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493A -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493A
KR20150022493A KR20130100457A KR20130100457A KR20150022493A KR 20150022493 A KR20150022493 A KR 20150022493A KR 20130100457 A KR20130100457 A KR 20130100457A KR 20130100457 A KR20130100457 A KR 20130100457A KR 20150022493 A KR20150022493 A KR 2015002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taping
conveyor
push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516B1 (ko
Inventor
이준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to KR102013010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5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7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closure flaps of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형 박스의 네 면의 이음새를 두 면씩 자동으로 테이핑하기 위하여, 컨베이어상에서 자동으로 박스의 위치를 90도 회전시키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푸셔와 터닝바라는 간소한 장치를 컨베이어 장치에 부가함으로써 뚜껑형 박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네 면의 이음새를 모두 자동으로 테이핑하여 불필요한 수작업을 줄이고 테이핑 공정에 따른 소요시간을 줄여 작업성, 양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Conveyor For Taping Box}
본 발명은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형 박스의 네 면의 이음새를 두 면씩 자동으로 테이핑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상에서 자동으로 박스의 위치를 90도 회전시키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 제품, 농수산물 등 각종 상품들의 보관과 이송을 위하여 포장 박스로 내용물을 포장함으로써 이송을 편리하게 하고 파손을 방지한다. 이러한 포장 박스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를 박스의 형태의 전개도로 절단한 후 다시 절곡과 조립을 통하여 박스로 성형되는 형태가 있고, 뚜껑부(3)와 몸통부(2)가 결합되는 육면체의 박스(1)로서 대표적으로 스티로폼 재질의 뚜껑형 박스 등의 형태가 있다.
종래 상기 뚜껑형 박스의 테이핑기 내지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에서는 몸통부(2)와 뚜껑부(3)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네 면의 이음새(4)를 테이핑하는데 있어서, 한 면씩 혹은 두 면씩 테이핑하면서 수작업으로 박스(1)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에 따라 테이핑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불필요한 수작업에 의한 비경제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형 박스의 네 면의 이음새를 두 면씩 자동으로 테이핑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상에서 자동으로 박스의 위치를 90도 회전시키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육면체인 박스(1)의 몸통부(2)와 뚜껑부(3)가 결합되어 형성된 네 면의 이음새(4)를 테이핑하는 장치에 있어서, 박스(1)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0)에 상기 박스(1)를 이동시키는 푸셔(20)와 회전시키는 터닝바(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푸셔(20)는 상기 박스(1)가 상기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 일측에 구비된 프레임(11)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터닝바(30)는 상기 프레임(11) 상에서 상기 컨베이어(10) 폭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박스(1)를 90˚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터닝바(30)는 상기 컨베이어(10) 폭 방향의 내측으로 1/4 원 호의 형태로 돌출되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10)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네 면의 이음새(4) 중 상기 컨베이어(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두 면의 이음새(4)를 동시에 테이핑하기 위한 제1 및 제2 테이핑부(40,5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테이핑부(40,50)에서 박스(1)가 위치하고 이동하는 박스 수용 공간(42,52)의 상부와 하부에는, 박스(1)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패드(41,51)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테이핑을 하기 위한 박스(1)의 폭과 높이에 따라 상기 박스 수용 공간(42,52)의 폭과 높이가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10)의 진행 방향의 말미에 구비된 제2 테이핑부(50)에는, 이송되는 박스(1)를 테이핑하기 이전에 상기 박스(1)를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켜 정확한 테이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프레임(5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박스(1)의 위치를 인지하여 상기 푸셔(20)의 작동과 복귀를 제어하는 센서부(21)와 스위치부(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21)는 상기 박스(1)가 컨베이어(10)에 진입되어 소정의 영역까지 이동된 것을 인지하여 상기 푸셔(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스위치부(22)는 상기 프레임(11)상에 설치되며, 상기 푸셔(20)에 의해 이동된 박스(1)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푸셔(2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는, 푸셔(20)와 터닝바(30)라는 간소한 장치를 컨베이어 장치에 부가함으로써 뚜껑형 박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네 면의 이음새를 모두 자동으로 테이핑하여 불필요한 수작업을 줄이고 테이핑 공정에 따른 소요시간을 줄여 작업성, 양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이핑하고자 하는 박스의 크기나 형상이 다소 변경되더라도 신속하게 이에 맞게 장치 규격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의 정면도와 이에 사용되는 박스(1)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의 또 다른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육면체인 박스(1)의 몸통부(2)와 뚜껑부(3)가 결합되어 형성된 네 면의 이음새(4)를 테이핑하는 장치에 있어서, 박스(1)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0)에 상기 박스(1)를 이동시키는 푸셔(20)와 회전시키는 터닝바(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푸셔(20)는 상기 박스(1)가 상기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 일측에 구비된 프레임(11)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터닝바(30)는 상기 프레임(11) 상에서 상기 컨베이어(10) 폭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박스(1)를 90˚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육면체의 뚜껑형 박스(1)의 네 이음새를 자동으로 테이핑하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박스(1)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0)는 롤러형, 벨트형 등의 다양한 컨베이어 형식이 차용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10)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제1 테이핑부(40)과 제2 테이핑부(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테이핑부(40,50)는 상기 컨베이어(1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의 형태로 한 쌍의 테이핑 롤 및 이를 박스에 테이핑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한 번에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두 면의 이음새(4)를 테이핑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먼저 박스(1)가 제1 테이핑부(40)의 박스 수용 공간(42)에 투입된다. 이때 처리하는 박스(1)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박스 수용 공간(42)의 가로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테이핑부(40)를 이루는 프레임의 간격 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테이핑부(40)로 투입된 박스(1)는 제1 테이핑부(40)의 작동에 의하여 네 면의 이음새(4) 중 두 면의 이음새(4)가 먼저 테이핑된 상태로 컨베이어(10)로 이송된다. 이 후 컨베이어(10) 상에서 상기 두 면의 이음새(4)가 테이핑된 박스(1)는 센서부(21)가 구비된 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21)는 컨베이어(10)에 박스(1)가 진입되어 소정의 영역에 위치한 것을 인식하여 푸셔(2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미러 센서(mirror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 4를 참고할때, 프레임(11)상에 미러가 구비되고 맞은 편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에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테이핑부(40)에서 2 면의 이음새(4)가 테이핑된 박스(1)가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미러가 일정 부분 이상 차폐되면, 센서가 이를 인지하여 푸셔(20)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푸셔(20)를 통해 박스(1)가 프레임(11)에 밀착되도록 이동된다.
상기 푸셔(20)의 재질과 형상은 박스(1)를 충분히 가압하여 프레임(11)으로 밀착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제한 없이 다양한 방식이 차용될 수 있다
프레임(11)에 밀착되도록 이동된 박스(1)는 컨베이어(10)에 의해 계속 이송되면서 프레임(11)상에 설치된 스위치부(22)를 가압하게 되고, 이를 인지하는 스위치부(22)는 작동된 푸셔(2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가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부(22)에 의해 푸셔(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박스(1)는 컨베이어(10)에 의해 계속 이송되면서 프레임(11)에 설치된 터닝바(3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터닝바(30)는 컨베이어(10)의 폭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지게 형성되어 박스(1)를 90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1/4 원 호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모식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터닝바(30)에 도달된 박스(1)는 터닝바(30)를 회전 축으로 하여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으로 90˚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제1 테이핑부(40)에서 테이핑된 두 면의 이음새(4) 부분이 컨베이어(10)의 진행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박스(1)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 후 박스(1)는 제2 테이핑부(50)로 진입하게 되는데, 박스의 나머지 두 면의 이음새(4)를 테이핑하기 이전에 제2 테이핑부(50)로 진입된 박스(1)를 정확히 테이핑하기 위한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박스(1)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5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프레임(53)을 통하여 제2 테이핑부(50)의 박스 수용 공간(53)에 도달된 박스(1)는 상기 제1 테이핑부(40)와 마찬가지의 형태로 구비된 테이핑 장치에 의하여 나머지 두 면의 이음새(4)가 테이핑 된다. 이로써 자동으로 뚜껑형 박스(1)의 네 이음새(4)가 모두 테이핑된 상태로 출하된다.
상기 제1 및 제2 테이핑부(40,50)에서 박스(1)가 위치하고 이동하는 박스 수용 공간(42,52)의 상부와 하부에는, 박스(1)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패드(41,51)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핑부를 통과하는 박스(1)를 상기 컨베이어(10)가 아닌 박스(1)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별도의 이송패드(41,51)로 이송함으로써, 정확한 테이핑을 위한 이송 속도 조절 및 박스 파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패드(41,51)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테이핑부상 소정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박스 2 : 박스의 몸통부
3 : 박스의 뚜껑부 4 : 박스의 이음새
10 : 컨베이어 11 : 프레임
20 : 푸셔 21 : 센서부
22 : 스위치부 30 : 터닝바
40 : 제1 테이핑부 41 : 제1 테이핑부의 이송패드
42 : 제1 테이핑부의 박스 수용 공간 50 : 제2 테이핑부
51 : 제2 테이핑부의 이송패드 52 : 제2 테이핑부의 박스 수용 공간
53 : 가이드 프레임

Claims (7)

  1. 육면체인 박스(1)의 몸통부(2)와 뚜껑부(3)가 결합되어 형성된 네 면의 이음새(4)를 테이핑하는 장치에 있어서,
    박스(1)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10)에 상기 박스(1)를 이동시키는 푸셔(20)와 회전시키는 터닝바(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푸셔(20)는 상기 박스(1)가 상기 컨베이어(10)의 가장자리 일측에 구비된 프레임(11)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터닝바(30)는 상기 프레임(11) 상에서 상기 컨베이어(10) 폭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박스(1)를 90˚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바(30)는 상기 컨베이어(10) 폭 방향의 내측으로 1/4 원 호의 형태로 돌출되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네 면의 이음새(4) 중 상기 컨베이어(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두 면의 이음새(4)를 동시에 테이핑하기 위한 제1 및 제2 테이핑부(40,50)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테이핑부(40,50)에서 박스(1)가 위치하고 이동하는 박스 수용 공간(42,52)의 상부와 하부에는, 박스(1)를 파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패드(41,51)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테이핑을 하기 위한 박스(1)의 폭과 높이에 따라 상기 박스 수용 공간(42,52)의 폭과 높이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의 진행 방향의 말미에 구비된 제2 테이핑부(50)에는,
    이송되는 박스(1)를 테이핑하기 이전에 상기 박스(1)를 소정의 장소에 위치시켜 정확한 테이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프레임(53)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박스(1)의 위치를 인지하여 상기 푸셔(20)의 작동과 복귀를 제어하는 센서부(21)와 스위치부(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21)는 상기 박스(1)가 컨베이어(10)에 진입되어 소정의 영역까지 이동된 것을 인지하여 상기 푸셔(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스위치부(22)는 상기 프레임(11)상에 설치되며, 상기 푸셔(20)에 의해 이동된 박스(1)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푸셔(2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KR1020130100457A 2013-08-23 2013-08-23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KR101506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57A KR101506516B1 (ko) 2013-08-23 2013-08-23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57A KR101506516B1 (ko) 2013-08-23 2013-08-23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493A true KR20150022493A (ko) 2015-03-04
KR101506516B1 KR101506516B1 (ko) 2015-03-27

Family

ID=5302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457A KR101506516B1 (ko) 2013-08-23 2013-08-23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5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239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삼원기계 박스 둘레를 테이핑하는 테이핑장치
KR20190104743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삼원기계 테이프 높이 조절형 전둘레 테이핑장치
KR102097888B1 (ko) * 2019-01-09 2020-04-06 문동석 박스 포장장치
KR102478298B1 (ko) * 2022-04-28 2022-12-16 주식회사 삼원팩 Hmr용 2층 스티로폼 박스식 스마트 원샷 더블 테이핑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306B1 (ko) 2019-10-17 2022-01-17 조재근 박스 사이드 테이핑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8722Y2 (ko) * 1979-02-24 1982-10-26
KR890003226B1 (ko) * 1986-09-30 1989-08-27 금성통신 주식회사 자동테이핑기의 박스 협지 이송장치
JP4576673B2 (ja) * 2000-06-20 2010-11-10 財団法人雑賀技術研究所 袋体の方向転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239A (ko) *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삼원기계 박스 둘레를 테이핑하는 테이핑장치
KR20190104743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삼원기계 테이프 높이 조절형 전둘레 테이핑장치
KR102097888B1 (ko) * 2019-01-09 2020-04-06 문동석 박스 포장장치
KR102478298B1 (ko) * 2022-04-28 2022-12-16 주식회사 삼원팩 Hmr용 2층 스티로폼 박스식 스마트 원샷 더블 테이핑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516B1 (ko) 2015-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516B1 (ko)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KR102583077B1 (ko) 맞춤형 패키지를 형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7061972B2 (ja) 段ボールシートから得られる段ボール箱の中に物品を梱包するための機械
ITUA20163736A1 (it) Stazione di piegatura per la piegatura di un cartone di imballaggio attorno ad un articolo appoggiato sul cartone e macchina per l’imballaggio di un articolo all’interno di una scatola di cartone ottenuta dal cartone di imballaggio
CN103635391A (zh) 用于馈送可倾倒食品的密封包的馈送单元和方法
KR101631097B1 (ko) 자동 박스 제함기
RU2011143317A (ru) Машина для упаковки изделий в коробки
ITUA20163730A1 (it) Stazione di taglio per realizzare intagli trasversali in un foglio di cartone e macchina per l’imballaggio di un articolo all’interno di una scatola di cartone ottenuta dal foglio di cartone
ATE385957T1 (de) Falteinrichtung für machine zum verpacken von flüssigen produkten
CN103935558A (zh) 纸箱套箱装置
HK1087673A1 (en) Folding unit for machines for packaging pourable food
KR101243710B1 (ko) 포장 박스용 테이핑기
CN105835098A (zh) 一种多功能纸板切割装置
CN203318969U (zh) 一种包装袋及包装机
KR101449999B1 (ko) 포장박스용 조립 지그
KR20090064653A (ko) 포장용 카톤의 자동포장장치
KR101654769B1 (ko) 필름 접힘 방지 유닛과 이를 가지는 포장 시스템
WO2013088405A1 (en) A device for making a longitudinal fin on a corresponding product wrapper
US8181426B2 (en) Closing apparatus
CN106697392B (zh) 包装设备
KR102148301B1 (ko) 다형다종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케이스 제조 시스템
FR2796620B1 (fr) Emballage en materiau semi-rigide tel que carton pour lineaire de grandes surfaces
JP5241041B2 (ja) ケーサー
KR20190104743A (ko) 테이프 높이 조절형 전둘레 테이핑장치
KR20160036993A (ko) 제품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