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068A - 개수대의 안착 구조 - Google Patents

개수대의 안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068A
KR20150023068A KR1020157002408A KR20157002408A KR20150023068A KR 20150023068 A KR20150023068 A KR 20150023068A KR 1020157002408 A KR1020157002408 A KR 1020157002408A KR 20157002408 A KR20157002408 A KR 20157002408A KR 20150023068 A KR20150023068 A KR 20150023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aucet
connecting sleeve
fastening ring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밍 왕
Original Assignee
장밍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밍 왕 filed Critical 장밍 왕
Publication of KR2015002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수대의 안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수대 몸체(1), 개수대 몸체(1)에 설치되는 배치관(2), 배치관(2)과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커플러(coupler) 및 커플러가 배치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위치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개수대 몸체(1)에 배치관(2)이 설치되고, 배치관(2)과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커플러가 설치되며, 개수대 몸체(1)에 수도꼭지(4)가 안착될 때, 수도꼭지(4) 및/또는 호스(5)와 연결되는 커플러를 배치관(2) 내에 안착되기만 하면 커플러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수도꼭지(4)를 분리할 때에는 위치고정 장치를 풀기만 하면 된다.

Description

개수대의 안착 구조 {INSTALLATION STRUCTURE OF BASIN}
본 발명은 수조, 개수대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수대에서 수도꼭지를 안착시키는 데에 사용하는 안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개수대에서 수도꼭지를 안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개수대 하부의 좁은 공간에서 작업해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상당히 불편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가 00103736.6인 중국 특허의 명세서에서는 용이하게 안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수도꼭지 배수관 부품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명세서와 명세서 도면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와 같은 유형의 안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수도꼭지 배수관 부품을 안착시키는 것은 그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기 때문에 기술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특허에서는 개수대의 수도꼭지를 안착시키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이하게 수도꼭지를 안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은 개수대의 안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수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수대 몸체에 설치하는 배치관, 상기 배치관과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커플러(coupler) 및 상기 커플러가 배치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위치고정 장치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수로를 수도꼭지와 호스(hose)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배치관은 상기 상부 플랫폼에서 상기 개수대 몸체의 기저부까지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배치관 상단 개구부는 상기 개수대 몸체의 상부 플랫폼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배치관과 매칭되는 연결관이고, 상기 연결관 상단은 수도꼭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 하단은 상기 배치관 외부로 뻗어나가 호스와 연결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기 배치관 상단 개구부 외주에 설치되는 자성체 재료로 제작된 환형부분 및 상기 연결관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자성체 재료로 제작된 가장자리 부분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관 상단과 끼움결합되는 체결링(fastening ring) I과 상기 배치관의 상단 개구부에서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체결링 Ⅱ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링 Ⅱ의 투영면적은 상기 배치관의 투영면적보다 크고, 상기 체결링 I과 상기 체결링 Ⅱ는 나사 연결된다.
체결링 I과 연결관의 끼움결합 방식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상단은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러그(lug)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링 I의 상단은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러그의 직경은 상기 체결링 Ⅱ의 외경보다는 작으며 상기 돌출부의 내경보다는 크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커플러는 수로에 관여하지 않으며 호스가 직접 수도꼭지와 연결되고, 상기 배치관은 상기 개수대 몸체의 상부 플랫폼에서 아래를 향하여 개수대 몸체의 기저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배치관과 매칭되는 연결 슬리브(sleeve)이고, 상기 연결 슬리브의 상단은 수도꼭지와 연결되며, 호스는 상기 연결 슬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수도꼭지와 연결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부 플랫폼에서 상기 배치관의 상단 개구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오목홀, 상기 연결 슬리브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 및 상기 연결 슬리브 하단에 나사 연결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관의 단면은 다각형이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오목홀 내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너트의 상단면은 상기 연결 슬리브의 하단면과 밀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기 배치관의 측벽에 설치된 나사홀(screw hole), 상기 나사홀 내에 삽입함으로써 말단부와 상기 연결 슬리브의 외측벽을 밀착되는 조임나사 및 상기 연결 슬리브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순연(labial margin)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관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커플러와 수도꼭지는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상기 배치관은 상기 개수대 몸체 상부 플랫폼에서 아래를 향하여 개수대 몸체의 기저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배치관과 매칭되는 연장관이고, 상기 연장관은 수도꼭지 하부의 수도꼭지 관체에서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관의 하단은 호스와 연결된다.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기 배치관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홀 및 상기 나사홀 내에 삽입함으로써 말단부와 상기 연장관의 외측벽과 밀착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관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개수대 몸체에 배치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치관과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커플러를 설치함으로써, 개수대에 수도꼭지를 안착시킬 때 수도꼭지 및/또는 호스와 연결되는 커플러를 배치관 내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전문 장비가 없이도 커플러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수도꼭지를 분리해야 할 때 손으로 위치고정 장치를 풀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도꼭지의 유지보수와 교체가 상당히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조립도;
도 3은 도 1의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 2의 분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조립도;
도 6은 도 4의 부분 조립도;
도 7은 도 4의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 3의 분해도;
도 9는 도 8의 부분 조립도;
도 10은 도 8의 조립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 4의 분해도;
도 12는 도 11의 부분 조립도;
도 13은 도 11의 조립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 5의 분해도;
도 15는 도 14의 부분 조립도;
도 16은 도 14의 조립도;
도 1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예 6의 분해도;
도 18은 도 17의 부분 조립도;
도 19는 도 17의 조립도.
상기 도면과 함께 아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수대의 안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수대 몸체(1), 개수대 몸체(1)의 상부 플랫폼(11)에서 아래를 향하여 개수대 몸체(1) 기저부의 중공(hollow)까지 연장되는 배치관(2) 및 배치관(2)과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된 연결관(3)을 포함하고, 배치관(2)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단 개구부와 개수대 몸체(1)의 상부 플랫폼(11)은 수평이고, 외측벽 상부 환에 강화벽(21)이 설치되어 있으며 개수대 몸체(1)와 연결되어 배치관(2)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안정시킨다. 연결관(3)의 형상은 배치관(2)과 매칭되고, 상기 상단은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자성체 재료로 제작된 가장자리 부분(3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단의 내측벽에는 내부 나사가 구비되어 있고, 수도꼭지(4)와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며, 하단은 직경이 작아지면서 수직으로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는 니플(pipe joint)(32)을 구비하고 있고, 니플(32)에는 외부 나사가 설치되어 있으며, 호스(5)와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고, 호스(5)는 배수관까지 연결된다.
개수대 몸체(1)의 상부 플랫폼(11)에 배치관(2) 지점이 설치되고, 배치관(2)의 상단 개구부 외주에 자성체 재료로 제작된 환형부분(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관(3)의 가장자리 부분(31)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양자가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안착시킬 경우에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연결관(3)의 상단을 수도꼭지(4) 나사와 연결하고, 다시 하단의 니플(32)을 호스(5)와 연결한 후 너트(51)를 이용하여 잠근다. 그런 다음,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후의 연결관(3)을 위에서 아래로 배치관(2)을 관통하여 삽입함으로써 가장자리 부분(31)이 환형부분(12) 지점에 끼워지도록 하고, 니플(32)은 배치관(2) 밖으로 뻗어나가도록 한다. 가장자리 부분(31)과 환형부분(12)은 모두 자성체 재료로 제작되기 때문에 자기력의 작용으로 상기 양자는 맞물려 밀착되기 때문에 연결관(3)이 배치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배치관(2)과 연결관(3)은 모두 다각형이기 때문에 연결관(3)은 회전할 수 없으므로 연결관(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도꼭지(4)가 개수대 몸체(1)에 고정되어 물이 호스(5)와 연결관(3)에 의해 수도꼭지(4)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배치관(2)은 일정한 깊이가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의 수도꼭지(4)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손으로 약간의 힘(자기력보다 큰 힘)을 가하기만 하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수도꼭지(4), 연결관(3) 및 호스(5)를 배치관(2)에서 즉시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가장자리 부분(31)과 환형부분(12) 대신 잠금 너트(6)를 이용하여 연결관(3)을 수직으로 결속시키는 것이며, 잠금 너트(6)의 외경은 배치관(2)의 내경보다 크고 배치관(32)의 상부에 연결된다.
안착시킬 경우,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연결관(3)의 상단을 수도꼭지(4)와 나사 연결하고, 그런 다음,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후의 연결관(3)을 위에서 아래로 배치관(2)을 관통하여 삽입한 후, 니플(32)이 배치관(2) 밖으로 뻗어나가도록 하며,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 너트(6)를 니플(32)의 상부에 돌려 잠그고, 호스(5)는 너트(51)에 의해 니플(32)의 하부를 돌려 잠근다. 이를 통하여 조립을 완성하고, 잠금 너트(6)의 상단면과 배치관(2)의 하단면이 밀착되며, 수도꼭지(4) 하부의 수도꼭지 관체(41)의 하단면은 상부 플랫폼(11)과 밀착되고(수도꼭지 관체(41)의 직경은 배치관(2)의 직경보다 큼), 이를 통하여 연결관(3)의 수직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배치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할 수 없도록 하고, 배치관(2)과 연결관(3)은 모두 다각형이기 때문에 연결관(3)은 회전할 수 없으므로 연결관(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도꼭지(4)가 개수대 몸체(1)에 고정되어 물이 호스(5)와 연결관(3)에 의해 수도꼭지(4)까지 도달할 수 있다.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손으로 니플(32)의 호스(5)와 잠금 너트(6)를 풀기만 하면, 수도꼭지(4)와 연결관(3)을 배치관(2)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가장자리 부분(31)과 환형부분(12) 대신 체결링I(7)과 체결링Ⅱ(22)을 이용하여 연결관(3)을 수직으로 결속시키는 것이다. 상부 플랫폼(11)의 배치관(2) 개구부는 위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투영면적이 배치관(2) 투영면적보다 큰 체결링Ⅱ(22)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링Ⅱ(22)은 외부 나사를 구비하고 있으며, 체결링I(7)은 체결링Ⅱ(22)와 매칭하는데 사용되며, 상기는 내부 나사를 구비하고 있고, 상단은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71)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관(3)의 상단은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러그(lug)(33)가 있고, 러그(33)의 외경은 체결링Ⅱ(22)의 직경보다는 작고 돌출부(71)의 내경보다는 크다.
안착시킬 경우,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체결링I(7)은 수도꼭지(4)의 하부를 씌우면서 설치되고, 다시 연결관(3) 상단과 수도꼭지(4)를 나사 연결하며, 하단의 니플(32)을 호스(5)와 연결하고 너트(51)를 이용하여 잠근다. 그런 다음,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후의 연결관(3)을 위에서 아래로 배치관(2)을 관통하여 삽입함으로써 러그(33)가 체결링Ⅱ(22) 내부의 상부 플랫폼(11) 부분에 끼워지도록 하고, 니플(32)은 배치관(2) 외부로 뻗어나가도록 한다. 체결링I(7)과 체결링Ⅱ(22)을 잠금으로써 러그(33)의 상단부가 체결링I(7)의 돌출부(71)와 밀착되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연결관(3)의 수직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상기가 배치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할 수 없도록 하고, 배치관(2)과 연결관(3)은 모두 다각형이기 때문에 연결관(3)은 회전할 수 없으므로 연결관(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도꼭지(4)가 개수대 몸체(1)에 고정되어 물이 호스(5)와 연결관(3)에 의해 수도꼭지(4)까지 도달할 수 있다.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손으로 체결링(I7)을 풀기만 하면 수도꼭지(4), 연결관(3) 및 호스(5)를 배치관(2)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수대의 안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수대 몸체(1), 개수대 몸체(1)의 상부 플랫폼(11)에서 아래를 향하여 개수대 몸체(1) 기저부의 중공까지 연장되는 배치관(2) 및 배치관(2)과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 슬리브(connecting sleeve)(3')를 포함한다. 배치관(2)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측벽 상부 환에 강화벽(21)이 설치되어 있고, 개수대 몸체(1)와 연결함으로써 배치관(2)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안정시키며, 개수대 몸체(1)의 상부 플랫폼(11)에서 배치관(2)의 상단 개구부에 원형의 오목홀(23)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슬리브(3')의 형상은 배치관(2)과 매칭되고, 상기 상단은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플랜지(34)을 구비하고 있고, 상단의 내측벽은 내부 나사를 구비하고 있어 수도꼭지(4)와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며, 플랜지(34)의 크기는 오목홀(23)과 서로 매칭되기 때문에 오목홀(23) 내에 끼움 설치될 수 있고, 하단에는 외부 나사가 설치되어 있어 너트(52)와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호스(5)는 이중 홀의 수도꼭지(4)와 직접 연결되고, 각각 다른 배수관로에 연결된다.
안착시킬 경우,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연결관(3)의 상단은 수도꼭지(4)와 나사 연결되며, 그런 다음,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스(5)와 연결 슬리브(3')를 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배치관(2)을 관통하여 삽입함으로써 플랜지(34)가 오목홀(23) 내에 끼워지도록 하고, 연결 슬리브(3') 하단의 외부 나사는 배치관(2) 밖으로 뻗어나가도록 하며, 너트(52)를 이용하여 연결 슬리브(3') 하단의 외부 나사에서 잠그고, 너트(52)의 상단면은 연결 슬리브(3')의 하단면과 밀착된다. 이를 통하여 연결 슬리브(3')는 수직에서 배치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배치관(2)과 연결 슬리브(3')는 모두 다각형이기 때문에 연결 슬리브(3')는 회전할 수 없으므로 연결 슬리브(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도꼭지(4)가 개수대 몸체(1)에 고정되어 물이 호스(5)에 의해 수도꼭지(4)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배치관(2)은 일정한 깊이가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의 수도꼭지(4)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손으로 너트(52)를 풀기만 하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수도꼭지(4), 연결 슬리브(3') 및 호스(5)를 배치관(2)에서 즉시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수대의 안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수대 몸체(1), 개수대 몸체(1)의 상부 플랫폼(11)에서 아래를 향하여 개수대 몸체(1) 기저부의 중공까지 연장되는 배치관(2) 및 배치관(2)과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 슬리브(3')를 포함한다. 배치관(2)의 단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측벽에 나사홀(24) 및 나사홀(24)와 매칭되는 조임나사(25)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치관(2)의 상단 개구부는 개수대 몸체(1)의 상부 플랫폼(11)과 수평을 이룬다. 연결 슬리브(3')의 형상은 배치관(2)과 매칭되고, 상기 상단은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순연(labial margin)(3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단의 내측벽은 내부 나사를 구비하고 있어 수도꼭지(4)와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호스(5)는 이중 홀의 수도꼭지(4)와 직접 연결되고, 각각 다른 배수관로에 연결된다.
안착시킬 경우,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연결 슬리브(3')의 상단은 수도꼭지(4)와 나사 연결되며, 그런 다음,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시 호스(5)와 연결 슬리브(3')를 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배치관(2)을 관통하여 삽입하고, 순연(35)이 배치관(2)의 상단 개구부 외주의 상부 플랫폼(11)에 안착되도록 하여, 연결 슬리브(3')의 하단은 배치관(2)의 하단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그런 다음, 조임나사(25)를 나사홀(24) 내부를 향하여 잠금으로써 상기 말단이 연결 슬리브(3')의 외측벽과 밀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연결 슬리브(3')는 수직에서 배치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배치관(2)에 대해서도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연결 슬리브(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도꼭지(4)가 개수대 몸체(1)에 고정되어 물이 호스(5)에 의해 수도꼭지(4)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배치관(2)은 일정한 깊이가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의 수도꼭지(4)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손으로 조임나사(25)를 풀기만 하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수도꼭지(4), 연결 슬리브(3') 및 호스(5)를 배치관(2)에서 즉시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도 1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5와 다른 점은 연결 슬리브(3') 대신 수도꼭지(4)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장관(3'')을 이용한다는 것이며, 연장관(3'')은 수도꼭지(4) 하부의 수도꼭지 관체(41)에서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면서 형성되고, 연장관(3'')의 직경은 수도꼭지 관체(41)의 직경보다 작으며, 연장관(3'')의 하단에는 연장관니플(36)이 설치되어 있고, 연장관니플(36)은 외부 나사를 구비하고 있으며, 호스(5)와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7에서 도시하는 호스(5)는 1개이며, 호스(5)는 2개로 대체할 수 있고, 이때 수도꼭지(4)는 상대적으로 이중 홀을 가진다.
안착시킬 경우, 도 1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연장관(3'')의 하단은 호스(5)와 나사 연결되고, 그런 다음, 도 1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스(5)와 연장관(3'')을 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배치관(2)을 관통하여 삽입함으로써, 수도꼭지 관체(41)가 배치관(2)의 상단 개구부 외주의 상부 플랫폼(11)에 맞물려 끼워지도록 하고, 연장관(3'') 하단의 연장관니플(36)은 배치관(2) 밖으로 뻗어나간다. 그런 다음 조임나사(25)를 나사홀(24) 내부를 향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말단과 연장관(3'')의 외측벽이 밀착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연장관(3'')이 배치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배치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도 없도록 함으로써 연장관(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도꼭지(4)가 개수대 몸체(1)에 고정되어 물이 호스(5)에 의해 수도꼭지(4)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배치관(2)에는 일정한 깊이가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의 수도꼭지(4)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분리해야 할 경우에는 손으로 조임나사(25)를 풀기만 하면 수도꼭지(4), 연결 슬리브(3') 및 호스(5)를 배치관(2)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진행한 임의의 변경 또는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개수대 몸체(1)를 포함하고, 상기 개수대 몸체(1)에 설치하는 배치관(2), 상기 배치관(2)과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커플러(coupler) 및 상기 커플러가 배치관(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위치고정 장치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배치관(2)은 상기 상부 플랫폼(11)에서 상기 개수대 몸체(1)의 기저부까지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배치관(2) 상단 개구부는 상기 개수대 몸체(1)의 상부 플랫폼(11)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배치관(2)과 매칭되는 연결관(2)이고, 상기 연결관(3) 상단은 수도꼭지(4)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3)의 하단은 상기 배치관(2) 외부로 뻗어나가 호스(5)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기 배치관(2) 상단 개구부 외주에 설치되는 자성체 재료로 제작된 환형부분(12) 및 상기 연결관(3)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자성체 재료로 제작된 가장자리 부분(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관(3) 상단과 끼움결합되는 체결링(fastening ring)I(7)과 상기 배치관의 상단 개구부에서 위를 향하여 연장되는 체결링Ⅱ(22)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링Ⅱ(22)의 투영면적은 상기 배치관(2)의 투영면적보다 크고, 상기 체결링I(7)과 상기 체결링Ⅱ(22)가 나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의 상단은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러그(lug)(3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링I(7)의 상단은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7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러그(33)의 직경은 상기 체결링Ⅱ(22)의 외경보다는 작으며 상기 돌출부(7)의 내경보다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관(2)은 상기 개수대 몸체(1)의 상부 플랫폼(11)에서 아래를 향하여 개수대 몸체(1)의 기저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배치관(2)과 매칭되는 연결 슬리브(sleeve)(3')이고, 상기 연결 슬리브(3')의 상단은 수도꼭지(4)와 연결되며, 호스(5)는 상기 연결 슬리브(3')를 관통하여 상기 수도꼭지(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부 플랫폼(11)에서 상기 배치관(2)의 상단 개구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오목홀(23), 상기 연결 슬리브(3')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34) 및 상기 연결 슬리브(3') 하단에 나사 연결되는 너트(52)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관(2)의 단면은 다각형이며, 상기 플랜지(34)는 상기 오목홀(23) 내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너트(52)의 상단면은 상기 연결 슬리브(3')의 하단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기 배치관(2)의 측벽에 설치된 나사홀(screw hole)(24), 상기 나사홀(24) 내에 삽입함으로써 말단부와 상기 연결 슬리브(3')의 외측벽을 밀착되는 조임나사(25) 및 상기 연결 슬리브(3')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순연(labial margin)(35)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관(2)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관(2)은 상기 개수대 몸체(1) 상부 플랫폼(11)에서 아래를 향하여 개수대 몸체(1)의 기저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배치관(2)과 매칭되는 연장관(3'')이고, 상기 연장관(3'')은 수도꼭지(4) 하부의 수도꼭지 관체(41)에서 아래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관(3'')의 하단이 호스(5)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장치는 상기 배치관(2)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홀(24) 및 상기 나사홀(24) 내에 삽입함으로써 말단부와 상기 연장관(3'')의 외측벽과 밀착되는 조임나사(25)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관(2)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대의 안착 구조.
KR1020157002408A 2012-06-29 2013-03-19 개수대의 안착 구조 KR20150023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218149.8A CN104278714B (zh) 2012-06-29 2012-06-29 使用方便的台盆
CN201210218149.8 2012-06-29
PCT/CN2013/000314 WO2014000406A1 (zh) 2012-06-29 2013-03-19 台盆的安装结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068A true KR20150023068A (ko) 2015-03-04

Family

ID=4911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408A KR20150023068A (ko) 2012-06-29 2013-03-19 개수대의 안착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122982A1 (ko)
EP (1) EP2868817A4 (ko)
KR (1) KR20150023068A (ko)
CN (1) CN104278714B (ko)
HK (2) HK1178373A2 (ko)
TW (2) TWI558356B (ko)
WO (1) WO2014000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5853A (zh) * 2018-05-11 2018-11-06 宁波高新区登高洁具科技有限公司 一种厨房水槽
CN108755852A (zh) * 2018-05-11 2018-11-06 宁波高新区登高洁具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厨房水槽
CN114929973A (zh) 2019-12-19 2022-08-19 艾默生电气公司 可配置水龙头设备及其实施和操作方法
USD988474S1 (en) * 2020-10-01 2023-06-06 InSinkErator LLC Faucet apparatus
USD988475S1 (en) * 2020-10-01 2023-06-06 InSinkErator LLC Fauce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9081A1 (de) * 1978-06-28 1980-01-10 Ideal Standard Sanitaere wasserarmatur mit schwenkauslauf
US4463460A (en) * 1982-08-13 1984-08-07 Indiana Brass, Inc. Roman tub fixture
DE3603151C1 (en) * 1986-02-01 1987-07-23 Meloh Armaturen Gmbh Single-lever mixer
US4856122A (en) * 1988-03-28 1989-08-15 Sloan Valve Company Anti-rotation device
DE4108458C2 (de) * 1991-03-15 1994-12-15 Hansa Metallwerke Ag Sanitärarmatur
JP2603780B2 (ja) * 1991-12-13 1997-04-23 松下電工株式会社 カランの取付構造
DE4314101A1 (de) * 1993-04-29 1994-11-03 Scheffer Kludi Armaturen Armatur mit Bajonettverschluß
US5535776A (en) * 1995-05-15 1996-07-16 Moen Incorporated Kitchen faucet top mount device
DE19758291C2 (de) * 1997-03-18 2002-03-14 Ideal Standard Sanitärarmatur
DE19756970A1 (de) * 1997-12-20 1999-06-24 Grohe Armaturen Friedrich Einlochmischbatterie
US5950663A (en) * 1998-03-05 1999-09-14 Bloomfield; Terence M. Faucet installation system
DE10016504A1 (de) * 1999-06-29 2001-01-04 Kugler Robinetterie Sa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Armatur auf ihrer Unterlage
US6301728B1 (en) * 2000-08-02 2001-10-16 Emhardt Inc. Quick-install assembly for a single control faucet
US6421849B1 (en) * 2001-07-25 2002-07-23 Kohler Co. Mounting assembly for plumbing control fitting
DE20209124U1 (de) * 2002-06-12 2002-09-12 Pollecker Theo Demohilfe für Armaturen vor allem von Waschtischen
US20060049633A1 (en) * 2004-09-09 2006-03-09 Mcbride Randolph Faucet anchor for interconnecting a faucet to the water supply
US7909061B2 (en) * 2005-06-17 2011-03-22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Magnetic coupling for sprayheads
CN200956078Y (zh) * 2006-06-21 2007-10-03 纬晋工业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的组件定位结构
EP1870526B1 (de) * 2006-06-21 2016-04-06 Franke Water Systems AG Sanitärarmatur
FR2904638B1 (fr) * 2006-08-01 2011-03-04 Leroy Merlin Participations Systeme de montage et de reglage en hauteur d'un robinet.
CN200955528Y (zh) * 2006-09-06 2007-10-03 项大清 紧固连接装置
TWM312282U (en) * 2006-09-21 2007-05-21 Nan Kai Inst Technology Height-adjustable washstand
JP2008081989A (ja) * 2006-09-27 2008-04-10 Cleanup Corp 水栓装置
DE102007001450B4 (de) * 2007-01-03 2010-04-08 Kludi Gmbh & Co. Kg Befestigungseinheit zur Befestigung einer Wasserauslaufarmatur
US20090276954A1 (en) * 2008-05-08 2009-11-12 Kyle Robert Davidson Spout mounting
US8863769B2 (en) * 2008-10-28 2014-10-21 Kohler Co. Sprayer seating assembly
CN201471346U (zh) * 2009-05-21 2010-05-19 田博光 缺口套筒
GB201000513D0 (en) * 2010-01-13 2010-03-03 Bonar Declan Tap plate
GB201008866D0 (en) * 2010-05-27 2010-07-14 Bristan Group Ltd Improved tap mounting
CN202048270U (zh) * 2011-03-25 2011-11-23 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分离式水龙头中的龙头本体组水路固定结构
TWM441758U (en) * 2012-05-07 2012-11-21 ming-hong Chen Mounting structure of countertop faucet
US9328486B2 (en) * 2012-08-15 2016-05-03 Elkay Manufacturing Company Multipositional faucet sp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8714B (zh) 2015-08-26
WO2014000406A1 (zh) 2014-01-03
CN104278714A (zh) 2015-01-14
TW201400070A (zh) 2014-01-01
HK1178373A2 (en) 2013-09-06
US20160122982A1 (en) 2016-05-05
TWI558356B (zh) 2016-11-21
EP2868817A1 (en) 2015-05-06
EP2868817A4 (en) 2015-12-02
TWM466995U (zh) 2013-12-01
HK1202597A1 (en)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3068A (ko) 개수대의 안착 구조
US6360770B1 (en) Modular lavatory faucet spout mounting
KR200481313Y1 (ko) 수전 고정구조
US20130048100A1 (en) Faucet mounting anchor
CN206072467U (zh) 具有快装固定装置的龙头
US6668393B1 (en) Height adjustable diverter spout assembly
US20070119509A1 (en) Spout plumbing device
KR101755171B1 (ko) 싱크대용 수도전 체결장치
US7162755B2 (en) Plumbing fixture with mounting apparatus
JP5466500B2 (ja) 通水管継手
WO2011117825A1 (en) Waste fitting
JP4713910B2 (ja) 配管固定具
JP2002112907A (ja) 排水口用ゴム栓
JP2010053673A (ja) 洗面ボウルへの排水器具の取付構造
US20060064809A1 (en) Sink strainer apparatus
JP6440091B2 (ja) 自動水栓装置
KR102595427B1 (ko) 싱크대용 수도꼭지
JP2006275073A (ja) 配管固定具
CN215802003U (zh) 一种龙头的出水管结构和龙头
CN212001432U (zh) 一种可快速安装的下水器
AU2016208288B2 (en) Waste fitting
KR20170068267A (ko) 사용자 보호형 수도밸브 설치 구조를 갖는 세면대
JPS6019174Y2 (ja) 立形水栓の固定装置
JPS6020696Y2 (ja) 立形水栓の固定装置
KR20230146258A (ko) 원홀 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