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368A -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368A
KR20130067368A KR1020110134226A KR20110134226A KR20130067368A KR 20130067368 A KR20130067368 A KR 20130067368A KR 1020110134226 A KR1020110134226 A KR 1020110134226A KR 20110134226 A KR20110134226 A KR 20110134226A KR 20130067368 A KR20130067368 A KR 2013006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tongue
guide
assemble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597B1 (ko
Inventor
박은주
엄부용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5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케이스의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조립되는 구조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텅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 외측면에 오조립방지수단인 리브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그루브가 상기 세퍼레이터의 가이드부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조립으로 인한 공기의 리크 및 성능저하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측케이스의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조립되는 구조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텅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 외측면에 오조립방지수단인 리브를 돌출 형성한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블로어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개별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른바 좌,우 독립 공조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중에서 세미 센터 타입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좌,우측케이스와 세퍼레이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는, 일측에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21), 페이스벤트(22), 플로어벤트(23)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기토출구(28)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27)와 공기토출구(28)를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26)가 형성된 공조케이스(20)와, 상기 공기통로(26)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의 하류측 공기통로(26)를 좌,우 공기통로(26a)(26b)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30)과, 상기 공조케이스(20)의 공기유입구(27)측에 설치되는 송풍장치(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20)는 상기 세퍼레이터(3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케이스(20a,20b)로 분할되어 서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25)가 상기 좌,우 공기통로(26a)(26b)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좌,우 공기통로(26a)(26b)의 각 벤트(21)(22)(23)에는 다수의 모드도어(24)가 설치되어 해당 벤트(21)(22)(23)의 개도를 조절하면서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장치(10)는 상부측에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내외기전환도어(13)에 의해 개폐되는 내,외기유입구(11)(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1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조케이스(20)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좌,우 독립 공조장치(1)는, 상기 송풍장치(10)에 의하여 공조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된 내기 또는 외기가 증발기(2)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에어컨 ON시), 이 공기는 세퍼레이터(30)에 의하여 좌,우 공기통로(26a)(26b)로 나뉘어 유입된 다음, 히터코어(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열된 후에 각 공기통로(26a)(26b)의 하류에 형성된 각 벤트(21)(22)(23)를 통하여 차량 실내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측으로 공급되어서 차량 실내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 공간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와 상기 세퍼레이터(30)를 결합하도록,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서로 마주하는 조립면에는 그루브(20c;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20c)와 마주하는 상기 세퍼레이터(30)의 양측면에는 상기 그루브(20c)내로 삽입되는 텅(32;tongue)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에는 내부에 일정형태의 공기통로(26)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형태의 격벽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마주하는 격벽 단부가 상기 세퍼레이터(30)의 양측면에 밀착되게 조립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마주하는 격벽 단부에 상기 그루브(20c)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마주하는 격벽 단부가 밀착되는 상기 세퍼레이터(30)의 양측면 부위에 상기 텅(32)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조케이스(20)의 조립시,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사이에 상기 세퍼레이터(3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세퍼레이터(30)의 텅(32)이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마주하는 그루브(20c)에 삽입되도록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좌,우 독립 공조장치(1)는,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와 세퍼레이터(30)를 조립할 때, 상기 세퍼레이터(30)에 형성된 텅(32)을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그루브(20c)에 정확히 조립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세퍼레이터(30)의 양측에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를 조립할 때, 상기 텅(32)과 그루브(20c)가 서로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어긋난 상태)에서 좌,우측케이스(20a,20b)를 세퍼레이터(30)측으로 가압하여 조립하게 되면, 상기 세퍼레이터(30)의 텅(32)이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에 찍히게 되면서 오조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본 출원이 선출원한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21477호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세퍼레이터(30)의 텅(32)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핀(33)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와 조립시,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그루브(20c)를 상기 텅(32)으로 가이드하여 정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한 쌍의 가이드핀(33)을 적용하여 사용해본 결과, 간혹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그루브(20c)가 상기 세퍼레이터(30)의 텅(32)에 조립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핀(33)에 끼워져 오조립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렇게 오조립된 상태로 그대로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때,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그루브(20c)가 상기 세퍼레이터(30)의 가이드핀(33)에 조립된 경우 좌,우측케이스(20a,20b)와 세퍼레이터(30) 간에 들뜨게 되지만 그 치수가 미미하여 오조립 현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울러,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와 세퍼레이터(30)간에 오조립이 발생하게 되면 공기의 리크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측케이스의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조립되는 구조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텅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 외측면에 오조립방지수단인 리브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그루브가 상기 세퍼레이터의 가이드부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조립으로 인한 공기의 리크 및 성능저하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측케이스와 우측케이스를 서로 조립하여 구성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좌측케이스와 우측케이스의 사이에 조립되어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일정영역을 좌,우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와, 상기 좌,우측케이스와 조립되는 상기 세퍼레이터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텅과, 상기 텅에 조립되도록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조립면에 형성되는 그루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텅 양측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와의 조립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그루브를 상기 세퍼레이터의 텅으로 가이드하여 정조립을 보조해주는 한 쌍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외측면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그루브가 상기 가이드부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조립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우측케이스의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조립되는 구조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텅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 외측면에 오조립방지수단인 리브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그루브가 상기 세퍼레이터의 가이드부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조립으로 인한 공기의 리크 및 성능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외측면에 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좌,우측케이스와 세퍼레이터의 조립시 오조립 없이 쉽게 정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중에서 세미 센터 타입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좌,우측케이스와 세퍼레이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텅 양측에 가이드핀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좌,우측케이스가 세퍼레이터의 가이드핀에 오조립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좌,우측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좌,우측케이스와 세퍼레이터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세퍼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00)는, 일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기통로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일정영역을 좌,우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13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측에 설치되는 송풍장치(120)로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를 서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중 상기 증발기(101)가 안착되는 부위에는 증발기(10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누수방지를 위해 별도의 일체형 하부케이스(110c)가 조립된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상기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의 사이에 조립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증발기(101) 하류측 공기통로를 좌,우 공기통로(105,106)로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115a)가 설치되는데, 상기 온도조절도어(115a)는 상기 좌,우 공기통로(105,106)상에 각각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공기통로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01)를 거친후 히터코어(102)를 선택적으로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특정위치와 연통하는 각 덕트(미도시)로 선택적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에는 다수의 모드도어(115b)가 설치되어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드도어(115b)도 상기 좌,우 공기통로(105,106)상에 각각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120)는 상부측에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내외기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외기유입구(12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온도조절도어(115a)와, 모드도어(115b)와 같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도어(115)들은 상기 세퍼레이터(130)에 의해 구획된 공조케이스(110)내의 좌,우 공기통로(105,106)상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사이에 상기 세퍼레이터(130)를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조립되는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양측면에는 텅(131)(tongue)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양측면에 조립되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에는 상기 텅(131)에 조립되도록 그루브(145)(groove)가 형성된다.
상기 텅(131)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오목한 그루브(145)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삼각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물론 상기 그루브(145)도 상기 텅(1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삼각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양측면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조립시 정위치에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텅(131)을 좌,우측케이스(110a,110b)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확장벽(135)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에는 상기 확장벽(135)을 수용하는 포켓부(140)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포켓부(140)측에도 상기 확장벽(135)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텅(131)이 삽입되도록 그루브(14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퍼레이터(130)와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시,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확장벽(135)과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포켓부(140)를 맞추게 되면, 보다 신속하게 정위치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사이에 상기 세퍼레이터(130) 조립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를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으로 가이드 해줄 수 있도록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 양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1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가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에 정조립되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는,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텅(131)의 높이 보다 더 크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는 상기 텅(131)의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끝단 내측면에는 상기 그루브(145)를 상기 텅(131)으로 원활하게 가이드하도록 "V"자 형태의 경사면(1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를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에 조립할 때, 상기 그루브(145)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151)을 따라 상기 텅(131)측으로 원활하게 가이드 되면서 조립되므로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한 쌍의 가이드부(150)는 상기 확장벽(135)의 내,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편의상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가 상기 세퍼레이터(130)에 1개 형성된 경우만 도시하였으나,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양측면에는 상기 텅(131)이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역시 상기 텅(131)이 형성된 위치라면 어디든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내측면에 "V"자 형태의 경사면(151)이 형성되므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150)의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데, 이로인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를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텅(131)에 조립되기전에 상기 가이드부(150)의 끝단에 오조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가 상기 가이드부(150)의 끝단에 오조립되게 되면 상기 세퍼레이터(130)로부터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가 약간 들뜨게 되는데, 그 치수가 미미하여 오조립된 상태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외측면에,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가 상기 가이드부(150)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조립방지수단(155)이 형성된다.
상기 오조립방지수단(155)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외측면에 리브(156)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리브(156)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150)의 끝단을 연결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156)의 끝단과 상기 가이드부(150)의 끝단은 동일 평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156) 및 가이드부(150)의 끝단측 전체 두께(T)는 상기 그루브(145)의 폭(W)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50) 끝단이 그루브(145)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부(150)의 외측면에 리브(156)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인해 상기 가이드부(150)의 뾰족한 끝단의 두께(T)가 증가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를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그루브(145)가 상기 가이드부(150)의 끝단에 안착되더라도 상기 리브(156)에 의해 조립 자체가 되지 않으므로 오조립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정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리브(156)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150) 끝단의 두께(T)가 상기 그루브(145)의 폭(W) 보다 커서 오조립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그루브(145)는 상기 텅(131)에만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좌측케이스(110a)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일측 텅(131)을 상기 좌측케이스(110a)의 그루브(145)에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퍼레이터(130)에 형성된 확장벽(135)을 상기 좌측케이스(110a)의 포켓부(140)에 맞게 조립하면 정위치에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루브(145)가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15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텅(131)에 끼워지므로 쉽게 정조립 할 수 있다.
상기 좌측케이스(110a)에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번에는 우측케이스(110b)를 상기 세퍼레이터(130)에 조립하게 된다.
상기 우측케이스(110b) 역시 상기 좌측케이스(110a) 조립하던 방법데로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확장벽(135)을 상기 우측케이스(110b)의 포켓부(140)에 맞추면 쉽게 정위치에 조립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우측케이스(110b)의 그루브(145)를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타측 텅(131)에 조립할 때에도 상기 우측케이스(110b)의 그루브(145)가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15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텅(131)에 끼워지므로 쉽게 정조립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세퍼레이터(1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가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가이드부(150) 끝단에 안착되더라도 조립이 되지 않으므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세퍼레이터(130)가 조립된 후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클립(119)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다양한 체결수단(미도시)으로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조립하기 전에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부에는 증발기(101)나 다수의 도어(115)를 미리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00)의 공조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편의상 대표적인 공조모드인 냉방모드(도1 및 도11참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송풍장치(120)의 작동으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이 공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게 되면서 차가운 공기로 바뀌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01)에서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는 상기 세퍼레이터(130)에 의해 상기 좌측 공기통로(105)와 우측 공기통로(106)로 균일하게 배분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여 차갑게 바뀐 공기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15a)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한 후, 상기 모드도어(115b)에 의해 개방된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을 냉방하게 된다.
물론, 상기 과정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좌,우측에 개별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온도조절도어(115a)나 모드도어(115b)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하면 운전석과 조수석을 탑승자가 원하는 온도로 독립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냉방모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난방모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조모드는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0a: 좌측케이스 110b: 우측케이스
110c: 하부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
113: 페이스 벤트 114: 플로어 벤트
115: 도어 115a: 온도조절도어
115b: 모드도어 120: 송풍장치
130: 세퍼레이터 131: 텅
135: 확장벽
140: 포켓부 145: 그루브
150: 가이드부 151: 경사면
155: 오조립방지수단 156: 리브

Claims (5)

  1.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를 서로 조립하여 구성되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의 사이에 조립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일정영역을 좌,우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130)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조립되는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텅(131; tongue)과, 상기 텅(131)에 조립되도록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에 형성되는 그루브(145; groov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 양측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의 조립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를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텅(131)으로 가이드하여 정조립을 보조해주는 한 쌍의 가이드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외측면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그루브(145)가 상기 가이드부(150)에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조립방지수단(1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조립방지수단(155)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외측면에 리브(156)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156)의 끝단과 상기 가이드부(150)의 끝단은 동일 평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리브(156) 및 가이드부(150)의 끝단측 전체 두께(T)는 상기 그루브(145)의 폭(W)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150) 끝단이 그루브(145)내로 삽입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는,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텅(131)의 높이 보다 더 크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 끝단 내측면에는 상기 그루브(145)를 상기 텅(131)으로 가이드하는 "V"자 형태의 경사면(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130)의 양측면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조립시 정위치에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텅(131)을 좌,우측케이스(110a,110b)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확장벽(135)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에는 상기 확장벽(135)을 수용하는 포켓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50)는, 상기 확장벽(135)의 내,외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20110134226A 2011-12-14 2011-12-14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450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226A KR101450597B1 (ko) 2011-12-14 2011-12-14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226A KR101450597B1 (ko) 2011-12-14 2011-12-14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368A true KR20130067368A (ko) 2013-06-24
KR101450597B1 KR101450597B1 (ko) 2014-10-14

Family

ID=4886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226A KR101450597B1 (ko) 2011-12-14 2011-12-14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890A (ko) * 2013-09-11 2015-03-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107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공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477A (ko) * 2004-09-03 2006-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케이스 유닛의 세퍼레이터
KR20070025397A (ko) * 2005-09-02 2007-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케이스의 결합 구조
KR20090063368A (ko) * 2007-12-14 2009-06-1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484703B1 (ko) * 2008-07-07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890A (ko) * 2013-09-11 2015-03-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597B1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975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KR101156302B1 (ko)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KR10146726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13892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138925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30067368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200184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123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0697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54486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03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100341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50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529212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5002209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812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205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793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0375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358431Y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1000059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53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3644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