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471A - 선박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471A
KR20150020471A KR20130097141A KR20130097141A KR20150020471A KR 20150020471 A KR20150020471 A KR 20150020471A KR 20130097141 A KR20130097141 A KR 20130097141A KR 20130097141 A KR20130097141 A KR 20130097141A KR 20150020471 A KR20150020471 A KR 20150020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dock
vessel
seawater
stru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국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7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0471A/ko
Publication of KR20150020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63B2003/085Multiple hull vessels, e.g. catamarans, assembled from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도크에서 건조되는 두 개 이상의 선박들 중 어느 하나의 선박이 우선적으로 건조되어 되어 진수되는 경우, 아직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선박의 노출부에 장착되어 있는 덕트들을 침적부위용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하는, 선박 건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은, 제1선박과 제2선박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1선박의 건조가 완료되어 진수되기 전에, 상기 제2선박의 노출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물들을 내수성을 가진 도료로 도장하는 단계;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이 배치되어 있는 도크에 해수를 유입시켜, 상기 제1선박을 진수시키는 단계; 상기 도크를 폐쇄시키고, 상기 해수를 상기 도크에서 배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선박의 상기 구조물들을 세정수로 세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선박의 건조를 완료한 후, 상기 제1선박을 진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건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SHIP}
본 발명은 선박을 건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도크에서 두 개 이상의 선박을 동시에 건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조선소는 경사진 땅 위에 레일을 설치하고, 그 위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에, 건조가 완료되면 레일로 선박을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진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을 경사선대 방식이라고 하는데, 중소 조선소나 일부 대형 조선소에서는 경사선대 방식을 이용하여 선박을 건조 및 진수하고 있다.
최근에는, 경사선대 방식에 비해 더 안전하면서도 더 큰 대형 선박을 건조 및 진수하기 위해 도크(Dock)에서 선박을 건조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도크 방식은, 도크게이트로 도크를 폐쇄한 상태에서 선박을 건조하고, 선박 건조가 완료되면 도크 내부에 해수를 채운 후에 도크게이트를 이동시켜 도크를 개방함으로써 건조된 선박을 도크 밖으로 진수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에 선박 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크(10)는, 도크를 감싸고 있는 제1외벽(11), 제2외벽(12), 제3외벽(13) 및 상기 제2외벽(12)과 상기 제3외벽(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도크게이트(14)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도크(10)에서는 하나의 선박이 건조된다.
상기 도크(10)에서의 상기 선박의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도크게이트(14)가 개방된다. 상기 도크게이트(14)가 개방되면, 해수가 상기 도크(10) 내부로 유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선박이 해수면에 뜨게 된다.
상기 선박이 해수면에 뜨면, 상기 선박은 상기 도크(10)의 외부로 진수된다.
선박의 크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상기 도크(10)의 크기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선박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대형화된 하나의 도크(10) 내부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선박이 동시에 건조될 수도 있다. 상기 두 개의 선박의 크기 및 종류는 동일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두 개의 선박에 대한 건조가 동시에 시작되었다면,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의 선박이 우선적으로 건조된다.
건조가 완료된 선박(이하, 간단히 '제1선박'이라 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도크게이트(14)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크(10) 외부로 진수된다.
따라서, 건조가 완료된 상기 제1선박(30)을 진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도크게이트(14)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크(10)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선박 중 아직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선박(이하, 간단히 '제2선박'이라 함)에서는, 해수에 노출되어서는 안되는 부분이 해수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선박(40)은 아직 건조 중에 있기 때문에, 건조 중에 있는 단면(이하, 간단히 '노출부)'라 함)이 해수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41)에 노출되어 있는 구조물들이 해수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또는 해수에 영향을 받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노출부(41)가 노출되어도 상관이 없다.
그러나, 냉동 컨테이선(CNTR)과 같이 복수의 팬 덕트(FAN DUCT)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2선박(40)의 경우, 상기 노출부(41)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팬 덕트가 해수에 노출되면, 상기 팬 덕트의 도막의 건전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또 따른 예로서, 스테인레스(SUS) 재질의 스퍼럴 덕트(SPIRL DUCT)가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2선박(40)이, 상기 제1선박(30)의 진수로 인해 약 3일간 해수에 침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퍼럴 덕트(spiral duct)에는 비침적부위 비철금속용 도료인 EP1760 등이 도장되어 있기 때문에, 해수에 침적되었던 상기 스퍼럴 덕트의 도막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선박 건조 방법에서는, 두 개의 선박이 하나의 도크(10)에서 건조되고, 어느 하나의 선박(제1선박)이 우선적으로 건조되어, 상기 제1선박(30)이 진수되는 경우, 아직 건조가 완성되지 않은 상기 제2선박(40)의 노출부(41)에 노출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덕트에 대한 해체 공정이 요구되고 있다.
즉, 상기 제1선박(30)의 진수를 위해, 상기 제2선박(40)의 상기 노출부(41)에 노출되어 있는 덕트들에 대한 해체 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선박(40)으로부터 상기 덕트들을 해체시키기 위해서는, 선박의 제조비용이 증가되어야 하며, 건조 기간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
즉, 상기 덕트의 숫자는 상기 제2선박(30)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수십 개 내지 수백 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덕트들을 해체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며, 건조 기간이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도크에서 건조되는 두 개 이상의 선박들 중 어느 하나의 선박이 우선적으로 건조되어 되어 진수되는 경우, 아직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선박의 노출부에 장착되어 있는 덕트들을 침적부위용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하는, 선박 건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은, 제1선박과 제2선박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1선박의 건조가 완료되어 진수되기 전에, 상기 제2선박의 노출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물들을 내수성을 가진 도료로 도장하는 단계;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이 배치되어 있는 도크에 해수를 유입시켜, 상기 제1선박을 진수시키는 단계; 상기 도크를 폐쇄시키고, 상기 해수를 상기 도크에서 배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선박의 상기 구조물들을 세정수로 세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선박의 건조를 완료한 후, 상기 제1선박을 진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들은, 상기 노출부에 배치되어 있는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물들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도 상기 도료가 도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선박의 상기 구조물들을 세정수로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물들의 외부면 및 내부면을 상기 세정수로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에 노출되었던 구조물들의 표면 및 내부면에 내수성을 가진 도료가 도장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물이 장착되어 있는 선박의 노출부가 도크 내에서 해수에 노출된 이후에도, 상기 구조물의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선박 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되는 선박의 노출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들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되는 선박의 노출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선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경사진 땅 위에 레일을 설치하고, 그 위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에, 건조가 완료되면 레일로 선박을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진수하는 경사선대 방식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상기 경사선대 방식에 비해 더 안전하면서도 더 큰 대형 선박을 건조 및 진수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벽(미도시), 제2외벽(12), 제3외벽(13) 및 도크게이트(14) 등에 의해 둘러쌓인 도크(Dock)(10)에서 선박을 건조하는 도크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도크 방식은, 상기 도크게이트(14)로 도크(10)를 폐쇄한 상태에서 선박을 건조하고, 선박 건조가 완료되면 도크(10) 내부에 해수를 채운 후에 상기 도크게이트(14)를 이동시켜 상기 도크게이트(14)를 개방함으로써 건조된 선박을 상기 도크(10) 밖으로 진수하는 방식이다.
건조되는 선박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상기 도크의 크기도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항상 크기가 큰 선박만이 건조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대형 선박의 건조를 위해 건설된 도크(10) 내부에서, 크기가 작은 두 개의 선박이 동시에 건조될 수도 있으며, 매우 작은 크기의 선박의 경박들인 경우에는, 세 개 이상의 선박이 동시에 건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도크(10)에서, 두 개 이상의 선박들을 건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도크에서 두 개의 선박들이 건조되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우선, 제1선박(30)과 제2선박(40)이 개별적으로 건조된다(S402).
이 경우, 상기 제1선박(30)과 상기 제2선박(40)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으며,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제1선박(30)과 상기 제2선박(40)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2선박(40)의 공정이 상기 제1선박(30)의 공정보다 늦은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상기 제1선박(30)과 상기 제2선박(40)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2선박(40)의 크기가 더 큰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선박(30)의 건조가 먼저 완료되어, 상기 제1선박(30)이 우선적으로 진수되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다음, 상기 제1선박(30)의 건조가 완료되어(S404) 진수되기 전에, 상기 제2선박(40)의 노출부(41)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물(42)들의 표면은 내수성을 가진 도료에 의해 도장된다(S406).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선박(30)이 상기 제2선박(40)보다 건조 과정이 먼저 완료되어, 진수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진수 과정 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선박(40)의 상기 노출부(41)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물(42)들은 내수성을 가진 도료에 의해 도장된다.
여기서, 진수 과정이란, 상기 제1선박(30)의 건조가 완료된 후, 상기 제1선박(30)을 상기 도크(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도크게이트(14)를 개방하여, 해수가 상기 도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해수가 상기 도크(10)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제1선박(30)이 해수면에 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선박은 상기 도크(10)의 외부로 진수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선박(40)의 상기 노출부(41)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구조물(42)은, 상기 노출부(41)에 배치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덕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선박(40)이 냉동 컨테이선(CNTR)인 경우, 상기 구조물(42)은, 복수의 팬 덕트(FAN DUCT)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42)은 스퍼럴 덕트(SPIRAL DUCT)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구조물(4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덕트들 이외에도, 선박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덕트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덕트(42)들은, 해수와 접촉된 경우에, 부식이 발생되거나, 도막에 박리가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력이 떨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덕트(42)에는, 상기 제2선박(41)에 장착될 수 있는 덕트들 중에서,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품질이 떨어지는 모든 덕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42)에는 상기 덕트들 이외에도, 상기 선박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품질이 떨어지는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물(42)에는, 상기 노출부(41)에 노출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덕트 및 장치들 중,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품질이 떨어지는 모든 종류의 덕트 및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42)이 해수와 접촉된 이후에도, 상기 구조물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내수성 도료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에는, 상기 구조물(42)이 해수와 접촉된 이후에도, 또 다른 도료와의 부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도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에는, 상기 구조물(42)이 해수와 접촉된 이후에도, 상기 구조물(42)에 박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도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료들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도료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도료는, 상기 구조물(42)의 외부면에 기본적으로 도장되나, 상기 구조물(42)의 내부면에도 도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선박(40)이 해수에 노출된 경우, 상기 구조물(42)의 내부로도 상기 해수가 침투될 수 있는 경우, 상기 구조물(42)의 내부면에도 상기 도료가 도장될 수 있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도장 공정(S406)이 종료되면, 상기 도크게이트(10)를 개방시켜, 상기 제1선박(30)과 상기 제2선박(40)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 도크(10)에 해수를 유입시킨 후, 상기 제1선박(30)을 상기 도크(10) 외부로 진수시킨다(S408).
이 경우, 상기 제2선박(40)의 상기 노출부(41)에도 상기 해수가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노출부(41)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구조물(42)들의 외부 및 내부에도 상기 해수가 접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42)들이 내수성 도료에 의해 도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조물(42)의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선박(30)이 안전하게 진수되면, 상기 도크게이트(14)가 다시 폐쇄되어, 상기 도크(10)가 폐쇄되며, 상기 도크 내부의 해수들을 외부로 배출시킨다(S410).
상기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제2선박(40)은 해수와 접촉되지 않는다.
다음, 상기 도크(10)로부터 해수가 배출되어, 상기 제2선박(40)의 상기 노출부(41)가 더 이상 해수와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제1선박의 상기 구조물(42)을 세정수로 세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412).
상기 세정수는, 해수가 아닌 담수가 될 수 있으며, 특별한 세정액이 첨부된 담수가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세정수에는, 보다 완벽한 세정을 위해 다양한 세정액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선박의 상기 구조물(42)들을 세정수로 세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구조물(42)들의 외부면 및 내부면이 상기 세정수에 의해 세정된다.
즉, 상기 구조물(42)들 중, 내부에도 해수가 유입된 경우에는, 상기 구조물(42)의 외부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물(42)의 내부도 상기 세정수에 의해 세정될 수 있다.
다음, 세정수에 의해 세정과정이 수행된 이후, 상기 제2선박에 대한 건조 과정이 지속되어 상기 제2선박의 건조가 완료된다(S414).
마지막으로, 상기 제1선박(30)을 진수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2선박에 대한 진수 과정이 수행된다(S41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도크 11, 12, 13 : 외벽
14 : 도크게이트 30 : 제1선박
40 : 제2선박

Claims (4)

  1. 제1선박과 제2선박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제1선박의 건조가 완료되어 진수되기 전에, 상기 제2선박의 노출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물들을 내수성을 가진 도료로 도장하는 단계;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이 배치되어 있는 도크에 해수를 유입시켜, 상기 제1선박을 진수시키는 단계;
    상기 도크를 폐쇄시키고, 상기 해수를 상기 도크에서 배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1선박의 상기 구조물들을 세정수로 세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선박의 건조를 완료한 후, 상기 제1선박을 진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들은,
    상기 노출부에 배치되어 있는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들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도 상기 도료가 도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박의 상기 구조물들을 세정수로 세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조물들의 외부면 및 내부면을 상기 세정수로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 방법.
KR20130097141A 2013-08-16 2013-08-16 선박 건조 방법 KR20150020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141A KR20150020471A (ko) 2013-08-16 2013-08-16 선박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141A KR20150020471A (ko) 2013-08-16 2013-08-16 선박 건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471A true KR20150020471A (ko) 2015-02-26

Family

ID=5257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7141A KR20150020471A (ko) 2013-08-16 2013-08-16 선박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047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7144A (zh) * 2016-04-27 2016-09-2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坞内实施钻井平台与多型船舶同时建造的方法
WO2017209384A1 (ko) 2016-06-03 2017-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전자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859481A (zh) * 2021-10-19 2021-12-31 檀增志 一种灵活适应船型的清理船坞
CN114954842A (zh) * 2022-06-24 2022-08-3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坞
CN114954842B (zh) * 2022-06-24 2024-06-04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坞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7144A (zh) * 2016-04-27 2016-09-2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坞内实施钻井平台与多型船舶同时建造的方法
WO2017209384A1 (ko) 2016-06-03 2017-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전자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859481A (zh) * 2021-10-19 2021-12-31 檀增志 一种灵活适应船型的清理船坞
CN113859481B (zh) * 2021-10-19 2024-04-02 南京聚盛堂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灵活适应船型的清理船坞
CN114954842A (zh) * 2022-06-24 2022-08-3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坞
CN114954842B (zh) * 2022-06-24 2024-06-04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0471A (ko) 선박 건조 방법
KR20070050548A (ko)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CN104148261A (zh) 一种油漆涂装工艺
JP2023504152A (ja) ドライドック未浮揚タンデム工法を適用した船舶建造工法
KR20150001945U (ko)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KR100796066B1 (ko) 카고홀드블록부 선행화를 통한 선박 건조공법
CN108816704A (zh) 一种lng船用螺旋桨不沾污防污漆的施工方法
JP2007510588A (ja) 船殻などの水面下面体の清掃装置
US3639135A (en) Method of adherently bonding neoprene to metal
CN107552363A (zh) 一种油漆涂装工艺
KR20110106001A (ko) 방오코팅지를 이용한 선박도장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선박
CN110935576A (zh) 一种液体快速换料系统
Kibler et al. Analysis of coating blister failures and associated coating and substrate risks
KR20100051955A (ko) 신조 선박의 인도 전 재입거 방지를 위한 도장방법
KR101024553B1 (ko) 선박 건조 방법
CN211563402U (zh) 一种液体快速换料系统
KR100840047B1 (ko) 신조 선박의 재입거 대체방법
CN110694829B (zh) 一种修补船舶表面局部漆面破损的方法
KR102605393B1 (ko) 선박용 청수탱크 도장 방법
KR102605387B1 (ko) 선박용 청수탱크 도장 방법
Roberts Delamination of Coating from a Ship's Hull
US5997951A (en) Method of treating fiberglass boat hulls to repair, prevent and retard blisters
JP6851052B1 (ja) ライニング工法
KR20100069273A (ko) 부상식 도크 게이트
JPS6285790A (ja) 石油精製品等の運搬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