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067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067A
KR20160090067A KR1020150009912A KR20150009912A KR20160090067A KR 20160090067 A KR20160090067 A KR 20160090067A KR 1020150009912 A KR1020150009912 A KR 1020150009912A KR 20150009912 A KR20150009912 A KR 20150009912A KR 20160090067 A KR20160090067 A KR 2016009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d
chair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287B1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15000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2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부에 등받이 또는 좌석을 이루는 패드부가 안착되고, 패드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삽입하고, 고정돌기가 프레임부의 고정홈에 걸림고정되도록 하여 의자의 등받이 또는 좌석의 패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의자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패드부를 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 { A chair }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부에 등받이 또는 좌석을 이루는 패드부가 안착되고, 패드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삽입하고, 고정돌기가 프레임부의 고정홈에 걸림고정되도록 하여 의자의 등받이 또는 좌석의 패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의자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좌판, 등받이, 팔걸이 및 헤드 레스트 등의 신체 지지부를 들 수 있고 이러한 의자의 신체 지지부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결합한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의자의 신체 지지부 각각은 그 베이스의 앞면 내지 베이스 전체에 착석감의 향상과 미려한 외관의 제공을 위하여 천, 인조피혁 또는 천연 가죽 등의 가요성, 유연 재질의 시트커버가 덧씌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에 시트커버를 씌우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종래의 의자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상기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등으로 이루어진 속판 등과 결합한 후, 다시 고정편과 시트커버를 씌우고자 하는 베이스를 고정 볼트, 핀 등을 사용하여 상호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와 시트커버의 고정편을 일일이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자에 사용되는 이러한 시트커버는 사용 시 외부에 노출되고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관계로 오염과 훼손의 여지가 크므로, 주기적으로 세척하거나 교체하여 줄 필요가 있으나, 구조적으로 교체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420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62045호 등에 의자, 착탈식 커버를 가지는 의자 등이 게재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여전히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해야되므로 제작이 번거롭고, 견고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4204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0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부에 등받이 또는 좌석을 이루는 패드부가 안착되고, 패드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삽입하고, 고정돌기가 프레임부의 고정홈에 걸림고정되도록 하여 의자의 등받이 또는 좌석의 패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의자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부의 패드부재 후방에 보강부를 형성하여 패드부의 결합부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부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부의 패드부재 후방에 보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패드부의 결합부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부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를 분할 형성하여 고정부의 운반 및 보관과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패드부를 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는 내측 중심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는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패드부재의 테두리부에 돌출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재는 테두리부 하부까지 연장되어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재의 테두리에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폭 방향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고정부는 제3고정부와 제4고정부가 길이 방향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고정부는 제5고정부 내지 제8고정부가 폭 및 길이 방향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부에 등받이 또는 좌석을 이루는 패드부가 안착되고, 패드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삽입하고, 고정돌기가 프레임부에 걸림고정되도록 하여 의자의 등받이 또는 좌석의 패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의자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부의 패드부재 후방에 보강부를 형성하여 패드부의 결합부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부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부의 패드부재 후방에 보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패드부의 결합부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부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를 분할 형성하여 고정부의 운반 및 보관과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를 분리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패드부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를 분리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패드부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에 등받이 또는 좌석을 이루는 패드부가 안착되고, 패드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삽입하고, 고정돌기가 프레임부의 고정홈에 걸림고정되도록 하여 의자의 등받이 또는 좌석의 패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의자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5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의자의 프레임부(100), 패드부(200) 및 고정부(30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패드부(200) 및 고정부(300)가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 중심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고정부(200)가 안착되는 안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0)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부(300)의 고정돌기(310)가 결합 고정된다.
한편, 상기 패드부(200)는 프레임부(100)에 의해 지지되어 의자(50)의 등받이 또는 좌석을 이루는 것으로 쿠션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패드부재(210)와, 상기 패드부재(210)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드부(200)의 형상은 의자의 프레임부(1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좌석 또는 등받이 등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패드부재(210)와 커버부재(220)는 사출방식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부재(220)는 상기 패드부재(210)의 테두리부보다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결합부(22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2)에 후술할 고정부(300)가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22)에는 일정간격으로 통공(224)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부(300)의 고정돌기(310)가 관통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결합부(222)에 대응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3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310)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312)이 형성된 고정편(314)이 형성된다.
한편, 도 1에서는 프레임부(100), 패드부(200) 및 고정부(300)를 의자의 등받이로 사용한 상태만 도시하였지만 의자의 좌석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의자(5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부(100)의 안착부(110)에 패드부(200)의 결합부(222)가 위치되게 패드부(200)를 안치시킨다.
즉, 상기 안착부(110)의 고정홈(112)과 패드부(200)의 결합부(222)에 형성된 통공(224)이 일치되도록 패드부(200)를 안치시킨다.
다음, 상기 패드부(200)의 결합부(222)의 상부에 고정부(300)를 안치시키게 되는데, 상기 고정부(300)의 고정돌기(310)가 상기 패드부(200)의 통공(224)을 통과하여 프레임부(100)의 고정홈(112)에 걸림 결합되게 한다.
즉, 상기 고정홈(112)의 내측으로 고정돌기(310)의 고정편(314)이 가이드되어 고정돌기(310)가 삽입되면 고정돌기(310)에 형성된 단턱(312)이 고정홈(112)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게 되어 고정부(300)가 프레임부(100)에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부(300)에 의해 패드부(200)가 프레임부(100)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며, 고정부(300)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면 패드부(20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재(210)는 테두리부의 후방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하여 보강부(2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패드부재(210)의 후방 테두리부에 보강부(212)가 결합부(222)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함으로써, 패드부재(210)를 커버부재(220)로 커버하여 결합부(222)를 형성할 때 결합부(222)를 보강할 수 있게 되어 패드부(200) 및 고정부(300)가 보다 견고하게 프레임부(100)의 안착부(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보강부(212)는 결합부(222)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결합부(222)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부(222)의 통공(2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관통공(214)이 형성되어 고정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재(210)는 테두리부 후방에 별도의 보강부재(230)를 삽입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보강부재(230)는 패드부재(21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판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패드부재(210)의 테두리부 후방에 패드부재(210)의 내측으로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돌출되도록 인서트 사출 또는 접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며, 패드부재(210)를 커버부재(220)로 커버하여 결합부(222)를 형성할 때 결합부(222)를 보강할 수 있게 되어 패드부(200) 및 고정부(300)가 보다 견고하게 프레임부(100)의 안착부(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보강부재(230)는 결합부(222)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결합부(222)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부(222)의 통공(2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232)이 형성되어 고정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자(5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300)가 폭 방향으로 분리되어 제1고정부(320) 및 제2고정부(330)로 이루어지거나,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300)가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어 제3고정부(340) 및 제4고정부(350)로 이루어지거나,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300)가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5고정부 내지 제8고정부(360,370,380,390)로 이루어져 고정부(300)의 운반 및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의 (a) 내지 (c)에서는 고정부(300)를 두 개 또는 네 개로 분할형성하는 것만 도시하였지만, 두 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5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50)에 의하면, 프레임부(100)에 등받이 또는 좌석을 이루는 패드부(200)가 안착되고, 패드부(200)에 형성된 통공(224)을 통하여 고정부(300)의 고정돌기(310)를 삽입하고, 고정돌기(310)가 프레임부(100)의 고정홈(112)에 걸림고정되도록 하여 의자의 등받이 또는 좌석의 패드(2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의자 프레임(1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패드부(200)의 패드부재(210) 후방에 보강부(212)를 형성하여 패드부(200)의 결합부(222)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부(300)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패드부(200)의 패드부재(210) 후방에 보강부재(230)를 일체로 형성하여 패드부(200)의 결합부(222)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부(300)에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부(300)를 분할 형성하여 고정부(300)의 운반 및 보관과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부에 등받이 또는 좌석을 이루는 패드부가 안착되고, 패드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고정부의 고정돌기를 삽입하고, 고정돌기가 프레임부의 고정홈에 걸림고정되도록 하여 의자의 등받이 또는 좌석의 패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의자 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50: 의자 100: 프레임부
110: 안착부 112: 고정홈
200: 패드부 210: 패드부재
212: 보강부 220: 커버부재
222: 결합부 224: 통공
230: 보강부재 300: 고정부
310: 고정돌기 312: 단턱
314: 고정편

Claims (12)

  1.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패드부를 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내측 중심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패드부재와,
    상기 패드부재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패드부재의 테두리부에 돌출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는 테두리부 하부까지 연장되어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의 테두리에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폭 방향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3고정부와 제4고정부가 길이 방향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5고정부 내지 제8고정부가 폭 및 길이 방향으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한 쌍으로 형성되되,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50009912A 2015-01-21 2015-01-21 의자 KR10165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912A KR101659287B1 (ko) 2015-01-21 2015-01-21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912A KR101659287B1 (ko) 2015-01-21 2015-01-21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067A true KR20160090067A (ko) 2016-07-29
KR101659287B1 KR101659287B1 (ko) 2016-09-23

Family

ID=5661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912A KR101659287B1 (ko) 2015-01-21 2015-01-21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6373A (ja) * 2015-11-09 2017-05-25 株式会社イトーキ 椅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90Y1 (ko) * 2004-10-20 2005-03-11 김동진 의자용 신체 받침부재의 외피 고정구조
KR200403671Y1 (ko) * 2005-09-23 2005-12-13 대원강업주식회사 전동차에 설치되는 금속의자용 시트쿠션
KR100684204B1 (ko) 2006-04-20 2007-02-22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
KR200462045Y1 (ko) 2009-02-24 2012-08-23 주식회사 비앤아이 착탈식 커버를 가지는 의자
JP2013094288A (ja) * 2011-10-28 2013-05-20 Okamura Corp 椅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90Y1 (ko) * 2004-10-20 2005-03-11 김동진 의자용 신체 받침부재의 외피 고정구조
KR200403671Y1 (ko) * 2005-09-23 2005-12-13 대원강업주식회사 전동차에 설치되는 금속의자용 시트쿠션
KR100684204B1 (ko) 2006-04-20 2007-02-22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
KR200462045Y1 (ko) 2009-02-24 2012-08-23 주식회사 비앤아이 착탈식 커버를 가지는 의자
JP2013094288A (ja) * 2011-10-28 2013-05-20 Okamura Corp 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6373A (ja) * 2015-11-09 2017-05-25 株式会社イトーキ 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287B1 (ko)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457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659287B1 (ko) 의자
JP4722618B2 (ja) ソファ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009700A1 (en) Vehicle seat
KR101019015B1 (ko) 시트커버 고정브라켓
KR102172990B1 (ko) 좌판과 등받이 구조를 개선한 의자
JP2021079248A (ja) 椅子
KR200451646Y1 (ko) 듀얼백 등받이를 갖는 좌식의자
JP5767010B2 (ja) 椅子
KR101653522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벤치
JP6767228B2 (ja) 椅子
KR200243690Y1 (ko) 의자용 좌판의 심체 구조
JP5921278B2 (ja) 背フレームカバー及び背もたれの取付構造並びに椅子
WO2016063826A1 (ja) 椅子
JP6812200B2 (ja) 椅子
JP7339122B2 (ja) 椅子
JP6852872B2 (ja) 椅子
JP5479856B2 (ja) 椅子の背板へのクッション体の取付構造
JP2009148406A (ja) 椅子
KR200295402Y1 (ko) 의자 등받이의 조립 구조
JP6300403B2 (ja) 椅子用荷重支持体のクッション材、及び、椅子用荷重支持体
JP2022055659A (ja) 椅子
JP2023106866A (ja) 背凭れおよび椅子
KR200428390Y1 (ko) 의자좌석
JP6198319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