 상기 필러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필러는 각각 상기 가이드 레일(28a, 28b)에 적용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요소(62, 6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랫폼(40)은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42)에 의해 자기 지지 방식으로 상기 지지 플랫폼(12)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22.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는 가위 타입 승강 테이블(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23. 제1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및 견인 장치는 케이블 윈치(12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시스템.
KR20157000118A 2012-06-11 2013-06-05 승강기 부품 장착 방법 및 장착 시스템 KR20150024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210104993 DE102012104993A1 (de) 2012-06-11 2012-06-11 Verfahren und Montagesystem zur Montage von Aufzugskomponenten
DE102012104993.9 2012-06-11
PCT/EP2013/061561 WO2013186096A1 (de) 2012-06-11 2013-06-05 Verfahren und montagesystem zur montage von aufzugskomponen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883A true KR20150024883A (ko) 2015-03-09

Family

ID=4857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0118A KR20150024883A (ko) 2012-06-11 2013-06-05 승강기 부품 장착 방법 및 장착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69107B2 (ko)
EP (1) EP2858935B1 (ko)
KR (1) KR20150024883A (ko)
CN (1) CN104379488B (ko)
BR (1) BR112014030808A2 (ko)
DE (1) DE102012104993A1 (ko)
HK (1) HK1205992A1 (ko)
IN (1) IN2015DN00048A (ko)
WO (1) WO20131860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804A (ko) * 2018-09-05 2020-03-13 (주)광산이엔지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593391T3 (pl) * 2010-07-16 2017-10-31 Marc Keersmaekers Moduł podnośnikowy do podnoszenia i opuszczania rusztowania
EP2993153B1 (en) * 2014-09-03 2022-01-19 KONE Corporation Guide rail installatio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installing guide rails
US20180029832A1 (en) * 2015-02-05 2018-02-01 Otis Eleva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elevator system installation
EP3085660B1 (en) * 2015-04-23 2020-10-28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EP3093262B1 (en) * 2015-05-12 2018-10-31 KONE Corporatio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arallel transport and installation of elevator components
GB2529747B (en) * 2015-06-11 2016-08-17 Ischebeck Titan Ltd Hoisting apparatus and system
EP3325395B1 (de) 2015-07-24 2019-11-20 Inventio AG Automatisierte montage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installationen in einem aufzugschacht einer aufzuganlage
JP6728602B2 (ja) * 2015-09-07 2020-07-22 株式会社大林組 足場の昇降装置、及び構造物の施工方法
US20170156309A1 (en) * 2015-12-07 2017-06-08 Gerard Muegerl Mobile Rapid Deploy Guard Tower
EP3544920B1 (de) * 2016-11-24 2022-10-12 Inventio Ag Verfahren zur montage und ausrichtvorrichtung zur ausrichtung einer führungsschiene einer aufzuganlage
DE102017108456A1 (de) * 2017-04-20 2018-10-25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Montage eines Aufzugsystems
CN107178204A (zh) * 2017-05-18 2017-09-19 歌山建设集团有限公司 电梯井电动液压施工平台装置及该电梯井剪力墙施工方法
EP3425136B1 (en) * 2017-07-05 2020-02-26 Alimak Group Management AB Transportation systems, elevator systems, kits, tower section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ssembly or maintenance operations in towers
DE102017223644A1 (de) * 2017-12-22 2018-12-06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Anbringen einer Antriebeinheit eines Linearantriebs in einem Aufzugsschacht
CN108406380A (zh) * 2018-04-17 2018-08-17 兴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龙门式滑块跳阶顶料压紧机构
LU100817B1 (de) * 2018-05-30 2019-12-02 Thyssenkrupp Elevator Ag Installation einer Aufzugsanlage mit Linearmotor
DE102018208588A1 (de) * 2018-05-30 2019-07-04 Thyssenkrupp Ag Installation einer Aufzugsanlage mit Linearmotor
WO2019238530A1 (de) 2018-06-14 2019-12-19 Inventio Ag Verfahren zum errichten einer aufzugsanlage
JP2020007095A (ja) * 2018-07-06 2020-01-1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据付装置
BR112021007950A2 (pt) * 2018-12-13 2021-07-27 Inventio Aktiengesellschaft processo para planejamento pelo menos parcialmente automatizado de uma instalação de componentes de elevador de um sistema de elevador
EP3935000B1 (de) * 2019-03-05 2022-10-26 Inventio Ag Messvorrichtung zum vermessen eines aufzugschachts und verwendung der messvorrichtung zum vermessen eines aufzugschachts
CN113544077B (zh) 2019-03-27 2023-04-18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在电梯系统的电梯井道中执行安装过程的安装设备和方法
CN110712940A (zh) * 2019-10-29 2020-01-21 苏州江南嘉捷电梯有限公司 一种导轨提拉装置
EP3816087B1 (en) * 2019-10-31 2023-05-31 KONE Corporation A self-climbing installation platform for installing an elevator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EP3816088B1 (en) * 2019-10-31 2023-07-12 KONE Corporation A self-climbing elevator arrangement for use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EP3816086B1 (en) * 2019-10-31 2023-05-10 KONE Corporation A self-climbing elevator machine room for use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EP3838828B1 (en) 2019-12-19 2023-02-08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AU2021220916A1 (en) * 2020-02-11 2022-09-01 Inventio Ag Assembly apparatus for implementing assembly steps on a wall and method for arranging a magazine component on an assembly apparatus
EP3865449B1 (en) 2020-02-12 2024-01-17 KONE Corporation Movable machine room,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EP3872019A1 (en) * 2020-02-28 2021-09-01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US20220033229A1 (en) * 2020-07-28 2022-02-03 Otis Elevator Company Beam climber assembly pod for guide rail and guide beam installation
US11814266B2 (en) * 2020-09-01 2023-11-14 Otis Elevator Company Self-climbing self-locking elevator
CN113137052A (zh) * 2021-04-16 2021-07-20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自爬升安全硬防护与幕墙环轨吊集成平台
CN113445759A (zh) * 2021-06-02 2021-09-28 杨晓凡 用于建筑施工的装配式安全卸料平台
CN113460842B (zh) * 2021-06-22 2022-10-25 燕山大学 一种用于电梯导轨自动化安装的可重构机器人系统
CN114370152B (zh) * 2022-01-04 2024-05-07 安徽齐顺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悬挂式操作平台
WO2024033415A1 (en) 2022-08-11 2024-02-15 Inventio Ag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and installing an elevator unit in the building
WO2024033373A1 (en) 2022-08-11 2024-02-15 Inventio Ag System for installing an elevator unit
CN117657976A (zh) * 2022-08-24 2024-03-08 奥的斯电梯公司 用于搭建钢结构井道的升降装置和搭建钢结构井道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5252A (en) * 1920-02-25 1921-01-11 Charles L Langill Elevator
FR2782072B1 (fr) * 1998-08-06 2000-09-22 Otis Elevator Co Dispositif et procede pour le deplacement d'une machinerie le long d'une gaine d'ascenseur au cours de la construction d'un immeuble
JP2000169059A (ja) * 1998-12-07 2000-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EP1785386A1 (de) * 2005-11-09 2007-05-16 Inventio Ag Verfahren zum Aufbau einer Aufzuganlage und Aufzugsanlage hierfür
FI119983B (fi) * 2006-05-24 2009-05-29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hissin johteiden asentamiseksi
FI118644B (fi) * 2006-11-17 2008-01-31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konehuoneettoman hissin asentamiseksi rakennuksen rakentamisvaiheessa
FI120089B (fi) * 2008-01-23 2009-06-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804A (ko) * 2018-09-05 2020-03-13 (주)광산이엔지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30808A2 (pt) 2017-06-27
HK1205992A1 (en) 2015-12-31
IN2015DN00048A (ko) 2015-05-22
WO2013186096A1 (de) 2013-12-19
US20150107186A1 (en) 2015-04-23
EP2858935B1 (de) 2016-03-30
CN104379488B (zh) 2016-09-07
CN104379488A (zh) 2015-02-25
EP2858935A1 (de) 2015-04-15
US9169107B2 (en) 2015-10-27
DE102012104993A1 (de)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883A (ko) 승강기 부품 장착 방법 및 장착 시스템
KR102151293B1 (ko) 리프트의 설치 방법
CN103402901B (zh) 方法和电梯配置
US8636115B2 (en) Hosting machine supporting frame for jump lifts of elevators
RU2018125274A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и и адаптируемая к возрастающей высоте здания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RU2044687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направляющих в шахт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11053098B2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n elevator system
CN107428503B (zh) 具有能够移位的机房的电梯系统
CN101676187B (zh) 乘客输送机的改造方法
CN109153539B (zh) 电梯的曳引机安装方法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KR101052383B1 (ko) 기계실을 갖지 않는 승강기용 차량 구동 기계 장착을 위한 방법
WO2010116022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CN104321268A (zh) 在电梯系统中安装曳引机的方法
JP2016204059A (ja) 乗客コンベヤ用駆動機器運搬やぐらおよび乗客コンベヤ用駆動機器取外方法
JP2007210703A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装置および据付工法
CA2895247A1 (en) Maintenance method for a lift
JP2009196802A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JP2013245033A (ja) 巻上機据付方法
KR20090080613A (ko) 건축물 외벽 공사용 장비 시스템
JP3630596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方法
JP6525328B2 (ja) エレベータ機器搬出入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機器搬出入装置
JP5805280B1 (ja) 巻き上げ機揚重機及びエレベータの製造方法
JP6351516B2 (ja) エレベータ釣合重り搬出入装置
JP2008030869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油受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