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098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098A
KR20150022098A KR20130099429A KR20130099429A KR20150022098A KR 20150022098 A KR20150022098 A KR 20150022098A KR 20130099429 A KR20130099429 A KR 20130099429A KR 20130099429 A KR20130099429 A KR 20130099429A KR 20150022098 A KR20150022098 A KR 20150022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vaporator
upper case
ai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725B1 (ko
Inventor
김용식
엄부용
정재오
이준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7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부케이스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증발기를 경사지게 삽입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케이스를 상부케이스에 조립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증발기를 공조케이스의 측면에서 삽입하지 않고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삽입하므로 별도의 측면커버가 필요없어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전체적인 제조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조립면에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는 홈부와 돌출부를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립되는 상기 상,하부케이스간에 조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부케이스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증발기를 경사지게 삽입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케이스를 상부케이스에 조립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조립면에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는 홈부와 돌출부를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는 일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 모드도어(미도시)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토출구인 디프로스트 벤트(12), 페이스 벤트(13) 및 플로어 벤트(1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측에 설치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2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그리고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조케이스(10)는, 좌측케이스(10a)와 우측케이스(10b)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조립되는 단일체의 하부케이스(10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10c)는 증발기(2)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좌,우로 분리되지 않고 단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2)의 일측면에는 냉매를 유입/배출할 수 있도록 입,출구파이프(2a)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측면에는 상기 증발기(2)를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증발기삽입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증발기삽입부(15)측에는 별도의 커버(30)가 조립되어 폐쇄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30)는 상기 공조케이스(10)측에 스크류(31)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공조장치(1)는, 상기 송풍기(20)의 작동으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도조절도어에 의해 히터코어(3)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며, 이와 같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모드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벤트(12,13,14)를 통해 차량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증발기(2)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측면에 증발기삽입부(15)를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삽입부(15)에는 별도의 커버(30)를 스크류(31)로 결합해야 함은 물론 상기 커버(30)측에 응축수 누수방지를 위한 실링부재도 부착해야 함으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증가하여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생산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부케이스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증발기를 경사지게 삽입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케이스를 상부케이스에 조립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증발기를 공조케이스의 측면에서 삽입하지 않고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삽입하므로 별도의 측면커버가 필요없어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전체적인 제조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조립면에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는 홈부와 돌출부를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립되는 상기 상,하부케이스간에 조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측케이스가 조립되어 구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와,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하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안착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케이스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케이스를 상부케이스에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부케이스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증발기를 경사지게 삽입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케이스를 상부케이스에 조립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증발기를 공조케이스의 측면에서 삽입하지 않고 상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삽입하므로 별도의 측면커버가 필요없어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전체적인 제조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케이스의 조립면에 형성되어 서로 조립되는 홈부와 돌출부를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증발기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립되는 상기 상,하부케이스간에 조립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상,하부케이스간에 실링을 유지하면서 조립성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상,하부케이스의 조립부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리어 공조장치를 도시하였지만, 프론트 공조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일측(입구측)에 송풍장치(120)가 설치되고 타측(출구측)에는 상기 송풍장치(120)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30)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온도조절도어(103) 및 모드도어(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서로 분할된 좌,우측케이스(111a)(111b)를 조립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111)와,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에 조립되는 단일체의 하부케이스(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케이스(112)는, 상기 증발기(101)로부터 낙하하는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함과 아울러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좌,우로 분리되지 않고 단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송풍장치(120)는, 블로워를 구비하며, 상기 블로워의 작동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게 된다.
상기 공기토출구(130)는, 복수개로 분기되어 탑승자의 얼굴쪽이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송풍장치(120)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거친후,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거나 또는 바이패스하여 상기 공기토출구(130)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03)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의 하류측에 돔형 도어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냉풍과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온풍의 혼합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공기토출구(130)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드도어(104)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복수개 공기토출구(130)가 분기되는 지점에 돔형 도어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공기토출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개 공기토출구(130)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103)와 모드도어(104)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 또는 케이블타입 컨트롤러와 같은 구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를 경사지게 설치하게 되면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공조케이스(110)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디자인적인 제한요소를 극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의 수평 조립면(111c)(112a)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물론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했을때에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101)의 일측면에는 냉매를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입,출구파이프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증발기(101)는,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의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증발기(101)의 하부는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내측에 안착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케이스(11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게 된다.
즉, 상기 증발기(101)를 상기 하부케이스(112)에 경사지게 선 조립한 후, 상기 증발기(101) 및 하부케이스(112)를 상기 상부케이스(111)에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증발기(101)를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케이스(111)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슬라이딩 삽입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111)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12)가 상부케이스(111)측에 조립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경사지게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기 증발기(101)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부(115)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2)의 조립면(111c)(112a) 중 어느 하나의 조립면(111c)에는 홈부(14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조립면(112a)에는 상기 홈부(142)로 삽입되는 돌출부(141)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조립면(111c)에 홈부(142)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조립면(112a)에 돌출부(141)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홈부(142)에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돌출부(141)가 삽입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가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111)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12)가 상부케이스(111)측에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141)와 홈부(142)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간에 조립이 어렵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의 조립면(111c)(112a)에 상기 돌출부(141)와 홈부(142)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경사진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12)를 상부케이스(111)측에 조립시 조립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홈부(142)와 돌출부(141)는, 상기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립되는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간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조립면(111c)에는 상기 홈부(142)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구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조립면(112a)에는 상기 돌출부(141)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증발기(101) 및 하부케이스(112)가 상기 상부케이스(111)측에 경사지게 슬라이딩 조립되는 구조에서, 상기 홈부(142) 및 돌출부(141) 역시 증발기(101)와 평행하게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간에 실링을 유지하면서 조립성도 향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좌,우측케이스(111a)(111b)의 내측에 온도조절도어(103)와 모드도어(104) 및 히터코어(102)를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히터코어(102)는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측면을 통해 상부케이스(111)의 내부로 삽입된다. 물론, 상기 히터코어(102)는 상기 하부케이스(112) 조립후에 상부케이스(111)에 조립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증발기(101)를 상기 하부케이스(112)에 경사지게 조립한 후, 상기 증발기(101) 및 하부케이스(112)를 상기 상부케이스(111)에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증발기(101)를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케이스(111)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슬라이딩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12)도 상기 경사진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11)측에 조립된다.
아울러,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조립면(111c)에 형성된 경사진 홈부(142)에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조립면(112a)에 형성된 경사진 돌출부(141)가 삽입되면서 상,하부케이스(111)(112)간에 조립이 완료된다.
이하, 공기유동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송풍장치(12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송풍장치(120)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면서 냉풍으로 바뀌게 되고,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냉풍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03)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거나 또는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바뀌게 된다.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한 냉풍과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온풍은 서로 혼합된 후, 상기 모드도어(104)에 의해 개방된 공기토출구(13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적정한 온도로 제어하게 된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03: 온도조절도어
104: 모드도어 110: 공조케이스
111: 상부케이스 111a: 좌측케이스
111b: 우측케이스 112: 하부케이스
120: 송풍장치 130: 공기토출구
141: 돌출부 142: 홈부

Claims (4)

  1. 좌,우측케이스(111a)(111b)가 조립되어 구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111)와,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케이스(112)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의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하부는 상기 하부케이스(112)의 내측에 안착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부케이스(11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증발기(101)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의 조립시, 상기 상부케이스(111)에 경사지게 삽입되는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12)를 상부케이스(111)에 조립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2)의 조립면(111c)(112a) 중 어느 하나의 조립면에는 홈부(142)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조립면에는 상기 홈부(142)로 삽입되는 돌출부(1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142)와 돌출부(141)는, 상기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01)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립되는 상기 상,하부케이스(111)(112)간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기 증발기(101)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부(1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30099429A 2013-08-22 2013-08-22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29A KR101715725B1 (ko) 2013-08-22 2013-08-22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29A KR101715725B1 (ko) 2013-08-22 2013-08-22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98A true KR20150022098A (ko) 2015-03-04
KR101715725B1 KR101715725B1 (ko) 2017-03-13

Family

ID=5302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429A KR101715725B1 (ko) 2013-08-22 2013-08-2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711A (ko) * 2015-10-19 2017-04-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터브리스 후방 hvac
CN109334384A (zh) * 2018-08-20 2019-02-15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出风口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39A (ja) * 1995-07-17 1997-02-04 Denso Corp 空気調和装置
JP2002172924A (ja) * 2000-12-08 2002-06-18 Denso Corp ケース結合構造
KR20090016824A (ko) * 2007-08-13 2009-02-1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138928A (ko) * 2011-06-16 2012-12-2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239A (ja) * 1995-07-17 1997-02-04 Denso Corp 空気調和装置
JP2002172924A (ja) * 2000-12-08 2002-06-18 Denso Corp ケース結合構造
KR20090016824A (ko) * 2007-08-13 2009-02-1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138928A (ko) * 2011-06-16 2012-12-2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711A (ko) * 2015-10-19 2017-04-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터브리스 후방 hvac
KR101880900B1 (ko) * 2015-10-19 2018-07-2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터브리스 후방 hvac
CN109334384A (zh) * 2018-08-20 2019-02-15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出风口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725B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6749B2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50120155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7157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0217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1065532A (zh) 车用空调
KR1025123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0697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450597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449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200079176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57096B1 (ko)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
KR1015101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993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1714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229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57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251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6482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598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15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13621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9955B1 (ko)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KR10197194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350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229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