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204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204B1
KR100684204B1 KR1020060035755A KR20060035755A KR100684204B1 KR 100684204 B1 KR100684204 B1 KR 100684204B1 KR 1020060035755 A KR1020060035755 A KR 1020060035755A KR 20060035755 A KR20060035755 A KR 20060035755A KR 100684204 B1 KR100684204 B1 KR 100684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ckrest
frame
sea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1020060035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받이와, 상기 좌석받이에 앉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바닥에 착지되어 상기 좌석받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좌석받이에 연결된 등받이프레임;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는 등받이본체; 및 상기 등받이본체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본체는,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며 망사구조로 된 시트; 및 상기 시트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요추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추지지부는,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장공과,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제1톱니부를 가지는 지지결합판;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지결합판과 상기 시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장공에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출부와, 상기 지지결합판의 제1톱니부에 맞물리는 제2톱니부를 가지는 요추받이; 상기 지지결합판의 뒷면에 접촉하며, 상기 요추받이를 상기 지지결합판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결합판의 뒷면에 접촉하며, 상기 요추받이를 상기 지지결합판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지탱하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캡; 및 상기 캡과 상기 요추받이를 결합하는 나사부재;를 구비하며, 망사구조로 된 시트가 포함된 등받이본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진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Chai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자에서의 Ⅲ-Ⅲ 선 단면도로서, 결합수단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요추지지부의 후방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요추지지부의 전방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의자에서의 Ⅵ-Ⅵ 선 단면도로서, 요추지지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죄석받이 200 : 다리
300 : 등받이 310 : 등받이프레임
320, 330 : 등받이본체 340 : 결합수단
341 : 탄성후크 346 : 걸림턱
400 : 요추지지부 410 : 지지결합판
420 : 요추받이 430 : 스프링
440 : 캡 450 : 나사부재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망사구조로 된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본체 또는 스펀지패드가 장착된 등받이본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등받이본체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등받이본체의 교환을 위하여 등받이본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진 의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받이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좌석받이를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지는데, 등받이에는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펀지패드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근래에는 사용자의 등에 땀이 배지 않도록 바람이 잘 통하는 망사구조로 된 시트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등받이의 재질이 어느 하나로 고정된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취향이나 계절의 변화에 대응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즉, 사용자가 착석 시 안락감을 느끼기 위하여 스펀지패드가 장착된 등받이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도 있고, 땀이 많이 나는 체질이거나 여름처럼 등에 땀이 많이 배이게 되는 계절에는 바람이 잘 통하는 망사구조로 된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재질의 등받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의자 구조에 따르면, 등받이의 재질이 각기 다른 의자를 따로 구매할 수밖에 없다.
여러 개의 의자를 구매한다는 것은 비용적인 면에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 의자의 유지, 관리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 또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등받이본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의자에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의자에 등받이본체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끔, 등받이본체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받이와, 상기 좌석받이에 앉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바닥에 착지되어 상기 좌석받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좌석받이에 연결된 등받이프레임;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는 등받이본체; 및 상기 등받이본체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본체는,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며 망사구조로 된 시트; 및 상기 시트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요추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추지지부는,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장공과,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제1톱니부를 가지는 지지결합판;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지결합판과 상기 시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장공에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출부와, 상기 지지결합판의 제1톱니부에 맞물리는 제2톱니부를 가지는 요추받이; 상기 지지결합판의 뒷면에 접촉하며, 상기 요추받이를 상기 지지결합판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결합판의 뒷면에 접촉하며, 상기 요추받이를 상기 지지결합판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지탱하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캡; 및 상기 캡과 상기 요추받이를 결합하는 나사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등받이프레임과 등받이본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등받이프레임과 등받이본체 중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려 맞추어지거나 분리 가능한 탄성후크;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본체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스펀지패드; 및 상기 스펀지패드의 뒷면에 부착되어 그 스펀지패드를 지지하는 패드프레임;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 된 의자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자에서의 Ⅲ-Ⅲ 선 단면도로서, 결합수단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의자는, 좌석받이(100)와, 다리(200), 등받이프레임(310), 등받이본체(320), 결합수단(340) 및 요추지지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좌석받이(100)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착석시 안락감을 주기 위하여 스펀지패드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다리(200)는, 바닥에 착지되어 좌석받이(1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어 착석시 안정감을 주며,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어도 사용자의 등에 무리가 없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프레임(310)은,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으며, 좌석받이(100)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등받이본체(320)와 함께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등받이프레임(310)은 테두리부를 제외한 부분 즉, 중앙 부분이 뚫려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후술할 망사구조로 된 시트(322)가 장착된 등받이본체(320)와 결합되더라도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바람이 잘 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등받이본체(320)는, 망사구조로 된 시트(322)와, 시트프레임(32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시트(322)는 원사를 가로와 세로 격자로 짠 망사구조로 되어 있어서, 원사 사이사이로 바람이 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착석시 사용자의 안락감을 위하여 사용자의 등의 형상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시트프레임(321)은 테두리부에서 상기 시트(322)와 결 합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310)과 마찬가지로, 시트프레임(321)은 테두리부를 제외한 부분 즉, 중앙 부분이 뚫려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바람이 잘 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340)은, 걸림턱(346)과 탄성후크(341)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턱(346)은 시트프레임(321)의 테두리부를 둘러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명 카운터보링(counterboring) 작업에 의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하나의 관통공(347)을 가공하고, 상기의 관통공(347)보다 큰 직경을 가진 구멍을 시트프레임(321)을 관통하지 않게 중간 정도의 깊이까지 가공하여 직경이 다른 2개의 구멍을 단차가 생기도록 만든 구조이다.
상기 탄성후크(341)는 등받이프레임(310)의 테두리부를 둘러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등받이본체(320)를 등받이프레임(310)에 결합할 때는 탄성변형에 의해 걸림턱(346)에 걸려 맞추어지고, 등받이본체(320)를 등받이프레임(310)으로부터 분리할 때도 탄성변형에 의해 걸림턱(346)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탄성후크(341)의 일단부에는 타단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 돌기부(3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프레임(321)의 테두리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346)에 등받이프레임(310)에 설치된 탄성후크의 돌기부(342)가 걸려 맞추어지게 되면서, 등받이프레임(310)과 등받이본체(32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요추지지부(400)는, 등받이프레임(31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요추지지부(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6을 참조 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요추지지부의 후방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요추지지부의 전방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의자에서의 Ⅵ-Ⅵ 선 단면도로서, 요추지지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요추지지부(400)는, 지지결합판(410), 요추받이(420), 스프링(430), 캡(440) 및 나사부재(4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결합판(410)은, 그 양단부가 등받이프레임(310)에 결합되며, 상기 요추받이(420)와 연결되어 요추받이(420)가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결합판(41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장공(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요추받이(420)와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장공(411)의 양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제1톱니부(412)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요추받이(420)는, 지지결합판(410)과 시트(322)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결합판(410)과 마주보는 면에는 돌출부(4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421)는 요추받이(420)가 지지결합판(4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결합판(410)에 형성된 가이드장공(411)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그 돌출부(421)에는 후술할 나사부재(450)와의 결합을 위하여 중앙 부위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21)와 요추받이(420)의 저면이 연결되는 곳에는 돌출부(421)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제2톱니부(422)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결합판(410)과 결합 시 상기의 제1톱니부(412)와 맞 물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면은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펀지패드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스프링(430), 캡(440) 및 나사부재(450)은, 지지결합판(410)의 뒷면에 접촉하며, 요추받이(420)를 지지결합판(410)과 연결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요추받이의 돌출부(421)가 지지결합판의 가이드장공(411)을 관통하여 지지결합판(410)의 뒷면으로 노출되고, 스프링(430)은 지지결합판(410)의 뒷면에 접촉하면서 돌출부(421)에 끼워지도록 조립된다. 또한, 스프링(430) 후방으로 캡(440)이 배치되며, 캡(440)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나사부재(450)와 요추받이의 돌출부(421)의 암나사부가 결합된다.
나사부재(450)를 조임에 따라 지지결합판(410)과 캡(44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430)은 압축되고, 상기 스프링(4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요추받이(420)는 지지결합판(410)측으로 탄성 가압력을 받게 된다. 스프링(430)의 후방에 연결된 캡(440)은 나사부재(450)에 의해 지지결합판(410)과 접촉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탄성 가압력이 작용될 때, 그 힘을 지탱하는 지지력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의자를 사용하게 되면, 시트(322)가 손상되어 의자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라도, 의자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즉, 시트(322)가 장착된 등받이본체(320)를 등받이프레임(3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등받이본체만을 구입하여 손상된 등받이본체와 교환하게 되면 시트가 손상되지 않은 새 의자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또한,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등받이본체(320)를 교환하기 위하여, 등받이본체(320)를 등받이프레임(310)으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등받이본체(320)를 잡고, 등받이프레임(310)의 전면(前面)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탄성후크의 돌기부(342)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탄성변형을 하게 되고, 이러한 탄성변형을 통하여 걸림턱(346)에 걸려 맞추어져 있던 탄성후크(341)의 걸어맞춤상태는 해제되게 된다. 변형된 탄성후크(341)가 걸림턱(346)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347)을 빠져나가면서, 등받이본체(320)가 등받이프레임(310)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등받이본체를 등받이프레임(310)에 결합하는 과정도 분리하는 과정과 동일한 원리에 의해 가능해진다. 등받이본체(320)를 등받이프레임(310)측으로 힘을 가하면, 탄성후크의 돌기부(342)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탄성변형을 하게 되고, 탄성후크(341)는 걸림턱(346)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347) 사이로 인입되게 된다. 탄성후크(341)가 관통공(347)을 뚫고 나오게 되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탄성후크의 돌기부(342)가 걸림턱(346)에 걸려 맞추어지게 되고, 등받이본체(320)는 등받이프레임(310)과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허리에 맞춰 요추받이(4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데, 그 조정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소정의 높이에서 캡(440)과 요추받이(420)를 결합하는 나사부재(450)를 단단히 조이게 되면, 지지결합판(410)에 형성된 제1톱니부(412)와 요추받이(420)에 형성된 제2톱니부(422)가 맞물리면서 요추받이(420)는 지지결합판(410)과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지지결합판(410)과 캡(44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43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톱니부(412)와 제2톱니부(422)가 단단히 맞물리게 되어 요추받이(420)는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며, 지지결합판(410)에 고정되게 된다. 나사부재(450)를 풀게 되면, 상기 제1톱니부(412)와 제2톱니부(422)의 맞물림상태가 느슨하게 되고, 요추받이(420)에 형성된 돌출부(421)가 지지결합판의 가이드장공(4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형과 편의에 따라 가이드장공(411)의 상하 한계범위 내에서 요추받이(420)의 높이를 조정한 후, 다시 나사부재(450)를 조이게 되면, 조정된 높이에서 지지결합판의 제1톱니부(412)와 요추받이의 제2톱니부(422)가 단단히 맞물리게 되어, 요추받이(420)는 조정된 높이를 유지하면서 지지결합판(410)에 고정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본체(330)는, 스펀지패드(332)와 패드프레임(331)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펀지패드(332)는 스펀지로 이루어져 있어서, 착석시 사용자의 등의 형상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변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패드프레임(331)은 스펀지패드(332)의 뒷면에 부착되어 그 스펀지패 드(3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드프레임(331)의 전면(前面)에 부착되어 있는 스펀지패드(332)를 지지하기 위하여, 시트프레임(321)과는 달리, 패드프레임(331)은 전면(全面)이 막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프레임(310)과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342)이 패드프레임(331)의 테두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테두리부를 둘러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의자를 사용하게 되면,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본체를 구비한 의자와 마찬가지로, 스펀지패드(332)가 손상되어 의자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라도, 의자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손상되지 않은 스펀지패드가 장착된 등받이본체만을 구입하여 교환할 수 있다. 손상된 스펀지패드가 장착된 등받이본체를 분리하는 과정은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본체를 분리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펀지패드가 장착된 등받이본체를 상호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스펀지패드가 장착된 등받이본체와 시트가 장착된 등받이본체 상호간의 교환도 가능하다. 등받이본체를 등받이프레임(3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 스펀지패드(332)가 장착된 등받이본체(330)를 사용하다가도 여름처럼 등에 땀이 많이 배는 계절에는 바람이 잘 통하는 망사구조로 된 시트(322)가 장착된 등받이본체(320)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등받이본체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 또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펀지패드(332)가 장착된 등받이본체(330)를 분리하는 동작이나, 망사구조 로 된 시트(322)가 장착된 등받이본체(320)를 결합하는 동작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의자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된 등받이본체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를 생산하는 업체에 있어서도, 망사구조로 된 시트가 장착된 의자와 스펀지패드가 장착된 의자를 각각 다른 금형으로 제작, 생산할 필요가 없고, 등받이본체에 해당하는 금형만 다르게 제작하고, 공통의 금형을 최대한 공유하면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생산 공정 및 부품 관리에 드는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스펀지패드 속에 곰팡이가 번식하게 되는데, 세척시에 의자 전체를 세척할 필요가 없고, 스펀지패드가 장착된 등받이본체를 따로 분리하여 세척함으로써, 세척함에 있어서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생에도 도움을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에 있어서, 걸림턱(342)은 반드시 등받이본체(320)(330)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등받이프레임(310)과 등받이본체(320)(330)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후크(341) 역시 반드시 등받이프레임(310)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등받이프레임(310)과 등받이본체(320)(330) 중 상기 걸림턱(34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본체에 있어서, 시트프레임이나 패드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의 재질은 망사구조로 된 시트나 스펀지패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의 안락감을 위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례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예들의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의자가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자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등받이본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의자에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 또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여러 개의 의자를 따로 구매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받이와, 상기 좌석받이에 앉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바닥에 착지되어 상기 좌석받이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좌석받이에 연결된 등받이프레임;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는 등받이본체; 및 상기 등받이본체를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본체는,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며 망사구조로 된 시트; 및 상기 시트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요추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추지지부는,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장공과,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제1톱니부를 가지는 지지결합판;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상기 지지결합판과 상기 시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장공에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돌출부와, 상기 지지결합판의 제1톱니부에 맞물리는 제2톱니부를 가지는 요추받이;
    상기 지지결합판의 뒷면에 접촉하며, 상기 요추받이를 상기 지지결합판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결합판의 뒷면에 접촉하며, 상기 요추받이를 상기 지지결합판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지탱하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캡; 및
    상기 캡과 상기 요추받이를 결합하는 나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등받이프레임과 등받이본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등받이프레임과 등받이본체 중 다른 일측에 마련되며,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걸림턱에 걸려 맞추어지거나 분리 가능한 탄성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035755A 2006-04-20 2006-04-20 의자 KR100684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55A KR100684204B1 (ko) 2006-04-20 2006-04-20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755A KR100684204B1 (ko) 2006-04-20 2006-04-20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204B1 true KR100684204B1 (ko) 2007-02-22

Family

ID=3810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755A KR100684204B1 (ko) 2006-04-20 2006-04-20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20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918B1 (ko) * 2009-05-19 2009-12-28 주식회사 코아스웰 의자
WO2011037430A2 (ko) * 2009-09-25 2011-03-3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1052551B1 (ko) 2009-03-25 2011-07-29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
KR101174458B1 (ko) 2012-03-05 2012-08-2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KR101265898B1 (ko) 2012-12-10 2013-05-20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변식 요추받침 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
WO2013089308A1 (ko) * 2011-12-15 2013-06-20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 지지장치
KR101504525B1 (ko) 2014-06-02 2015-03-24 (주)퍼스트삼융 사무용 회전의자
KR20160090067A (ko) 2015-01-21 2016-07-29 김동진 의자
KR20190115247A (ko) 2018-04-02 2019-10-11 (주)디에스피 의자 등받이 결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32B1 (ko) * 2004-09-15 2005-08-18 박종근 의자 등받이
KR200403671Y1 (ko) * 2005-09-23 2005-12-13 대원강업주식회사 전동차에 설치되는 금속의자용 시트쿠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32B1 (ko) * 2004-09-15 2005-08-18 박종근 의자 등받이
KR200403671Y1 (ko) * 2005-09-23 2005-12-13 대원강업주식회사 전동차에 설치되는 금속의자용 시트쿠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551B1 (ko) 2009-03-25 2011-07-29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
KR100933918B1 (ko) * 2009-05-19 2009-12-28 주식회사 코아스웰 의자
WO2011037430A2 (ko) * 2009-09-25 2011-03-3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1044429B1 (ko) 2009-09-25 2011-06-29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의 등 지지 장치
WO2011037430A3 (ko) * 2009-09-25 2011-08-18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의 등 지지 장치
GB2487502A (en) * 2009-09-25 2012-07-25 Duoback Korea Co Ltd Back support device for a chair
GB2487502B (en) * 2009-09-25 2016-03-02 Duoback Korea Co Ltd Back support device for a chair
WO2013089308A1 (ko) * 2011-12-15 2013-06-20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 지지장치
KR101174458B1 (ko) 2012-03-05 2012-08-2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KR101265898B1 (ko) 2012-12-10 2013-05-20 주식회사 네오퍼스 가변식 요추받침 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
KR101504525B1 (ko) 2014-06-02 2015-03-24 (주)퍼스트삼융 사무용 회전의자
KR20160090067A (ko) 2015-01-21 2016-07-29 김동진 의자
KR20190115247A (ko) 2018-04-02 2019-10-11 (주)디에스피 의자 등받이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204B1 (ko) 의자
CA2629774C (en) Base plate for a chair
KR10197634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JP2009112360A (ja) 椅子の背凭れ
KR20180116730A (ko) 다용도 구조 변경이 가능한 의자
CN202445565U (zh) 鱼骨弓型的椅背结构
CN212213172U (zh) 椅背组件和办公椅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2383272B1 (ko) 부분 교체 가능한 복합 의자
CA3012347A1 (en) Auxiliary backrest for a chair
KR200436742Y1 (ko) 의자
KR20090052537A (ko) 코받침 없는 안경의 지지구조
JP3198118U (ja) 椅子
KR200340131Y1 (ko) 목 받침대를 구비한 소파
CN217771846U (zh) 一种方便更换滑轮的办公椅
JP3198381U (ja) 椅子の座席部取り付け構造
KR200206422Y1 (ko) 물 소파
CN211269534U (zh) 一种靠背可调节的椅子
CN210581823U (zh) 一种可调腰靠
JP4206924B2 (ja) 背もたれ用部材
CN219982505U (zh) 气囊椅垫式办公椅
CN218127668U (zh) 一种竹木休闲家具
CN211092850U (zh) 一种坐具
KR200401269Y1 (ko) 의자 등받이
JP2011045575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