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32A - 버블발생기 - Google Patents

버블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32A
KR20150022632A KR20140025510A KR20140025510A KR20150022632A KR 20150022632 A KR20150022632 A KR 20150022632A KR 20140025510 A KR20140025510 A KR 20140025510A KR 20140025510 A KR20140025510 A KR 20140025510A KR 20150022632 A KR20150022632 A KR 20150022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holes
tube
bubble genera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613B1 (ko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9949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102025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정
Publication of KR2015002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관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서 복수개의 볼, 롤러, 볼플런저, 밸브편, 탄성편, 미끄럼편 또는 시소편을 개재하여,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관이 외접되어 있고, 내관이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가 고정체이며, 내관이가 버블로 될 유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수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기체공급수단이 상기 내관의 상류단에 일측이 커플링 결합된 모터의 회전축,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외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외기흐름을 상기 내관의 상류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버블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블발생기{bubble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버블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버블발생기의 내관을 구동과 상기 내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원이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구현되는 버블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버블은 액체에 존재하는 기체의 주머니, 즉 기포를 뜻한다.
버블 직경이 100 ㎛ 정도인 작은 버블은 마이크로 버블이라고 불리고, 통상 직경의 버블에 비하여 체적 표면적이 크며, 액체 중의 체류 시간이 길기 때문에, 기액 계면에서의 물량 수송이나 화학 반응, 물리적 특성,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여러가지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체를 절단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기에서는, 다공질체를 통해 액체에 기체를 불어넣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버블발생기로서는, 압축기 등의 기체 공급 장치로부터 물이 흐르는 관에 다공질체를 통해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미세한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이 있다.
또한, 최근 개발된 버블발생기에서는, 버블 표면에 전단력을 가하여 버블을 잘게 나누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이러한 버블발생기로서는, 원추형의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공간의 내벽 원주면의 일부에 그 접선 방향으로 개구된 가압 액체 도입구와, 상기 원추형 공간의 바닥부에 개구된 기체 도입 구멍과, 상기 원추형 공간의 꼭대기부에 개구된 선회 기액 도출 구멍으로 구성된 선회식 버블발생기가 있다.
하지만, 다공질체를 이용한 버블발생기에서는, 다공질체로부터 버블이 잘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버블이 다공질체의 구멍 직경보다 커져, 작은 버블을 발생시킬 수 없는 것이 큰 문제가 되어 왔다.
또한, 다공질체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회전의 영향이 작은 회전축 중심 부근으로부터 큰 버블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적의 조건에서도 발생하는 버블의 직경은 0.4 ㎜ 정도가 한계였다.
이와 관련하여, 선회식 버블발생기에서는, 버블 표면에 전단력을 가하기 때문에, 작은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액체에 선회류를 강제적으로 부여하기 위해, 원추형의 용기 본체에 기체를 가압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커지며, 다공질체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액체 중의 버블의 비율이 낮아진다고 하는 것이 문제로 남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조 외측에 배치된 모터의 축력축에 풀리를 개재하여 구동적으로 회전하는 기체공급관의 토출구를 수조 내에 배치하고 그 토출구에 기체주입구를 유통가능하게 접속시켜 정체되어 있는 수조 내의 물과 회전하고 있는 버블 간의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된 전단력에 의해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방안이 한국등록특허 제10-1157719호에 제안되고 있지만, 상기 방안의 버블발생기에서는 기체주입구에서 분출되는 버블이 상기 전단력에 의해서만 절단하게 되어, 발생된 버블의 크기가 일정치 않고, 버블의 크기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버블발생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제10-123168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버블발생기는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관에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관을 외접시킨 상태에서 내관을 회전시켜 내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토출되는 기포를 강제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일정한 크기의 버블을 대량 발생시킴과 동시에 내관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버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지만, 내관에 외관이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어서, 내관과 외관 간의 마찰열로 인하여 내관 또는 외관이 변형되어 제대로 내관이 회전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버블발생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2014년 2월 19일자에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한국 특허출원 제10-2014-001882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버블발생기는 상기 한국 특허출원 제10-2014-0018827호에 제시된 도 1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과 상기 내관(2)에 외접된 외관(3) 또는 리테이너(30)를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동하는 회전체 또는 왕복운동체이거나,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 또는 왕복운동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이며,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둘레면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 중 상기 내관(2)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군이 축선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하류단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터(30) 중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이 막힌 상태에서 상류단이 기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 사이에는 상기 회전체 또는 왕복운동체의 운동시에 상기 내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외관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내관 또는 상기 외관에 형성된 상기 하나의 군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버블발생기를 제공하거나, 또는 선단면(2a)을 가진 내관(2); 및 상기 내관의 선단면(2a)에 마주하여 이격된 외디스크판(3')을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 또는 외디스크판(3')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 또는 타방향 회전체이며, 상기 내관(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스크판(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디스크판(3') 중 어느 하나에는 기체공급원(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의 선단면(2a)과 외디스크판(3') 사이에는 상기 회전체의 운동시에 상기 내관 또는 상기 외디스크판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내관 또는 상기 외관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이 개재되어 있는 버블발생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제시된 버블발생기는 내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원과 상기 내관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이 별도의 동력수단에 의해 수행되어 부품수가 증대되고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도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시된 버블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버블이 미세하게 되려면 상기 회전체를 고속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기 회전체를 구동하는 모터도 고속 모터이어서, 모터에 상당한 열이 발생되어 이를 냉각하기 위한 공냉식 팬이 모터에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회전체 내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원에 팬이 구비되어야 하지 때문에, 부품수가 증대되고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도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회전체인 내관(2)과 상기 내관(2)에 외접된 외관(3) 또는 리테이너(30)를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외관(3)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고정체이며,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군이 축선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이 막힌 상태에서 상류단이 기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 사이에는 상기 내관의 회전시에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내관에 형성된 상기 하나의 군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이 개재되어 있되, 상기 기체공급원은 상기 내관의 상류단에 일측이 커플링 결합된 모터의 회전축,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대기의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공기흐름을 상기 내관의 상류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버블발생기를 제공하거나, 또는 선단면(2a)을 가진 내관(2); 및 상기 내관의 선단면(2a)에 마주하여 이격된 외디스크판(3')을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은 일방향 회전체이고 상기 외디스크판(3')은 고정체이며, 상기 내관(2)의 선단면(2a)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에는 기체공급원(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의 선단면(2a)과 외디스크판(3') 사이에는 상기 내관의 회전시에 상기 내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내관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이 개재되어 있되, 상기 기체공급원은 상기 내관의 상류단에 일측이 커플링 결합된 모터의 회전축,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공기흐름을 상기 내관의 상류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버블발생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갖고서 개폐수단에 의해, 내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액체 속으로 빠져나가는 기체의 기포를 미세하게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발생된 기포의 크기가 일정하게 하면서도, 자유롭게 조절되어,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미세 기포를 용이하게 대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내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원과 상기 내관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이 하나의 동력수단에 의해 수행되어 부품수가 증대되고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모터의 냉각도 구현될 수 있어서 더 더욱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종래보다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해결수단의 버블발생기에서는 기체공급수단이 내관에 공기를 유입하는 경로가 단축되어 있어서, 내관에서 멀리 배치되어 내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제2실시예의 변경 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7 및 도 8는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도 7의 유성기어를 자전시킬 수 있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제4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도 10의 볼플런저를 도시한 도면,
도 12은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3은 제6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4은 제7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5은 제8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6 및 도 17은 제9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11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19는 제12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및
도 20은 제13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체인 내관(2)의 기단부는 모터(80)의 회전축(85)의 타측에 커플링되어 있고, 수조(1)의 수중에 배치된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기체는 모터(80)에 구비된 기체공급수단(5)에서 발생되어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상기 내관(2) 밖으로 방출된다.
즉, 상기 내관(2)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베이스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된 모터(80)의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모터(80)의 케이스(81)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85)의 타측에 커플링되어 있다.
상기 모터(80)에는 기체공급수단(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체공급수단(5)은 상기 케이스(81)의 일측 벽에 형성되어 대기와 유통한 복수개의 관통구멍(89), 상기 케이스(81)의 타측 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90),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관통구멍(89), 상기 관형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의 공간, 및 상기 관통구멍(9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내관(2) 내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내관(2)에 커플링 결합된 회전축(85)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팬(86), 및 상기 관통구멍(90)을 통하여 토출된 외기를 상기 내관(20)의 기단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88)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일단이 케이스(81)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내관(2)의 기단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외접되어 있는 가이드부(8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를 개재하여 고정체인 복수개의 리테이너(30)가 외접되어 상기 내관(2)의 선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의 관통구멍 마다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도 1에는 상기 복수개의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모터(80)를 가동하여 내관(2)을 회전시키면서, 기체공급수단(5)으로부터 외기가 내관(2)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내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것과 상기 내관을 회전시키는 것을 기체공급수단에 의해 수행하여 부품수가 증대되고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체공급수단(5)으로부터 외기가 내관(2)에 공급될 때, 상기 관형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의 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관형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어서, 모터의 냉각도 수행하여 더 더욱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종래보다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에서는 기체공급수단(5)이 내관(2)에 공기를 유입하는 경로가 단축되어 있어서, 내관에서 멀리 배치되어 내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에는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의 리테이터(7a) 대신에 외관(3)이 상기 내관(2)에 외접되어 케이스(8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선단이 막혀있고, 그 선단부 둘레면에도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와 동일하다.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상기 복수개의 볼(7a)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내관(2) 또는 외관(3)의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외관(3)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복수개의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관형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형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및/또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관형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모터(80)를 가동하여 내관(2)을 회전시키면서, 기체공급수단(5)으로부터 외기가 내관(2)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각각은 내관의 회전시에 선택적으로 서로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절단되게 되고, 또는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내관의 회전시에 선택적으로 서로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서,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되어, 상기 작은 직경의 버블이 일정한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내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것과 상기 내관을 회전시키는 것을 기체공급수단에 의해 수행하여 부품수가 증대되고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체공급수단(5)으로부터 외기가 내관(2)에 공급될 때, 상기 관형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의 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관형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어서, 모터의 냉각도 수행하여 더 더욱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종래보다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에서는 기체공급수단(5)이 내관(2)에 공기를 유입하는 경로가 단축되어 있어서, 내관에서 멀리 배치되어 내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볼(7a)과 마주하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7a)과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볼(7a)이 안착될 수 있는 링형상의 요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을 반경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스프링(75)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와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가, 그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스프링(75)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은 방사방향 안쪽으로 수축하는 성질을 가진 스프링이며,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71)의 내주면에 방사방향 안쪽으로 개구된 홈에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을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삽입하되 상기 개구가 상기 스프링(75)의 단면 직경의 절반보다 작게 되어 있다.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은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막는 작용에 조력한다.
특히,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탄성을 가진다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기밀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요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요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가 밀접하여 또는 이격되어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제2실시예의 내관을 회전시키는 구성, 내관에 외기를 공급하는 구성, 외기에 의해 모터를 냉각하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외치기어(2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외치기어(21)의 복수개의 골부에 외치기어(21)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는 내관(2); 상기 내관(21)에 방사바깥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외접되어 있고, 내주면에 내치기어(31)가 마련된 외관(3); 및 상기 외치기어(21)와 상기 내치기어(31)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과 치합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관(3)의 내치기어(31)의 복수개의 골부에도 상기 내치기어(31)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은 막혀 있다.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의 산부가 선택적으로 마주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공급수단(5)에 접속된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에서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유성기어(40)들이 선택적으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축(41)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게 외접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공급수단(5)에 접속된 상기 내관(2)의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의 산부가 선택적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치기어(31)와 상기 외치기어(21)의 축선상의 길이 전장에 걸쳐서 뻗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축(41)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게 외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이 모터(80)에 의해 자전되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가 공전 및 자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는 내관(2)이 회전하게 되면 자전과 공전하게 되며, 상기 유성기어(40)에 의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게 되어서, 내관이 회전하면서 내관(2)이 기체공급수단(5)에 접속되어 있으면, 외기가 내관(2)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외관(3) 내로 토출되는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유성기어(40)에 의해 차단되어 미세 버블이 발생된 다음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존재하는 액체 속에 혼입되어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밖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내관에 기체를 공급하는 것과 상기 내관을 회전시키는 것을 기체공급수단에 의해 수행하여 부품수가 증대되고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체공급수단(5)으로부터 외기가 내관(2)에 공급될 때, 상기 관형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의 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관형회전자(83)와 고정자(82)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어서, 모터의 냉각도 수행하여 더 더욱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종래보다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기에서는 기체공급수단(5)이 내관(2)에 공기를 유입하는 경로가 단축되어 있어서, 내관에서 멀리 배치되어 내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내관(2)과 리테이너(30)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대신에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구비하고 있는 점만 제1실시예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기단은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볼플런저(7)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30)에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내관(2)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뻗어 있는 몸체(a), 상기 몸체(a)의 선단에 상기 내관(2)을 향하여 개구된 보어(b), 상기 보어(b)에 내장된 스프링(c) 및 상기 보어(b)의 개구에 출몰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볼(7a)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볼플런저(7)는 상기 스프링(c)에 의해 상기 볼(7a)을 확실하게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c)과 상기 볼(7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어(b)의 내벽과 미끄럼접촉하는 가압판(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플런저(7)에서는 상기 볼(7a)이 상기 보어(b)의 개구에서 내관의 둘레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7a)과 상기 가압판(d) 사이에 상기 볼(7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개의 볼(f)이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개구의 구경은 상기 볼(7a)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볼(7a)은 절반이상 부위가 상기 보어(b)에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볼(7a)은 상기 보어(b)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c)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보어(b)의 개구에서 출몰하면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제1실시예와 같이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스프링(c)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되는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대신에 제4실시예의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구비하고 있는 점만 제2실시예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기단은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채용한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제2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스프링(c)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된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확실하게 절단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제6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을 상기 내관(2)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2a)을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2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7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쫄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선단을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서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을 상기 외관(3)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3a)을 상기 외관(3)의 둘레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3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8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쫄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선단을 상기 외관(3)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서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상기 내/외탄성편(77, 78)은, 본 발명의 버블발생기가 이물질이 많은 액체저장조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버블발생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 위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확실하게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에 내/외탄성편(77, 78)이 적용되는 여부에 관계없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내접된 축(7c)의 양단이 상기 내관(2)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의 내주면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시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블발생기는 내관(2)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롤러(7b)가 자전 또는 공전과 자전하게 되어 상기 내/외탄성편(77, 78)을 연속적으로 가압하고 가압해제하게 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 또는 방울을 확실하게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을 상기 외관(3)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6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 대신에 복수개의 축(7c)에 복수개의 볼이 외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6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이 복수개의 축(7c)의 양단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스프링이 복수개의 축(7c) 각각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내지 제 6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 복수개의 볼(7a)이나 복수개의 롤러(7b),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와 내/외탄성편(77, 78)이 배제된 경우에는, 제7실시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인 내관이 기체공급수단(5)과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내관 및 외관의 둘레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미끄럼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미끄럼접촉시키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외관(3)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7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밸브편(177)의 기단이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축(177a) 또는 상기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양측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선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게 하거나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선접촉하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탄성적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개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은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제7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 또는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기단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과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양측에 접촉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개의 축(177a) 또는 상기 외관(3)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기단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은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할 수 있게 여러 부분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7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내관(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밸브편(177)으로 하여금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 또는 방울을 외관(3)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7실시예에서, 상기 내밸브편(177)의 선단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미끄럼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밸브편(177)의 선단에 내관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갖고서 회전하는 도시되지 않은 내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내롤러로 하여금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건너가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함으로써, 미세 버블을 만들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복수개의 볼(7a) 또는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제8실시예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V자형 단면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V자형 단면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을 상기 내관(2)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내관(2)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7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7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거나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양단부들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과 마주하는 내관(2)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3)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내관의 방사방향 바깥쪽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덮을 때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확실하게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일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4)를 형성시킴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을 상기 외관(3)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외관(3)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8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8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거나 외관의 둘레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양단부들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과 마주하는 외관(2)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5)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외관의 방사방향 안쪽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덮을 때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확실하게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일단의 방사방향 바깥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6)를 형성시킴으로서 구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8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내관(2)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자전 또는 공전과 자전하게 되어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을 연속적으로 가압하고 가압해제하게 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2) 또는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을 외관(3)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9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6 및 도 17에는 제9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블발생기는 제2실시예와 같이 모터(8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인 내관(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관(2)의 상류단은 제2실시예와 같이 기체공급수단(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은 막혀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둘레면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에는 고정체인 외관(3)이 베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7b)를 개재하여 상기 내관(2)이 회전가능하도록 외접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하류단은 축경되어 개구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상류단은 액체공급원(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다. 도 16에는 상기 복수개의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요부(6)와 마주하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7a)과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 각각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축선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볼(7a)이 안착될 수 있는 요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기다란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7b)가 상기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다. 도 17에는 상기 요부(6)가 상기 내관(2)에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와 구름 접촉하는 링형상의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21) 각각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축선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9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액체공급원(9)으로부터 외관(3)에 유체를 공급하고 기체공급수단(5)으로부터 내관(2)에 외기를 공급하면서, 내관(2)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각각을 연속적으로 가로질러 지나가게 되어, 상기 내관(2)에 유입된 기체가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상기 외관(3)으로 분출되어 버블이 되어서, 외관(3)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21)의 복수개의 관통구멍(22)과 상기 회전하고 있는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들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회전하고 있는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절단되어서, 더 더욱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 상태에서 상기 외관(3)의 하류단에 축경되어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액체공급원(9)의 액체와 함께 버블공급대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9실시예에서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중 적어도 하나에 요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요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롤러가 밀접하여 또는 이격되어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9실시예의 버블발생기에서 내관과 외관 사이에 복수개의 볼 또는 롤러가 개재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제6 및 제8실시예들의 상기 내탄성편(77) 또는 상기 내시소편(277)이,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에 의해 버블발생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닫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또는 단독으로 제5 및 제 7실시예들의 상기 내밸브편(177) 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버블발생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닫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확실하게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들의 버블발생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버블의 입자 크기는 상기 내관(2)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게 되고, 그리고 상기 내관(2)의 회전수가 감소함에 따라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내관(2)의 관통구멍(12)의 직경은 유체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되어 있으면, 관통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버블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축선방향으로 길다랗게 뻗은 원통형 롤러가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회전하는 내관에 의해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구름운동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변경 실시예로서, 내관과 외관 사이에서 복수개의 축이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내관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서 내관 또는 외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축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 중 하나가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변경 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설계적으로 확실하게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12) 또는 관통구멍(13)을 가로질러 지나가는 시간차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경 실시예에서는 축선방향으로 길다랗게 뻗은 원통형 롤러 대신에 주판알처럼 축선상의 길이가 직경보다 작은 복수개의 롤러를 축선방향으로 이격시켜 상기 복수개의 축 각각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실시예들의 상기 복수개의 볼(7a)을 상기 복수개의 축 각각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축의 양단이 상기 내관의 양측에 배치된 링형상의 스프링의 내주면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시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내관에 리테이너 또는 외관이 외접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실시예로서, 리테이너 또는 외관이 배제된 상태에서 회전체이고 선단이 막힌 내관의 둘레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각각에 인접하여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내관(2)에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각각을 내관의 회전방향으로 가로질러 뻗은 도시되지 않은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변경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회전하고 있는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내관(2) 밖으로 토출되는 버블을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하는 리테이너 또는 외관이 배제한 상태에서도 내관의 회전 만에 의해 미세 버블을 만들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버블발생기가 이물질이 많은 액체저장조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내/외탄성편(77, 78),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 상기 내밸브편(177),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 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버블발생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닫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확실하게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상기 내관(2) 또는 상기 외관(3)에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축선방향에서 복수개의 줄로 그리고 둘레방향에서 복수개의 줄로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관(2)에 둘레방향으로만 이격되어 한 줄의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복수개의 볼을 가이드 하는 요부가 상기 내관 또는 상기 외관에 형성된 경우에, 상기 내관(2)에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줄의 타원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실시예들의 상기 내/외탄성편(77, 78),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 상기 내밸브편(177),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 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한 줄로 배열되게 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9실시예에서, 외관 또는 내관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또 다른 변경 실시예로서, 선단이 막힌 상태에서 액체중에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또는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내관(2)의 선단부에 외관(3)의 선단부가 외접되고, 상기 내관(2)의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의 직경이 연직방향에서 아래로 갈수록 크게 되어 있으면, 상기 작은 직경의 버블이 일정한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상기 외관(3) 밖으로 방출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10실시예에서,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내관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관의 둘레면에도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제11실시예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의 선단부를 디스크통(2')으로 만들고,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에 외디스크판(3')을 미끄럼 면접촉시키고, 상기 디스크통(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마주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상기 외디스크판(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통(2')이 회전체가 되고, 외디스크판(3')이 베이스에 브래킷(3a)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고정체가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1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디스크통(2') 또는 외디스크판(3')이 회전하면, 디스크통의 선단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상기 외디스크판(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주기적으로 서로 유통되어있다가 비유통상태가 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기체가 상기 외디스크판(3')에 의해 절단되어 미세 버블로 되게 되고, 이 미세 버블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의 위치가 동일한 액체깊이에 위치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직경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1실시예의 상기 외디스크판(3')이 제12실시예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통(2')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고 디스크통(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블레이드(3")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에 미끄럼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디스크통(2')은 회전체이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고정체이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버블 또는 방울을 절단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예를 들면,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14-0015135호에 개시된 탄성가압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상기 내관의 선단면(2a)에 탄성적으로 가압되기 위해 탄성재질을 갖을 수도 있다.
상기 제11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이 미끄럼 면접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제13실시예로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제1 내지 제 2실시예와 같이 가로질러 지나가게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 사이에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개재될 수도 있다.
도 20에는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 사이에 복수개의 볼(7a)이 개재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13실시예서는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디스크판(3')에 반드시 버블이 토출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없어도 되며, 상기 외디스크판(3')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관통구멍(13)과 상기 관통구멍(12)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할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 및 상기 외디스크판(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롤러를 가이드 하기 위해 요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3실시예에서는, 제4 내지 제 8실시예와 같이, 상기 내/외탄성편(77, 78),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 상기 내밸브편(177), 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과 상기 외디크판(3')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이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게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볼 또는 롤러, 상기 내/외탄성편(77, 78),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 상기 내밸브편(177)이 상기 디스크통(2)의 선단면(2a)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으면, 안정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상기 내관(2) 또는 상기 외관(3)에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레방향으로 하나의 관통구멍(12, 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버블발생기에서, 내관(2)의 기단부에 상류단에서 하류단으로의 외기 흐름을 허용하고 하류단에서 상류단으로의 액체 흐름을 허용하지 않는 도시되지 않은 체크밸브가 개재되어 있으면, 액체가 모터(80) 내로 침입하지 않게 되어, 방수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버블발생기에서, 상기 모터(80)가 외기에 의해 방열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수냉식 방열구조를 가진 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버블발생기에서, 상기 모터(80)가 수조(1) 밖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모터(80)가 수중모터가 되어 수조(1) 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케이스(81)의 일측 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89)이 일단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흡입관의 타단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야 한다.
2; 내관, 3; 외관

Claims (10)

  1. 내관(2)과 상기 내관(2)에 외접된 외관(3) 또는 리테이너(30)를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은 회전체이고, 상기 외관(3)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고정체이며,
    상기 내관(2)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군이 축선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하류단이 막힌 상태에서 상류단이 기체공급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 사이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에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내관에 형성된 상기 하나의 군 또는 복수개의 군의 관통구멍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이 개재되되,
    상기 기체공급수단은 상기 내관의 상류단에 일측이 커플링 결합된 모터의 회전축,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외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외기흐름을 상기 내관의 상류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는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을 회전축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은,
    복수개의 볼(7a), 복수개의 롤러(7b), 복수개의 볼플런저(7), 복수개의 탄성편, 복수개의 밸브편, 또는 복수개의 시소편이거나, 또는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마련된 외치기어(21),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마련된 내치기어(31); 및 상기 외치기어(21)와 상기 내치기어(31)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과 치합하는 복수개의 유성기어(4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치기어(21)의 복수개의 골부와 상기 내치기어(31)의 복수개의 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군이 축선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과 리테이너가 액체 중에 배치되거나,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이 액체 중에 배치되거나,
    상기 외관(3)의 하류단이 버블공급대상부에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외관(3)이 액체공급원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외관(3)의 하류단이 버블공급대상부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5. 선단면(2a)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고, 기체공급수단(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내관(2); 및
    상기 내관의 선단면(2a)에 탄성적으로 가압되기 위해 탄성재질을 갖거나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미끄럼 접촉된 복수개의 블레이드(3")를 포함하고,
    상기 내관(2)은 회전체이고,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고정체이며,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3")는 내관(2)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고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지나가며,
    상기 기체공급수단은 상기 내관의 상류단에 일측이 커플링 결합된 모터의 회전축,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외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외기흐름을 상기 내관의 상류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는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을 회전축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7. 선단면(2a)을 가진 내관(2); 및
    상기 내관의 선단면(2a)에 마주하여 이격된 외디스크판(3')을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은 회전체이고, 상기 외디스크판(3')은 고정체이며,
    상기 내관(2)의 선단면(2a)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에는 기체공급수단(5)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의 선단면(2a)과 외디스크판(3') 사이에는 상기 내관의 회전시에 상기 내관의 선단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내관의 선단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들을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기체공급수단은 상기 내관의 상류단에 일측이 커플링 결합된 모터의 회전축,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외기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외기흐름을 상기 내관의 상류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는 모터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간을 회전축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은 연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제절단기.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질러 지나가거나 개폐하는 수단은,
    복수개의 볼(7a), 복수개의 롤러(7b), 복수개의 볼플런저(7), 복수개의 탄성편, 복수개의 밸브편, 또는 복수개의 시소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KR1020140025510A 2013-08-22 2014-03-04 버블발생기 KR101631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97A KR20130102025A (ko) 2013-08-22 2013-08-22 버블발생기
KR1020130099497 2013-08-22
KR1020130105031 2013-09-02
KR20130105031 2013-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32A true KR20150022632A (ko) 2015-03-04
KR101631613B1 KR101631613B1 (ko) 2016-06-20

Family

ID=50642807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849A KR101410756B1 (ko) 2012-11-15 2013-09-30 버블발생기
KR20130152969A KR20150022618A (ko) 2013-08-22 2013-12-10 버블발생기
KR20130152973A KR20150022619A (ko) 2013-08-22 2013-12-10 버블발생기
KR20130162619A KR20150022621A (ko) 2013-08-22 2013-12-24 버블발생기
KR20140002276A KR20150022625A (ko) 2013-08-22 2014-01-08 버블발생기
KR1020140002279A KR101529978B1 (ko) 2013-08-22 2014-01-08 액체를 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KR1020140015135A KR101620392B1 (ko) 2013-08-22 2014-02-10 유체를 액체에 혼입하는 장치
KR1020140018827A KR20140030294A (ko) 2013-08-22 2014-02-19 유체절단기
KR20140024219A KR20150022631A (ko) 2013-08-22 2014-02-28 버블발생기
KR1020140025510A KR101631613B1 (ko) 2013-08-22 2014-03-04 버블발생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849A KR101410756B1 (ko) 2012-11-15 2013-09-30 버블발생기
KR20130152969A KR20150022618A (ko) 2013-08-22 2013-12-10 버블발생기
KR20130152973A KR20150022619A (ko) 2013-08-22 2013-12-10 버블발생기
KR20130162619A KR20150022621A (ko) 2013-08-22 2013-12-24 버블발생기
KR20140002276A KR20150022625A (ko) 2013-08-22 2014-01-08 버블발생기
KR1020140002279A KR101529978B1 (ko) 2013-08-22 2014-01-08 액체를 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KR1020140015135A KR101620392B1 (ko) 2013-08-22 2014-02-10 유체를 액체에 혼입하는 장치
KR1020140018827A KR20140030294A (ko) 2013-08-22 2014-02-19 유체절단기
KR20140024219A KR20150022631A (ko) 2013-08-22 2014-02-28 버블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101410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4B1 (ko) 2016-06-22 2017-09-2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용 원료혼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용 원료혼합방법
KR102113721B1 (ko) * 2018-08-03 2020-06-02 주식회사 에이런 수처리 필터 및 이를 포함한 필터장치
CN110090569B (zh) * 2019-06-06 2021-08-20 南京擅水科技有限公司 一种活塞式微细气泡产生装置及产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788B1 (ko) * 2004-11-08 2006-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습식 공기 청정기
KR20060103373A (ko) * 2005-03-26 2006-09-29 (주)엔지에스티 미세기포 발생장치
US20090323459A1 (en) * 2006-07-17 2009-12-31 Erich Josef Windhab Cylindrical membrane apparatus for forming foam
KR101231689B1 (ko) * 2012-11-16 2013-02-08 이춘우 기포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612Y1 (ko) * 2000-09-25 2001-04-16 주식회사기가씨앤이 에멀젼 연료유 제조설비용 다단믹서
JP3912683B2 (ja) 2004-06-15 2007-05-09 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水中駆動型気液混合・溶解装置
JP5000583B2 (ja) * 2008-05-16 2012-08-15 株式会社バイコム マイクロ・ナノバブル生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マイクロ・ナノバブル水の生成装置
JP4982450B2 (ja) * 2008-08-26 2012-07-25 株式会社東芝 微小気泡発生装置
JP2011020096A (ja) * 2009-07-17 2011-02-03 Sakura Color Products Corp バブル発生装置
KR101137050B1 (ko) * 2009-09-16 2012-04-19 오종환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
KR20110064750A (ko) * 2009-12-08 2011-06-15 손종철 발전과 수온표시 및 버블 발생을 위한 다기능 수도 장치
KR101224227B1 (ko) * 2011-08-18 2013-01-21 이대진 액비와 공기 혼합장치
KR101201693B1 (ko) 2012-06-28 2012-11-15 이춘우 버블발생장치
KR101231690B1 (ko) * 2013-01-10 2013-02-08 이춘우 버블발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788B1 (ko) * 2004-11-08 2006-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습식 공기 청정기
KR20060103373A (ko) * 2005-03-26 2006-09-29 (주)엔지에스티 미세기포 발생장치
US20090323459A1 (en) * 2006-07-17 2009-12-31 Erich Josef Windhab Cylindrical membrane apparatus for forming foam
KR101231689B1 (ko) * 2012-11-16 2013-02-08 이춘우 기포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392B1 (ko) 2016-05-12
KR20150022619A (ko) 2015-03-04
KR20150022621A (ko) 2015-03-04
KR20150022625A (ko) 2015-03-04
KR20150022626A (ko) 2015-03-04
KR20150022618A (ko) 2015-03-04
KR20140030294A (ko) 2014-03-11
KR101410756B1 (ko) 2014-06-24
KR20150022627A (ko) 2015-03-04
KR20150022631A (ko) 2015-03-04
KR101631613B1 (ko) 2016-06-20
KR101529978B1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613B1 (ko) 버블발생기
US10138907B2 (en) Rotary energy recovery device
KR101795907B1 (ko) 타공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버블 생성장치
JP2017500192A (ja) Co2スノーからco2ペレット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及び清浄器
US20140217205A1 (en) Air Motor and Electric Painting Device
KR20070097037A (ko) 롤링 베어링장치
ES2796227T3 (es) Boquilla de dos sustancias
CN104741066A (zh) 具有液封装置的质传设备
TWI711774B (zh) 滾動軸承裝置
ATE236726T1 (de) Rotordüse für ein hochdruckreinigungsgerät
WO2007045288A1 (de) Rotor für eine strömungsmaschine und eine strömungsmaschine
ES2528367T3 (es) Cojinete de película de aceite para auto-bombeo
JP2014074349A (ja) チューブポンプ
KR101245311B1 (ko) 로터리밸브의 기밀 유지 장치
CN105268568B (zh) 一种可360度旋转的节能装置
ES2057532T3 (es) Separador centrifugo provisto de un dispositivo que sirve para la transformacion de energia cinetica en energia de presion.
JP4056008B2 (ja) 回転ノズル
JP2022520444A (ja) ポンプ及び気体を圧送する方法
WO2023106098A1 (ja) 口腔内洗浄装置
JP7004398B2 (ja) 流体タービン装置
DE102014205711B4 (de) Vakuumpump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Vakuumpumpe
CN102616479B (zh) 节电的流体产品散发器
KR20150042635A (ko) 버블발생기
KR20150046472A (ko) 버블발생기
JP2005036745A (ja) 回転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