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056A -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056A
KR20150022056A KR20130099184A KR20130099184A KR20150022056A KR 20150022056 A KR20150022056 A KR 20150022056A KR 20130099184 A KR20130099184 A KR 20130099184A KR 20130099184 A KR20130099184 A KR 20130099184A KR 20150022056 A KR20150022056 A KR 20150022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cellulosic
cellulose
porous filter
microbial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058B1 (ko
Inventor
임윤묵
권희정
정성린
박종석
노영창
강필현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0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8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08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16Pore siz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셀룰로오스 겔을 압착 및 세척하는 단계; b)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A)하는 단계; c)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d) 감마선이 조사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B)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렇게 제조된 다공성 필터를 제공하며 상기 다공성 필터는 폐바이오 부산물인 감귤박의 획기적인 재생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항알러지,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감귤박으로 필터를 제조하므로 필터로서의 기능도 우수하여 필터분야에 널리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Description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Microbial fermentation of cellulose porous filt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오스(Cellulose)는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고등식물의 세포벽의 주성분으로서 베타-1,4-글루코오즈(β-1,4-glucose)로 구성된 다당류이다. 식물 셀룰로오스는 펙틴(pectin),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s), 리그닌(lignin) 등의 다른 다당류와 혼합하여 헤테로폴리-사카라이드(heteropoly-saccharide)로 이루어져 있어 결정화도가 낮고 기계적 강도와 흡착성이 떨어진다.
반면 세균이 생산하는 셀룰로오스는 식물성 셀룰로오스와 달리 펙틴(pectin),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s), 리그닌(lignin) 등의 다당류를 함유하지 않은 순수한 셀룰로오스 집합체이며, 약 0.1 μm의 두께를 지닌 마이크로피브릴(microfibril)이 수소결합으로 3차원적 망상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결정화도가 높고 기계적강도와 흡착성, 보수성, 현탁 안정성, 결착성 등의 물리적인 성질이 우수하여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산업의 신소재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인조 혈관 및 화상 환자용 인조피부 등의 의료용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감귤은 제주도에서 연간 50~60만 톤이 생산되는 국내 최대 생산 과일 품목으로 대부분 생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일부 감귤주스를 가공하기 위한 전 단계에서 감귤농축액 상태로 저장되고 있을 뿐 가공품 개발에 의한 소비가 적고 대부분 한정된 계절에 생산되어 보존 가공에 많은 애로점이 있다.
또한 감귤박 및 부산물의 처리에도 막대한 비용이 소비되고 있어 감귤박을 이용한 신소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바이오 부산물의 처리에 있어 막대한 경제적 비용과 손실이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감귤박의 경우 매년 6만톤 이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처리비용도 6만원/톤 이며 발생량의 50%는 해양으로 투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미생물 발효 감귤 셀룰로오스는 항알러지,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 등 다양한 생리적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귤을 이용하여 공기정화 필터로 사용하고자 하는 발명은 개시된바 없다.
공기정화 필터에 대한 발명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79100(특허문헌 1)에는 화학적 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다공성필터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여과재 제조 및 기공도 조절을 위해 인체와 자연환경에 유해한 화학약품을 사용하고 있어 제조 공정면에서 친환경적이지 못하다.
본발명은 환경에 유해하지 않으며, 또한 바이오 폐기물로서 그 재생가능성이 높은 물질인 감귤박으로부터 생산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를 주원료로 단순 압착과 방사선 가교 및 동결건조법을 이용하여 다공성 필터를 개발하고자 한다.
KR 10-2005-0079100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처럼 여과재 제조 및 기공도 조절을 위해 인체와 자연환경에 유해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를 주원료로 단순 압착과 방사선 가교 및 동결건조법을 이용하여 다공성 필터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바이오 부산물인 감귤박을 이용하여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겔을 제조하고 이러한 셀룰로오스겔의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공성 필터를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하고자 하는 물질의 크기 및 특성에 따라 단순 압착과 방사선 가교 및 동결건조법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수 나노에서 수백 마이크로 크기까지 기공도 및 크기의 조절이 가능한 다공성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셀룰로오스 겔을 압착 및 세척하는 단계;
b)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A)하는 단계;
c)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d) 감마선이 조사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B)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는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겔을 주원료 하여 제조되므로 제조 공정 면에서 친환경적이다.
또한 여과하고자 하는 물질의 크기 및 특성에 따라 단순한 기계적 압착과 방사선 가교, 초음파 분산 및 동결건조법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수 나노에서 수백 마이크로 크기까지 기공도 및 기공크기의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크기의 필터로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감귤박으로 제조된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는 항알러지,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여 필터로서의 고기능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는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멸균효과 뿐만 아니라, 가교밀도의 증가로 인해 인장강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보이므로 필터로서의 내열성 및 내구성도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 필터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도 1은 실시예 1의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요예 1의 미생물 셀룰로오스 필터의 처리조건에 따른 통기도 변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a) 셀룰로오스 겔을 압착 및 세척하는 단계;
b)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A)하는 단계;
c)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d) 감마선이 조사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B)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단계의 셀룰로오스 겔은 감귤박 발효액 및 종균의 혼합물을 정치발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압착시간을 조절하여 기공크기 및 기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동결건조(A) 후에 초음파 분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분산은 분산시간을 조절하여 기공크기 및 기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b)단계 또는 d)단계의 동결건조는 각각 독립적으로 -80 내지 -20℃에서 3 내지 5일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의 감마선은 5 내지 100 kGy 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터는 50 nm 내지 50㎛ 기공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100 내지 5000 sec/100mL 범위에서의 통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a) 셀룰로오스 겔을 압착 및 세척하는 단계; b)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c)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d) 감마선이 조사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단계의 셀룰로오스 겔은 감귤박 발효액 및 종균의 혼합물을 정치발효하여 제조된 셀룰로오스 겔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감귤박을 발효하여 발효용 균주의 대사산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겔을 이용하여 필터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겔은 향균성이 우수하며 유독성이 전혀 없고 제조과정에 있어서도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겔을 필터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는 종래의 필터 제조기술에서 필요한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겔을 주원료 하여 제조되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며 게다가 항알러지,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고기능 향균성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단계별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a)단계는 셀룰로오스 겔을 압착 및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셀룰로오스 겔은 감귤박 발효액 및 종균의 혼합물은 정치발효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귤박은 감귤로부터 얻어지는 것으로 "감귤" 은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온주 밀감뿐만 아니라 유럽 남부 등지에서 재배되는 시트론(citron), 미국 캘리포니아 등지에서 재배되는 문단의 돌연변이종인 그레이프 프루트(grape fruit), 인도, 이탈리아 등지에서 재배되는 광귤(sour orange), 인도 등 세계 각지에서 재배되는 당귤,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금귤이나 유자, 우리나라 제주도 등에서 재배되는 한라봉, 진지향, 진귤, 산귤, 청귤, 동정귤, 당유자, 홍귤, 편귤, 사두감, 주감, 탱귤 등을 모두 의미하며 이의 외피, 또는 감귤의 착즙후 생성되는 박을 모두 "감귤박" 이라고 지칭한다.
감귤박 발효액은 Pectines 100L, Viscozyme L, AMG 300L, Celluclast 1.5L 등의 당분해효소를 접종한 뒤 3 내지 12시간, 약 40 내지 70℃ 정도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당도는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1 내지 30 brix 범위내에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당분해효소의 접종량은 크게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효율성을 고려하였을 때 감귤박의 0.01 내지 1%(w/w)의 농도로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균은 셀룰로오스 겔이 제조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균주를 적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루콘아세토박터 한세니 TL-2C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효액 10%(v/v)에 상기 종균을 접종하며, 접종량은 1ⅹ103~1ⅹ107 cell/ml의 범위 내에서 접종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치발효는 호기성 조건에서 시행하며, 20℃ 내지 40℃에서 7일 내지 30일이 소요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조된 셀룰로오스 겔은 압착하는 단계를 거치는데, 이때 압착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압착시 압착강도는 25 내지 약 100MPa 범위의 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압착7시간을 조절하여 기공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초에서 1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초에서 5초로 압착을 수행하여 기공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착시간이 1초 미만이면 기공크기가 너무 크고 균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압착시간이 10초를 초과하면 기공의크기가 너무 작고 목적하는 기공크기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압착된 셀룰로오스겔은 제주 농촌진흥청에서 제공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압착된 셀룰로오스 겔은 부산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는 단계를 거친다. 구체적으로는, 증류수 세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류수 세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진탕 항온 수조에서 수행하며, 별도의 용기에 겔을 증류수에 잠길 정도로 넣어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압착된 셀룰로오스 겔은 세척 전에 필요한 크기에 맞게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단크기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 내지 5cm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b)단계에 대하여 상술하고자 한다. b)단계는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A)하는 단계이다.
상기 a)단계의 세척이 완료되면 건조를 하는데, 본 발명은 동결건조(A)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온건조는 겔 내부 기공도 및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수행하지 않고 동결건조를 수행한다. 또한 셀룰로오스 겔을 상온건조를 하게 되면 겔에서 물이 날아가면서 셀룰로오스 겔의 두께와 공극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동결건조(A)를 사용하게 되면 저온에서 셀룰로오스 겔 안에 물이 얼음으로 결정화 되고 동시에 압력을 낮추어 지면 물이 승화 되어 원래의 셀룰로오스의 두께가 유지되면서 일정한 형태를 가진 공극을 제작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은 초기 습윤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 온도에 따라 물의 결정 크기를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공극 크기를 가진 겔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 ℃ 에서 천천히 냉각 했을 경우에는 얼음 결정이 증가되고 - 80 ℃에서는 물이 급격이 얼어 결정이 작아진다. 따라서, 물의 냉각 온도에 따른 결정화 속도를 조절을 하게 되면 겔의 공극률을 조절 할 수 있데 된다.
또한 동결건조(A)는 셀룰로오스 겔 섬유의 조직의 가교도를 높여주어 인장강도 및 탄성력 및 복원력이 높아진다.
동결건조(A)는 -80 내지 -20℃에서 3 내지 5일간 수행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0℃ 미만인 경우 물이 너무 급격이 얼어 얼음 결정이 매우 작아 원하는 공극 크기를 얻을 수 없고 또는 겔 내부구조의 기공도의 균질성의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20℃ 초과인 경우 물이 너무 천천히 얼어 얼음 결정이 증가되어 원하는 공극 크기를 얻을 수 없거나 겔 내부구조의 기공도의 균질성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을 영하 78 ℃에서 냉동시킨 후 영하 55 ℃에서 3일간 동안 동결건조(A)를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결건조(A)된 셀룰로오스 겔은 초음파 분산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증류수 등의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과 셀룰로오스 겔의 혼합비는 크게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셀룰로오스 겔의 분산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는 농도인 1 내지 80% 정도의 셀룰로오스 겔을 물에 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초음파 분산은 초음파의 적용 시간을 조절하여 기공크기 및 기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초음파는 1 내지 100 kHz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분산은 분산시간이 중요하며 초음파 분산 시간은 30분에서 2시간이 적정하다. 특히 수온상승의 이유로 30분 마다 한번씩 증류수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초음파 분산 시간이 30분 이하이면 불순물 및 셀룰로오스 조직의 균일도에 불충분하고, 2시간 이상이면 셀룰로오스 표면 및 내부에서 분해가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겔 내부의 기공을 조절을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는 초음파 분산에 의해, 겔 자체를 증류수에 넣어 초음파 분산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압축되어 있던 겔의 불규칙하게 엉켜있을 수 있는 셀룰로오스 조직을 초음파에 의해 단순 팽창 및 정렬하여 기공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초음파 분산을 통해 수세세척만으로 제거되지 못한 셀룰로오스 겔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c)단계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c)단계는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 이다.
감마선 조사는 상기 b)단계에서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을 멸균 및 가교하기 위하여 수행하며, 이때 감마선은 5 내지 100 kGy 의 범위내에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kGy 미만이면 가교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00 kGy 초과인 경우 방사선 분해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25 kGy 선량(선량율 10 kGy/h)을 조사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멸균 및 가교 이외에도 방사선 조사를 통하여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멸균효과 뿐만 아니라, 가교밀도의 증가로 인해 팽윤시 구조붕괴의 방지와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보이므로 필터로서의 내열성 및 내구성도 우수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d) 감마선이 조사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B)하는 단계는 상기 b) 단계의 동결건조(A)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상기 b)단계와 d)단계는 각각 독립적으로 -80 내지 -20℃에서 3 내지 5일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는 초음파 분산 강도 및 압착 강도를 제어하여 기공크기 조절로 인하여 원하는 통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압착단계
제주 농촌진흥청에서 시판되는 압착된 셀룰로오스 겔을 준비하여 50MPa로 압착하였다. 이때 압착시간은 3초이다.
2. 세척단계
압착된 상기 셀룰로오스 겔을 5cm 길이로 절단하여 셀룰로오스겔과 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고, 진탕 항온 수조에서 24시간씩 3회의 증류수 세척을 하였다.
3. 건조단계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을 영하 78℃에서 냉동시킨 후 영하 55 ℃, 3일간 동결건조를 수행하였다.
4. 멸균 및 가교 단계
동결건조된 셀룰로오스 겔에 감마선 25 kGy 선량(선량율 10 kGy/h)을 조사하였다.
5. 초음파 처리단계
감마선이 조사된 후의 셀룰로오스 겔을 100OW의 세기로 각각 0, 30, 60 및 120 분 동안 초음파 분산한 것을 준비하였다.
6. 필터성형단계
초음파 분산 시간을 달리한 각각의 셀룰로오스 겔을 영하 70℃에서 냉동시킨 후 영하 55 ℃, 3일간 동결건조 후 원하는 크기의 필터 용기에 맞춰 간단하게 잘라내어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터의 SEM 사진을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7. 물성평가
상기 다공성 필터의 초음파 분산 시간별 통기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기재하였다.
통기도는 Gurley type densometer (Toyoseiki,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동결건조된 셀룰로오스 겔에 감마선 50 kGy 선량(선량율 10 kGy/h)을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이렇게 제조된 필터의 물성평가를 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멸균 및 가교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이렇게 제조된 필터의 물성평가를 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실시예1~2 및 비교예1의 통기도의 결과인 표1의 결과를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초음파 처리 시간이 길수록 구조가 더욱 균일해지고 조밀해져, 통기도 값은 전체적으로 낮게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방사선과 초음파 처리에 의해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내부 구조의 균일도가 증가함으로서 통기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방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셀룰로오스 내부에 약한 강도를 가지는 일부 구조물은 분해되거나 가교를 이루면서 보다 더 균일하고 기공이 커진 내부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 역시 처리 시간 증가에 따라 내부 균일도 증가를 나타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는 방사선과 초음파에 의해 보다 균일해진 내부구조 및 증가된 기공으로 인해 보다 향상된 통기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는 폐바이오 부산물인 감귤박을 이용하여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기계적 압착과 초음파 분산 시간을 조절하여 기공도 및 통기도 조절이 용이하다. 특히 감귤박을 이용하여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겔을 제조하여 이를 필터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며 게다가 항알러지,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의 고기능 향균성 필터를 제조할 수 있어 필터분야에 있어서 획기적인 제조기술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Claims (8)

  1. a) 셀룰로오스 겔을 압착 및 세척하는 단계;
    b)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A)하는 단계;
    c) 세척된 셀룰로오스 겔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단계; 및
    d) 감마선이 조사된 셀룰로오스 겔을 동결건조(B)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셀룰로오스 겔은 감귤박 발효액 및 종균의 혼합물을 정치발효하여 제조된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압착시간을 조절하여 기공크기 및 기공도를 조절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동결건조(A) 후에 초음파 분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분산은 분산시간을 조절하여 기공크기 및 기공도를 조절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또는 d)단계의 동결건조는 각각 독립적으로 -80 내지 -20℃에서 3 내지 5일간 수행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감마선은 5 내지 100 kGy 을 조사하는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
KR1020130099184A 2013-08-21 2013-08-21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58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84A KR101583058B1 (ko) 2013-08-21 2013-08-21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84A KR101583058B1 (ko) 2013-08-21 2013-08-21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56A true KR20150022056A (ko) 2015-03-04
KR101583058B1 KR101583058B1 (ko) 2016-01-08

Family

ID=5302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184A KR101583058B1 (ko) 2013-08-21 2013-08-21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217A (ko) * 2015-03-18 2017-11-24 알버트 미란얀 셀룰로스 나노섬유 막, 이의 제조 및 이의 용도
KR102380183B1 (ko) * 2021-01-28 2022-03-30 주식회사 앨컴퍼니 온라인 쇼핑몰에 vr 기술을 적용시킨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885A (ko) 2022-07-18 2024-01-25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목재성분을 이용한 필터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02A (ja) * 1995-07-12 1997-01-28 Bio Polymer Res:Kk 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離解物の製造方法
JP2004147580A (ja) * 2002-10-31 2004-05-27 Asahi Kasei Corp セルロース系物質/無機物複合体、その製造法及び用途
KR20050079100A (ko) 2004-02-04 2005-08-09 크린에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활성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252893A (ja) * 2006-02-21 2007-10-04 Toray Ind Inc 改質基材の製造方法
KR20110063952A (ko) * 2009-12-07 2011-06-15 김성천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추출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02A (ja) * 1995-07-12 1997-01-28 Bio Polymer Res:Kk バクテリアセルロース離解物の製造方法
JP2004147580A (ja) * 2002-10-31 2004-05-27 Asahi Kasei Corp セルロース系物質/無機物複合体、その製造法及び用途
KR20050079100A (ko) 2004-02-04 2005-08-09 크린에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활성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세라믹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252893A (ja) * 2006-02-21 2007-10-04 Toray Ind Inc 改質基材の製造方法
KR20110063952A (ko) * 2009-12-07 2011-06-15 김성천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추출물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217A (ko) * 2015-03-18 2017-11-24 알버트 미란얀 셀룰로스 나노섬유 막, 이의 제조 및 이의 용도
KR102380183B1 (ko) * 2021-01-28 2022-03-30 주식회사 앨컴퍼니 온라인 쇼핑몰에 vr 기술을 적용시킨 서버
KR102380178B1 (ko) * 2021-01-28 2022-03-30 주식회사 앨컴퍼니 가상현실 기술 기반의 온라인 스토어를 운용하는 장치
KR102380184B1 (ko) * 2021-01-28 2022-03-30 주식회사 앨컴퍼니 Vr 영상 데이터 또는 ar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송신 장치
KR102380181B1 (ko) * 2021-01-28 2022-03-30 주식회사 앨컴퍼니 Vr 온라인 스토어에 관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058B1 (ko) 2016-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12158B (zh) 含细菌纤维素和丝素蛋白的复合生物材料支架及制造方法
CN102250378B (zh) 一种细菌纤维素/聚合物复合膜及其制备方法
Gayathry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sation of microbial cellulosic fibre from Acetobacter xylinum
KR101631109B1 (ko) 건조 바이오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조 바이오 셀룰로오스
CN104558677A (zh) 一种纳米纤维素/壳聚糖复合泡沫的制备方法
CN106945362A (zh) 具有防水透湿功能的框架增强气凝胶保暖材料及其制备
CN101805765B (zh) 以废弃果汁或果渣为原料生产可食用彩色细菌纤维素的方法
CN112661154B (zh) 一种含石墨烯的高吸附性植物蛋白质碳气凝胶的制备方法
CN105053007A (zh) 一种新型高性能抗菌纳米纤维素碳气凝胶的制备方法
CN104963094A (zh) 一种利用微生物产细菌纤维素复合纤维制备的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CN103463668A (zh) 一种丝素-海藻酸钙生物创面多孔敷料的制备方法
CN110341251B (zh) 一种石墨烯面膜布及其制备方法
KR101583058B1 (ko) 미생물 발효 셀룰로오스 다공성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N105821094A (zh) 一种纳米级细菌纤维素膜的制备方法及应用
CN103044693A (zh) 一种细菌纤维素/聚乙烯醇复合水凝胶的制备方法
Sukara et al. Potential values of bacterial cellulos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KR101400674B1 (ko) 방사선 이용 생체분자 도입용 미생물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및 제조방법
KR101407348B1 (ko) 천연 과립분말이 함유된 바이오셀룰로오스 팩의 제조방법
CN112877384A (zh) 一种细菌纤维素的制法、细菌纤维素-壳聚糖复合凝胶护肤面膜及其制法
CN107519540B (zh) 一种高强柔性透光可植入的蚕丝蛋白/细菌纤维素/石墨烯复合导电膜
CN108822335A (zh) 一种复合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19940B (zh) 一种泡水化橘红片的加工方法
KR101300625B1 (ko) 미생물 셀룰로오스 겔 제조방법
CN110403858A (zh) 细菌纤维素/普洱茶提取物复合功能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865155A (zh) 一种长效固沙剂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