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945U -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 Google Patents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945U
KR20150001945U KR2020130009357U KR20130009357U KR20150001945U KR 20150001945 U KR20150001945 U KR 20150001945U KR 2020130009357 U KR2020130009357 U KR 2020130009357U KR 20130009357 U KR20130009357 U KR 20130009357U KR 20150001945 U KR20150001945 U KR 201500019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int
spray
solvent
cur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945U/ko
Publication of KR20150001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9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65D83/682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 B65D83/687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the products being totally mixed on, or prior to, first use, e.g. by breaking an ampoule containing one of the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장 이전의 보관 과정에서 도료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은,
도료 및 가스 및 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 상단에 위치하고, 외면 일측에 분사구가 마련된 밸브캡;
상기 밸브캡의 분사구로부터 용기 내하부로 이어지는 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 내측에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격벽에 의해 분할된 내부 공간 각각에 도료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가 분리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spray can for two component type paint}
본 고안은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측에 격벽을 마련하여 격벽을 통해 도료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를 분리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분리 수용된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는 도장시에만 혼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장 이전의 보관 과정에서 도료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주요 부위 대부분은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철판은 대기 및 해수와 접하면서 부식되므로 내구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선박 건조 이후 내외부에 도장을 실시하여 철판의 부식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도장 방식 중에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이 있다.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방식은 도료 자체에 고압을 걸어 미세한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것으로, 점도가 높은 도료의 도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선박 도장의 상당 부분이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방식은 선박의 실내 천장 부위 도장에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즉, 선박의 실내 천장 부위에는 각종의 장비가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 및 케이블 등이 통과하고 있어 매우 복잡하므로 상당한 폭으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방식으로 선박의 실내 천장 부위를 도장할 경우 장비, 배관, 케이블 등에 오염이 따르게 되어 도장 이후 장비, 배관, 케이블을 오염시킨 도료를 제거하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야만 했으므로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방식을 선박의 실내 천장 부위 도장에 적용하기에는 곤란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 방식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선박 실내 천장 부위 도장시 롤러 또는 붓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롤러 또는 붓을 이용할 경우 장비, 배관, 케이블의 오염은 방지될 수 있었으나, 롤러 또는 붓으로부터 빠진 털이 도장면에 붙어 도장 결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선박 천장 부위 도장시 등록실용신안 20-0357482호(공고일 2004. 07. 30)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프레이 캔의 이용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프레이 캔은 도장시 에어리스 스프레이 방식에 비해 분사 범위가 좁고 휴대가 용이한 것이어서 선박 실내 천방 부위 도장에 적합한 것이었으나, 일반 스프레이 캔에 이액형 도료가 수용되는 경우 용기 내에서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이루어져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굳어지게 되므로 장시간 보관 이후에는 도료 분사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이액형 도료의 장시간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반 스프레이 캔에 이액형 도료가 수용될 경우 일정 시간 경과 이후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굳어짐에 따라 장시간 보관 이후 도료 분사가 이루어질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은,
도료 및 가스 및 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 상단에 위치하고, 외면 일측에 분사구가 마련된 밸브캡;
상기 밸브캡의 분사구로부터 용기 내하부로 이어지는 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 내측에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격벽에 의해 분할된 내부 공간 각각에 도료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가 분리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기 내에 마련되는 격벽은 박막형으로 되어 볼의 유동에 의해 찢기거나 깨짐에 따라 부분 개방되어 도료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볼은 그 외면에 모가 난 형태의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 내에 마련되는 격벽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은, 용기 내에 마련되는 박막형 격벽에 의해 분리 수용된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가 도료 분사 준비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볼 유동에 의한 박막형 격벽의 부분 개방에 따라 혼합되는 것인바, 평소 보관시에는 도료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가 분리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도료 중의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으로 인한 굳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장시간 보관 이후에도 도료 분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에서 격벽을 통한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의 분리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에서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의 혼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에서 격벽의 다른 설치 형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A)은 용기(10)와, 밸브캡(20)과, 연결관(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는 도료(100) 및 가스(200) 및 볼(300)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용기(10)의 내측에는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1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0) 내측에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11)이 마련됨으로써 격벽(11)에 의해 분할된 공간 각각에 도료(100)를 이루는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를 주입함에 따라 용기(10) 내측에 도료(100)를 이루는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의 분리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10) 내에 마련되는 격벽(11)은 박막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10) 내에 마련되는 격벽(11)이 박막형으로 됨으로써 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볼(300)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유동하게 될 경우 볼(300)이 격벽(11)을 타격함에 따라 격벽(11)이 찢기거나 깨지게 되므로 볼(300) 유동에 의해 격벽(11)의 부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11)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도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격벽(11)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더라도 용기(10) 내부 공간의 분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용기(10) 내부에 도료(100)를 이루는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의 분리 수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격벽(11) 또한 박막형으로 되는 것이므로 볼(300) 유동에 의해 격벽(11)의 부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에서 볼(300)은 그 외면에 모가 난 돌출부(31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300)의 외면에 모가 난 돌출부(310)가 마련됨으로써 볼(300) 유동시 모가 난 돌출부(310)가 격벽(11)을 타격하게 되므로 볼(300) 유동에 의한 격벽(11)의 찢김 또는 깨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10)는 내부에 격벽(11)이 마련되는 것과, 볼(300) 외면에 모가 난 돌출부(310)가 마련되는 것 외에 일반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의 용기와 동일한 것인바, 용기(10)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밸브캡(20)은 용기(10)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외면 일측에 분사구(2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밸브캡(20)은 일반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의 밸브캡과 동일한 것인바, 밸브캡(2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연결관(30)은 밸브캡(20)의 분사구(21)로부터 용기(10) 내하부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관(30)은 일반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의 연결관과 동일한 것인바, 연결관(3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A)의 보관 및 사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용기(10) 내부 공간은 격벽(11)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그러므로 격벽(11)에 의해 분할된 공간 각각에 도료(100)를 이루는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를 주입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100)를 이루는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가 분리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격벽(11)에 의해 도료(100)를 이루는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의 분리 수용 상태가 유지되면 보관시 용기(10) 내부에서 도료(100) 중의 주제(110)와 경화제(120)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므로 도료(100) 중의 주제(110)와 경화제(120)의 혼합으로 인한 굳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도료(100)를 이루는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의 분리 수용 상태 유지는 도료(100) 분사시 간단히 해제되는 것인바, 장시간 보관 이후에도 도료(100) 분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격벽(11)은 박막형으로 된 것이고, 용기(10) 내에는 볼(300)이 수용되어 있는바, 도장 작업에 앞서 용기(10)를 흔들어주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 내에 수용된 볼(300)이 박막형으로 된 격벽(11)을 타격하게 되어 볼(300)의 타격에 의해 격벽(11)이 찢기거나 깨지면서 격벽(11)의 부분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격벽(11)의 부분 개방 부위를 통해 분리 수용 상태에 있던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볼(300)은 외면에 모가 난 돌출부(310)가 마련된 것인바, 용기(10) 내에서 볼(300)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볼(300)의 돌출부(310)가 격벽(11)을 타격하게 되어 격벽(11)이 쉽게 찢기거나 깨질 수 있게 되므로 볼(300) 유동에 의한 격벽(11)의 부분 개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격벽(11)이 볼(300) 유동에 의해 부분 개방되어 격벽(11)의 부분 개방 부위를 통해 분리 수용된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의 혼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용기(10) 상단의 밸브캡(20)을 개방시키게 되면 용기(10) 내에 충전된 가스(200)의 압력에 의해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가 혼합된 이액형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도장 대상면에 이액형 도료의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A)은, 용기(10) 내에 마련되는 박막형 격벽(11)에 의해 분리 수용된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가 도료(100) 분사 준비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볼(300) 유동에 의한 박막형 격벽(11)의 부분 개방에 따라 혼합되는 것인바, 평소 보관시에는 도료(100)를 이루는 주제(110)와, 경화제(120)와, 용제(130)가 분리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도료(100) 중의 주제(110)와 경화제(120)의 혼합으로 인한 굳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장시간 보관 이후에도 도료(100) 분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용기 11 : 격벽
20 : 밸브캡 21 : 분사구
30 : 연결관 100 : 도료
110 : 주제 120 : 경화제
130 : 용제 200 : 가스
300 : 볼 310 : 돌출부
A : 스프레이 캔

Claims (4)

  1. 도료 및 가스 및 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 상단에 위치하고, 외면 일측에 분사구가 마련된 밸브캡;
    상기 밸브캡의 분사구로부터 용기 내하부로 이어지는 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 내측에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격벽에 의해 분할된 내부 공간 각각에 도료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가 분리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에 마련되는 격벽은 박막형으로 되어 볼의 유동에 의해 찢기거나 깨짐에 따라 부분 개방되어 도료를 이루는 주제와, 경화제와, 용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볼은 그 외면에 모가 난 형태의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에 마련되는 격벽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KR2020130009357U 2013-11-13 2013-11-13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KR201500019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357U KR20150001945U (ko) 2013-11-13 2013-11-13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357U KR20150001945U (ko) 2013-11-13 2013-11-13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945U true KR20150001945U (ko) 2015-05-22

Family

ID=5351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357U KR20150001945U (ko) 2013-11-13 2013-11-13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945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075A (ko) * 2016-07-15 2018-01-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살상용 액체 수류탄
KR20180062498A (ko) * 2016-11-30 2018-06-11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비살상 화학 탄
KR20180062499A (ko) * 2016-11-30 2018-06-11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비살상 대인저지 탄
KR20210151354A (ko) * 2020-06-05 2021-12-14 한국전력공사 야외 노출 식별표시 잉크 보호용 2액형 도료 스프레이 용기의 충전방법
KR20230031502A (ko) 2021-08-27 2023-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액형 도료 분사 용기
KR20230031503A (ko) 2021-08-27 2023-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액형 도료 분사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075A (ko) * 2016-07-15 2018-01-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살상용 액체 수류탄
KR20180062498A (ko) * 2016-11-30 2018-06-11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비살상 화학 탄
KR20180062499A (ko) * 2016-11-30 2018-06-11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비살상 대인저지 탄
KR20210151354A (ko) * 2020-06-05 2021-12-14 한국전력공사 야외 노출 식별표시 잉크 보호용 2액형 도료 스프레이 용기의 충전방법
KR20230031502A (ko) 2021-08-27 2023-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액형 도료 분사 용기
KR20230031503A (ko) 2021-08-27 2023-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액형 도료 분사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1945U (ko) 이액형 도료 분사용 스프레이 캔
US11975345B2 (en) Coating installation and corresponding coating method
KR101016162B1 (ko) 다 색상 페인트 도포용 분사장치
CN105149195A (zh) 一种新型钢结构油漆施工工艺
CN107825300A (zh) 一种高压弥雾船舶除锈设备及船舶除锈方法
US4022935A (en) Method of spraying sealing composition to interior walls of storage tank
KR101107671B1 (ko) 무용제 청소형 도료 혼합기를 구비한 2액 내부혼합형 폴리우레탄 도장장치
CN105711736A (zh) A型独立液货舱穹顶绝缘的安装方法
CN103025436B (zh) 静电喷涂装置和方法
US9061328B2 (en) Method for cleaning the interior surface of hollow articles
CN106622903A (zh) 一种储水罐内腔防腐工艺
JP2013094758A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JP4652081B2 (ja)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の塗装方法
KR101098473B1 (ko)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KR101566659B1 (ko)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US20170136663A1 (en) Chemical resistant composite support pad mo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pport pad
KR101083270B1 (ko) 뿜칠형 엠보싱 무늬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262052B1 (ko)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KR20150004085U (ko) 기화성 방청볼
JPS5745370A (en) Method for mixing and spraying different kind of liquid
RU2059145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защитн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внутреннюю поверхность трубопровода
JPS6349317Y2 (ko)
CN207593569U (zh) 一种高压弥雾船舶除锈设备
JP2010264350A (ja) 塗料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洗浄方法
KR20060118982A (ko) 도료 도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