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912A - 연료 증기 밸브 시스템 및 그 부품 - Google Patents

연료 증기 밸브 시스템 및 그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912A
KR20150021912A KR20147029453A KR20147029453A KR20150021912A KR 20150021912 A KR20150021912 A KR 20150021912A KR 20147029453 A KR20147029453 A KR 20147029453A KR 20147029453 A KR20147029453 A KR 20147029453A KR 20150021912 A KR20150021912 A KR 2015002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uel vapor
float member
hous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8781B1 (ko
Inventor
오머 불칸
알론 라하민
블라디미르 올샤네트스카이
데니스 클레이만
Original Assignee
라발 에이.씨.에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발 에이.씨.에스. 엘티디 filed Critical 라발 에이.씨.에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5002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89Float valves; Floa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38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in case of a roll ove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23Arrangements of the venting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23Arrangements of the venting tube
    • B60K2015/03528Mounting of vent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8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the venting is actuated by specific signals or positions of particular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84Discriminating outlet for gas
    • Y10T137/309Fluid sensing valve
    • Y10T137/3099Float respon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Float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하우징의 벽을 통하여 연장되는 밸브 유입 포트 및 밸브 유출 포트를 갖는 밸브를 정의하는 하우징과, 유입 포트 및 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고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 변위 가능한 플로트 부재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그 상부를 따라 연장되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유체 유동 유로를 더 포함하며, 유출 포트는 개방 위치 유체 유동이 밸브 유입 포트 및 유로 사이에서 가능하도록 유로 내로 연장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Description

연료 증기 밸브 시스템 및 그 부품{FUEL-VAPOUR VALVE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본원에 개시된 요지는 연료 증기 밸브 시스템 및 그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로우 프로파일 연료 증기 시스템으로서 구성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및 그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로우 프로파일 연료 증기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소위 평탄 연료 탱크 및 특별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연료 탱크를 적용하기에 적합하게 하는 상당히 작은 치수의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원에 개시된 요지는, 그 양태 중 첫 번째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연료 증기 튜브부와, 하나 이상의 연료 증기 튜브부와 연속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증기 시스템 부품으로 구성되는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 증기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로우 프로파일, 즉, 낮은(짧은) 풋프린트를 갖는, 즉, 밸브 부품의 높이가 연료 증기 튜브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부 특정 구성에 따르면, 밸브 부품의 최대 높이는 연료 증기 튜브부의 직경의 두 배에 비하여 작고, 통상적으로, 연료 증기 튜브부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는다. 즉,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연료 증기 튜브부와, 하나 이상의 연료 증기 튜브부와 연속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증기 시스템 부품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연료 증기 튜브부를 따라 배치되는 부품의 전체 높이는 연료 증기 튜브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일부 구성에 따르면, 스냅 인 통기 밸브가 연료 증기 튜브부의 위치에 스냅 부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하나 이상의 연료 증기 튜브부의 적어도 일부는 가요성 튜브이다. 특정 예에 따르면, 가요성 부분은 골이 진 튜브이다.
본원에 개시된 요지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의 벽을 통하여 연장되는 밸브 유입 포트 및 밸브 유출 포트를 갖는 밸브를 정의하는 하우징과, 유입 포트 및 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고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 변위 가능한 플로트 부재를 포함하며, 하우징은 그 상부를 따라 연장되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유체 유동 유로를 더 포함하며, 유출 포트는 개방 위치 유체 유동이 밸브 유입 포트 및 유로 사이에서 가능하도록 유로 내로 연장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가 구비된다.
본원에 개시된 요지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내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케이지 조립체를 수용하고, 하우징의 벽을 통하여 연장되며 하우징의 유체 유동 유로와 유체 유동 연통되는 밸브 유출 포트와 유체 유동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포트로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튜브형 하우징을 포함하며 케이지 조립체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케이지 조립체 내에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플로트 부재를 수용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ROV)가 구비된다.
개방 위치에서, 플로트 부재는 그 하부 위치에 있고, 유출 포트는 개방되어, 유입 포트로부터 유출 포트를 통하여 유체 유동 유로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폐쇄 위치에서, 플로트 부재는 유출 포트의 밀봉 결합으로 상측으로 편향된다.
후술하는 특징 및 디자인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본원에 개시된 요지에 따른 연료 증기 시스템 및 밸브 내에 개별적이거나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 하우징 입구 및 유로 출구는 밸브 유닛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밀봉된다(단, 밸브 유출 포트를 통하여, 후자가 유체 유동 유로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방될 때에만).
● 밸브의 내측 공간은 그 상부에서 하우징 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에 의해 통기된다.
● 세장형 가요성 폐쇄 멤브레인 스트립이 플로트 부재의 상면 위에 고정되지만, 스트립이 플로트 부재 상에 슬라이드되게 유지되고 변형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자유 상태로 된다.
● 플로트 부재는 상부 폐쇄 위치로 편향된 스프링이다. 플로트 부재 상에 작용하는 부력과 함께 스프링 편향은 유출 포트의 개구와의 밀봉 결합으로 멤브레인 스트립을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한편, 플로트 부재 상에 작용하는 중력은 유출 포트와의 밀봉 결합으로부터 멤브레인 스트립을 점진적으로 분리시키도록 멤브레인 스트립을 유출 포트의 개구로부터 멀리 변위시키는 경향이 있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 일 예에 따르면, 세장형 가요성 폐쇄 멤브레인 스트립은 플로트 부재의 일면에서 그 일단부에 유출 포트에 인접하게 고정되어, 폐쇄 위치에서, 멤브레인 스트립이 유출 포트에 대하여 밀봉되게 편향되며, 플로트 부재의 개방 위치로의 변위는 출구와의 밀봉 결합으로부터의 멤브레인 스트립의 점진적인 분리를 수반한다.
● 세장형 가요성 폐쇄 멤브레인 스트립의 제1 단부는 그 일단부에서 플로트 부재에 고정되며, 그 제2 단부는 플로트 부재에 슬라이드되게 고정되어, 멤브레인 스트립이 플로트 부재 위의 제2 단부의 슬라이드 변위에 의해 변형 가능하다.
● 다른 예에 따르면, 세장형 가요성 폐쇄 멤브레인 스트립은 플로트 부재의 일면에서 그 양단부에 유출 포트에 인접하게 슬라이드되게 고정된다.
● 가요성 세장형 멤브레인 스트립은 튜브형 하우징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종축으로 배치된다.
● 가요성 세장형 멤브레인 스트립은 튜브형 하우징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그 종축으로 배치된다.
● 가요성 세장형 멤브레인 스트립은 하우징 내의 플로트 부재의 수직 변위에 비하여 작은 정도로 수직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여, 플로트 부재의 하측 방향 변위 위치에서, 멤브레인 스트립이 유출 포트의 밸브 시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보장한다.
● 유출 포트는 하우징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축을 갖는 세장형 개구로서 구성된다. 특정 예에 따르면, 세장형 개구는 제1 단부 쪽으로 좁아지며, 제1 단부는 그로부터의 멤브레인 스트립의 분리에 따라 먼저 개방된다.
● 가요성 세장형 멤브레인 스트립은 세장형 개구의 가장 좁은 단부로부터의 벗김이 시작되는 방식으로 플로트 부재 위에 관절 연결된다.
● 플로트 부재는, 하측에서 하나 이상의 공동을 갖고, 하나 이상의 유입 포트에 대면하되 그 상측에서 밀봉되는 개구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 유출 포트의 밸브 시트는 하우징의 종축에 대하여 경사진, 즉, 플로트 부재의 변위의 축에 대하여 경사진다.
● 유출 포트의 밸브 시트에 인접하는 플로트 부재의 표면은 플로트 부재의 변위의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경사져, 멤브레인 스트립이, 밸브 시트와의 밀봉 결합일 때, 플로트 부재의 경사진 표면에 의해 밸브 시트에 대하여 길이를 따라 가압된다.
● 직립 위치에서, 플로트 부재는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변위 가능하며, 하우징의 유체 유동 유로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 적어도 하나의 유입 포트는 그 하부면에서 하우징의 벽을 통하여 함께 연장된다.
● 일 구성에 따르면, 유체 유동 유로는 밸브의 유출 포트로부터 유로 출구로 연장되며; 수정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유체 유동 유로와 유동 연통되는 하우징 입구로 더 구성된다. 작동되지 않을 때, 유로 출구는 밀봉 플러그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 하우징 입구는 이웃하는 연료 증기 부품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 하우징은 연료 증기 튜브부의 일체부이거나, 연료 증기 밸브의 적어도 유로 출구에서 연료 증기 튜브부에 부착된다. 밸브 유닛은 압출 공정 중 연료 증기 튜브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 플로트 부재는 하우징 직경의 반경에 비하여 대략 적게 변위 가능하다.
● 플로트 부재는 그 변위의 방향으로 제1 치수와, 제1 치수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치수를 가지며, 제2 치수는 제1 치수의 적어도 두 배이다.
● 하우징 입구 및 유로 출구는 조립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연장된다.
● 하우징 입구 및 유로 출구는 연료 증기 밸브 시스템의 파이프와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연장된다.
● 하우징의 길이는 그 직경의 적어도 세 배이다.
● 플로트 부재는 케이지 조립체 및 하우징 중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위에서의 원활한 축방향 변위를 위해 구성되어, 그 상측 또는 하측 방향 변위 도중 클램핑을 방지한다. 가이드는 돌출 포스트 및/또는 리브일 수 있다. 가이드는 플로트 부재의 중심축에 근접하게 연장될 수 있다.
● 하우징 입구 및 유로 출구 사이의 유체 유동은 유체 유동 유로를 통하여 밸브 유닛의 위치와 관계 없이 진행된다.
● 특정 구성에 따르면, 케이지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포트의 각 측면에서 하우징 내에 밀봉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내부에 형성된 출구 개구를 통하여 측면 플레이트 및 가교 부재 사이에 정의된 밸브 유닛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밀봉되는 유체 유동 유로를 구성하는 가교 부재와, 측면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고 플로트 부재 편향 스프링을 지지하는 보스로 구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 적어도 하나의 유입 포트 및 밸브 유출 포트 사이의 유체 유동은 플로트 부재 및 베이스 부재 사이의 플로트 부재의 종방향 측면 에지 부근에서 발생한다.
● 케이지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일체형 부품으로 구성된다.
● 연료 증기 튜브부의 적어도 한 위치 및/또는 밸브 유닛의 하우징은 이와 관련된 하우징에 직립 배향을 제공하기 위한 장착 위치로 구성되어, 플로트 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중심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러한 장착 위치는 예를 들면 연료 탱크 내에 연료 증기 시스템을 고정하기 위한 대응하는 체결 요소와 연동을 위해 구성되는 평탄화된 튜브형 부분이다.
● 이웃하는 연료 증기 튜브부와의 동일 연장 결합을 위해 구성되거나, 단부 피스와 끼워지도록 구성되거나, 밸브와 같은 연료 증기 요소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료 증기 튜브부의 단부 중 어느 하나는 연료 증기 튜브부의 각 단부를 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내부 튜브형 커플러와 끼워진다.
본원에 기재된 요지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한 부분; 부착 및 배향 부재를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평탄화된 부분; 내부에 연료 증기 부속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 및 연료 탱크의 출구 개구부로의 결합을 위한 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이 구비된다. 유연한 부분은 회선형 가요성 부분일 수 있다.
평탄화된 부분은 연료 증기 부속품이 적절한 작동에 요구되는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의 배향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평탄화된 부분은 부착 부재에 의해 편안하고 견고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탄화된 부분은 부착 부재의 프레임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탄화된 부분은 프레임부에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는 연료 증기 부속품의 작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 및 입구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은 압력 유지 밸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부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압력 유지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압력 유지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은 드레인 밸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는 내부에서 드레인 밸브와 결합하는 배출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해하고, 본 발명이 현실적으로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단지 비한정적인 예로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원에 개시된 요지의 예에 따른 연료 증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연료 증기 부품과 함께 구성된 복수의 부분을 갖는 연료 증기 시스템의 등각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단면 연속도이다.
도 3a는 내부에 ROV 밸브가 일체로 된 튜브부를 분리한 것이다.
도 3b는 도 3a의 ROV 밸브의 하부 등각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C-C선 종단면이다.
도 3d는 도 3c의 D-D선 단면이다.
도 3e는 도 3a의 롤 오버 밸브를 갖는 배관부의 단부 도면이다.
도 4a는 그 완전 개방 위치에서의 밸브, ROV 밸브 유닛의 일부의 등각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ROV 밸브 유닛의 하부 등각도이다.
도 4c는 밸브 유닛의 케이지 조립체의 상부 등각도이다.
도 4d는 도 4c의 케이지 조립체의 분해 등각도이다.
도 5a는 완전 폐쇄/밀봉 위치에서의 밸브 유닛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연속 개방 위치에서의 도 5a의 밸브 유닛을 도시한다.
도 5c는 완전 개방 위치에서의 도 5a의 밸브를 갖는 배관부를 나타내며, 이를 통과하는 유로를 나타내는 종단면이다.
도 6a는 환형 인서트와 끼워지는 연료 증기 튜브부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두 개의 단부로 분할되는 도 6a의 연료 증기 튜브부를 도시한다.
도 7a는 도 6b의 단부와 단부 커플러 유닛의 조립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b는 연료 증기 튜브 단부 내에 고정된 단부 커플러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c는 단부 커플러 유닛의 내부에 조립된 연료 증기 튜브 단부의 등각도이다.
도 7d는 도 7c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증기 튜브부와 함께 사용되는 환형 인서트의 종단면 등각도이다.
도 9a는 도 2b에 도시된 압력 유지 밸브(PHV)의 등각도이다.
도 9b는 그 폐쇄 위치에서의 도 9a의 PHV 밸브의 종단면 등각도이다.
도 9c는 그 개방 위치에서의 도 9a의 종단면 등각도이다.
도 10a는 밀봉 위치에서의 밸브,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드레인 밸브(DV)의 종단면 등각도이다.
도 10b는 연료 튜브부의 일부와 함께 도 10a의 드레인 밸브의 종단면이다.
도 10c는 그 개방 위치에서의 DV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를 도시하는, 도 2b의 X-X선에 따른 DV 밸브의 종단면이다.
도 11a는 연료 증기 튜브부를 연료 탱크의 내측 벽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 부재의 등각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측면도이다.
도 11c는 연료 증기 튜브부를 유지하는 부착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연료 증기 튜브부를 연료 탱크의 내측 벽에 부착하는 상이한 구성을 도시한다.
최근 수행되는 차량의 바닥의 제한된 공간에 끼워지도록 설계된 특별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소위 평탄 연료 탱크를 장착하기 위한 전반적으로 20으로 지정된 연료 증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중 도 1에 먼저 관심이 향한다.
알 수 있듯이, 연료 증기 시스템(20)은 평탄 연료 탱크 내에 끼워지도록 특별히 설계된 소위 로우 프로파일 연료 증기 시스템으로, 연료 증기 튜브부 각각의 사이, 내측 또는 단부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연료 증기 제어 부품을 갖는 복수의 연료 증기 튜브부(22A 내지 22F)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료 증기 부품 중 적어도 일부는 연료 증기 튜브부와 일치하며, 함께 실질적으로 로우 프로파일, 즉, 짧은 풋프린트를 갖는다.
그리고, 이제 전반적으로 30으로 지정된 연료 증기 배관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2a 및 도 2b으로 관심이 향한다. 연료 증기 튜브 시스템(30)은, 연료 증기 배관 시스템(30)의 단부에 맞추어지는 전반적으로 32로 지정되고, 이웃하는 연료 증기 배관 시스템(미도시)에 결합되거나 연료 탱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연료 증기 처리 장치(캐니스터) 등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단부 커플러를 포함한다. 또한, 단부 커플러는 폐쇄 부재에 끼워질 수 있다. 이하, 단부 커플러(32)의 추가적인 상세 및 각각의 튜브형 부분으로의 부착이 도 7a 내지 도 7d를 더 참조하여 설명된다.
전반적으로 36으로 지정된 가요성 튜브부가 커플러(32)로부터 연장되고, 가요성 부분(36)은 유연하지만, 연료 증기 시스템(20)이 탱크 내측에 장착될 때, 가요성 부분이 탱크 내측에 장착될 때의 곡률을 유지하면서, 예를 들면, 연료 탱크의 내부 카운터(counter)를 따르도록 구부러질 수 있도록,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가요성 부분은, 패턴에 따라 튜브부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 연료 탱크의 내부 패턴을 따를 수 있도록 가요성 연료 증기 튜브부를 제공하는 골이 진 튜브부일 수 있다. 골이 진 부분은, 가요성 부분이, 예를 들면, 연료 탱크의 내부 카운터를 따라 구부러질 때, 골이 진 부분이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가요성 튜브부에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38으로 지정된 튜브의 평탄화된 부분은 부착 부재(40)를 적용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중력 의존성인 이러한 밸브 유닛이 적절한 직립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각 플로트(float) 부재가 차량의 연료 탱크 내에 설치될 때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에 따라 변위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평탄화된 부분(38)은 또한 연료 증기 튜브부 및 특히 이에 관절 연결된 연료 증기 요소(드레인 밸브, 롤 오버 밸브 등)의 배향을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평탄화된 부분(38)의 연장된 우측에는, 내부에 압력 유지 밸브(PHV)가 일체로 된 튜브부가 구비된다. PHV는 연속 압출 제조 공정 중 각각의 튜브부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로 하여, PHV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압력 유지 밸브(PHV)에 대하여 연장된 하류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연료 증기 시스템의 다른 부품의 예외로서, 튜브부와 동일선 상에 있지 않게 연장되지만, 오히려 이하에서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로 더 상세하게 설명될 스냅 인 타입의 밸브 유닛이 되는, 드레인 밸브(DV)가 있다.
롤 오버 밸브(ROV)를 갖는 배관부는 드레인 밸브의 이후에서 연장되며, ROV는 연속 압출 공정 중에 제조될 수 있다. 튜브부는 개구부(60)(도 2b에 도시됨) 및 ROV의 작동을 위한 통기 개구(11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ROV의 특정 상세가 도 3a 내지 도 5c를 참조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 더 알 수 있듯이, 튜브형 연료 증기 시스템(30)의 우측 단부(42)는, 하나의 튜브형 부분을 다른 튜브형 부분에, 또는, 연료 증기 부속품을 연료 증기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강화 부재(46)로 구성되며, 이하, 이러한 제공이 도 6a 및 도 6b를 참조로 설명된다. 예를 들면, 원하는 경우, 연료 증기 배관 시스템(30)이 밀봉된 단부 피스, 예를 들면, 강화 부재(46) 내의 밀봉 구속을 위해 구성되는 도 8에 도시된 스토퍼 부재(130)로 종단될 수 있다.
이제 도 3a 내지 도 5c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연료 증기 튜브 시스템(30)의 튜브형 부분과 동일한 정도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튜브형인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반적으로 50으로 지정된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ROV)를 갖는 배관부가 도시된다. 튜브형 하우징은 튜브부(52) 내에서 일체로 되며, 하우징의 입구 및 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유로를 포함하고, 밸브 입구 및 밸브 출구를 갖는 밸브 유닛을 더 포함한다. 밸브 출구는 유로 내로 연장된다.
일 예에 따르면, 튜브형 하우징은 전반적으로 56으로 지정되고, 튜브부(52) 내제 고정되게 배치되고, 튜브부(52)의 최하부에 형성된 개구부(6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 포트(53)를 갖는 하부와 함께 구성되는 케이지 조립체를 포함한다(최하부라는 용어는, ROV(50)가 적절하게 작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한 연료 탱크 내부에서의 시스템의 위치 결정, 즉, 평탄화된 표면(38) 및 이와 함께 이용되는 부착 부재의 적절한 위치 결정에 효력이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3c, 도 3d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 조립체(56)는 최하 개방 위치(도 5c) 및 최상 밀봉 위치 사이에서 케이지 조립체(56) 내에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플로트 부재(64)를 수용한다. 케이지 조립체(56)는, 구유(trough) 형상 단면(도 3d에 명확하게 도시됨)을 가지며,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플로트 부재(64)를 편향시키는 코일 스프링(72)를 그 상부 위치 내로 지지하는 중앙 보스(70)와 함께 구성되는 베이스 부재(68)를 더 포함한다.
케이지 조립체(56)는 측면 플레이트(76) 사이에서 연장되며 하우징의 내측 상면(80)으로부터 이격되는 가교 부재(78)로 ROV(50)의 각 측면에서 튜브부(52) 내에 밀봉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76)를 더 포함한다. 현실적인 이유로 인하여, 가교 부재(78)는 측면 플레이트(76)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유동 유로(86)를 정의하는, 즉, 유로 입구(90) 및 유로 출구(92) 사이에서의 유체 유동을 구성하는 트레이(tray) 형상 요소(82)와 함께 성형되고, 유체 유동 유로(86)는 밸브 유닛의 내측 공간(88)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밀봉되되, 공간(88) 및 유체 유동 유로(86) 사이에서 연장되는 밸브 유출 포트(100)를 갖는다. 측면 플레이트(76)는 각각의 튜브부(52) 내벽과 밀봉 결합되며, 이에 따라, 폐쇄 위치에서 배관 시스템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이 밸브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일 예에 따른 가교 부재(78)는 튜브부(52)의 내벽에 용접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과 같은 용접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배관 시스템을 통과하는 연료 유동으로부터 밸브의 내부 공간(88)을 밀봉한다. 튜브부의 벽에 가교 부재(78)를 용접하는 것은 배관 시스템의 압출 공정 중 수행될 수 있다.
유로 입구(90) 및 유로 출구(92) 사이의 유로(86)는 그 내부의 유체 유동이 밸브 유닛의 내측 공간(88)으로부터 밀봉되게 하는 방식으로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밸브 유닛의 밸브 유출 포트(100)는, 그 우측 단부(102)가 그 좌측(도 4d에 가장 잘 도시됨)에 비하여 좁은, 세장형 개구로서 고려되며, 종방향 슬롯은 ROV(50)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종축을 가지며, 밸브 시트(106)의 하부 밀봉면이 ROV(50)의 수직축에 대하여 경사진다.
더 알 수 있듯이, 내측 공간(88)은 공간(88)의 상부에서, 단, 유체 유동 유로(86)의 아래에서, 베이스 부재(68) 및 튜브부(52)를 통하여 함께 연장되는 통기 개구(112)를 통하여 통기된다.
연료 탱크(미도시)의 연료 통기 과정 중 플로트 부재(64)의 부력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구부(60)가 연료로 덮일 때, 통기 개구(112)가 제공된다. 통기 개구(112)는 연료 탱크의 통기를 위해, 그로부터 연료 증기를 밸브의 공간(88)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부재(64)는 베이스 부재(116) 및 라이딩(riding) 부재(118)로 구성되며, 후자는 멤브레인 스트립 구속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베이스 부재(116)는 가요성 부재 스트립(124)에 의한 효율적인 밀봉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밸브 시트(10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경사진 상면(120)으로 구성되고, 후자는 베이스 부재(116) 위에서 부재(118)에 의해 128에서 클램프 고정되지만, 멤브레인(124)의 반대측 단부는 베이스 부재(116)의 상면에서 형성된 요홈(132) 내에서 슬라이드되게 변위 가능한 스토퍼 부재(130)로 구성되고, 구속 스토퍼 브리지(134)가 최대로 변형된 위치(도 5b)에서 가요성 스트립 부재(124)의 결합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구성된다.
가요성 스트립 부재(124)는 도 3a 및 도 5a(완전히 상측으로 변위된 폐쇄 위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 부재(64)의 편향면(120) 위에 배치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평탄 위치 및 도 5c의 하측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도록 배치가 이루어지며,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5b의 완전히 변형된 위치에서, 멤브레인(106)은 플로트 부재(116)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하측으로 변위하는 플로트 부재와 함께 하측으로 변위하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사용 시, ROV(50)는, 튜브부의 내면과 함께 정의하는 제1 및 제2 단부 사이의 유체 유동 유로(86), 유로 입구(90) 및 유로 입구(92), 예를 들면, 이웃하는 튜브부 및 이웃하는 추가적인 ROV 및 다른 연료 증기 제어 밸브와 같은 유체 제어 부재 사이를 통과하는 규칙적인 유체 유동과 간섭하지 않으며, 유체 유동은 화살표 라인(140)으로 도시된 유체 유동 유로(86)를 따라 수행되며, ROV(50)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있든 지와 관계 없이 유체 유동이 수행된다.
연료 탱크 내에서 액체가 상승하는 경우, 연료 증기가 개구부(60) 및 유입 포트를 통하여 내부 공간(88) 내로 유입되어, 스프링(72)의 편향 효과와 함께 플로트 부재(64)에 작용하는 부력을 발생시키며, 유체 타입 밀봉 방식으로 밸브 시트(106)에 대하여 가요성 스트립 부재(124)의 밀봉 결합으로의 상측 방향 변위를 발생시켜, 도 3c, 도 3d 및 도 5a의 폐쇄 위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유출 포트(100)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플로트 부재(64) 상에 작용하는 부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플로트 부재(64) 상에 작용하는 중력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멤브레인 스트립(124)을 밸브 유출 포트(100)의 밀봉 시트(106)로부터의 밀봉 결합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분리시키도록, 코일 스프링(74)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플로트 부재(64)를 밸브 유출 포트(100)로부터 멀리 변위시키는 경향이 있고(반면, 플로트 부재(64)의 하측 방향으로의 부분적인 변위에 따라 가요성 멤브레인 스트립(124)이 출구의 시트와 계속 결합한다), 하측 방향으로의 플로트 조립체의 추가적인 변위는, 화살표 라인(15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88)으로부터 유출 포트(100)를 통하여 유체 유동 유로(86) 내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출 포트(도 5c)의 완전한 개방을 수반하며, 이에 따라, 연료 증기는 이제 유로 출구(92)를 통하여 연료 증기 처리 장치(미도시)를 향하여 자유롭게 유동한다.
차량의 극단적인 가속의 경우, 또는 극단적인 경사, 또는 차량의 전복의 경우, 플로트 부재(64)는 편향 코일 스프링(72)의 효과와 함께 밀봉 조립체를 폐쇄 위치로 변위시켜 액체 연료가 밸브 유출 포트(100)를 통하여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플로트 부재(64)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메틸렌인, 내부 체적이 없는 고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료 증기 시스템 내측의 연료가 밸브의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플로트 부재의 내부 체적으로 유입될 수 없다.
트레이 형상 요소(82)과, 중간 가교 부재(78)를 갖는 측면 플레이트(76)는 일체형 부분을 구성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서로 스냅 체결하는 것에 의해, 성형 공정 이후, 도중 일체로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 따르면, 트레이 형상 요소(82) 및 측면 플레이트(76)의 결합이, 예를 들면, 인서트 또는 2K 몰딩과 같은 오버 몰딩에 의한 결합 공정으로 수행된다.
또한, 플로트 부재(64)는 베이스 부재(116) 및 라이딩 부재(118)로 구성되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단일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이는 또한 멤브레인 스트립(124)을 구속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이 경우, 멤브레인 스트립은 상이한 구성에 의해 플로트 부재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뿐만 아니라, 특정 도시된 예에서, 밸브 유출 포트(100) 및 각각의 밸브 시트(106)는 밸브 유닛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종축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멤브레인 스트립(124)은 동일한 배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상이한 예(미도시)에 따라, 밸브 유출 포트(100)가 90°만큼 회전된 배향으로, 즉, 밸브 유닛의 종축에 수직인 배향으로 연장되며, 밸브 시트(106) 및 멤브레인 스트립(124)은 각각 대응하는 배향으로 연장된다.
측면 플레이트(76)가 밀봉 방식으로 튜브부(52) 내부에 고정되고, 이를 위해, 측면 플레이트(76)가 밀봉 리브(77)로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가교 부재(78)는 압출 공정 중 튜브(52)의 내벽에 형성된 적절한 형성부(81)에 의해 밀봉 결합을 위해 구성되는 종방향 밀봉 리브(79)로 구성되는 것이 더 주목된다.
상측 및 하측 변위 중 플로트 부재(64)의 원활한 변위를 보장하기 위해, 즉, 레벨 없는 변위로 인한 클램핑 구속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스터드(117)의 형태의 한 쌍의 가이드가 트레이 형상 요소(82)로부터 플로트 부재(64)를 통하여, 즉, 베이스 부재(116) 및 라이딩 부재(118)를 통하여, 각각의 보어(119) 내로 하측으로 돌출된다. 스터드(117)는 서로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연장되어(그러나, 밸브 유닛의 종축을 따라 동일 선상이 아님), 실질적으로 임의의 클램핑 없이 플로트 조립체의 원활한 승하강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가이드는 플로트 부재의 중심축에 근접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서, 가이드 스터드(117)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PA12(폴리아미드)와 같은 연료 증기의 효과 하에서 분출(blowing) 또는 형상 왜곡을 실질적으로 겪지 않는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주목된다.
일 예에 따르면, 트레이 형상 요소(82)는 밸브 유출 포트(100)를 정의하며, 이로부터 내부 공간(88)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트레이 형상 요소(82)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요지의 일 예에 따르면, 연료 증기 시스템은 복수의 부분을 갖는 연속적인 배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관은,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한 부분과, 부재의 부착 및 배향을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평탄화된 부분과, 내부에 연료 증기 부속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연료 탱크의 출구 개구부에 결합되는 출구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연한 부분은 회선형 가요성 부분일 수 있다. 평탄화된 부분은 연료 증기 부속품이 적절한 직립 위치에 위치되도록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의 배향을 위해 구성된다.
연속적인 배관은 각각 특정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부분, 예를 들면, ROV, 평탄화된 부분 및 스토퍼 벽을 갖는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으로 이어지는, 유연한 부분으로 이어지는, 연료 탱크 출구 개구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연속적인 배관을 제조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배관은 각 부분을 연료 탱크 내측에 설치하도록 그 길이를 따라 특정 위치에서 절단될 수 있는 일련의 반복적인 부분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연속적인 배관은 단부가 출구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단부 및 출구부 사이에서의 이러한 배관의 절단은 두 개의 배관 시스템을 제공한다. 강화 부재가 단부 및 출구부로 도입될 수 있어, 시스템의 두 개의 단부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증기 튜브부(115)가 압출되고, 튜브부는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압출 공정 중, 환형 인서트(114)는 압출된 튜브부 내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인서트(114)는 또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나, 튜브부의 내면에 밀봉되게 용접된다. 인서트는 내부에 단부 커플러와 같은 연료 증기 부속품을 유지하는 강화 요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인서트(114)는 인서트가 연료 증기 시스템의 단부를 구성할 수 있도록 스토퍼 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114)를 압출된 튜브부(115) 내에 위치시키는 것은 튜브가 결국, 예를 들면, 구획선(115a)(도 6a)으로 절단되어 각각 강화 부재(122A, 122B)의 일부에 끼워지는 두 개의 단부 피스(120A, 120B)(도 6b)를 형성하는 위치로 나타난다. 구획 라인(115a)은 스토퍼 벽(130)에 인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서트(114)의 절단 후, 단부 피스(120B, 120A) 중 하나는 스토퍼 벽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단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단부 피스(120B)의 우측은 스토퍼 벽(130)(도 8에 가장 잘 도시됨)으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튜브형 부분용 밀봉 단부 피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한편, 다른 단부 피스(120A)는, 연료 탱크의 출구 개구부 또는 다른 연료 증기 시스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출구부일 수 있는 연료 증기 시스템의 제1 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튜브형 파이프 부분은 이를 통해 연장되는 연료 증기의 효과 하에서 분출하거나 왜곡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면, 또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튜브형 부분 내에 용접되는 강화 인서트(114)의 제공은 연료 증기 튜브부의 이러한 왜곡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강화 부재(122A)의 단부(132)는 단부 커플러(32)가 강화 부재(122A) 내에서의 스냅 결합을 위해 구성되는 탄성 스냅 갈래(134)로 튜브형 부분의 단부에서 어떻게 스냅 결합하는지를 도시하는 도 7a 내지 도 7d와 관련하여 이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스냅 핏 커플링이 결합할 수 있는 벽부를 구성하여, 갈래(134)가 강화 부재(122A)의 단부(132)에 의해 스냅 결합하고 구속된다. O-링(140) 형태의 밀봉 부재가 강화된 단부 부재(122A) 내에서의 밀봉 결합을 위해 구성되는 단부 커플러(32)의 환형 부분 위에 수용될 수 있다.
단부 커플러(32)의 특정 구성이 도시되는 한편, 다른 형태 역시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예를 들면, 스냅 타입 커플러가 아닌, 스크류 커플러, 베이어닛 타입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9a, 도 9c를 참조하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연료 증기 부품과 일치하여 연료 증기 튜브부 내에 동일한 정도로 연장되는 전반적으로 142로 지정된 압력 유지 밸브(PHV)가 도시된다.
압력 유지 밸브(142)는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되게 배치되고 코일 스프링(152)에 의해 유입 포트의 밀봉 결합으로 정상적으로 편향되는 밀봉 플런저 부재(150)와 함께 동축으로 연장되는 유입 포트(146) 및 유출 포트(148)를 갖는 튜브형 하우징(144)으로서 구성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환형 돌출부 형태의 환형 밀봉 시트(156)는 유입 포트(146)를 둘러싸며, 플런저(150)의 전방면, 즉, 밀봉면(158)이 밀봉 시트(156)에 대한 밀봉 편향을 위해 구성된다.
유입 포트(146)에서의 압력이 유출 포트(148)의 압력과 함께 코일 스프링(152)에 의해 플런저(150)로 인가되는 힘을 초과하지 않는 한, 압력 유지 밸브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 밀봉된 폐쇄 위치를 유지하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유출 포트에서의 압력 감소 또는 유입 포트(146)에서의 각각의 압력 증가에 따라, 플런저(150)가 화살표 유동 라인(163)의 방향으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밀봉 시트(156)와의 밀봉 결합으로부터 도 9c의 위치로 변위한다. 압력 평형(압축 스프링(152)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고려함)에 도달함에 따라, 플런저(150)는 도 9b의 그 정상적인 폐쇄 위치로 다시 변위한다.
도 10a 내지 도 10c에는, 전반적으로 170으로 지정되고, 스냅 결합에 의해 연료 증기 파이프 부분(172)(도 10b)으로의 스냅 관절 연결을 위해 구성되는 스냅 타입 드레인 밸브의 예가 도시된다. 특정 구성의 드레인 밸브(170)는 엄지 택(thumb-tack) 형상 섕크(178)에서 구성되고 튜브부, 통상적으로 최하부의 위치에서 스냅 결합 및 구속을 위해 구성되는 유체 유입 포트(176)로 구성되는 일방향 밸브이며, 유입 포트(176)는 각 연료 증기 파이프 부분(172)의 최하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최하부(176A)로 구성된다.
드레인 밸브(170)의 하우징(180)은 지지 인서트(188)에 의해 유지되는 가요성 밀봉 멤브레인(186)에 의해 정상적으로 밀봉되는 밀봉 시트(184)로 구성된다. 유출 포트(190)는 지지부(188)를 통하여 연장되며, 드레인 밸브(170)가 이를 통한 임의의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밀봉 위치(도 10a 및 도 10b)에서 정상적으로 있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각각의 연료 증기 파이프 부분(172) 내에서의 압력 증가에 따라, 밀봉 멤브레인(186)은 화살표 라인(19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통한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 개방 위치(도 10c)로 변형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연료 증기 파이프 부분(172)으로부터 다시 연료 탱크로의 액체의 배출을 위해 구성되는 버섯 타입 밸브 등 드레인 밸브의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제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그 운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ROV의 적절한 작동에 요구되는 필요한 배향을 주기 위해, 즉, 유입 포트가 최하 위치에서 연장되는 것 및 플로트 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따르는) 직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보장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서 연료 탱크 내에 연료 증기 튜브 시스템을 위치시키고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전반적으로 40으로 지정된 부착 부재가 도시된다. 부착 부재(40)는 연료 증기 튜브부(도 2a 및 도 2b 참조)의 평탄화된 부분(38)을 편안하고 견고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직사각형 형상,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개방 프레임부(202)를 포함하여, 부착 부재(40)에 대한 튜브부의 변위를 방지한다. 개방 프레임부(202)는 내부에 튜브형 부분의 용이한 삽입을 위한 적절한 글라이딩면(206)을 가지며 내부에 평탄화된 부분(38)의 삽입을 가능하게 할 정도로 탄성이다.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용접부(208)는 연료 탱크(미도시)의 내측 벽면으로의 용접 부착을 위해 구성되는 부착 부재(40)의 상부에 구성된다.
부착 부재(40)는 예를 들면, ROV의 적절한 작동에 요구되는 요구 배향을 배관에게 주도록 구성되는 상이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튜브는 평탄 수직부(도 2a에 도시된 수평 평탄부와 다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착 부재(40)는 대응하는 배향을 갖는 프레임부(202)를 포함한다.
연료 증기 튜브는 소재의 탄성에 대항하는 화살표(211)(도 11b)의 방향으로 부착부를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부착 부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음에 주의한다. 원한다면, 적합한 구속 부재, 예를 들면, 밴드가 글라이딩면(206) 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의도적인 변위를 방지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 용접 장착 플레이트(225)에 의해,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 골이 진 연료 증기 튜브부(36)가 연료 탱크의 일부분에 직접 장착될 수 있어, 장착 플레이트(225)가 연료 탱크의 내면에, 예를 들면, 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상부면(227)의 일면에서 골이 진 튜브부(36)에 용접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70)

  1. 하우징의 벽을 통하여 연장되는 밸브 유입 포트와, 밸브 유출 포트를 갖는 밸브를 정의하는 하우징, 및
    상기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고,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플로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그 상부를 따라 연장되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유체 유동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 위치 유체 유동이 상기 밸브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체 유동 유로 사이에서 가능하도록 상기 유출 포트가 상기 유로 내로 연장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그 변위의 방향으로 제1 치수와, 상기 제1 치수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제2 치수는 상기 제1 치수의 적어도 두 배인,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그 중심축에 근접하게 상기 플로트 부재 내에 정의된 대응하는 보어 내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에 고정되게 배치된 케이지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플로트 부재를 수용하는 내측 공간을 정의하는 튜브형 하우징인,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상기 케이지 조립체의 하부 위치에 있고, 상기 유출 포트가 개방되어, 상기 밸브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통하여 상기 유체 유동 유로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상기 유출 포트의 밀봉 결합으로 상측으로 편향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밸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유닛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밀봉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내측 공간은 상기 유로의 아래의 그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 개구에 의해 통기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부재의 상면 위에 고정되고, 상기 플로트 부재 상에 슬라이드되게 유지되고 변형 가능하도록 축방향으로 자유 상태인 세장형 가요성 폐쇄 멤브레인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로 편향된 스프링인,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플로트 부재 상에 작용하는 부력과 함께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밸브 유출 포트와의 밀봉 결합으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을 가압하도록 배치가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플로트 부재에 작용하는 중력은 상기 밸브 유출 포트와의 밀봉 결합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을 점진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 유출 포트로부터 멀리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을 변위시키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은 상기 플로트 부재의 일면에서 그 일단부에 상기 밸브 유출 포트에 인접하게 고정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이 상기 밸브 유출 포트에 대하여 밀봉되게 편향되며,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상기 밸브 유출 포트와의 밀봉 결합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을 점진적으로 분리시키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의 제2 단부는 상기 플로트 부재에 슬라이드되게 고정되어,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이 상기 플로트 부재 위에서 상기 제2 단부의 슬라이딩 변위에 의해 변형 가능한,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은 상기 플로트 부재의 일면에서 그 양단부에서 상기 밸브 유출 포트에 인접하게 슬라이드되게 고정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은 상기 유로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 종축으로 배치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5.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은 상기 유로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그 종축으로 배치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6.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은 상기 공간 내의 상기 플로트 부재의 수직 변위에 비하여 작은 정도로 수직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여, 상기 플로트 부재의 하측 방향 변위 위치에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이 상기 유출 포트의 밸브 시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보장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포트는 상기 유로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축을 갖는 세장형 개구인,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개구는 제1 단부 쪽으로 좁아지며, 상기 제1 단부는 그로부터의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의 분리에 따라 먼저 개방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은 상기 세장형 개구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의 벗김이 시작되는 방식으로 상기 플로트 부재 위에 관절 연결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하측에서 하나 이상의 공동을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입 포트에 대면하되 그 상측에서 밀봉되는 개구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1. 제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포트의 밸브 시트는 상기 플로트 부재의 변위의 축에 대해 경사진,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포트의 상기 밸브 시트에 대면하는 상기 플로트 부재의 표면은 상기 플로트 부재의 변위의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경사져, 상기 멤브레인 스트립은, 상기 밸브 시트와의 밀봉 결합일 때, 상기 플로트 부재의 경사진 표면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길이를 따라 가압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직립 위치에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변위 가능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입구는 이웃하는 연료 증기 부품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연료 증기 튜브부의 일체부인,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연료 증기 튜브부 내에서 감싸이며,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유로 입구 및 유로 출구를 각각 정의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연료 증기 튜브부의 내면에 의해 덮이도록 구성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상기 하우징 직경의 반경에 비하여 대략 적게 변위 가능한,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조립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인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연장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연료 증기 튜브부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연료 증기 튜브부와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연장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는 그 직경의 적어도 세 배인,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은 상기 유체 유동 유로를 통하여 상기 밸브 유닛의 위치와 관계 없이 진행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34.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입 포트의 각 측면에서 연료 증기 튜브부의 벽과의 밀봉 결합을 위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튜브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유로를 구성하는 가교 부재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며 플로트 부재 편향 스프링을 지지하는 보스로 구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
  35. 하나 이상의 연료 증기 튜브부와, 하우징의 벽을 통하여 연장되는 밸브 유입 포트 및 밸브 유출 포트를 갖는 밸브 및 상기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며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플로트 부재를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그 상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연료 증기 튜브부의 내면과 함께 정의되는 유로 입구 및 유로 출구를 갖는 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출 포트는 상기 개방 위치 유체 유동이 상기 밸브 유입 포트 및 상기 유로 출구 사이에서 가능하도록 상기 유로 내로 연장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36.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한 부분;
    부착 및 배향 부재를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평탄화된 부분;
    내부에 연료 증기 부속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 및
    연료 탱크의 출구 개구부로의 결합을 위한 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연료 증기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부분은 회선형 가요성 부분인, 연료 증기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된 부분은 상기 연료 증기 부속품이 적절한 작동에 요구되는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의 배향을 위해 구성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된 부분은 부착 부재에 의해 편안하고 견고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된 부분은 상기 부착 부재의 프레임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된 부분은 상기 프레임부에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는 상기 연료 증기 부속품의 작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 및 입구 개구부를 구비하는, 연료 증기 시스템.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증기 부속품은 유로 출구 및 유로 입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유로를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개구부와 유동 연통되는 상기 하우징의 벽을 통해 연장되는 밸브 유입 포트와 상기 유로 내로 연장되는 밸브 유출 포트를 갖는 밸브와, 상기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유입 포트 및 상기 유로 사이에서 유체 유동이 가능한 상기 밸브의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플로트 부재를 더 포함하는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인, 연료 증기 시스템.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입구 및 상기 유로 출구는 상기 제1 부와 유동 연통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그 변위의 방향으로 제1 치수와, 상기 제1 치수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치수를 가지며, 상기 제2 치수는 상기 제1 치수의 적어도 두 배인,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
  46.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에 고정되게 배치된 케이지 조립체를 수용하며 상기 플로트 부재를 수용하는 내측 공간을 정의하는 튜브형 하우징인, 연료 증기 시스템.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상기 케이지 조립체의 하부 위치에 있고, 상기 유출 포트가 개방되어, 상기 밸브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밸브 유출 포트를 통하여 상기 유체 유동 유로로의 유체 유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상기 유출 포트의 밀봉 결합으로 상측으로 편향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입구 및 상기 유로 출구는 상기 밸브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유닛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밀봉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내측 공간은 상기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에 의하여 통기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50. 제43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직립 위치에서, 상기 플로트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변위 가능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51. 제43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입구는 이웃하는 연료 증기 부품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52. 제43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부의 일체부인, 연료 증기 시스템.
  53. 제43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입구 및 상기 유로 출구는 상기 제1 부와 동축으로 연장되는, 연료 증기 시스템.
  54.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입 포트의 각 측면에서 상기 제1 부의 내벽과의 밀봉 결합을 위해 구성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내부에 형성된 출구 개구를 통하여 상기 측면 플레이트 및 가교 부재 사이에 정의된 상기 밸브 유닛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밀봉되는 상기 유체 유동 유로를 구성하는 가교 부재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고 플로트 부재 편향 스프링을 지지하는 보스로 구성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연료 증기 시스템.
  55. 제36항에 있어서,
    압력 유지 밸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 증기 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압력 유지 밸브를 더 포함하는 연료 증기 시스템.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에 결합되는 압력 유지 밸브를 더 포함하는 연료 증기 시스템.
  58. 제36항에 있어서,
    드레인 밸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를 포함하는 연료 증기 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는 내부에서 드레인 밸브와 결합하는 배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 증기 시스템.
  60. 내부에 장착되는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을 갖는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은,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한 부분;
    부착 및 배향 부재를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평탄화된 부분;
    내부에 연료 증기 부속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 및
    연료 탱크의 출구 개구부로의 결합을 위한 출구 개구를 포함하는, 연료 탱크.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부분은 회선형 가요성 부분인, 연료 탱크.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된 부분은 상기 연료 증기 부속품이 적절한 작동에 요구되는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의 배향을 위해 구성되는, 연료 탱크.
  63. 제62항에 있어서,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탄화된 부분은 상기 부착 부재에 편안하고 견고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연료 탱크.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된 부분은 상기 부착 부재의 프레임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연료 탱크.
  65.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는 상기 연료 증기 부속품의 작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통기 개구 및 입구 개구부를 구비하는, 연료 탱크.
  66.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은 압력 유지 밸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 탱크.
  67.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은 드레인 밸브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 탱크.
  68.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는 내부에서 드레인 밸브와 결합하는 배출 개구부를 포함하는, 연료 탱크.
  69.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된 부분에 결합되는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료 탱크.
  70. 내부에 장착되는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료 증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연료 증기 튜브부와, 하우징 내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케이지 조립체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벽을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유체 유동 유로와 유체 유동 연통되는 밸브 유출 포트와 유체 유동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포트로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튜브형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 조립체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케이지 조립체 내에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플로트 부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 오버 연료 증기 밸브로 구성되는, 연료 탱크.
KR1020147029453A 2012-03-26 2013-03-21 연료 증기 밸브 시스템 및 그 부품 KR102028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15387P 2012-03-26 2012-03-26
US61/615,387 2012-03-26
PCT/IL2013/050284 WO2013144960A2 (en) 2012-03-26 2013-03-21 Fuel-vapour valve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912A true KR20150021912A (ko) 2015-03-03
KR102028781B1 KR102028781B1 (ko) 2019-11-04

Family

ID=4818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453A KR102028781B1 (ko) 2012-03-26 2013-03-21 연료 증기 밸브 시스템 및 그 부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300787B2 (ko)
EP (2) EP2830904B1 (ko)
JP (2) JP6208740B2 (ko)
KR (1) KR102028781B1 (ko)
CN (1) CN104487273B (ko)
IN (1) IN2014MN02006A (ko)
RU (1) RU2646013C2 (ko)
WO (1) WO20131449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6354B2 (en) * 2013-02-08 2016-04-19 Brunswick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couple components to a fuel tank
US9605803B2 (en) 2013-02-08 2017-03-28 Bruns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to couple fuel components to a fuel tank
US10183574B2 (en) 2013-12-09 2019-01-22 Raval A.C.S. Ltd. Draining device
RU2691539C2 (ru) * 2014-09-29 2019-06-14 РАВАЛ Эй.Си.Эс. ЛТД.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сл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ливная трубка и топлив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ая упомянутое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250A (en) * 1998-01-26 2000-05-16 Mikuni Adec Corporation Fuel cut device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ogether a plurality of fuel cut devices
WO2001007806A1 (en) * 1999-07-23 2001-02-01 Raval-Agricultural Cooperative Societies Ltd. Valve and method for fitting it to a tank
US20010054425A1 (en) * 2000-04-20 2001-12-27 Volker Bertram Hyperpharyngeal tube
US20050017299A1 (en) * 2002-10-08 2005-01-27 Shen Zheng John Power MOSFET
JP2006118412A (ja) * 2004-10-21 2006-05-11 Piolax Inc 燃料タンクの燃料蒸気配管構造
US20090014090A1 (en) * 2007-06-27 2009-01-15 Alfmeier Pra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osungen Fuel Tank for Vehicles
US20090321461A1 (en) * 2006-07-12 2009-12-31 Raval A.C.S. Ltd. Venting Tubing System For A Fuel Tank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9942A (en) * 1971-02-17 1972-10-24 Forest J Moray Adjustable valve stem oil seals for old and new internal combustion engines
SU1754496A1 (ru) 1990-08-07 1992-08-15 А М. Божок Топливна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5071018A (en) * 1990-09-10 1991-12-10 Ford Motor Company Capless closure assembly for a fuel filler pipe
JP2943638B2 (ja) 1994-11-01 1999-08-30 豊田合成株式会社 フロート弁
IL112444A (en) 1995-01-25 1998-01-04 Raviv Precision Injection Mold Roll over vent valve
US5782258A (en) 1995-12-11 1998-07-21 Alfmeier Corporation Vapor recovery fuel tank system
DE19547070C2 (de) 1995-12-16 1998-07-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efestigungsvorrichtung mit einem Halteelement für eine Leitung
US6311675B2 (en) * 1999-04-28 2001-11-06 Walbro Corporation Vent valve and fuel pump module
US6508275B1 (en) * 2000-03-15 2003-01-21 Salflex Polymers Ltd. Flexible fuel filler pipe
JP3948194B2 (ja) 2000-06-27 2007-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給油量規制バルブ及び燃料タンク装置
US20020157706A1 (en) * 2001-04-25 2002-10-31 Eaton Corporation Two-stage float operated fuel tank vent valve
JP4184035B2 (ja) * 2002-10-21 2008-11-19 株式会社ニフコ 弁装置の取付構造
DE10329121A1 (de) 2003-06-27 2005-01-20 Siemens Ag Entlüftungseinrichtung
JP4347713B2 (ja) * 2004-02-10 2009-10-2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タンクの燃料蒸気配管構造
US7520293B2 (en) * 2006-02-16 2009-04-2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Fuel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GR20070100320A (el) 2007-05-29 2008-12-19 Σταλακτης με δυνατοτητα αυτοκαθαρισμου
JP5479786B2 (ja) 2009-06-17 2014-04-2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遮断弁
FR2954805B1 (fr) 2009-12-24 2012-01-06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a Clapet pour circuit de mise a l'air d'un reservoir a liquide
BR112013019094B1 (pt) * 2011-01-31 2021-08-17 Raval A.C.S. Ltd Válvula de combustível anticapotamento
KR101928855B1 (ko) * 2011-03-14 2018-12-13 라발 에이.씨.에스. 엘티디 연료 밸브
US8622074B2 (en) * 2012-01-26 2014-01-07 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Fuel tank vent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250A (en) * 1998-01-26 2000-05-16 Mikuni Adec Corporation Fuel cut device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together a plurality of fuel cut devices
WO2001007806A1 (en) * 1999-07-23 2001-02-01 Raval-Agricultural Cooperative Societies Ltd. Valve and method for fitting it to a tank
US20010054425A1 (en) * 2000-04-20 2001-12-27 Volker Bertram Hyperpharyngeal tube
US20050017299A1 (en) * 2002-10-08 2005-01-27 Shen Zheng John Power MOSFET
JP2006118412A (ja) * 2004-10-21 2006-05-11 Piolax Inc 燃料タンクの燃料蒸気配管構造
US20090321461A1 (en) * 2006-07-12 2009-12-31 Raval A.C.S. Ltd. Venting Tubing System For A Fuel Tank
US20090014090A1 (en) * 2007-06-27 2009-01-15 Alfmeier Pra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osungen Fuel Tank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4960A3 (en) 2013-11-21
IN2014MN02006A (ko) 2015-08-07
WO2013144960A2 (en) 2013-10-03
RU2014140727A (ru) 2016-05-20
KR102028781B1 (ko) 2019-11-04
EP3299202B1 (en) 2019-05-22
EP2830904A2 (en) 2015-02-04
EP3299202A1 (en) 2018-03-28
JP6715807B2 (ja) 2020-07-01
EP2830904B1 (en) 2017-12-06
JP2015517050A (ja) 2015-06-18
US20190275883A1 (en) 2019-09-12
CN104487273B (zh) 2018-04-03
US11548376B2 (en) 2023-01-10
US20150151631A1 (en) 2015-06-04
US10300787B2 (en) 2019-05-28
JP2018012497A (ja) 2018-01-25
CN104487273A (zh) 2015-04-01
JP6208740B2 (ja) 2017-10-04
RU2646013C2 (ru)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8376B2 (en) Fuel-vapor valve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EP1786645B1 (en) Dual function valve for fuel tanks
US5960816A (en) Adjustable length vent valve system for fuel tanks
KR101468366B1 (ko) 연료 탱크 통기 밸브 조립체 및 조립 방법
WO2000053960A1 (en) Over filling interdiction, vent and roll over valve
US10369882B2 (en) Valve case mounting structure
KR101928855B1 (ko) 연료 밸브
EP2526907B1 (en) Urine meter
KR20160096135A (ko) 배출 장치
US7963296B2 (en) Fuel cutoff valve
KR101923999B1 (ko) 연료 밸브
JP5949686B2 (ja) インタンク用弁ユニット
US20170248243A1 (en) Noise attenuated fill limit vent valve
JP6070453B2 (ja) 燃料遮断装置
US20230025882A1 (en) Fluid limit vent valve with splash prevention
JP2010173396A (ja) 燃料遮断弁
KR20150095534A (ko) 연료 탱크 통기 밸브 조립체 및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