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70A - 음료수 디스펜서 및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음료수 디스펜서 및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70A
KR20150022670A KR20140100035A KR20140100035A KR20150022670A KR 20150022670 A KR20150022670 A KR 20150022670A KR 20140100035 A KR20140100035 A KR 20140100035A KR 20140100035 A KR20140100035 A KR 20140100035A KR 20150022670 A KR20150022670 A KR 20150022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ld water
beverage
hollow needle
li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931B1 (ko
Inventor
다카시 하라다
가쿠 미야가와
히로후미 하나노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산토리 쇼쿠힌 인타나쇼나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산토리 쇼쿠힌 인타나쇼나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디스펜서(7)는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2)와 냉각 장치(13)를 구비한 냉수 탱크(11)와 냉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18A)와 냉수 탱크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를 구비하고, 냉수 탱크는 상자체(12B)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12A)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냉수 탱크에는 뚜껑부의 개구부에 연통됨과 함께 그 선단이 음료수 용기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4)이 구비되어 있고 적어도 중공 니들 및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음료수 디스펜서 및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음료수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및 그러한 디스펜서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탱크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수 탱크에서 냉각하는 것과 함께 온수 탱크에서 가열하여 필요에 따라서 냉수 및/또는 온수를 주출(注出)하는 디스펜서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는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는 밀폐식으로 공기 중의 잡균이 이들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87295호에는 밀폐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냉수 탱크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의 디스펜서에서는 디스펜서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냉수 탱크에 잡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펜서를 정기적으로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온수를 냉수 탱크에 공급하여 냉수 탱크를 고온으로 하여 살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층 더 안심되고 안전한 음료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냉수 탱크 이외의 부분, 예를 들어 냉수 탱크의 뚜껑부, 음료수를 수용하고 있는 탱크와 냉수 탱크를 접속하고 있는 배관이나 지그도 살균이나 세정하는 것이 요구되게끔 되었다. 그러나 온수에 의한 살균의 효과는 냉수 탱크에 한정되어 그 이외의 부분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디스펜서를 분해해서 각 부품을 살균 및 세정할 필요가 있다.
또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디스펜서의 주변 환경의 냄새가 냉수 탱크 안으로 침입하여 음료수의 풍미가 약간 변화할 가능성이 있어, 디스펜서의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음료수의 풍미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기간에 걸쳐 운전한 경우라도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청정성을 유지하면서 음료수 본래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및 그와 같은 디스펜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번째 양태에 의하면,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와 냉각 장치를 구비한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에 접속되어 있고 가열 장치를 구비한 온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온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온수 배출부와 상기 냉수 탱크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수 탱크는 상자체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에 연통(連通)됨과 함께 그 선단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수구(注水口)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중공 니들 및 상기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두번째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양태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 니들이 장착된 장착 부재와 상기 중공 니들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공급 파이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 및 상기 공급 파이프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번째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또는 두번째 양태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장착되어 있고 전자 밸브가 형성된 공기빼기관을 추가로 구비한다.
네번째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내지 세번째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냉수 탱크의 음료수의 소정의 저(低)레벨을 계측하는 레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
다섯번째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내지 네번째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상기 상자체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섯번째 양태에 의하면,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와 냉각 장치를 구비한 냉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냉수 탱크는 상자체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에 연통됨과 함께 그 선단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수구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전자 밸브가 형성된 공기빼기관이 장착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음료수의 액면 높이를 계측하여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탱크 내에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공기빼기관의 상기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하고, 상기 공기빼기관의 상기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한 후에 상기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음료수의 액면 높이를 계측하여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수 용기 안의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일곱번째 양태에 의하면, 여섯번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배수부의 전자 밸브를 폐쇄하도록 하였다.
첫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 니들 및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를 사용한 냉수 탱크의 살균시에 온수의 열에 의해 중공 니들 및 뚜껑부가 짧은 시간에 고온이 된다. 따라서 이들 중공 니들 및 뚜껑부도 살균되어 분해해서 세정하지 않고도 디스펜서의 청정성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다. 또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에 연통하여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 형상에 따른 압력 손실이 없고 음료수 용기 안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에 공급되기 쉽다. 그 결과 냉수 탱크 안의 밀폐 구조가 유지되면서 냉수 탱크 안에서의 음료수의 수위를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수와 공기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냉수 탱크 안의 음료수에 잡균이나 디스펜서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를 사용한 냉수 탱크의 살균에 따른 열 변형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냉수 탱크 안의 밀폐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잡균이나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지제 부품이 적어지기 때문에, 음료수에 수지의 냄새가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어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금속은 SUS(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등이다.
두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중공 니들, 뚜껑부, 장착 부재 및 공급 파이프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온수를 사용한 냉수 탱크의 살균시에 이들 부품을 살균할 수 있다. 또 수지제 부품이 더욱 적어지기 때문에, 음료수에 수지의 냄새나 디스펜서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부착되는 것이 한층 더 억제되어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세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공기가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잡균 및 디스펜서의 주변 악취가 디스펜서 안으로 혼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공기빼기관을 사용하여 냉수 탱크 안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가요성 봉지 안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 안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된다.
네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냉수 탱크 안의 음료수가 적어진 경우에는 즉시 그 상태가 판명되기 때문에, 뚜껑부의 개구부와 중공 니들이 연통되어 있다고 해도 냉수 탱크 안의 음료수는 거의 가득차게 유지된다. 따라서 음료수와 공기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잡균 및 디스펜서의 주변 악취가 음료수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다섯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중공 니들, 뚜껑부 및 상자체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를 사용한 냉수 탱크의 살균시에 이들 부품을 살균할 수 있다. 또 수지제 부품이 더욱 적어지기 때문에, 음료수에 수지의 냄새가 부착되는 것이 한층 더 억제되어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여섯째 양태에 있어서는 공기빼기관의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한 후에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냉수의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냉수 탱크 안의 냉수 및 가요성 봉지안의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한다. 따라서 냉수 탱크 안의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음료수가 없는 것을 조작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경보는 가요성 봉지의 교환을 재촉하는 경보여도 된다.
일곱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잡균이나 주변 환경의 냄새가 외부로부터 냉수 배수부를 통해 디스펜서 안으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들 목적, 특징 및 이점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근거한 음료수 디스펜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근거한 음료수 디스펜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a는 니들 캡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니들 캡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이들 도면은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근거한 음료수의 디스펜서(7)의 개략도이다. 음료수의 디스펜서(7)는 음료수 용기인 가요성 봉지(2)를 수용하는 수용부(1)와 냉각 장치(13)를 구비한 냉수 탱크(11)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가요성 봉지(2)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음료수를 밀폐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냉수 탱크(11)는 상자체(12B)와 그 상자체(12B)를 밀폐 폐쇄하는 뚜껑부(12A)로 구성되어 있다. 또 냉수 탱크(11)의 냉각 장치(13)는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를 소정의 저온, 예를 들면 10℃ 이하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의 저면에는 주수구(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에는 뚜껑부(12A)의 개구부(도시 생략)에 연통되는 중공 니들(4)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 니들(4)이 주수구(3)를 통해서 가요성 봉지(2)에 구멍을 뚫고, 중공 니들(4)과 주수구(3)를 접속하면 가요성 봉지(2)안의 음료수는 중공 니들(4)을 통해서 냉수 탱크(11) 안에 공급된다.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에 뚜껑부(12A)의 개구부를 연통하는 중공 니들(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요성 봉지(2)안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11)에 공급되기 쉬워 냉수 탱크(11) 안에 음료수가 일정 이상의 양, 대략 거의 가득찬 상태로 저류된다.
또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냉수 탱크(11)는 케이싱(10)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냉수용 전자 밸브(18B)를 구비한 냉수 공급 배관(18A)이 냉수 탱크(1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조작자가 냉수용 전자 밸브(18B)를 조작하면, 냉수 탱크(11) 안의 냉각된 음료수가 냉수 공급 배관(18A)의 냉수 공급구(18C)로부터 주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11)에는 레벨계(14)가 구비되어 있다. 이 레벨계(14)에는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소정의 저레벨을 계측할 수 있는 레벨계(14l)가 있다. 이 레벨계(14l)는 냉수 탱크에 항상 어느 일정 레벨 이상의 음료수가 저류되는 것을 감시하여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양이 적어지면 조기에 경보를 발한다. 또 레벨계(14l)는 냉수 탱크(11) 안의 압력이 상승하여 가요성 봉지(2)로부터의 음료수의 공급이 느려진 경우에는 내압을 낮추는 대응을 취할 수 있다. 이로써 냉수 탱크(11) 안에 음료수가 일정 이상의 양, 대략 가득찬 상태로 저류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11) 안에 공기가 체류하는 공간이 작아져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공기와 접촉하는 일도 적어진다. 따라서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잡균이나 냄새가 음료수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탱크(11) 안에는 추가로 볼 탑형의 다른 레벨계(14h)가 형성되어 있다. 레벨계(14h)는 소위 볼 플로트식으로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어느 만수 레벨에 도달하면 음료수의 가요성 봉지(2)로부터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함께, 후술하는 살균 모드시에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가요성 봉지(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에는 전자 밸브(16)를 구비한 공기빼기관(15)이 형성되어 있다.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와 액면 사이의 기압이 높아지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전자 밸브(16)를 개방한다. 이로써 냉수 탱크(11)의 기압이 높을 때에 음료수가 가요성 봉지(2)로부터 냉수 탱크(11)까지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공기빼기관(15)의 선단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필터(17)가 형성되어 있어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잡균이나 냄새가 냉수 탱크(11) 안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공 니들(4), 뚜껑부(12A) 및 레벨계(14h)는 수지보다 전열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금속은 SUS(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등이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수지 제품을 가능한 한 적게 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의 냄새가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에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는 것과 함께, 음료수 디스펜서(7)의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수지에 부착되고 부착된 냄새가 음료수에 부착되는 것도 억제된다. 그 결과 음료수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가요성 봉지(2)의 음료수가 천연수인 경우에는 천연수의 풍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탱크(30)가 접속 라인(20)을 통해서 냉수 탱크(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라인(20)에는 접속 밸브(21)가 형성되어 있다. 온수 탱크(30)에는 가열 장치(31)가 구비되어 있어 온수 탱크(30) 안의 음료수를 소정의 고온, 예를 들면 80℃로 유지한다.
이 온수 탱크(30)도 케이싱(10)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용 전자 밸브(32B)를 구비한 온수 공급 배관(32A)이 온수 탱크(3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조작자가 온수용 전자 밸브(32B)를 조작하면, 온수 탱크(30) 안의 가열된 음료수가 온수 공급 배관(32A)의 온수 공급구(32C)로부터 주출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순환 펌프(41)를 구비한 온수 순환 라인(40)이 온수 탱크(30)로부터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의 개구부(도시 생략)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들 온수 순환 라인(40) 및 온수 순환 펌프(41)는 음료수 디스펜서(7)의 통상 사용시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음료수 디스펜서(7)가 소정의 장기간에 걸쳐 운전된 경우에는 냉수 탱크(11)의 냉각 장치(13)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하의 요령으로 냉수 탱크(11) 등을 살균하는 살균 모드를 실행한다.
살균 모드시에는 접속 밸브(21)를 개방한다. 그리고 온수 순환 펌프(41)를 구동하여 온수 탱크(30)내의 온수를 온수 순환 라인(40)에 통과시켜 냉수 탱크(11)까지 공급시킨다. 그 결과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는 접속 라인(20)을 통해서 온수 탱크(30)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온수 탱크(30) 안의 온수가 온수 순환 라인(40), 냉수 탱크(11), 접속 라인(20)을 통과하여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온도는 50℃ 이상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온도가 50℃ 이상이 되면 이들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도 50℃ 이상이 되어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에 부착된 잡균을 살균할 수 있다. 또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일정 이상의 양, 대략 가득찬 상태로 저류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수의 열이 보다 빨리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에 전달될 수 있어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의 청정성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다. 그 결과 냉수 탱크(11)를 분해하여 세정, 살균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한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이 열 변형에 강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에 의한 살균을 실시하더라도 뚜껑부(12A)가 변형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냉수 탱크(11)의 밀폐 구조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잡균이나 냄새가 음료수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살균 모드시에 중공 니들(4)과 주수구(3)가 접속된 상태인 채로 있으면 가요성 봉지(2)안의 음료수에 의해 중공 니들(4)의 온도가 50℃ 이상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음료수 용기인 가요성 봉지(2)를 수용하는 수용부(1)를 교환할 때, 수용부(1)를 떼어냈을 때에 살균 모드를 적절히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중공 니들(4)로부터의 방열을 방지하기 위해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원통형상의 니들 캡(50)을 중공 니들(4)에 씌운다. 니들 캡(50)은 천면(天面)(51)과 둘레 측벽(52)으로 이루어지고, 천면(51) 및 둘레 측벽(52)은 각각 금속제의 내면부(53)와, 내면부(53)의 외측에 있어서 방열을 방지하는 단열부(54)와, 단열부(54)의 외측에 있어서 단열부(54)를 덮는 외면부(55)로 이루어진다. 단열부(54)는 시판되는 단열재 등의 단열하는 재질,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온수 탱크(30), 온수 순환 라인(40) 및 온수 순환 펌프(41)는 냉수 탱크(11) 및 그 관련 부재를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는 냉수 탱크(11)에 접속되어 있고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만을 가열하는 소형의 가열 장치(도시 생략)를 살균 처리부로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수 탱크(11)의 상자체(12B)가 뚜껑부(12A) 등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냉수 탱크(11)의 살균시에 대부분이 음료수에 접촉하는 상자체(12B)도 함께 살균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11) 안에는 세퍼레이터(12C)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세퍼레이터(12C)는 단면 T자 형상의 안내 부재이다. 세퍼레이터(12C)는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를 부분적으로 상방 부분과 하방 부분으로 격리시키고 있고, 상방 부분의 음료수는 세퍼레이터(12C)의 중앙의 관 부분을 통해서 접속 라인(20)에 연통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2C)의 존재에 의해 상방 부분의 음료수의 온도는 하방 부분의 음료수의 온도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는 접속 라인(20)은 냉수 탱크(1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기 때문에 가요성 봉지(2)로부터 냉수 탱크(11)에 공급된 음료수의 일부는 그다지 냉각되는 일 없이 접속 라인(20)을 통해서 온수 탱크(30)까지 공급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수 탱크(11)의 냉각 장치(13)의 냉각 성능이 비교적 낮은 경우라도 충분함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수 탱크(11)의 세퍼레이터(12C)도 뚜껑부(12A) 등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냉수 탱크(11)의 살균시에 음료수에 접촉하는 세퍼레이터(12C)도 함께 살균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냉수 탱크(11)의 음료수를 50℃ 이상에서 소정 시간에 걸쳐 경과시키면 살균 모드가 종료된다. 그 후 온수 순환 펌프(41)가 정지되고 냉각 장치(13)가 재시동된다. 그리고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온도가 10℃ 이하까지 저하되면 냉수 탱크(11)로부터의 냉수 및 온수 탱크(30)로부터의 온수의 공급이 재개된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0)내에는 디스펜서(7)를 제어하는 제어부(3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부(33)는 케이싱(10)의 외부에 구비된 스피커(34)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로우차트인 도 2를 참조하면서,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처리는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2의 스텝 S10에서 레벨계(14)가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액면을 계측한다. 그리고 스텝 S11에서 제어부(33)가 음료수의 액면이 저레벨(14l) 이하이고 또한 소정 시간에 걸쳐 그 저레벨(14l)이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1에서 아니오(NO)로 판정된 경우에는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저레벨(14l) 보다 높은 레벨에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냉수 탱크(11) 안에 충분한 음료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그 반면 스텝 S11에서 예(YES)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하여 냉수 탱크(11)에 음료수가 없거나 또는 음료수가 원하는 양보다 적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는 스텝 S13에서 공기빼기관(15)의 전자 밸브(16)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하여 냉수 탱크(11) 안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한다.
이로써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와 액면 사이의 기압이 저하된다. 그 결과 가요성 봉지(2)안의 음료수가 중공 니들(4)을 통해 냉수 탱크(11) 안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냉수 탱크(11)의 음료수는 원하는 액면 레벨까지 예를 들어 고레벨(14h)까지 되돌아가게 된다.
또 음료수의 액면이 저레벨(14l) 이하인 것이 판정된 경우에는 냉수 공급 배관(18A)의 냉수용 전자 밸브(18B)를 폐쇄해도 된다. 이로써 잡균이 외부로부터 냉수 공급구(18C) 및 냉수 공급 배관(18A)을 통해 디스펜서 안으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어서 스텝 S14에서는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레벨계(14)가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액면을 재차 계측한다. 그리고 스텝 S15에서 제어부(33)가 음료수의 액면이 저레벨(14l) 이하이고 또한 소정 시간에 걸쳐 그 저레벨(14l)이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5에서 아니오(NO)로 판정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 탱크(11) 안에 충분한 음료수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한다. 그 반면 스텝 S15에서 예(YES)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음료수가 가요성 봉지(2)로부터 냉수 탱크(11)에 공급되어 있지 않으므로, 냉수 탱크(11) 안에 음료수가 없는 것에 추가하여 가요성 봉지(2)안에도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33)는 스피커(34)로부터 경보를 발령하고 가요성 봉지(2)를 교환할 필요가 있음을 조작자에게 재촉한다. 스피커(34)로부터 발령되는 경보는 단순한 경고음이어도 되고 또는 가요성 봉지(2)를 교환할 필요가 있음을 말하는 음성이어도 된다. 또는 시각적인 경보, 예를 들어 라이트의 점멸 등을 이용하여 조작자에게 주의를 불러일으켜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근거한 음료수 디스펜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2 실시형태는 가요성 봉지(2)와 냉수 탱크(11)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실행되는 형태로,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에 평판형상의 장착 부재(6)가 배치되어 있고 중공 니들(4)은 장착 부재(6)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중공 니들(4)의 둘레면으로부터 벨로우즈(5)가 연장되어 있으며 그 선단이 뚜껑부(12A)의 개구부(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벨로우즈(5) 및 장착 부재(6)도 뚜껑부(12A) 등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냉수 탱크(11)의 살균시에 벨로우즈(5) 및 장착 부재(6)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들을 함께 살균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수지제 부품이 더 적어지기 때문에, 음료수에 수지의 냄새가 부착되거나 디스펜서(7)의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수지에 부착되는 것이 한층 더 억제되어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 탑형의 레벨계(24)가 레벨계(14) 대신에 형성되어 있다. 레벨계(24)는 이른바 볼 플로트식으로,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어느 만수 레벨에 도달하면 음료수의 가요성 봉지(2)로부터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 레벨계(24)도 뚜껑부(12A) 등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짐이 이해될 것이다.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전술한 변경 및 여러 다른 변경, 생략, 추가를 실시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7)

  1.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와,
    냉각 장치를 구비한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에 접속되어 있고 가열 장치를 구비한 온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온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온수 배출부와,
    상기 냉수 탱크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수 탱크는 상자체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에 연통됨과 함께 그 선단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수구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중공 니들 및 상기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 니들이 장착된 장착 부재와,
    상기 중공 니들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공급 파이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 및 상기 공급 파이프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장착되어 있고 전자 밸브가 형성된 공기빼기관을 추가로 구비하는 음료수 디스펜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냉수 탱크의 음료수의 소정의 저레벨을 계측하는 레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음료수 디스펜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상기 상자체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
  6.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와,
    냉각 장치를 구비한 냉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냉수 탱크는 상자체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에 연통됨과 함께 그 선단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수구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전자 밸브가 형성된 공기빼기관이 장착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음료수의 액면 높이를 계측하고,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탱크 내에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공기빼기관의 상기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하고,
    상기 공기빼기관의 상기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한 후에 상기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음료수의 액면 높이를 계측하고,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수 용기 안의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배수부의 전자 밸브를 폐쇄하도록 한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KR1020140100035A 2013-08-23 2014-08-04 음료수 디스펜서 및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KR102290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3993 2013-08-23
JP2013173993A JP6137992B2 (ja) 2013-08-23 2013-08-23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および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70A true KR20150022670A (ko) 2015-03-04
KR102290931B1 KR102290931B1 (ko) 2021-08-19

Family

ID=5269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035A KR102290931B1 (ko) 2013-08-23 2014-08-04 음료수 디스펜서 및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37992B2 (ko)
KR (1) KR1022909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502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비.엘.아이 냉온음료 공급기
KR20200018196A (ko) * 2017-06-16 2020-02-19 와인 플럼 인코포레이티드 액체 분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3007B2 (ja) * 2015-09-30 2019-05-1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の殺菌方法、及び、飲料供給装置
KR102148813B1 (ko) 2016-05-30 2020-08-27 파파스 가부시키가이샤 워터 서버 및 에어 배출 밸브
JP7144289B2 (ja) 2018-05-10 2022-09-29 三菱鉛筆株式会社 クリップ取り付け構造およびこのクリップ取り付け構造を備えた筆記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316A (ja) * 1998-12-25 2000-07-11 Tanica Denki Hanbai Kk 酒サ―バ―
JP2004206301A (ja) * 2002-12-24 2004-07-22 Benten:Kk 冷温水機の殺菌装置
JP2004315049A (ja) * 2003-04-17 2004-11-11 Fuji Techno Kk 飲料サーバー
JP2010208648A (ja) * 2009-03-09 2010-09-24 Kyushu Kaihatsu Kikaku:Kk 給水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790A (ja) * 1993-04-27 1994-11-08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定量注出用ディスペンサーの液体残量確認装置
JP2006021793A (ja) * 2004-07-08 2006-01-26 Fuji Techno Kk 飲料サーバー
JP4137114B2 (ja) * 2005-10-31 2008-08-20 サントリー株式会社 ミネラルウォーターのディスペンサの加熱殺菌装置
JP4934703B2 (ja) * 2009-07-21 2012-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316A (ja) * 1998-12-25 2000-07-11 Tanica Denki Hanbai Kk 酒サ―バ―
JP2004206301A (ja) * 2002-12-24 2004-07-22 Benten:Kk 冷温水機の殺菌装置
JP2004315049A (ja) * 2003-04-17 2004-11-11 Fuji Techno Kk 飲料サーバー
JP2010208648A (ja) * 2009-03-09 2010-09-24 Kyushu Kaihatsu Kikaku:Kk 給水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0502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비.엘.아이 냉온음료 공급기
KR20200018196A (ko) * 2017-06-16 2020-02-19 와인 플럼 인코포레이티드 액체 분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40078A (ja) 2015-03-02
KR102290931B1 (ko) 2021-08-19
JP6137992B2 (ja)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2670A (ko) 음료수 디스펜서 및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JP5529237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200502364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KR20150125713A (ko) 워터 서버
JP2013133166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およびその給水方法
TW201437560A (zh) 開飲機
JP2009249033A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
JP2001153523A (ja)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JP5072039B2 (ja) 飲料サーバー
JP2005308297A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JP2005249266A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WO2016197242A1 (en) Top-loading bottled water dispensers with hot water sanitizing features
JP2014514156A (ja) クリーンウォーター排出装置
JP2006021793A (ja) 飲料サーバー
EP2918542B1 (en) Beverage supply device
JP6944542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及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への給水方法
KR101098191B1 (ko) 냉수통에 체결되는 저장조
JPH11255294A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
TWM578985U (zh) Extremely fast cooling tea making device
KR102288480B1 (ko) 음료용 디스펜서
KR101772163B1 (ko) 급속 고온멸균 기능이 있는 직수냉온수기
JP5168571B2 (ja) ウォータサーバ
KR20140011629A (ko) 냉온수기용 살균 및 물 넘침 방지장치
KR101772162B1 (ko) 고온멸균 기능이 있는 직수냉온수기
JP200634755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