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19A - 버블발생기 - Google Patents

버블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19A
KR20150022619A KR20130152973A KR20130152973A KR20150022619A KR 20150022619 A KR20150022619 A KR 20150022619A KR 20130152973 A KR20130152973 A KR 20130152973A KR 20130152973 A KR20130152973 A KR 20130152973A KR 20150022619 A KR20150022619 A KR 20150022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tube
holes
outer tube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2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9949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102025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정
Priority to PCT/KR2014/01203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88215A1/ko
Publication of KR2015002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레면에 기체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형성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과 마주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리테이너 사이에 복수개의 볼이 자전가능하게 또는 공전 및 자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내관이 회전할 시에 상기 볼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상기 내관의 관통구멍을 탄성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분출되는 공기 또는 기체를 절단하면서 차단하는 버블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블발생기{bubble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버블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버블은 액체에 존재하는 기체의 주머니, 즉 기포를 뜻한다.
버블 직경이 100 ㎛ 정도인 작은 버블은 마이크로 버블이라고 불리고, 통상 직경의 버블에 비하여 체적 표면적이 크며 액체 중의 체류 시간이 길기 때문에, 기액 계면에서의 물량 수송이나 화학 반응, 물리적 특성,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여러가지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버블발생기에서는, 다공질체를 통해 액체에 기체를 불어넣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블발생기로서는, 압축기 등의 기체 공급 장치로부터 물이 흐르는 관에 다공질체를 통해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미세한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이 있다.
또한, 최근 개발된 버블발생기에서는, 버블 표면에 전단력을 가하여 버블을 잘게 나누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이러한 버블발생기로서는, 원추형의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공간의 내벽 원주면의 일부에 그 접선 방향으로 개구된 가압 액체 도입구와, 상기 원추형 공간의 바닥부에 개구된 기체 도입 구멍과, 상기 원추형 공간의 꼭대기부에 개구된 선회 기액 도출 구멍으로 구성된 선회식 버블발생기가 있다.
하지만, 다공질체를 이용한 버블발생기에서는, 다공질체로부터 버블이 잘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버블이 다공질체의 구멍 직경보다 커져, 작은 버블을 발생시킬 수 없는 것이 큰 문제가 되어 왔다.
또한, 다공질체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회전의 영향이 작은 회전축 중심 부근으로부터 큰 버블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적의 조건에서도 발생하는 버블의 직경은 0.4 ㎜ 정도가 한계였다.
이와 관련하여, 선회식 버블발생기에서는, 버블 표면에 전단력을 가하기 때문에, 작은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체에 선회류를 강제적으로 부여하기 위해, 원추형의 용기 본체에 기체를 가압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커지며, 다공질체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액체 중의 버블의 비율이 낮아진다고 하는 것이 문제로 남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조 외측에 배치된 모터의 축력축에 풀리를 개재하여 구동적으로 회전하는 기체공급관의 토출구를 수조 내에 배치하고 그 토출구에 기체주입구를 유통가능하게 접속시켜 정체되어 있는 수조 내의 물과 회전하고 있는 버블 간의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된 전단력에 의해 미세 버블이 발생되도록 하는 방안이 한국등록특허 제10-1157719호에 제안되고 있지만, 상기 방안의 버블발생기에서는 기체주입구에서 분출되는 버블이 상기 전단력에 의해서만 절단하게 되어, 발생된 버블의 크기가 일정치 않고, 버블의 크기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버블발생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제10-123168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버블발생기는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관에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관을 외접시킨 상태에서 내관을 회전시켜 내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토출되는 기포를 강제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일정한 크기의 버블을 대량 발생시킴과 동시에 내관의 회전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버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지만, 내관에 외관이 밀접하게 외접되어 있어서, 내관과 외관 간의 마찰열로 인하여 내관 또는 외관이 변형되어 제대로 내관이 회전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버블발생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고 공개된 특허공개 제10-2013-01020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버블발생기는 내관과 외관 사이에 볼 또는 롤러가 개재되어 상기 볼 또는 롤러가 내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개폐하여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토출되는 기포를 절단하여 미세 버블을 만드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내관과 외관 사이에 존재하는 물이 상기 내관 또는 외관이 회전함에 따라, 내관 주위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되고, 상기 물의 회전유동에 의해, 내관의 외주면에 수막이 형성되어 상기 볼 또는 롤러가 상기 수막으로 인하여 상기 내관의 관통구멍을 제대로 개폐하지 못하여, 버블의 치수가 불규칙하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태양으로서, 둘레면에 기체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형성된 내관과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과 마주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리테이너 사이에 복수개의 볼이 자전가능하게 또는 공전 및 자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내관이 회전할 시에 상기 볼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상기 내관의 관통구멍을 탄성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분출되는 공기 또는 기체를 절단하면서 차단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태양으로서, 둘레면에 기체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내관과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외관 사이에 복수개의 볼이 자전가능하게 또는 공전 및 자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내관 또는 외관이 회전할 시에 상기 볼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상기 내관의 관통구멍을 탄성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내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분출되는 공기 또는 기체를 절단하면서 차단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태양의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갖고서 복수개의 볼에 의해, 상기 내관의 관통구멍을 주기적으로 그리고 탄성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내관에서 상기 외관으로 빠져 나가는 공기 또는 기체의 버블을 미세하게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발생된 버블의 크기가 일정하게 하면서도, 자유롭게 조절되어, 종래보다 안정적으로 미세 버블을 용이하게 대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태양의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볼플런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태양의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제3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제4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제5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제6실시예의 버블발생기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에서 실시예들의 설명함에 있어서, 기체를 공급하는 압력이 수조의 수압보다 크게 되어 있는 가정에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 질 것이다.
(제1태양의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태양의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제1태양의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수조(1)의 수중에는, 회전체인 내관(2)의 선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수조(1) 밖에 배치된 기체공급관(5)에 스위블조인트(4)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체는, 내관(2)에 공급된다. 이 경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기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수조(1)의 액체에 주입된다.
즉, 상기 내관(2)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베이스 또는 수조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된 모터(80)의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모터(80)의 케이스(81)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개재하여 고정체인 복수개의 리테이너(30)가 외접되어 상기 내관(2)의 선단부가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볼플러저(7)의 기단은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있도록 축선방향의 관통구멍 마다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볼플러저(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30)에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내관(2)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뻗어 있는 몸체(a), 상기 몸체(a)의 선단에 상기 내관(2)을 향하여 개구된 보어(b), 상기 보어(b)에 내장된 스프링(c) 및 상기 보어(b)의 개구에 출몰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볼(7a)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볼플런저(7)는 상기 스프링(c)에 의해 상기 볼(7a)을 확실하게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c)과 상기 볼(7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어(b)의 내벽과 미끄럼접촉하는 가압판(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플런저(7)에서는 상기 볼(7a)이 상기 보어(b)의 개구에서 내관의 둘레방향을 포함한 모든방향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7a)과 상기 가압판(d) 사이에 상기 볼(7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개의 볼(f)이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개구의 구경은 상기 볼(7a)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볼(7a)은 절반이상 부위가 상기 보어(b)에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볼(7a)은 상기 보어(b)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c)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보어(b)의 개구에서 출몰하면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태양의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내관(2)에 기체를 공급하면서, 모터(80)를 가동하여 내관(2)를 회전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복수개의 볼(7a)이 자전하게 되고, 상기 자전하는 복수개의 볼(7a)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스프링(c)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된 기체인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 일정한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버블의 입자 크기는 상기 내관(2)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게 되고, 그리고 상기 내관(2)의 회전수가 감소함에 따라 커지게 된다.
(제1태양의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태양의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에는 제1태양의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수조(1)의 수중에는, 고정체인 내관(2)의 선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수조(1) 밖에 배치된 기체공급관(5)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체는, 내관(2)에 공급된다. 이 경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기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수조(1)의 액체에 주입된다.
즉, 상기 내관(2)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베이스 또는 수조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개의 볼플러저(7)를 개재하여 회전체인 복수개의 리테이너(30)가 외접되어 상기 내관(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 각각은 회전체로서 작용하기 위해, 외주면에 기어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기어부(31)에는 모터(M)의 구동축(32)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복수개의 구동기어(33)가 치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기단은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있도록 축선방향의 관통구멍 마다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상기 리테이너(30)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볼플러저(7)의 구성은 상기 제1태양의 제1실시예의 볼플런저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태양의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내관(2)에 기체를 공급하면서, 모터(M)를 가동하여 리테이너(30)를 회전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볼(7a)이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공전 및 자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복수개의 볼(7a) 각각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들을 스프링(c)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된 기체인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 일정한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된다.
(제2태양의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태양의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에는 제2태양의 제1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수조(1)의 수중에는, 베이스에 고정된 고정체인 내관(2)의 선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수조(1) 밖에 배치된 기체공급관(5)에 접속되어 있고,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체는, 내관(2)에 공급된다. 이 경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기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수조(1)의 액체에 주입된다.
즉, 상기 내관(2)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기단부에는 베이스 또는 수조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된 모터(80)의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회전체인 외관(3)의 기단부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선단이 막혀있다.
상기 외관(3)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수조(1)에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80)는 케이스(81) 내에 내접된 고정자(82), 상기 고정자(8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8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관(3)의 기단부는 상기 내관(2)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상기 케이스(81)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외관(3)의 선단부는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 선단부 둘레면에는 상기 외관(3)의 회전시에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반경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지 않게,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기단은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볼플런저(7)의 구성은 제1태양의 볼플런저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개재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볼(7a)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볼(7a)이 내관(2)의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외관(3)의 회전시에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볼(7a)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채용한 버블발생기는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내관(2)에 기체를 공급하면서, 모터(80)를 가동하여 외관(3)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볼(7a)이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공전 및 자전하게 되고, 상기 공전 및 자전하는 복수개의 볼(7a) 각각은 외관의 회전시에 선택적으로 서로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스프링(c)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된 기체인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절단되어, 일정한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수조로 방출되게 된다.
(제2태양의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태양의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에는 제2태양의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가 도시되어 있다.
수조(1)의 수중에는, 회전체인 내관(2)의 선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수조(1) 밖에 배치된 기체공급관(5)에 스위블조인트(4)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기체는, 내관(2)에 공급된다. 이 경우, 내관(2)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고, 기체는 미세한 구멍으로부터 수조(1)의 액체에 주입된다.
즉, 상기 내관(2)은 선단이 막힌 관형부가 이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공동(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기단부는 베이스 또는 수조에 구비된 브래킷에 고정된 모터(80)의 관형회전자(83)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모터(80)의 케이스(81)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는 고정체인 외관(3)의 선단부가 외접되어 상기 내관(2)의 선단부가 상기 외관(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기단부는 상기 모터(80)의 케이스(3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외관(3)의 선단은 막혀있고, 그 선단부 둘레면에는 상기 내관(2)의 회전시에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반경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지 않게,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80)는 케이스(81) 내에 내접된 고정자(82), 상기 고정자(8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된 관형회전자(8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태양의 제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태양의 제2실시예의 버블발생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기체공급관(5)으로부터 내관(2)에 기체를 공급하면서, 모터(80)를 가동하여 내관(2)를 회전시키면,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 복수개의 볼플런저(7)의 볼(7a)이 자전하게 되고, 상기 자전하는 복수개의 볼(7a) 각각은 내관의 회전시에 선택적으로 서로 반경방향으로 마주하게 되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스프링(c)에 의해 확실하게 개폐하게 되어,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분출된 기체인 버블이 상기 복수개의 볼(7a)에 의해 절단되게 되어, 일정한 작은 직경의 버블의 입자를 갖게 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통하여 수조로 방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태양의 상기 제1 내지 제2실시예들에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모터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동기, 엔진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태양의 제1 및 제2실시예들에서,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외관(3)에 고정되어 내관(2)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실시예로서,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내관(2)에 고정되어 외관(3)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와 마주하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상기 요부(6)가 형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 상기 요부(6)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태양의 제1 및 제2실시예들의 변경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내관(2)에 고정되어 외관(3)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관(2)의 선단부 둘레면에 관통구멍(12)이 배제된 상태에서 기체공급관(5)이 상기 외관(3)에 접속될 수도 있다.
(제2태양의 제3실시예)
상기 제2태양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제2태양의 제3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을 상기 내관(2)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2a)을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2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7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쫄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선단을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서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을 상기 외관(3)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3a)을 상기 외관(3)의 둘레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3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8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쫄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선단을 상기 외관(3)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서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상기 내/외탄성편(77, 78)은, 본 발명의 버블발생기가 이물질이 많은 폭기조 등의 수처리조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버블발생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 위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확실하게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태양의 상기 제1 내지 제 2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에 내/외탄성편(77, 78)이 적용되는 여부에 관계 없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내접된 축(7c)의 양단이 상기 내관(2)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의 내주면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시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블발생기는 내관(2) 또는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롤러(7b)가 자전 또는 공전과 자전하게 되어 상기 내/외탄성편(77, 78)을 연속적으로 가압하고 가압해제하게 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을 수조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태양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 대신에 복수개의 축(7c)에 복수개의 볼이 외접될 수도 있다.
(제2태양의 제4실시예)
또한, 상기 제2태양의 상기 제1 내지 제 2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없이 상기 외관(3)에만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 외탄성편(78)이 적용되는 여부에 관계없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내접된 축(7c)의 양단이 상기 내관(2)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의 외주면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시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하고, 내관(2)에서 외관(3)으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존재하지 않은 관계로, 외관(3)에 기체공급관(5)이 접속되게 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은 상기 복수개의 롤러(7b)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블발생기는 내관(2) 또는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롤러(7b)가 자전 또는 공전과 자전하게 되어 상기 외탄성편(78)을 연속적으로 가압하고 가압해제하게 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3)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을 수조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태양의 제4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 대신에 복수개의 축(7c)에 복수개의 볼이 외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태양의 제3 및 제 4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링형상의 스프링(75, 75)이 복수개의 축(7c)의 양단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스프링이 복수개의 축(7c) 각각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제2태양의 제5실시예)
상기 제2태양의 상기 제1 내지 제 4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 복수개의 볼(7a)이나 복수개의 롤러(7b),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와 내/외탄성편(77, 78)이 배제된 경우에는 제2태양의 제5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미끄럼접촉될 수도 있고,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미끄럼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미끄럼접촉시키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외관(3)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7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밸브편(177)의 기단이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축(177a) 또는 상기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양측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선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탄성적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개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은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미끄럼접촉시키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8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외밸브편(178)의 기단이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축(178a) 또는 상기 내관(2)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의 양측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의 선단의 방사방향 바깥쪽면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이 탄성적으로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개폐되게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은 상기 외관(3)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상기 외관(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제2태양의 제5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 또는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의 기단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을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내주면과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의 양측에 접촉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 또는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의 기단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축(177a, 178a)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을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내주면과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내관(2)과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내/외밸브편(177, 178)은 상기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개폐할 수 있게 여러 부분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블발생기는 내관(2) 또는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외밸브편(177, 178)으로 하여금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을 수조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태양의 제5실시예에서, 상기 내밸브편(177)의 선단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미끄럼접촉하고 있고, 상기 외밸브편(178)의 선단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미끄럼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밸브편(177)의 선단에 내관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갖고서 회전하는 도시되지 않은 내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외밸브편(178)의 선단에 내관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갖고서 회전하는 도시되지 않은 외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내롤러로 하여금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가로질러 건너가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하고, 상기 외롤러로 하여금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가로질러 건너가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통하여 토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함으로써, 미세 버블을 만들게 할 수 있다.
(제2태양의 제6실시예)
상기 제2태양의 상기 제1 내지 제 2실시예들에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복수개의 볼(7a) 또는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복수개의 롤러(7b)가 개재된 경우에는 제2태양의 제6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V자형 단면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V자형 단면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을 상기 내관(2)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내관(2)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7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7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거나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양단부들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과 마주하는 내관(2)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3)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내관의 방사방향 바깥쪽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덮을 때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확실하게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일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4)를 형성시킴으로서 구현 가능하다.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을 상기 외관(3)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외관(3)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8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8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거나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를 회전가능하게 외접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양단부들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과 마주하는 외관(2)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5)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외관의 방사방향 안쪽에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덮을 때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확실하게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일단의 방사방향 바깥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6)를 형성시킴으로서 구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버블발생기는 내관(2) 또는 외관(3)이 회전함에 따라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자전 또는 공전과 자전하게 되어 상기 내외시소편편(277, 278)을 연속적으로 가압하고 가압해제하게 되어 복수개의 관통구멍(12)과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연속으로 닫고 열고를 반복하여, 관통구멍(12)을 통하여 분출되는 버블을 절단하게 되어, 미세 버블을 수조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실시예들의 버블발생기는 이물질이 많은 폭기조 등의 수처리조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내/외시소편(277, 278), 상기 내/외밸브편(177, 178),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 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버블발생기의 작동중지시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닫음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게 하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13)을 확실하게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내관의 관통구멍의 직경은 기체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즉, 내관의 반경바깥방향으로 또는 반경안쪽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되어 있으면, 관통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버블의 직경을 작게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버블발생기가, 수조, 밸러스트탱크, 수처리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내관과 외관 사이에서 복수개의 축이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내관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서 내관 또는 외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축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7b) 중 하나가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으면, 설계적으로 확실하게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12) 또는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시간차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축선방향으로 길다랗게 뻗은 원통형 롤러 대신에 주판알처럼 축선상의 길이가 직경보다 작은 복수개의 롤러를 축선방향으로 이격시켜 상기 복수개의 축 각각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복수개의 볼(7a)을 상기 복수개의 축 각각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축의 양단이 상기 내관의 양측에 배치된 링형상의 스프링의 내주면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시켜, 상기 링형상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볼 또는 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개재된 상기 복수개의 볼(7) 또는 롤러(7b)가 고정체인 상기 외관 또는 상기 내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면, 자전가능하고, 회전체인 상기 외관 또는 상기 내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면, 공전 및 자전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외관(3)과 상기 내관(2) 사이에 개재된 상기 복수개의 볼(7) 또는 롤러(7b)가 회전체인 상기 외관 또는 내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면, 공전만 가능하게 되어 회전체에 미끄럼접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태양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외관과 내관이 수중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 선단이 막힌 외관(3)의 선단부가 외접되고 외관(3)의 선단부의 둘레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10-2013-0115849호의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관과 내관이 수중에 배치되지 않게 하기 위해, 선단이 막힌 내관(2)의 선단부에 선단이 개방된 외관(3)의 선단부가 외접되고 외관(3)의 선단부의 둘레면이 막혀 있는 상태에서, 내관(2)에는 액체공급원이 접속되어 있고 외관(3)에는 기체공급원이 접속되게 되고, 상기 내관(2)의 선단에는 버블공급대상부가 접속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특허출원 제10-2013-0115849호의 도 9, 도 10,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막힌 내관(2)의 선단부에 선단이 개방된 외관(3)의 선단부가 외접되고 외관(3)의 선단부의 둘레면이 막혀 있는 상태에서, 내관(2)에는 기체공급원이 접속되어 있고 외관(3)에는 액체공급원이 접속되게 되고, 상기 외관(3)의 선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버블공급대상부가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태양의 실시예들에서, 내관(2)과 리테이너(30) 중 어느 하나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가 고정체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관(2)과 리테이너(30) 중 어느 하나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가 타방향 회전체가 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관(2)과 리테이너(30) 중 어느 하나가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제2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또는 내관(2)과 리테이너(30) 중 어느 하나가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축에 기어결합된 기어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내관(2)과 리테이너(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1태양의 실시예들에서 보다 내관(2)과 리테이너(30) 간에 상대속도를 크게 발생시킬 수가 있어서, 상기 제1태양의 실시예들의 내관(2) 또는 리테이너(30)의 회전속도 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내관(2) 또는 리테이너(30)를 회전시켜도 미세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태양의 실시예들에서, 내관(2)과 외관(3) 중 어느 하나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가 고정체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관(2)과 외관(3) 중 어느 하나가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가 타방향 회전체가 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관(2)과 외관(3) 중 어느 하나가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제2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또는 내관(2)과 외관(3) 중 어느 하나가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축에 기어결합된 기어군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내관(2)과 외관(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2태양의 실시예들에서 보다 내관(2)과 외관(3) 간에 상대속도를 크게 발생시킬 수가 있어서, 상기 제2태양의 실시예들의 내관(2) 또는 외관(3)의 회전속도 보다 낮은 회전속도로 내관(2) 또는 외관(3)을 회전시켜도 미세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1; 수조, 2; 내관, 3; 외관

Claims (26)

  1. 선단이 막힌 상태에서 수중에 배치되고 선단부 둘레면에 복수의 관통구멍(12)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내관(2),
    상기 내관(2)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된 기체공급관(5), 및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 복수개의 볼플런저(7)를 개재하여 외접되어 있는 복수개의 리테이너(30)를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와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 또는 타방향 회전체이며,
    상기 복수개의 리테이너(30)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고 있고 그리고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커버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 마다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는 상기 리테이너(3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시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탄성을 갖고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7)는,
    상기 리테이너(30)에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내관(2)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뻗어 있는 몸체(a),
    상기 몸체(a)의 선단에 상기 내관(2)을 향하여 개구된 보어(b),
    상기 보어(b)에 내장된 스프링(c) 및
    상기 보어(b)의 개구에 출몰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볼(7a)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7)는 상기 스프링(c)에 의해 상기 볼(7a)을 확실하게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c)과 상기 볼(7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어(b)의 내벽과 미끄럼접촉하는 가압판(d)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 플런저(7)에서는 상기 볼(7a)이 상기 보어(b)의 개구에서 내관의 둘레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7a)과 상기 가압판(d) 사이에 상기 볼(7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개의 볼(f)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의 관통구멍(12)의 직경은 기체가 관통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7. 내관(2)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 선단부가 외접된 외관(3)을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 또는 타방향 회전체이며,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둘레면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선단은 모두 막혀 있거나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선단은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막혀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에는 기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는 수중에 배치되거나 또는 버블공급대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플런저(7)가 자전가능하게 또는 공전 및 자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플런저(7)는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내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시에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 또는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탄성을 갖고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7)는,
    상기 외관(3) 또는 상기 내관(2)에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내관(2)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몸체(a),
    상기 몸체(a)의 선단에 상기 내관(2)을 향하여 개구된 보어(b),
    상기 보어(b)에 내장된 스프링(c) 및
    상기 보어(b)의 개구에 출몰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볼(7a)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볼플런저(7)는 상기 스프링(c)에 의해 상기 볼(7a)을 확실하게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c)과 상기 볼(7a)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어(b)의 내벽과 미끄럼접촉하는 가압판(d)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볼 플런저(7)에서는 상기 볼(7a)이 상기 보어(b)의 개구에서 내관의 둘레방향을 포함한 모든방향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볼(7a)과 상기 가압판(d) 사이에 상기 볼(7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복수개의 볼(f)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외주면 또는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내주면에 상기 내관(2)의 축선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링형상의 요부(6)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볼(7a)이 상기 복수개의 요부(6)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요부(6) 각각에는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 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2.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다른 하나에는 액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3. 내관(2)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 선단부가 외접된 외관(3)을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 또는 타방향 회전체이며,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둘레면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선단은 모두 막혀 있거나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선단은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막혀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에는 기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는 수중에 배치되거나 또는 버블공급대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자전가능하게 또는 공전 및 자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에 의해 개폐하기 위해,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복수개의 내탄성편(77) 및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에 의해 개폐하기 위해,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복수개의 외탄성편(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2a)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2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7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쫄대(77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탄성편(77)의 선단 각각이 내관(2)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서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고,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슬롯홈(3a)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롯홈(3a)에 열장이음방식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복수개의 쫄대(78a)의 반경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쫄대(78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외탄성편(78)의 선단 각각이 외관(3)의 둘레방향 일방향으로 뻗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의 어느 하나를 막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서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접촉하여 또는 이격되어 있되,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롤러(7b)가, 내관과 외관 사이에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내관의 축선방향으로 뻗어서 내관 또는 외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또는 고정적으로 장착된 복수개의 축 각각에,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7b) 중 하나가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축의 양단이 상기 내관(2)의 양측에 배치된 스프링(75, 75)에 고정 또는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스프링(75, 75)에 의해 상기 롤러(7b)가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7. 제 13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다른 하나에는 액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8. 내관(2)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 선단부가 외접된 외관(3)을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 또는 타방향 회전체이며,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둘레면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선단은 모두 막혀 있거나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선단은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막혀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에는 기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는 수중에 배치되거나 또는 버블공급대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밸브편(177) 및 상기 외관(3)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선회가능하게 미끄럼접촉되어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외밸브편(1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외관(3)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7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밸브편(177)이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77a) 또는 상기 외관(3)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양측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선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탄성적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개폐되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은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8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외밸브편(178)의 기단이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78a) 또는 상기 내관(2)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의 양측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의 선단의 방사방향 바깥쪽면을 상기 외관(2)의 내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이 탄성적으로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개폐되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은 상기 외관(3)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상기 외관(3)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외관(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7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77a)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을 상기 내관(2)의 외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외관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의 선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이 탄성적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내밸브편(177)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이 개폐되게 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내관(2)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에 고정되어 있고 서로 내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축(178a) 각각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의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축(178a)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링(175, 175)이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내관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의 선단의 방사방향 바깥쪽면을 상기 외관(3)의 내주면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게 하여,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이 탄성적으로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미끄럼접촉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외밸브편(178)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이 개폐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내밸브편(177)의 선단에는 내관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갖고서 회전하는 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외밸브편(178)의 선단에는 내관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갖고서 회전하는 외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2. 제 18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다른 하나에는 액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3. 내관(2)과 상기 내관(2)의 선단부에 선단부가 외접된 외관(3)을 포함하고 있는 버블발생기로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는 일방향 회전체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체 또는 타방향 회전체이며,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선단부 둘레면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의 선단은 모두 막혀 있거나 또는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선단은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막혀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에는 기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어느 하나의 선단부는 수중에 배치되거나 또는 버블공급대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외관(3)의 선단부와 상기 내관(2)의 선단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볼(7a)또는 복수개의 롤러(7b)가 자전가능하게 또는 공전 및 자전가능하게 개재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상기 내관(2)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2)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내시소편(277) 및 상기 복수개의 볼(7a) 또는 복수개의 롤러(7b)에 의해 눌려져 상기 외관(3)의 복수개의 관통구멍(13)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외시소편(2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과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은 V자형 단면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내관(2)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7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7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거나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내시소편(277)의 중간부위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양단부들이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내관(2)의 외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과 마주하는 내관(2)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3)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내시소편(277)의 일단의 방사방향 안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2)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관(2)과 외관(3) 사이에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내관(2)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이 외관(3)에 고정된 복수개의 축(278a) 각각에 상기 복수개의 축(278a)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거나 내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외시소편(278)의 중간부위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양단부들이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 면접촉하게 될 때 상기 외관(3)의 내주면과의 방사방향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과 마주하는 외관(2)의 내주면에 복수개의 시트부(205)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외시소편(278)의 일단의 방사방향 바깥쪽면에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멍(13)에 끼워맞춤되어 삽입될 수 있는 돌기(20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26. 제 23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과 상기 외관(3) 중 다른 하나에는 액체공급원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발생기.
KR20130152973A 2013-08-22 2013-12-10 버블발생기 KR20150022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2037 WO2015088215A1 (ko) 2013-12-10 2014-12-09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97A KR20130102025A (ko) 2013-08-22 2013-08-22 버블발생기
KR1020130099497 2013-08-22
KR1020130105031 2013-09-02
KR20130105031 201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19A true KR20150022619A (ko) 2015-03-04

Family

ID=50642807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849A KR101410756B1 (ko) 2012-11-15 2013-09-30 버블발생기
KR20130152973A KR20150022619A (ko) 2013-08-22 2013-12-10 버블발생기
KR20130152969A KR20150022618A (ko) 2013-08-22 2013-12-10 버블발생기
KR20130162619A KR20150022621A (ko) 2013-08-22 2013-12-24 버블발생기
KR1020140002279A KR101529978B1 (ko) 2013-08-22 2014-01-08 액체를 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KR20140002276A KR20150022625A (ko) 2013-08-22 2014-01-08 버블발생기
KR1020140015135A KR101620392B1 (ko) 2013-08-22 2014-02-10 유체를 액체에 혼입하는 장치
KR1020140018827A KR20140030294A (ko) 2013-08-22 2014-02-19 유체절단기
KR20140024219A KR20150022631A (ko) 2013-08-22 2014-02-28 버블발생기
KR1020140025510A KR101631613B1 (ko) 2013-08-22 2014-03-04 버블발생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849A KR101410756B1 (ko) 2012-11-15 2013-09-30 버블발생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2969A KR20150022618A (ko) 2013-08-22 2013-12-10 버블발생기
KR20130162619A KR20150022621A (ko) 2013-08-22 2013-12-24 버블발생기
KR1020140002279A KR101529978B1 (ko) 2013-08-22 2014-01-08 액체를 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KR20140002276A KR20150022625A (ko) 2013-08-22 2014-01-08 버블발생기
KR1020140015135A KR101620392B1 (ko) 2013-08-22 2014-02-10 유체를 액체에 혼입하는 장치
KR1020140018827A KR20140030294A (ko) 2013-08-22 2014-02-19 유체절단기
KR20140024219A KR20150022631A (ko) 2013-08-22 2014-02-28 버블발생기
KR1020140025510A KR101631613B1 (ko) 2013-08-22 2014-03-04 버블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101410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4B1 (ko) 2016-06-22 2017-09-26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용 원료혼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용 원료혼합방법
KR102113721B1 (ko) * 2018-08-03 2020-06-02 주식회사 에이런 수처리 필터 및 이를 포함한 필터장치
CN110090569B (zh) * 2019-06-06 2021-08-20 南京擅水科技有限公司 一种活塞式微细气泡产生装置及产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612Y1 (ko) * 2000-09-25 2001-04-16 주식회사기가씨앤이 에멀젼 연료유 제조설비용 다단믹서
JP3912683B2 (ja) 2004-06-15 2007-05-09 財団法人北九州産業学術推進機構 水中駆動型気液混合・溶解装置
KR100589788B1 (ko) * 2004-11-08 2006-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습식 공기 청정기
KR100650113B1 (ko) * 2005-03-26 2006-11-27 (주)엔지에스티 미세기포 발생장치
MY149295A (en) * 2006-07-17 2013-08-30 Nestec Sa Cylindrical membrane apparatus for forming foam
JP5000583B2 (ja) * 2008-05-16 2012-08-15 株式会社バイコム マイクロ・ナノバブル生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マイクロ・ナノバブル水の生成装置
JP4982450B2 (ja) * 2008-08-26 2012-07-25 株式会社東芝 微小気泡発生装置
JP2011020096A (ja) * 2009-07-17 2011-02-03 Sakura Color Products Corp バブル発生装置
KR101137050B1 (ko) * 2009-09-16 2012-04-19 오종환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
KR20110064750A (ko) * 2009-12-08 2011-06-15 손종철 발전과 수온표시 및 버블 발생을 위한 다기능 수도 장치
KR101224227B1 (ko) * 2011-08-18 2013-01-21 이대진 액비와 공기 혼합장치
KR101201693B1 (ko) 2012-06-28 2012-11-15 이춘우 버블발생장치
KR101231690B1 (ko) * 2013-01-10 2013-02-08 이춘우 버블발생기
KR101231689B1 (ko) * 2012-11-16 2013-02-08 이춘우 기포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25A (ko) 2015-03-04
KR101620392B1 (ko) 2016-05-12
KR20140030294A (ko) 2014-03-11
KR20150022626A (ko) 2015-03-04
KR20150022631A (ko) 2015-03-04
KR20150022618A (ko) 2015-03-04
KR101631613B1 (ko) 2016-06-20
KR101410756B1 (ko) 2014-06-24
KR20150022621A (ko) 2015-03-04
KR20150022632A (ko) 2015-03-04
KR20150022627A (ko) 2015-03-04
KR101529978B1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2619A (ko) 버블발생기
CA2648870A1 (en) Rotational atherectomy device with fluid inflatable support elements supported by fluid bearings
JPWO2012073475A1 (ja) エアモータ及び静電塗装装置
US20120168538A1 (en) Spin Annular Slit Spray Nozzle and Spray Apparatus Thereof
JP4288706B2 (ja) シャワー装置
US20060226258A1 (en) Paint sparyer gun
KR20150070633A (ko) 선박의 평형수를 플라즈마에 의해 처리하는 장치
JP2014074349A (ja) チューブポンプ
JP2008095957A (ja) 2つの同軸回転シャフト間の封止システム
KR20130102025A (ko) 버블발생기
EP2038067B1 (en) Rotating nozzle
US10376930B2 (en) Rotating cleaner
KR101459875B1 (ko) 배관 내부 클리닝 장치
JP2009106732A (ja) 吐水装置
JP2010069445A (ja) 吐水装置
KR20150042635A (ko) 버블발생기
JP5477766B2 (ja) 吐水装置
KR20150046472A (ko) 버블발생기
JP5364423B2 (ja) 混練装置
JP2008223731A (ja) ベーンポンプ
JP6395559B2 (ja) ムース生成装置
JP5934131B2 (ja) ガスハイドレート生成装置
KR20160059639A (ko) 제1유체를 제2유체에 혼입하는 장치
JP2011072875A (ja) 吐水装置
JP2000297767A (ja) 回転形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