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750A -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750A
KR20150021750A KR20130099092A KR20130099092A KR20150021750A KR 20150021750 A KR20150021750 A KR 20150021750A KR 20130099092 A KR20130099092 A KR 20130099092A KR 20130099092 A KR20130099092 A KR 20130099092A KR 20150021750 A KR20150021750 A KR 20150021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liner
fastening
hole
bush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혁
강승룡
길용길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2013009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1750A/ko
Publication of KR2015002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287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the back-rest being inclin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적용된 리클라이너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이더라도 종래와 동일한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제조 단가 및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석자의 둔부 및 허벅지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과, 등받이 역할을 하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시트백 프레임(120)을 회동시켜주는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의 양측 체결부(121)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121)의 체결공(123)과 연통되는 관통공(211)이 구비되는 리클라이너(210); 상기 연통된 체결공(123)과 관통공(211)에 결합되되, 상기 체결부(121)의 외주면에 걸림 고정되는 단턱부(223)가 구비됨과 아울러 내부에 나사공(221)이 형성되는 부시(220); 및 상기 부시(220)의 나사공(22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클라이너(210)를 고정해주는 체결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Recliner Assembly for a vehicle seat}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에 적용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탑승자의 착석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해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24193호(발명의 명칭 : 시트프레임 조립체 및 그 등받이 프레임의 제조방법)으로 선 출원된 일반적인 자동차 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리클라이너 조립체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에 구비된 좌석(seat)의 기본적인 프레임(1)은 착석자의 둔부 및 허벅지를 지지해주는 시트 프레임(seat frame)(3)과, 상기 시트 프레임(3)에 결합되어 상체를 지지해주는 시트백 프레임(seat back frame)(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시트백 프레임(5)은 리클라이너 조립체(10)(Recliner assy)를 매개로 시트 프레임(3)에 결합되어 시트백 프레임(5)이 전, 후방향으로 회동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너 조립체(10)는 시트백 프레임(5)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공(5a) 내에 삽입되는 부시(11)와, 부시(11)가 삽입된 체결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강성을 보강해주는 브라켓(13)과, 브라켓(13) 상에 볼트(17)를 매개로 고정 결합되는 리클라이너(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조의 리클라이너 조립체(10)는 볼트(17)가 브라켓(13)의 일측과 부시(11) 내의 관통공에 순차적으로 결합된 후 브라켓(13) 타측의 나사공(13a)에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클라이너 조립체(10)는 이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으며, 조립되는 과정이 다소 복잡하다. 특히, 리클라이너 조립체(10)를 조립과정에서 체결공(5a)의 함몰 및 파손 등을 방지해주는 부시(11)를 누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리클라이너 조립체(10)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조립 공수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시트에 적용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 조립체는, 착석자의 둔부 및 허벅지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과, 등받이 역할을 하는 시트백 프레임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시켜주는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 체결부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의 체결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상기 연통된 체결공과 관통공에 결합되되,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걸림 고정되는 단턱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내부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부시; 및 상기 부시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클라이너를 고정해주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단턱부는,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턱부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턱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와 맞닿는 체결부의 대향면에는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홈부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턱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상기 평탄면이 구비된 단턱부가 결합되는 안착부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는 키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키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와 리클라이너 사이에는, 평와셔 또는 스프링와셔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적용된 리클라이너 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이더라도 종래와 동일한 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고, 제조 단가 및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시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리클라이너 조립체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조립체가 결합된 시트백 프레임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I-I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턱부의 다양한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시의 회전방지구조를 보여주는 일 실시예,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시의 회전방지구조를 보여주는 다른 실시예,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조립체가 결합된 시트백 프레임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 조립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착석자의 둔부 및 허벅지를 지지해주는 시트 프레임(110)과 등받이 역할을 하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시트백 프레임(120)을 전, 후방향으로 회동시켜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200)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의 양측 체결부(121)에 각각 배치되되 체결부(121)의 체결공(123)과 연통되는 관통공(211)이 구비되는 리클라이너(210)와, 상기 연통된 체결공(123)과 관통공(211)에 결합되되 내부에 나사공(221) 형성되는 부시(220)와, 상기 부시(220)의 나사공(221)에 나사결합되어 리클라이너(210)를 고정해주는 체결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클라이너(210)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적어도 양측에 결합되어 시트백 프레임(120)을 착석자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켜가며 안정적인 착석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은 합성수지 재질의 몰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시트백 프레임(120)의 배면에는 강성을 보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리브(rib)(120a)가 격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의 배면 양측에는 리클라이너(2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121)가 마련된다. 체결부(121)는 강성을 보강해주는 리브에 마련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부(121)를 시트백 프레임(120)의 배면에 복수로 형성된 리브의 구조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121)에는 체결부재(230)를 매개로 리클라이너(210)를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공(123)이 구비된다. 아울러 리클라이너(210)에는 체결공(123)과 연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211)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시(220)는 그 내부의 나사공(221)에 체결부재(230)가 대응되게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부재(230)와 함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리클라이너(210)를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부시(2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체결공(12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줌과 아울러, 리클라이너(210) 체결부위의 강성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부시(220)의 일측 외주면에는 체결공(123) 내에 결합시 체결부(121)의 외주면에 걸림 고정되는 단턱부(223)가 구비된다. 이러한 단턱부(223)는 부시(220)의 외주면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턱부(223)는 부시(220)가 결합되는 정도를 제한해줌과 아울러, 체결부(121)의 강성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특히 단턱부(223)가 구비된 부시(220)는 리클라이너(2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종래 브라켓의 역할을 대신해주게 됨에 따라, 리클라이너(210)의 조립에 필요한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턱부(223)에는 부시(220)의 나사공(221) 내에 체결부재(23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부시(22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회전방지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방지구조는 단턱부(223)의 외주면을 사각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으로 형성해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턱부(223)를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잡아 고정한 상태에서 체결부재(230)를 체결해주는 방식이다.
도 7 및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시(220)의 회전방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부(223)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225)가 형성되고, 단턱부(223)와 맞닿게 되는 체결부(121)의 대향면에는 돌기(225)가 결합되는 홈부(125)가 대응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시(220)의 회전방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단턱부(22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22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23)에는 평탄면(227)이 구비된 단턱부(22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부(127)가 대응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230)의 체결시 부시(220)가 체결부재(230)의 체결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다시 말해, 부시(220)를 고정해주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체결부재(230)를 용이하게 체결해줄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부시(220)의 외주면에는 키(미도시)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키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230)의 머리부와 리클라이너(210) 사이에는 평와셔 또는 스프링와셔(미도시)가 개재되어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적용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200)의 부품수 및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기존의 브라켓 없이도 체결부(121)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시트 프레임 120 : 시트백 프레임
121 : 체결부 123 : 체결공
125 : 홈부 127 : 안착부
200 : 리클라이너 조립체 210 : 리클라이너
211 : 관통공 220 : 부시
221 : 나사공 223 : 단턱부
225 : 돌기 227 : 평탄면
230 : 체결부재

Claims (7)

  1. 착석자의 둔부 및 허벅지를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과, 등받이 역할을 하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시트백 프레임(120)을 회동시켜주는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120)의 양측 체결부(121)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121)의 체결공(123)과 연통되는 관통공(211)이 구비되는 리클라이너(210);
    상기 연통된 체결공(123)과 관통공(211)에 결합되되, 상기 체결부(121)의 외주면에 걸림 고정되는 단턱부(223)가 구비됨과 아울러 내부에 나사공(221)이 형성되는 부시(220); 및
    상기 부시(220)의 나사공(22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클라이너(210)를 고정해주는 체결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223)는,
    상기 부시(220)의 외주면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223)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223)에는 돌기(225)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23)와 맞닿는 체결부(121)의 대향면에는 상기 돌기(225)가 결합되는 홈부(125)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22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22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상기 평탄면이 구비된 단턱부가 결합되는 안착부가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는 키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키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와 리클라이너 사이에는,
    평와셔 또는 스프링와셔가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조립체.
KR20130099092A 2013-08-21 2013-08-21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 KR20150021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092A KR20150021750A (ko) 2013-08-21 2013-08-21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092A KR20150021750A (ko) 2013-08-21 2013-08-21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750A true KR20150021750A (ko) 2015-03-03

Family

ID=5301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9092A KR20150021750A (ko) 2013-08-21 2013-08-21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17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032A (ko) * 2017-12-28 2019-07-08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마운팅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032A (ko) * 2017-12-28 2019-07-08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마운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1093A (en) Double-shell supporting device for a back rest of a seat-group structure
US20120161468A1 (en) Utility Vehicle
US7073861B2 (en) Hinge construction for seat back
US20180023608A1 (en) Fastener for fastening a resin component
JP2017165187A (ja) シートバックパネル
JP5109674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ーレバー配設構造
JP2019112008A (ja) 車体後部構造
KR20150021750A (ko)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조립체
US8960803B2 (en) Vehicle seat
US20180056817A1 (en) Vehicle seat
US11440452B2 (en) Composite seat back
JP5388271B2 (ja) 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シートフレーム構造および該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KR101957051B1 (ko) 철도차량용 객실 의자
US20230166640A1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2019085082A (ja) 乗物用シート
KR101659287B1 (ko) 의자
KR200460911Y1 (ko) 시트 본체에 일체화 및 조립,분해가 용이한 차량용시트의 팔걸이부와 그의 체결구조
KR101399127B1 (ko) 접이식 의자의 좌판 탈부착 구조
JP2596012Y2 (ja) 座席用クッション体
WO2011163248A1 (en) Mechanical locking foot for vehicle seating chassis
JP5958334B2 (ja) 車両用シート
JP7374749B2 (ja) 鉄道車両用座席
KR102332908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2075042B1 (ko)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및 시트 싱킹 시스템
JP5316939B2 (ja) 車両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シートフレーム構造および該構造を有する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