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407A - 접지 탭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그리고 그런 디바이스가 장착된 온-보드 차량을 위한 충전기 - Google Patents

접지 탭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그리고 그런 디바이스가 장착된 온-보드 차량을 위한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407A
KR20150023407A KR1020147035528A KR20147035528A KR20150023407A KR 20150023407 A KR20150023407 A KR 20150023407A KR 1020147035528 A KR1020147035528 A KR 1020147035528A KR 20147035528 A KR20147035528 A KR 20147035528A KR 20150023407 A KR20150023407 A KR 20150023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branch
ground
charg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521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리폴
크리스토프 코나트
에티엔느 퀼레르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5002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0Measuring earth resistance; Measuring contact resistance, e.g. of earth connections, e.g.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0Measuring earth resistance; Measuring contact resistance, e.g. of earth connections, e.g. plates
    • G01R27/205Measuring contact resistance of connections, e.g. of earth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접지 탭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그리고 그런 디바이스가 장착된 온-보드 차량용의 충전기가 개시된다.
장치의 접지 저항 (24)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26)는: - 전력 공급망 (3)의 위상 (5)을 상기 장치의 접지 (19)와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제1 전기적 분기 (21) 상에 배치된 전류원 (8) 및 전류계 (9), - 상기 전력 공급망 (3)의 중성 와이어 (4)를 상기 장치의 접지 (19)에 연결시키도록 제공되며, 저항기 단자들을 가로질러 전압계 (14)가 연결된 저항기 (13)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저항기와 직렬인 제1 커패시터 (10)를 포함하는 제2 전기적 분기 (22)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망의 중성 와이어 (4)를 상기 장치의 접지 (19)와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제3 전기적 분기 (23)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커패시터 (10)보다 더 높은 값의 제2 커패시터 (20)를 상기 제1 커패시터 (10) 및 상기 제1 저항기 (13)와 병렬로 상기 제3 분기 상에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지 탭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그리고 그런 디바이스가 장착된 온-보드 차량을 위한 충전기{Device for measuring resistance of earth tap and charger for on-board vehicle furnished with such a device}
본 발명의 특허 대상은 그라운드 연결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더 상세하게는, 차량 온보드 배터리 충전기에 통합된 그라운드 연결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에 관련된다.
전기 차량의 추진을 위해서 의도된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 사용되는 전류 강도 (intensity)들은 특히 높다.
안전 상의 이유들을 위해서, 전류 누설의 경우에 사람이 그 차량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시작하기 이전에 그 충전기의 접지가 충분하게 유효한가를 체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라운드 연결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이 존재한다. 그 디바이스들은 전류 생성기 및 전류계가 제공된 제1 전기적 분기를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며, 그리고 그것은 전기 망의 위상 상으로 연결된다. 그 디바이스들은 커패시터 및 저항기가 위치한 제2 분기를 더 포함하며, 전압계가 제공되며, 분기는 상기 전기 망의 중성 와이어 상으로 연결된다.
그라운드 저항을 측정하는 것은 그라운드 연결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아닌, 그 망에 연결된 어떤 전기적인 설비 없이도 행해져야 하는 것이 보통이다. 다른 설비가 상기 망에 연결된다면, 이는 상기 측정의 결과를 바꿀 수 있을 전류 루프 간섭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된 전력 공급망에 연결된 있을 수 있는 설비들에 의해서 생성된 간섭 전류들에 대해 감소된 민감도를 가지면서도 양호한 측정 정밀도를 보존하는, 그라운드 연결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은 장치의 그라운드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 디바이스는:
- 전력 공급망의 위상을 상기 장치의 그라운드와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제1 분기 상에 배치된 전류원 및 전류계,
- 상기 전력 공급망의 중성 와이어를 상기 장치의 그라운드에 연결시키도록 제공되며, 저항기 단자들에 전압계가 연결된 저항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저항기와 직렬인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2 분기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망의 중성 와이어를 상기 장치의 그라운드와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제3 분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커패시터보다 더 높은 값의 제2 커패시터를 상기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1 저항기와 병렬로 포함한다.
인덕터가 상기 저항기와 그리고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직렬로 그리고 상기 제2 커패시터에 병렬로 위치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커패시터보다 적어도 5배 더 크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커패시터보다 적어도 10배 더 크다.
상기 제2 커패시터는 10 내지 100 nF (nanofarads) 사이의 값을 가지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nF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덕터는 1 내지 10 mH (millihenries)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그라운드 측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자동차 배터리용의 충전기를 또한 제공한다.
상기 충전기는 상기 제2 전기적 분기를 상기 충전기 파워 서플라이의 제1 연결 단자, 그리고 상기 제1 단자와는 별개인 상기 충전기 파워 서플라이의 제2 연결 단자에 번갈아 연결시킬 수 있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는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 전압계를 포함하여, 그것이 상기 릴레이에 의해서 연결이 끊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와 상기 제1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3 전압계를 포함하여, 그것이 상기 릴레이에 의해서 연결이 끊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분기 및 제2 분기는 각각 상기 디바이스의 제1 입력 단자에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의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도는 반대로 각 상기 제2 단자로 그리고 상기 제1 단자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기계적인 스위치를 이용하여 분리된 연결들을 상기 연결 단자들의 측면 상에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기적 분기의 말단들에서 포함하며, 그리고 두 개의 접촉기들을 포함하며, 이 접촉기들 각각 중 하나는 상기 분리된 말단들의 첫 번째 말단으로부터 두 번째 말단으로 스위치하며, 그리고 다른 하나는 상기 분리된 말단들의 두 번째 말단으로부터 첫 번째 말단으로 스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는 상기 단자들이 전력 공급망 상으로 연결될 때에 상기 릴레이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제2 전기적 분기가 상기 두 단자들의 분기에 연결되도록 하며, 이 경우 상기 단자들에 대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단자들에서의 전압이 가장 낮다.
상기 저항기의 단자들에서 측정된 전압이 상기 릴레이를 활성화한 이후에 임계 전압보다 더 높게 유지된다면,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전력 공급망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도 이후에 배터리의 충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전류계 그리고 상기 제1 전압계의 눈금들로부터 계산된 그라운드 저항이 임계 저항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면 배터리의 충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들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유리함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만 주어진 다음의 설명들을 읽고 그리고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그라운드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그라운드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그라운드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표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상의 온보드 배터리 충전기 (1)는 그라운드 저항 (2)를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 (1)는 삽입되기 위해 기하학적으로 구성된 제1 연결 단자 (6) 그리고 제2 연결 단자 (7)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전기 망 (3)의 위상 와이어 (5)에 연결된 전력 방출 플러그로 삽입되며,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동일한 전기 망의 중성 와이어 (4)에 연결된 플러그로 삽입된다.
상기 전기 망은 여기에서는 전압원 (3)으로 개략적으로 심볼화된다.
상기 충전기 (1)는 상기 전기 망의 그라운드 와이어 (19)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그라운드 단자 (32)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측정 디바이스 (2)는 상기 제1 단자 (6)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 (32)를 연결시키는 제1 전기적 분기 (21)를 포함한다. 이 분기 (21) 위에 전류계 (9) 그리고 다이오드 (29)와 직렬로 장착된 전류 생성기 (8)가 배치되며, 이 다이오드는 망의 전류가 상기 전류 생성기 (8)에 의해서 주입된 전류와 동일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그라운드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 (2)는 상기 제2 연결 단자 (7)를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 (32)와 연결시키는 제2 전기적 분기 (22)를 더 포함한다. 이 제2 분기 상에 제1 커패시터 (10) 및 저항기 (13)가 직렬로 배치되며, 저항기 (13)의 단자들에 제1 전압계 (14)가 연결된다. 전자 제어 유닛 (16)은 전압계 (14)에 그리고 전류계 (9)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계 및 전류계가 측정한 값들을 수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은 측정 디바이스 (2)의 제1 분기 (21)로 전류를 주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전류 생성기 (8)에 또한 연결된다.
상기 생성기 (8)에 의한 상기 제2 분기로의 전류 주입은 상기 그라운드 연결 (32)을 경유하여 상기 전기망 (3)의 중성선 (4)으로의 복귀 전류, 그리고 저항기 (13)를 통해서 지나가는 평행 전류 루프를 발생시킨다.
전기 저항 (24)은 그라운드 연결 (19)과 상기 망의 중성선 (4) 사이의 전류 흐름에 반대로 측정될 수 있다. 이 저항 (24)은 상기 디바이스 (2)를 이용하여 측정될 그라운드 저항이다.
알려진 측정 절차들은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이, 상기 전류계 (9) 및 상기 전압계 (14)에 의해서 인도된 값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그라운드 저항 (24)의 값을 추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그것은 그라운드 연결 저항 (24)이 RT의 값을 가진다는 첫 번째 근사치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RT=V/A이고, V는 제1 전압계 (14)에 의해서 측정된 전압, 그리고 A는 상기 전류계 (9)에 의해서 동시에 측정된 전류의 강도 (intensity)이며, 특히, 그렇게 결정된 RT 값이 상기 저항기 (13)의 값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다면 그렇게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간섭하는 전기 설비 (12)가 동일한 전기망 (3)에 연결되어 있을 대에 상기 측정이 되었다면, 이 간섭하는 설비 (12)는 상기 접지 연결 (19)에 기생 전류를 보낼 수 있으며 그리고 기생 전류 루프 (25)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기생 전류 루프 (25)는 도 1에서 두꺼운 라인 그리고 그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시된다. 이 기생 전류 루프 (25)는 저항기 913)를 통해서 지나가며 그리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에 의해서 수행된 그라운드 저항 측정들의 결과들을 변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26)가 제공된 충전기 (1)를 도시한다.
도 2에서 발견된 몇몇의 요소들은 도 1에서 그라운드 연결 저항 (2)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공통이며,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에 의해서 표시된다.
측정 디바이스 (26)는 제2 단자 (7)와 그라운드 연결 단자 (32)를 연결시키는 제3 분기 (23)를 포함한다.
참조번호 10의 커패시터보다 더 큰 값을 가진 커패시터 (20)는 이 분기 상에 위치한다. 제2 전압계 (15)는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 (32)와 상기 충전기의 제1 연결 단자 (6)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전압계 (30)는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 (32)와 상기 충전기의 제2 연결 단자 (7)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기 (22)는 도 1에서 상기 디바이스 (2)를 위해서 설명된 것과 동일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제1 커패시터 (10)와 직렬로 위치한 인덕터 (11)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커패시터 (20)의 값은 상기 제2 분기의 커패시터 (10)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게, 예를 들면, 10배 더 크게 선택된다. 이 방식에서, 상기 간섭기 (12)에 의해서 생성된 기생 전류들은 그라운드 연결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주파수들보다 보통은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전기망의 주파수보다 보통은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데, 상기 제2 분기의 임피던스보다 더 낮은 임피던스를 상기 커패시터 (20)의 레벨에서 '본다 (see)'. 임피던스의 이 차이는 상기 기생 전류 루프 (25)를 상기 제3 분기로 향하게 하며 그리고 이 기생 전류들이 상기 디바이스 (26)를 통해서 흐르는 측정 정류들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집에서 사용하는 설비에 의해서 생성된 이 간섭 전류들은 상기 전기망에 의해서 인도된 50 헤르츠에 비교하면, 킬로헤르츠 차수의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인덕터 (11)는 상기 디바이스 (26)의 제2 분기 (22) 상에서의 기생 전류들인 '본' 임피던스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런 전류 주파수들에 대해서, 커패시터는 10 내지 100 nf (nanofarads)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nF 사이이다.
상기 인덕터는 1 내지 10 mH (millihenries)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추가적인 인덕턴스가 없는 변형의 실시예에서는 0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에 의해서 수행된 것과 같은 그라운드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절차는 본질적으로는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그라운드 연결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 (26)는 연결 단자들 (6 및 7)의 레벨에서 릴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는 상기 제1 분기가 상기 망의 위상 와이어 (5)에 정확하게 연결된다는 것 그리고 상기 제2 분기가 상기 망 (3)의 중성 와이어 (4)에 정확하게 연결된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릴레이 (17)는, 예를 들면, 상기 제2 분기 (22)의 연결을 상기 제1 물리적 단자 (6)로 그리고 제2 물리적 단자 (7)로 교대로 스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릴레이 (18)는 상기 제1 분기 (21)의 연결을 상기 제1 물리적 단자 (6)로 그리고 제2 물리적 단자 (7)로 교대로 스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압계들 (15 및 30)에 의해서 수행된 측정들은 상기 중성선 (4)의 위치를 체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후 이 측정들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2 분기 (22) 및 제3 분기 (23)를 상기 중성선 (4)으로 연결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1 분기 (210를 상기 위상 (5)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2 분기 (22)가 상기 망 (3)의 상기 중성 와이어 (4)에 정확하게 연결된 것을 확실하게 한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은 그러면 상기 제2 릴레이 (18)를 참조번호 7의 단자와도 그리고 참조번호 6의 단자와도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스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릴레이 (17)에 의해서 이용 가능하게 남아있는 단자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2 릴레이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충전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의 실시예에서, 제1 분기 및 제2 분기의 망으로의 연결들은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에 의해서 동시에 운영되는 제1 접촉기 (27) 및 제2 접촉기 (28)를 포함하는 이중 작용 스위치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충전기 (1)의 참조번호 6의 단자 및 참조번호 7의 단자는 각각 참조번호 6의 단자에 대한 두 개의 접촉 포인트들 (6a, 6b)로 그리고 참조번호 7의 단자에 대한 두 개의 접촉 포인트들 (7a, 7b)로 각자 분리된다. 접촉 포인트들 (6a, 6b)은, 예를 들면, 접촉 포인트들 (7a, 7b)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분기 (21)에 연결된 제1 접촉기 (27)는 참조번호 6a의 접촉으로부터 참조번호 7a의 접촉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접촉기는 참조번호 7b의 접촉으로부터 참조번호 6b의 접촉으로 동시에 스위칭할 수 있다.
제1 접촉기 (27)가 참조번호 6a의 접촉 포인트와 접촉할 때에, 제2 접촉기 (28)는 참조번호 7b의 접촉 포인트와 접촉한다. 그러면 참조번호 6의 단자는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망의 위상에 연결되며, 그리고 참조번호 7의 단자는 상기 망의 중성 와이어 (4) 상으로 연결된다.
참조번호 6의 단자가 상기 망의 중성 선 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참조번호 7의 단자가 상기 망의 위상 상으로 연결될 때에 (그 구성은 상기 도면들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은 참조번호 27의 접촉기를 스위치하여, 그것이 참조번호 7a의 접촉 포인트와 접촉하게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두 개의 접촉기들을 연결시키는 기계적인 링크로 인해서 상기 커패시터 (28)는 참조번호 6b의 접촉 포인트와 동시에 스위치한다. 상기 제1 분기 (21)는 그래서 상기 위상 (5)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분기 (22)는 상기 중성선 (4)에 연결된다.
변형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연결들은, 연결 단자들 (6 및 7)에서 분리되는 것 대신에, 상기 제1 전기적 분기 (21) 및 제2 전기적 분기 (22) 측면으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서의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접촉기들의 상향에 위치한 두 개의 전압계들 (15 및 16)은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이 상기 제1 분기 (21)를 상기 망의 위상 (5) 상으로 연결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2 분기 (22)를 상기 망의 중성선 (4) 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분기 및 제2 분기를 각각 상기 망의 위상 및 중성선으로 올바르게 연결시킨 이후에, 상기 전압계 (14)에 의해 측정된 전압이 미리 선택된 임계값보다 더 높게 유지된다면,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은 상기 충전기의 사용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비정상 전압은, 예를 들면, 접촉기들 (17-18 또는 27-28)의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충전기 (14)를 상기 망 (3)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된 전기 플러그의 기하학적인 구성에 관해서 소망된 것의 역 구성에서 나오지 못하게 한다.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은 상기 그라운드 연결 저항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더 크다면, 예를 들어, 백 옴보다 더 크다면 상기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또는 200 옴보다 더 큰 그라운드 저항에 대해서 상기 충전기를 고장내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라운드 연결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장치의 그라운드 저항을 신뢰성있게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의 올바른 연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의 위상 및 중성 와이어들이 스위치된다면 상기 위상 와이어를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제3 분기 상으로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차량의 접지로 원치 않는 강도의 전류를 보내는 위험이 있으며, 상기의 것은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의 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리고 많은 변형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라운드 연결 (26)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위상 및 중성으로 스위치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가변의 기하적인 모습과의 연결들이 결핍되어 있다.
상기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위상 와이어, 중성 와이어 및 접지를 위한 대응 와이어를 포함한다면, 상기 디바이스는 단-상 (single-phase), 이-상 (two-phase) 또는 3-상 (three-phase) 상으로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그러면 상기 위상 와이어들 중 하나와 상기 중성 와이어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인덕터 (1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제2 전압계 (15) 또는 제3 전압계 (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커패시터를 위해서 그리고 상기 제2 커패시터를 위해서 채택된 값들은 상기 망의 전류 주파수 범위들 그리고 이 망의 예상된 간섭기들의 전류 주파수 범위들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전류 생성기 (8)에서 사용된 전류 주입 주파수들은 적응될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은 이 주파수들이 상기 간섭기들 (12)에 의해서 방사된 기생 전류들에 대해서 예상된 주파수들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예상된 간섭기 (12)가 상기 전류 생성기 (8)에서 사용된 주파수들보다 실질적으로 더 낮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대신 동작한다면, 상기 제3 분기에서의 커패시터 (20)는 낮은 값의 인덕터로, 예를 들면, 1 내지 10 mH 사이의 값을 가진 인덕터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추가의 저항기들, 커패시터들, 인덕터들이 이미 언급된 컴포넌트들에 부가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장치의 그라운드 저항 (24)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26)로서:
    - 전력 공급망 (3)의 위상 (5)을 상기 장치의 그라운드 (19)와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제1 전기적 분기 (21) 상에 배치된 전류원 (8) 및 전류계 (9),
    - 상기 전력 공급망 (3)의 중성 와이어 (4)를 상기 장치의 그라운드 (19)에 연결시키도록 제공되며, 저항기 단자들에 전압계 (14)가 연결된 저항기 (13)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저항기와 직렬인 제1 커패시터 (10)를 포함하는 제2 전기적 분기 (22)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망의 중성 와이어 (4)를 상기 장치의 그라운드 (19)와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제3 전기적 분기 (23)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커패시터 (10)보다 더 높은 값의 제2 커패시터 (20)를 상기 제1 커패시터 (10) 및 상기 제1 저항기 (13)와 병렬로 상기 제3 분기 (23) 상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저항 측정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인덕터 (11)가 상기 저항기 (13)와 그리고 상기 제1 커패시터 (10)와 직렬로 그리고 상기 제2 커패시터 (20)에 병렬로 위치하는, 그라운드 저항 측정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패시터 (20)는 상기 제1 커패시터 (10)보다 적어도 5배 더 크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커패시터보다 적어도 10배 더 큰, 그라운드 저항 측정 디바이스.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패시터 (20)는 10 내지 100 nF 사이의 값을 가지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nF 사이의 값을 가지는, 그라운드 저항 측정 디바이스.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11)는 1 내지 10 mH 사이의 값을 가지는, 그라운드 저항 측정 디바이스.
  6. 자동차 배터리용의 충전기 (1)로서,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하나에서 청구된 디바이스 (26)를 포함하는, 충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제2 전기적 분기 (22)를 상기 충전기 (1) 파워 서플라이의 제1 연결 단자 (6), 그리고 상기 제1 단자와는 별개인 상기 충전기 파워 서플라이의 제2 연결 단자 (7)에 번갈아 연결시킬 수 있는 릴레이 (17)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 (32)와 상기 제2 단자 (7) 사이에 연결된 제2 전압계 (15)를 포함하여, 상기 릴레이에 의해서 연결이 끊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그라운드 연결 단자 (32)와 상기 제1 단자 (6) 사이에 연결된 제3 전압계 (30)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에 의해서 연결이 끊어질 수 있도록 하는, 충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단자들 (6, 7)이 전력 공급망 (3) 상으로 연결될 때에 상기 릴레이 (17)를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 (16)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전기적 분기 (22)가 상기 두 단자들 (6, 7)에 연결되도록 - 상기 단자들에 대해 상기 제2 커패시터 (20)의 단자들에서 측정된 전압이 가장 낮음 - 하는, 충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 (13)의 단자들에서 측정된 전압이 상기 릴레이 (17)를 활성화한 이후에 임계 전압보다 더 높게 유지된다면, 상기 전자 제어 유닛 (16)은 전력 공급망 (3)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도 이후에 배터리의 충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충전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계 (9) 그리고 상기 제1 전압계 (14)의 눈금들로부터 계산된 그라운드 저항 (24)이 임계 저항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면 배터리의 충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 유닛 (16)을 포함하는, 충전기.
KR1020147035528A 2012-06-20 2013-06-06 접지 탭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그리고 그런 디바이스가 장착된 온-보드 차량을 위한 충전기 KR102045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5793 2012-06-20
FR1255793A FR2992429B1 (fr) 2012-06-20 2012-06-20 Dispositif de mesure de resistance de prise de terre et chargeur pour vehicule embarque muni d'un tel dispositif
US201261663013P 2012-06-22 2012-06-22
US61/663,013 2012-06-22
PCT/FR2013/051293 WO2013190207A1 (fr) 2012-06-20 2013-06-06 Dispositif de mesure de resistance de prise de terre et chargeur pour vehicule embarque muni d'un tel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407A true KR20150023407A (ko) 2015-03-05
KR102045521B1 KR102045521B1 (ko) 2019-12-05

Family

ID=4659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528A KR102045521B1 (ko) 2012-06-20 2013-06-06 접지 탭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그리고 그런 디바이스가 장착된 온-보드 차량을 위한 충전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94102B2 (ko)
EP (1) EP2864148B1 (ko)
JP (1) JP6189430B2 (ko)
KR (1) KR102045521B1 (ko)
CN (1) CN104364114B (ko)
BR (1) BR112014031809B1 (ko)
DK (1) DK2864148T3 (ko)
FR (1) FR2992429B1 (ko)
IN (1) IN2014DN10352A (ko)
RU (1) RU2603173C2 (ko)
WO (1) WO2013190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5498B1 (fr) * 2011-05-19 2014-02-14 Renault Sa Dispositif et procede d'estimation de la resistance du raccordement a la terre d'un appareil electrique
FR2990763B1 (fr) 2012-05-16 2014-05-09 Renault Sa Systeme et procede de charge securisee d'un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WO2015104505A1 (fr) * 2014-01-08 2015-07-16 Electricite De France Dispositif de mesure électrique pour mesurer la résistance d'une prise de terre d'une installation électrique
FR3016249A1 (fr) * 2014-01-08 2015-07-10 Electricite De France Dispositif de mesure electrique equipant un tableau electrique pour mesurer la resistance d'une prise de terre d'une installation electrique
DE102014207171A1 (de) * 2014-04-15 2015-10-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mitteln eines Innenwiderstandes eines Versorgungsnetzes zur Energieversorgung einer Personenschutzeinrichtung eines Fahrzeugs
DE102017202959A1 (de) * 2017-02-23 2018-08-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die Bestimmung eines Erdleiterwiderstands für eine Ladevorrichtung
CN108099683A (zh) * 2018-02-01 2018-06-01 浙江大学 电瓶车充电器设备
DE102018104916A1 (de) * 2018-03-05 2019-09-05 Bender Gmbh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Ladevorrichtung eines Fahrzeugs und Ladevorrichtung eines Fahrzeugs zum Lad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des Fahrzeugs
DE102018121320A1 (de) * 2018-08-31 2020-03-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fahrzeugexternen Ladevorrichtung und Ladevorrichtung
IT202200008630A1 (it) * 2022-04-29 2023-10-29 Porsche Ag Metodo per la misurazione di una resistenza di terra in un sistema di ricarica per batteri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5900B1 (en) * 2000-11-14 2007-06-26 HYDRO-QUéBEC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arying a phase line impedance of an electric power transport line section
US20070170910A1 (en) * 2006-01-26 2007-07-26 Ming-Hoo Chang Spectral resistor, spectral capacitor, order-infinity resonant tank, EM wave absorbing material,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090278547A1 (en) * 2008-05-08 2009-11-12 Lear Corporation Ground-fault detection system for vehicles with a high-voltage power net
US20100244849A1 (en) * 2009-03-31 2010-09-30 Honda Motor Co., Ltd. Electric vehicle with ground fault detecting system
US20110029146A1 (en) * 2009-07-28 2011-02-03 Michael Muller Plug-I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3072A (en) * 1977-01-26 1978-08-15 Sharp Corp Earthing resistance measuring apparatus
JPH0668528B2 (ja) * 1987-03-19 1994-08-31 義範 片岡 活線接地抵抗計
JP2866792B2 (ja) * 1993-07-23 1999-03-08 エナジーサポート株式会社 負荷機器の接地検出装置
JPH07146321A (ja) * 1993-11-22 1995-06-06 Fuji Electric Co Ltd 無停電電源装置の蓄電池地絡検出回路
JP2007207286A (ja) * 2006-01-31 2007-08-16 Shinano Kenshi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RU2359279C2 (ru) * 2007-05-29 2009-06-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лектродиагност"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изоляции консоли подвески контактного провода относительно металлической арматуры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опоры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KR100968350B1 (ko) * 2007-08-08 2010-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누설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JP5201449B2 (ja) * 2008-02-28 2013-06-05 テンパール工業株式会社 接地線分岐端子および分電盤
CN102171578B (zh) * 2008-09-01 2013-11-06 株式会社Lg化学 用于感测电池的泄漏电流的设备和方法以及包括该设备的电池驱动设备和电池组
JP5550062B2 (ja) * 2009-03-04 2014-07-16 テンパール工業株式会社 接地極付のコンセント
US8847605B2 (en) * 2009-06-12 2014-09-30 Nissan Motor Co., Ltd. Connection diagnostic apparatus for ground fault detector
JP2011220812A (ja) * 2010-04-08 2011-11-04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の漏電検査方法
US8648606B2 (en) * 2010-06-03 2014-02-11 Lear Corporation Ground monitor
GEP20125544B (en) * 2010-06-15 2012-05-25 Groundwire resistance measuring method and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5900B1 (en) * 2000-11-14 2007-06-26 HYDRO-QUéBEC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arying a phase line impedance of an electric power transport line section
US20070170910A1 (en) * 2006-01-26 2007-07-26 Ming-Hoo Chang Spectral resistor, spectral capacitor, order-infinity resonant tank, EM wave absorbing material,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090278547A1 (en) * 2008-05-08 2009-11-12 Lear Corporation Ground-fault detection system for vehicles with a high-voltage power net
US20100244849A1 (en) * 2009-03-31 2010-09-30 Honda Motor Co., Ltd. Electric vehicle with ground fault detecting system
US20110029146A1 (en) * 2009-07-28 2011-02-03 Michael Muller Plug-I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31809A2 (pt) 2017-06-27
WO2013190207A1 (fr) 2013-12-27
IN2014DN10352A (ko) 2015-08-07
JP6189430B2 (ja) 2017-08-30
BR112014031809B1 (pt) 2021-01-12
US9594102B2 (en) 2017-03-14
FR2992429B1 (fr) 2014-07-18
FR2992429A1 (fr) 2013-12-27
US20150198644A1 (en) 2015-07-16
RU2603173C2 (ru) 2016-11-20
KR102045521B1 (ko) 2019-12-05
RU2015101481A (ru) 2016-08-10
JP2015535333A (ja) 2015-12-10
CN104364114A (zh) 2015-02-18
EP2864148B1 (fr) 2016-08-17
CN104364114B (zh) 2017-06-13
EP2864148A1 (fr) 2015-04-29
DK2864148T3 (en)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521B1 (ko) 접지 탭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그리고 그런 디바이스가 장착된 온-보드 차량을 위한 충전기
CN108051734B (zh) 用于监测机械开关的开关状态的电路及方法
CN102608445B (zh) 瞬时电压保护器件的测试
KR102055763B1 (ko) 절연 결함을 검출 및 측정하기 위한 장치
US10180459B2 (en)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occurrence of leakage current and/or relay short-circuit condition in an electrical system
WO2013112235A2 (e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testing apparatus
WO2010128069A1 (en) Wiring testing device
CN111090027A (zh) 高压系统和用于监视高压系统中的绝缘故障的方法
WO2015087098A1 (en) Method for measuring the insulation resistance of an ungrounded dc power network and for localizing the earth fault, and current injecting two-pole device
KR102505605B1 (ko) 누설 전류를 보상하는 보상 장치
CN214492626U (zh) 用于给电动车辆的动力电池充电的充电装置及测试装置
CN105846519A (zh) 用于从ac供电系统对高压电池电力充电的方法和设备
AU2003200300B2 (en) Diagnostic wiring verification tester
JP2020523963A (ja) 光起電力システムにおける単一障害許容型の絶縁抵抗判定
RU2488129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изоляции и защиты от замыканий на корпус силовых цепей тепловозов
JP2016130706A (ja) 非接地電源の絶縁検出装置
CN109387700B (zh) 用于充电电缆中的接地电阻识别的方法和设备
US9377492B2 (en) Device for estimating the impedance of an electric earth connection, associated estimation method and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JP2014202696A (ja) 漏電検出方法
CN213091801U (zh) 一种绝缘监测装置及轨道辅助逆变器系统
RU2631121C2 (ru) Способ селектив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отходящей линии с однофазным замыканием на землю в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х сетях напряжением 6-35 кВ
CN108333438B (zh) 一种电容电流的测试方法、装置及系统
CN108303595B (zh) 一种基于异频相电流的电容电流测试方法、装置及系统
CN111929554A (zh) 一种绝缘监测装置、系统、方法、设备、介质及辅逆系统
CN106771934B (zh) 一种电动汽车电机试验高低压线缆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