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096B1 -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 - Google Patents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096B1
KR102057096B1 KR1020140014209A KR20140014209A KR102057096B1 KR 102057096 B1 KR102057096 B1 KR 102057096B1 KR 1020140014209 A KR1020140014209 A KR 1020140014209A KR 20140014209 A KR20140014209 A KR 20140014209A KR 102057096 B1 KR102057096 B1 KR 102057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affle
air
case
he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436A (ko
Inventor
정재오
김용식
박은주
엄부용
이준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096B1/ko
Priority to RU2014107809/11U priority patent/RU150955U1/ru
Publication of KR2015009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09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공간을 구획하는 격판, 상기 격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1 및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히터 유닛 케이스; 상기 제2 토출구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공간 내에 설치되는 히터 코어; 상기 제1 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토출구 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온도 조절 도어; 및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각각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외주부의 일부와 상기 제1 공간의 내벽 사이에서 통기구를 형성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히터 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HEATER UNIT FOR A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A BAFFLE}
본 발명은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차량 외부 또는 차량 실내에서 공기를 도입하여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블로어 유닛(blower unit), 증발기 유닛(evaporator unit) 및 히터 유닛(heater unit)가 독립적으로 구성된 쓰리 피스 타입(Three-Pieces type)의 공기조화장치, 증발기 유닛 및 히터 유닛가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의 공기조화장치, 및 블로어 유닛, 증발기 유닛 및 히터 유닛가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로 구성된 센터 타입(Center type)의 공기조화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따른 쓰리 피스 타입(Three-Pieces type)의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1)는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 유닛(10:blower unit)와, 블로어 유닛(10)가 일측에 연결되는 증발기 유닛(30:evaporator unit) 및, 증발기 유닛(30)의 일측에 연결되는 히터 유닛(50:heater unit)를 포함한다. 블로어 유닛(10)는 블로어 유닛 케이스(11)와, 블로어 유닛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는 전동 모터(미도시), 및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한다. 블로어 유닛 케이스(11)에는 자동차 실내외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내기 흡입구(11a) 및 외기 흡입구(11b)가 형성된다. 블로어 유닛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송풍기 도어 부재(1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기 흡입구(11a) 및 외기 흡입구(11b)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증발기 유닛(30)는 블로어 유닛 케이스(11)와 연결되는 증발기 유닛 케이스(31)와, 증발기 유닛 케이스(31) 내에 설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유입된 내기 또는 외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33)를 포함한다. 히터 유닛(50)는 증발기(33)를 통해 냉각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51a)를 갖는 히터 유닛 케이스(51)와 히터 유닛 케이스(51)내에 설치되어 증발기 유닛 케이스(3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코어(53)로 이루어진다.
히터 유닛 케이스(51)의 내부에는 블로어 유닛(10)로부터 흡입되어 증발기(33)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를 히터 코어(53)에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는 온도 조절 도어(71)가 포함된다. 또한, 히터 유닛 케이스(51)는 자동차 창문 쪽으로 공기 배출을 안내하여 자동차 창문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 91 )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 쪽으로 공기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face vent: 93 )와,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 쪽으로 공기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floor vent: 95)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 벤트(91, 93, 95)로의 공기 흐름의 교체는 디프로스트 도어(defrost door: 73), 페이스 도어(face door : 75 ), 및 플로어 도어(floor door : 77)에 의하여 행해진다. 각 벤트(91, 93, 95)에는 자동차 실내로 공기 조화된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원하는 영역으로 각각 토출하기 위한 덕트(duct)들이 설치된다.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 쪽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디프로스트 벤트(91)에는 디프로스트 덕트(101:defrost duct)가 연결되고, 자동차의 창문 측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페이스 벤트(93)에는 페이스 덕트(103: face duct)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장치(1)는 히터 유닛 케이스(51)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지 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그 문제점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선 Ⅲ-Ⅲ′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로어 유닛(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 유닛(30)의 증발기(33)를 통과한 후 히터 유닛 케이스(51)내의 히터 코어(53) 상류측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히터 유닛 케이스(51)내로 유입된 히터 코어(53) 상류측공기는 공기 흡입구(51a)에서부터 멀어질수록 공기의 압력이 커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히터 코어(53)를 통과하게 되면 히터 코어(53)측으로 공급되는 좌, 우 바람의 분배가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히터 코어(53) 상류측으로 공급된 공기는 공기 흡입구(51a)와 근접한 F표시부에 비하여 공기 흡입구(51a)에서 멀어지는 L표시부쪽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되어 L표시부쪽이 F표시부쪽에 비하여 찬 공기가 많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히터 코어(53)측으로 공급될 경우 히터 코어(53)를 통과한 L표시부측의 온도가 히터 코어(53)를 통과한 F표시부측의 온도보다 낮게 되어 히터 코어(53)를 통과한 더운 공기의 좌우 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냉방 모드 구동에 의하여 히터 코어(53)를 통과하지 않고 벤트(101, 103 95)를 통해 직접 찬 공기가 토출될 경우에도 L표시부측의 찬 공기의 양이 F표시부측의 찬 공기의 양보다 많게 되어 좌우 온도 편차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좌우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히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공간을 구획하는 격판, 상기 격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1 및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히터 유닛 케이스; 상기 제2 토출구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공간 내에 설치되는 히터 코어; 상기 제1 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토출구 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온도 조절 도어; 및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각각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외주부의 일부와 상기 제1 공간의 내벽 사이에서 통기구를 형성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히터 유닛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제1 공간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외주부 및 상기 제1 외주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공간의 내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격판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플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홀은 상기 제1 외주부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플의 하단면은 상기 히터 코어의 표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플 중에서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부분은 제2 공간의 내벽 및 상기 격판과 각각 접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배플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배플의 외주부와 제1 공간의 내벽 사이에 통기구가 배치되므로 공기의 좌우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공간으로 확산된 후 히터 코어를 통과하게 되므로 히터 코어 전체에 걸쳐서 공기가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열전달 효율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기구를 형성하는 배플의 제1 및 제2 돌출면이 상기 제1 공간의 내벽과 접하도록 배치되므로, 히터 유닛의 케이스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운반 또는 조립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돌출면이 지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어, 케이스의 내충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돌출면이 격판과 나란히 배치되므로, 격판의 휘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돌출면은 조립 과정에서 상기 배플이 정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 공간 내에 바이패스 홀을 형성함으로서, 설계 기준에 맞는 풍량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바이패스 홀이 상대적으로 소형이고 평판 형태를 갖는 배플에 구비되므로, 금형 등과 같은 생산설비 수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배플이 히터 코어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배플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플이 제2 공간 내에서 격판 및 내벽과 접하므로 제2 공간의 내벽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 중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포함된 배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중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유닛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터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 중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100)는 히터 유닛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대칭으로 형성되는 좌케이스(110a) 및 우케이스(110b)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케이스를 이루게 된다.
상기 우케이스(110b)의 측면에는 공기 도입구(112)가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 도입구(112)는 도시되지 않은 블로워 유닛과 연결되어, 블로워 유닛에 구비된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도입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 도입구(112)로 유입된 공기는 케이스 내부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10)에는 디프로스터 벤트(114), 페이스 벤트(116) 및 플로어 벤트(11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디프로스터 벤트(114)는 배출된 공기를 차량의 윈드 쉴드(미도시) 측으로 안내하여 윈드 쉴드에 존재하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페이스 벤트(116)는 차량의 실내 상반부로 공기를 안내하고, 상기 플러오 벤트(118)는 차량의 실내 하반부로 각각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공기를 상기 3개의 벤트로 각각 안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디프로스터 도어, 페이스 도어 및 플로어 도어가 구비되며, 이들은 별도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디프로스터 벤트(114), 페이스 벤트(116) 및 플로어 벤트(118)를 각각 개폐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하측에는 히터 코어(120)가 배치된다. 상기 히터 코어(120)는 엔진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코어(120)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간벽체(111) 및 케이스(110)의 외벽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는 상술한 공기 도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일차로 머물게 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는 격판(130)에 의해 상하로 배치되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데, 이하에서는 상부에 구비되는 공간을 제1 공간(S1), 하부에 구비되는 공간을 제2 공간(S2)으로 칭한다. 이에 의하면, 상기 히터 코어(120)는 제2 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벽체(111)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토출구(111a, 111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토출구(111a)는 상기 제1 공간(S1)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토출구(111b)는 상기 제2 공간(S2) 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토출구(111a)로는 제1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토출되고, 제2 토출구(111b)로는 제2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격판(130)은 차량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격판(130)에는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개구부(132)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공기 도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개구부(132)를 통해서만 상기 제2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32)는 상기 제2 공간(S2)의 면적에 비해서 작게 형성되어 있어,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2 공간 내에서 확산되게 된다. 따라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히터 코어 전면으로 고르게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구(111a) 및 상기 개구부(1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온도 조절 도어(140)가 상기 제1 공간(S1)에 설치된다. 상기 온도 조절 도어(140)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일측 단부에 회전축(14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42)은 도시되지 않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토출구(111a) 또는 상기 개구부(132)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온도 조절 도어(140)가 상기 개구부(132)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이며, 이로 인해 블로워 유닛으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상기 제1 공간을 거쳐 제1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즉, 상기 도 4에 도시된 상태는 최대 냉방 상태이다.
반대로 상기 온도 조절 도어(140)가 상기 제1 토출구(111a)를 완전히 폐쇄한 경우에는 공기는 제1 공간(S1), 개구부(132), 제2 공간(S2) 및 히터 코어(120)를 거쳐 상기 제2 토출구(111b)를 통해 토출된다. 이 경우는 최대 난방 상태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도어(140)는 최대 냉방 및 최대 난방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토출구 모두를 통해서 공기가 토출되고, 상기 온도 조절 도어(140)의 위치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상기 3개의 벤트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로워 유닛이 상기 우케이스(110b)의 우측에 위치한 관계로, 공기 도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관성에 의해 제1 공간(S1)의 좌측으로 치우쳐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 공간 전체에 걸쳐서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배플(150)이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된다.
도 6은 상기 배플(15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플(150)은 상기 격판(130)을 기준으로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공간(S1)에 위치하는 상부 배플(150a) 및 제2 공간(S2)에 위치하는 하부 배플(150b)이 그것이다.
상기 상부 배플(150a)은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적에 비해서 적은 면적을 가지며, 특히 상기 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외주부(152)로 인해서,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제1 외주부(152) 사이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기구(15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외주부(152)는 대략 원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측 단부에는 제1 연장부(154)가 상기 제1 외주부(152)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장부(154)는 상기 중간벽부(111)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152a)의 일측면을 구성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제1 연장부(154)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하게 되어, 케이스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배플(150a)의 하측에는 상기 온도 조절 도어(140)가 삽입되기 위한 도어 설치부(156)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설치부(156)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온도 조절 도어(140)의 회전축(142)이 수용되는 축 수용부(157)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배플(150a)의 제1 외주부(152)와 인접하여 바이패스 홀(1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 홀(158)은 일측은 상기 제1 외주부(152)와 동일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대략 직선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이패스 홀(158)은 상기 통기구(152a)와 함께 공기 도입구(112)로부터 이송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의 좌케이스(110a)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바이패스 홀(158)의 면적만큼 상기 통기구(152a)의 면적을 늘리고, 바이패스 홀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발 과정에 있어서 적정 풍량을 얻기 위해 계산된 면적으로도 충분한 풍량을 얻지 못해 통기구의 면적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때, 통기구만을 구비하는 경우 배플의 외주부의 형태를 변경하여야 함에 비해서, 바이패스 홀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외형은 그대로 두고 바이패스 홀의 면적만을 변경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수정 작업이 용이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의 테두리에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드가 존재하므로, 외형 수정시 비드 부분을 함께 수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복잡한 형태를 갖는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을 수정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수반하게 된다. 반면에, 바이패스 홀은 단순한 평판형태를 갖는 부분에 위치하므로 상대적으로 수정 작업이 간편하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배플의 외형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면, 바이패스 홀을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배플(150b)은 대략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그 하측 단면(160)은 상기 히터 코어(1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배플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배플(150b)의 케이스측 측면(162)은 케이스의 내벽면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외주부의 하측단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164)도 함께 구비한다. 상기 제2 연장부(164)는 상기 제1 연장부(154)와 동일하게 케이스의 내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하측 단면(160)과 함께 배플이 움직이지 않도록 케이스 내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 배플(150b)의 실내측 단부에는 상기 히터 코어(120)의 일측 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히터 코어 지지부(16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연장부(164)는 상기 격판(13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좌케이스의 격판과 우케이스의 격판이 각각 결합되는 체결 돌기(168)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 돌기(168)는 상기 제2 연장부(164)의 상하부 면에 각각 형성되고, 제2 연장부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렇게 이격된 공간은 상기 좌우 케이스에 형성되는 격판이 끼워져 수용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두 개의 좌우 케이스 각각이 상기 배플을 기준으로 올바르게 정렬되도록 하며, 운반, 조립 또는 사용 과정에 있어서, 상기 격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공간을 구획하는 격판, 상기 격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1 및 제2 토출구,를 포함하는 히터 유닛 케이스;
    상기 제2 토출구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공간 내에 설치되는 히터 코어;
    상기 제1 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토출구 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온도 조절 도어; 및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각각 구획하도록 배치되며, 외주부의 일부와 상기 제1 공간의 내벽 사이에서 통기구를 형성하는 배플;을 포함하되,
    상기 배플은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된 상부 배플과,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된 하부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홀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배플의 하측 단면은 히터 코어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부 배플의 제1 외주부와 인접하여 바이패스 홀이 형성된 히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제1 공간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외주부 및 상기 제1 외주부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공간의 내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격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홀은 상기 제1 외주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중에서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부분은 제2 공간의 내벽 및 상기 격판과 각각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플은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
KR1020140014209A 2014-02-07 2014-02-07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 KR10205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209A KR102057096B1 (ko) 2014-02-07 2014-02-07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
RU2014107809/11U RU150955U1 (ru) 2014-02-07 2014-03-03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блок с дефлектором для установки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209A KR102057096B1 (ko) 2014-02-07 2014-02-07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36A KR20150093436A (ko) 2015-08-18
KR102057096B1 true KR102057096B1 (ko) 2019-12-18

Family

ID=5329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209A KR102057096B1 (ko) 2014-02-07 2014-02-07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7096B1 (ko)
RU (1) RU150955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967A (ko) * 2021-03-04 2022-09-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36A (ko) 2015-08-18
RU150955U1 (ru) 201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4652B2 (en) Vehicle rear console duct air flow
KR20110136257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2057096B1 (ko) 배플을 구비한 공조 장치용 히터 유닛
KR20120138925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US10293656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KR1015725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106213A (ko) 리어공조장치를 이용한 에어커튼유니트
JP201807971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1768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341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704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63368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130067368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113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9394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79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3665B1 (ko) 자동차용 공조 장치
KR201000059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644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05506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7157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0006355A (ko)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KR102079955B1 (ko)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KR1014425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