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473B1 -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473B1
KR101098473B1 KR1020110032741A KR20110032741A KR101098473B1 KR 101098473 B1 KR101098473 B1 KR 101098473B1 KR 1020110032741 A KR1020110032741 A KR 1020110032741A KR 20110032741 A KR20110032741 A KR 20110032741A KR 101098473 B1 KR101098473 B1 KR 10109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water
sewage
urea res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현
최철현
Original Assignee
(주)경진엔지니어링
최철현
최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진엔지니어링, 최철현, 최재현 filed Critical (주)경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32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pulled into the damaged section and being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pipe by a tool which moves inside along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29C63/341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pressed against the wall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8Lining other than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균일하게 코팅시킬 수 있도록 분사노즐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길이가 서로 다른 1,2차분사노즐을 형성하여 1차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1차로 코팅되면 2차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2차로 코팅되면서 코팅면이 매끄럽게 유지되어 우레아 수지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제1,2탱크가 라이닝차량에 탑재되어 제1,2연결호스와 연결부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과, 도료공급수단의 주제와 경화제가 믹싱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를 통과하면서 하나로 혼합되어 급결 우레아 수지를 형성하고, 우레아 수지는 도료공급라인을 거쳐서 분사노즐로 분사되면 분사노즐의 둘레면에 형성된 스파이럴의 복수의 분사구멍을 통해 우레아 수지가 분사되는 도료분사수단과, 도료공급수단과 도료분사수단을 상,하수도관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polyurea lin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균일하게 코팅시킬 수 있도록 분사노즐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길이가 서로 다른 1,2차분사노즐을 형성하여 1차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1차로 코팅되면 2차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2차로 코팅되면서 코팅면이 매끄럽게 유지되어 우레아 수지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수도 및 하수도의 관체는 매설 년수가 오래될수록 관의 내경에는 여러종류의 이물질이 퇴적되거나, 또는 빗물과 함께 각종 오물이 유입되어 하수도 벽면에 지방, 기름, 그리스와 같은 퇴적물이 고착되는데, 이러한 퇴적물은 하수도의 원활한 배수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시에는 상하수가 역류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관측기구등을 이용하여 하수도에 퇴적물이 쌓인 것으로 확인되면 하수관도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상,하수도관의 갱생공법을 일정기간 마다 시행하고 있다.
상,하수도관의 갱생공법으로 유럽 공개특허 제781606호의 경우 1996. 11. 05.자에 공개된 특허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기초호스(11) 및 첨가제 호스(13)로 코팅의 기본성분 및 첨가제로 구성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은 벨 또는 디스크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회전부재(10)의 경사축부(21)에서 혼합되는데, 이때 분사노즐(12,14)로 분사된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은 2차로 벨구동축(15)에 분사되어 경사축부(21)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면서 혼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9)은 단순히 에어호스(8)와 연결된 에어모터(9)의 전면에 구동축(32)과 벨구동축(15)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부재(10)의 내부에 너트(20)로 고정되는 종래의 유럽특허가 오래전에 사용되고 있었다.
또 다른 상,하수도관의 갱생공법으로는 국내 특허등록 제758131호 상,하수도 노후관의 폴리우레아 라이닝 장치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선등록 특허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 하수도관의 내경을 코팅 처리하는 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가 저장되는 제 1탱크(10) 및 레진이 저장되는 제 2탱크(12)와; 상기 제 1, 2탱크(10, 12)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 1, 2배출호스(20, 22)에 연결되어 이소시아네이트와 레진을각각 공급받는 제 1, 2공급부(28, 30)와; 상기 제 1, 2공급부(28, 30)와 커플러(32)로 체결되며 상기 제 1, 2공급부(28, 30)에서 공급된 이소시아네이트 및 레진을 혼합하는 믹싱부(34)와; 상기 믹싱부(34)와 토출관(36)으로 연결되며 상기 믹싱부(34)에서 혼합 형성된 폴리우레아를 상기 토출관(36)을 통해 공급받는 스파이널(38)과; 상기 스파이널(38)에 결합되는 샤프트(46)를 가지며 외부에서 공급된 에어로 상기 샤프트(46)를 회전시켜 스파이널(38)을 강제 회전시키는 에어모터(42) 및 ; 상기 스파이널(38)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스파이널(3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파이널(38) 내부로 공급된 폴리우레아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40)들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수도 노후관의 폴리우레아 라이닝 장치로 구성된다.
종래의 유럽특허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이 외부의 공기와 1차로 접촉하면서 쉽게 응고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은 벨 또는 디스크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진 회전부재의 경사축부에서 혼합되는데, 이때 분사노즐로 분사된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은 2차로 벨구동축에 분사되어 경사축부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면서 혼합되기 때문에 혼합과정이 원활하지 못하여 작업능률이 떨어지면서 품질의 저하로 인한 부실공사의 위험이 있다.
종래의 유럽특허는 외부에 노출된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은 공기와 접촉하면서 쉽게 응고되기 때문에 경사축부를 따라서 이동 중에 응고되어 액체코팅이 수직으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고 응고된 부분이 링형태로 돌출되어 액체코팅이 사방으로 튀어 구동수단에 도포되는 문제점과 코팅면이 균일하지 못함으로 추가 보수작업을 수행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유럽특허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이 분사되는 압력과 시간 그리고 스프레이 헤드가 당겨지는 율에 따라서 코팅의 두께가 달라지는 문제점과, 60초 내의 겔 타임을 가진다고 하였으나, 60초 내의 겔 타임을 가지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저부로 유체가 흐르지 않도록 충분한 점성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충분한 점성을 유지할 경우 회전부재의 경사축부 내측 벽면에 액체가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면서 점진적으로 코팅층이 두꺼워지면서 수직으로 분사되는 액체의 량이 불규칙하여 보수공사를 추가로 진행해야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유럽특허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국내 특허 제758131호가 등록되었으나, 이 또한 유럽특허와 크게 차이점이 없는 것으로, 국내 선등록특허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레진에 습기 및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질소를 충진시키는 구성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나, 수시로 일정량의 질소를 투입해야 되는 번거로움과 질소의 투입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소시아네이트 및 레진이 응고되어 공사를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선등록특허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레진이 믹싱부에서 혼합되면서 믹싱부의 상부에 연결된 토출관으로 분사되는 구성에서 토출관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양단부가 절곡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폴리우레아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과 토출관이 상,하수도관과 충돌할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선등록특허의 토출관으로 분사되는 폴리우레아는 스파이럴의 내부에 분사되어 회전하는 스파이럴의 원심력에 의해서 분사노즐로 분사되는데, 이때 분사되는 폴리우레아의 경우 토출관의 위치에 따라서 불규칙적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상,하수도관의 코팅면이 불규칙적으로 돌출되는 링현태를 가지므로 폴리우레아가 흘러내려 사방으로 튀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추가 보수작업을 시행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선등록특허는 에어모터의 샤프트와 스파이럴이 결합되는 부분에 폴리우레아가 분사되면서 샤프트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함으로 코팅면의 두께가 불규칙하게 되는 문제점과, 스파이럴의 내부로 분사되는 토출관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상,하수도관의 코팅두께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선등록특허의 토출관은 스파이럴의 일측면에 위치하기 위해 스파이럴의 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므로 폴리우레아의 분사시 분사면적이 제한되어 넓은 면적으로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스파이럴의 회전시 토출관과 간섭이 발생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여 공사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선등록특허는 스파이럴의 전면이 밀폐된 구성으로 샤프트와 스파이럴의 내부에 분사되는 폴리우레아는 스파이럴의 밀폐된 전면과 충돌하면서 에어모터의 후면까지 폴리우레아가 사방으로 튀면서 응고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선등록특허는 폴리우레아의 작업이 완료되면 이소시아네이트 및 레진의 공급이 중단되면서 제1,2공급부와 커플러 및 믹싱부의 내부에 폴리우레아가 응고되어 청소작업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도 있다.
국내 선등록특허는 전체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의 유지보수 작업에 어려움이 많으며, 특히 상,하수도관의 내경의 코팅면이 고르게 유지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추가 보수작업을 수행해야 되는 문제점으로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균일하게 코팅시킬 수 있도록 분사노즐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길이가 서로 다른 1,2차분사노즐을 형성하여 1차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1차로 코팅되면 2차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2차로 코팅되면서 코팅면이 매끄럽게 유지되어 종래에 코팅면에 링(코팅면이 불규칙적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형성되어 우레아 수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제와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1,2탱크의 일측면에 진공부재를 형성하여 제1,2탱크의 내부로 습기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종래에 제1,2탱크의 내부에 질소를 투입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 라이닝장치의 제조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파이럴의 내부 중앙에 분사노즐이 위치하여 스파이럴의 회전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특히 스파이럴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구조를 가짐으로 우레아 수지의 분사시 분사면적이 최대한 넓게 작용하여 빠른 시간에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코팅시킬 수 있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코팅시키는 급결 우레아 수지를 공급 및 분사시키는 도료공급수단의 도료공급라인이 몸체와 회전축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하수도관으로 이동시 내벽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료공급라인에 연결되는 분사노즐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축에 결합된 스파이럴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의 교체작업이 간편하며, 특히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한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료분사수단이 내부에 보호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을 형성하고, 이동수단의 둘레면에 상,하수도관의 벽면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의 완충날개를 형성한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수도관의 내경 코팅작업이 완료되면 제1,2연결호스에 형성된 밸브 중에서 경화제 밸브를 잠그고 주제만 공급시켜 도료공급수단과 도료분사수단의 내부가 응고되지 않도록 한 다음 세정제를 투입하여 도료공급수단과 도료분사수단의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하여 또 다른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노후관 라이닝장치는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코팅 처리하는 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주제와 경화제가 저장된 제1,2탱크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부재가 라이닝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제1,2탱크에 제1,2연결호스의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2연결호스의 단부에 밸브를 형성하여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을 단속하는 도료 공급수단; 상기 연결부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하나로 혼합되어 급결 우레아 수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부에 믹싱부재와 도료공급라인을 결합하고, 상기 도료공급라인을 몸체에 고정하되,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의 일단이 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의 전면까지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의 전면 둘레에 스파이럴의 단부가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몸체의 측면에 에어공급라인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축과 스파이럴을 회전시키고, 상기 도료공급라인의 일단이 회전축을 관통하여 스파이럴의 내부에서 분사노즐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분사노즐의 전면에 돌출길이가 서로 다른 1,2차분사노즐이 형성되어 믹싱부재와 도료공급라인으로 유입된 우레아 수지가 1,2차분사노즐로 분사되면서 상기 스파이럴의 둘레면에 형성된 분사구멍으로 분사되는 도료분사수단; 및 상기 도료분사수단이 이동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투입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연에 복수의 완충날개가 설치되어 상,하수도관의 벽면과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작용을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균일하게 코팅시킬 수 있도록 분사노즐의 상부와 하부에 돌출길이가 서로 다른 1,2차분사노즐을 형성하여 1차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우레아수지를 2차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우레아수지가 연속적으로 코팅함으로써, 20초내에 우레아 수지가 경화되어 빠른시간에 코팅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여 분사시키는 도료공급수단과 도료분사수단이 몸체와 회전축의 중앙을 관통하여 분사노즐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고, 특히 스파이럴의 중앙에 분사노즐이 위치하여 스파이럴의 회전시 간섭 및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켜 공사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파이럴의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면서 후면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구조를 가짐으로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코팅시키는 면적을 최대한 넓게 작업할 수 있는 동시에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스파이럴의 후면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1,2탱크의 내부가 항상 일정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진공부재를 형성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응고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료공급수단과 도료분사수단이 이동수단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상,하수도관의 이동시 벽면과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동수단의 둘레면에 완충날개를 구비하고, 완충날개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의 내부에서 로드가 승강작동하면서 상,하수도관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료공급단계, 도료분사단계 및 도료분사 및 이동단계에 의해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코팅시키는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면서 균일한 두께로 20초 내에 코팅시키는 작업과, 코팅작업이 완료되면 제1,2연결호스에 형성된 밸브 중에서 경화제 밸브를 잠그고 주제만 공급시켜 도료공급수단과 도료분사수단의 내부가 응고되지 않도록 한 다음 세정제를 투입하여 도료공급수단과 도료분사수단의 내부가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는 마무리단계에 의해서 추가 보수작업을 수행하지 않음으로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라이닝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라이닝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라이닝장치의 분리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도료분사수단의 분리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료분사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도료분사수단의 몸체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이동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주제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제1,2탱크(12)(12a)가 라이닝차량(11)에 탑재되어 제1,2연결호스(14)(14a)와 연결부(17)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10)과, 도료공급수단(10)의 주제와 경화제가 믹싱부재(21)에서 혼합되어 급결 우레아 수지를 형성하고, 우레아 수지는 도료공급라인(23)을 거쳐서 분사노즐(29)로 분사되면 분사노즐(29)의 외주연에 형성된 스파이럴(28)의 분사구멍(28a)을 통해 우레아 수지가 분사되는 도료분사수단(20)과, 도료공급수단(10)과 도료분사수단(20)을 상,하수도관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3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코팅시킬 수 있도록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는 도료공급수단(10)은, 주제와 경화제가 저장된 제1,2탱크(12)(12a)의 일측에는 진공부재(13)가 설치되어 제1,2탱크(12)(12a)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주제와 경화제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습기 및 수분과 접촉하게 되면 쉽게 응고되기 때문에 각각 제1,2탱크(12)(12a)에 분리되어 보관되어 있다.
종래에는 주제와 경화제에 수분 및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1,2탱크(12)(12a)의 일측에 질소탱크를 별도로 구비하여 제1,2탱크(12)(12a)의 내부에 질소를 수시로 공급시켜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진공부재(13)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진공부재(13)에는 일정한 유압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제1유압장치(18)가 라이닝차량(11)에 탑재되고, 상기 제1유압장치(18)의 일측에는 제2유압장치(18a)가 형성되어 후술할 에어공급라인(25)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에어호스(19)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2탱크(12)(12a)에는 제1,2연결호스(14)(14a)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부(17)와 연결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며, 상기 제1,2연결호스(14)(14a)의 단부에 밸브(15)(15a)를 형성하여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을 단속하고, 상기 제1,2연결호스(14)(14a)의 내측 양 단부에는 체크밸브(16)(16a)를 형성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역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도료공급수단(10)을 통해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급결 우레아 수지를 형성하는 도료분사수단(20)은, 상기 연결부(17)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하나로 혼합되어 급결 우레아 수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부(17)에 믹싱부재(21)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믹싱부재(21)의 타단은 연결조인트(22)가 결합되어 도료공급라인(23)과 나사체결되며, 상기 믹싱부재(21)의 내부에는 스크류(21a)가 내장되어 연결부(17)를 통과한 주제와 경화제가 스크류(21a)를 통과하면서 급결 우레아 수지가 형성된다.
상기 믹싱부재(21)의 단부에 나사 체결된 연결조인트(22)의 내부에는 도료공급라인(23)의 일단이 나사 체결되면서 몸체(24)의 후면에 도료공급라인(23)의 고정판(23b)이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도료공급라인(23)의 타단은 몸체(24)의 내부에 결합되는 회전축(2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몸체(24)는 내부에 수용부(24a)가 형성되면서 일측면에 편심부(24b)가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수용부(24a)에 삽입되는 회전축(27)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27)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회전날개(27a)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용부(24a)와 편심부(24b)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며, 상기 회전날개(27a)가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24)의 측면에는 에어공급라인(25)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일단이 몸체(24)의 외부로 돌출되어 단부에 에어호스(19)가 결합되면서 에어호스(19)로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공급라인(25)을 거쳐서 수용부(24a)의 벽면에 형성된 에어유입구멍(25a)으로 유입되면 회전축(27)의 회전날개(27a)가 편심부(24b)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회전축(27)이 회전하고, 상기 편심부(24b)의 일측에는 에어퇴출구멍(25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24)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27)의 일단은 몸체(24)의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2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면서 스파이럴(28)의 후면에 형성된 체결구멍(28b)에 볼트가 체결되어 회전축(27)과 스파이럴(28)이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스파이럴(28)은 후술할 분사노즐(29)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둘레면과 후면에 연속적으로 복수의 분사구멍(2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파이럴(28)의 전면은 개방되고, 후면은 밀폐된 구조를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하수도관의 벽면에 도포되는 우레아 수지가 최대한 넓은 면적에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4)와 회전축(27)의 내부를 관통하는 도료공급라인(23)의 일단에는 도료공급관(23a)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파이럴(28)의 내부까지 관통되고, 상기 도료공급관(23a)의 후면에는 고정판(23b)이 형성되어 몸체(24)의 후면에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23b)의 둘레면에는 안착홈(23c)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24)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공급라인(25)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23b)의 후면에는 고정관(23d)이 돌출되어 연결조인트(22)와 나사체결되면서 믹싱부재(21)로 공급된 우레아 수지가 고정관(23d)과 도료공급관(23a)의 내부로 유입되어 스파이럴(28)의 내부에서 분사되는데, 이때 회전축(27)과 함께 회전하는 스파이럴(28)의 분사구멍(28a)으로 우레아 수지가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도료공급관(23a)의 단부에는 분사노즐(29)이 나사체결된다.
상기 분사노즐(29)은 전면이 밀폐되면서 후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도료공급관(23a)의 외주연과 나사체결되고, 상기 분사노즐(29)의 둘레면 상부에 1차분사노즐(29a)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분사노즐(29)의 둘레면 하부에는 2차분사노즐(29b)이 1차분사노즐(29a)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돌출형성되어 1차분사노즐(29a)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1차로 코팅하면 2차분사노즐(29b)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연속적으로 도포되면서 1차 코팅면의 내측을 2차 코팅면이 도포되면서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스파이럴은 대부분이 전면이 밀폐된 구조를 가지면서 스파이럴의 후면에 형성된 분사구멍으로 수지가 분사되는 구성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스파이럴의 내측과 벽면에 수지가 튀면서 사방으로 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스파이럴(28)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1차분사노즐(29a)을 통해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는 스파이럴(28)의 중간부분의 분사구멍(28a)을 통해서 도포되고, 2차분사노즐(29b)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는 스파이럴(28)의 전면 둘레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분사구멍(28a)에서 내측으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분사구멍(28a)을 통해서 균일하게 분사되면서 종래에 코팅면에 링형태로 돌출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료공급수단(10)과 도료분사수단(20)이 상,하수도관을 이동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수단(30)은, 상기 도료분사수단(20)이 이동부재(3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2,3고정링(32)(33)(34)을 전면에서 후면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1,2,3고정링(32)(33)(34)의 내부에는 도료분사수단(20)이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제1고정링(32)의 내부에는 덮개(26)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고정링(32)의 둘레면에 볼트구멍(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3고정링(32)(33)(34)의 둘레면에 복수의 지지판(35)을 일체로 설치하여 제1,2,3고정링(32)(33)(34)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35)의 상부에 복수의 실린더(36)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36)의 내부에는 스프링(36a)의 탄력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로드(37)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37)의 단부에 완충날개(38)가 형성되어 상,하수도관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시 완충날개(38)가 관로 벽면과 충돌하면 스프링(36a)의 탄력에 의해 도료분사수단(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료분사수단(20)의 분사노즐(29)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3고정링(34)의 단부에는 고정고리(39)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고리(39)에는 견인로프(39a)가 연결되어 작업이 완료된 이동수단(30)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35)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36)는 지지판(35)과 볼트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도록 한다.
상,하수도관의 외경의 크기에 따라서 이동수단(30)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고정링(32)의 내부에 고정되는 덮개(26)의 외경이 작을 경우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덮개(26)의 둘레면에 보조링이 더 설치되어 덮개(26)와 볼트로 고절될 수 있도록 추가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하수도 노후관 라이닝장치를 이용한 공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공법은 크게 도료공급단계와 도료분사단계와 도료분사 및 이동단계 및 마무리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도료공급단계는, 라이닝차량(11)을 상,하수도관으로 이동시키고 상,하수도관으로 도료공급수단(10), 도료분사수단(20) 및 이동수단(30)을 순차적으로 투입한 다음 도료공급수단(10)의 제1,2연결호스(14)(14a)에 형성된 밸브(15)(15a)를 개방하면 제1,2탱크(12)(12a)의 주제와 경화제가 제1,2연결호스(14)(14a)와 연결된 연결부(17)로 공급되면서 제1,2탱크(12)(12a)의 내부는 라이닝차량(11)에 탑재된 제1유압장치(18)와 연결된 진공부재(13)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도료분사단계는, 상기 연결부(17)로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는 믹싱부재(21)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21a)를 통과하면서 급결 우레아 수지가 형성되고, 상기 우레아 수지는 믹싱부재(21)와 연결된 도료공급라인(23)을 거쳐서 분사노즐(29)의 1,2차분사노즐(29a)(29b)로 분사되는데, 여기서 1,2차분사노즐(29a)(29b)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코팅시킬 수 있도록 몸체(23)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27)의 일단이 덮개(26)를 관통하여 전면에 스파이럴(28)이 일체로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몸체(23)의 측면에 형성된 에어공급라인(25)에 에어호스(19)가 연결되어 라이닝차량(11)의 제2유압장치(18a)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에어공급라인(25)을 거쳐서 몸체(24)의 내측에 형성된 에어유입구멍(25a)으로 유입되면 회전축(27)의 둘레면에 형성된 회전날개(27a)가 회전하면서 스파이럴(28)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1,2차분사노즐(29a)(29b)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회전하는 스파이럴(28)의 원심력에 의해 스파이럴(28)의 둘레면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멍(28a)을 통해서 상,하수도관의 벽면에 분사되어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균일하게 코팅시킨다.
여기서,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균일하게 코팅시킬 수 있도록 분사노즐(29)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29)은 전면이 밀폐되면서 후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도료공급관(23a)의 둘레면과 나사체결되고, 상기 분사노즐(29)의 둘레면 상부에 1차분사노즐(29a)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분사노즐(29)의 둘레면 하부에 2차분사노즐(29b)이 1차분사노즐(29a)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돌출형성되어 1차분사노즐(29a)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의 표면을 2차분사노즐(29b)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연속적으로 도포되면서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1,2차분사노즐(29a)(29b)로 유입되는 우레아 수지가 스파이럴(28)의 내부 중앙에서 분사될 수 있도록 몸체(24)와 회전축(27)의 중앙을 관통하는 도료공급라인(23)의 도료공급관(23a)은 회전축(27)의 내부를 관통하여 스파이럴(28)의 내부까지 돌출되어 단부에 분사노즐(29)이 나사체결되고, 상기 도료공급관(23a)의 후면에는 고정판(23b)이 형성되어 몸체(24)의 후면에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23b)의 둘레면에 안착홈(23c)이 형성되어 몸체(24)에 형성된 에어공급라인(25)이 관통되면서 에어호스(19)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2유압장치(18a)와 연결되어 공기가 공급되어 회전축(27)과 스파이럴(28)을 함께 회전한다.
상기 도료분사 및 이동단계는, 상,하수도관의 내벽에 우레아 수지를 분사시키는 과정에서 도료분사수단(20)이 내벽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23)와 덮개(26) 그리고 믹싱부재(21)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2,3고정링(32)(33)(34)으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의 둘레면에 지지판(3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35)의 상부에 복수의 실린더(36)와 로드(37)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37)의 단부에 완충날개(38)에 고정되어 상,하수도관의 벽면과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켜 도료분사수단(20)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분사노즐(29)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마무리단계는, 상,하수도관의 내벽에 우레아 수지의 분사작업이 완료되면 제1,2연결호스(14)(14a)에 형성된 밸브(15)(15a) 중에서 경화제 밸브(15a)를 잠그고 주제만 공급시켜 도료공급수단(10)과 도료분사수단(20)의 내부가 응고되지 않도록 한 다음 세정제를 투입하여 도료공급수단(10)과 도료분사수단(20)의 내부를 청소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쉽게 응고되어 청소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료공급수단(10)과 도료분사수단(20)의 내부 청소작업이 완료되면 견인로프(39a)를 잡아당겨 모든 장비를 철수시켜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노후관 라이낭징치 및 공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도료공급수단 11: 라이닝차량
12,12a: 제1,2탱크 13: 진공부재
14,14a: 제1,2연결호스 15,15a: 밸브
16,16a: 체크밸브 17: 연결부
18,18a: 제1,2유압장치 19: 에어호스
20: 도료분사수단 21: 믹싱부재
21a: 스크류 22: 연결조인트
23: 도료공급라인 23a: 도료공급관
23b: 고정판 23c: 안착홈
23d: 고정관 24: 몸체
24a: 수용부 24b: 편심부
25: 에어공급라인 25a: 에어유입구멍
25b: 에어퇴출구멍 26: 덮개
27: 회전축 27a: 회전날개
28: 스파이럴 28a: 분사구멍
28b: 체결구멍 29: 분사노즐
29a: 1차분사노즐 29b: 2차분사노즐
30: 이동수단 31: 이동부재
32: 제1고정링 32a: 볼트구멍
33: 제2고정링 34: 제3고정링
35: 지지판 36: 실린더
36a: 스프링 37: 로드
38: 완충날개 39: 고정고리
39a: 견인로프

Claims (15)

  1. 상,하수도관의 내경을 코팅 처리하는 라이닝 장치에 있어서,
    주제와 경화제가 저장된 제1,2탱크(12)(12a)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부재(13)가 라이닝차량(11)에 설치되고, 상기 제1,2탱크(12)(12a)에 제1,2연결호스(14)(14a)의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연결부(17)와 연결되고, 상기 제1,2연결호스(14)(14a)의 단부에 밸브(15)(15a)를 형성하여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을 단속하는 도료공급수단(10);
    상기 연결부(17)로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하나로 혼합되어 급결 우레아 수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부(17)에 믹싱부재(21)와 도료공급라인(23)을 결합하고, 상기 도료공급라인(23)을 몸체(24)에 고정하되, 상기 몸체(24)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27)의 일단이 몸체(24)의 전면에 결합되는 덮개(26)의 전면까지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27)의 전면 둘레에 스파이럴(28)의 단부가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몸체(24)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몸체(24)의 측면에 에어공급라인(25)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축(27)과 스파이럴(28)을 회전시키고, 상기 도료공급라인(23)의 일단이 회전축(27)을 관통하여 스파이럴(28)의 내부에서 분사노즐(29)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분사노즐(29)의 전면에 돌출길이가 서로 다른 1,2차분사노즐(29a)(29b)이 형성되어 믹싱부재(21)와 도료공급라인(23)으로 유입된 우레아 수지가 1,2차분사노즐(29a)(29b)로 분사되면서 상기 스파이럴(28)의 둘레면에 형성된 분사구멍(28a)으로 분사되는 도료분사수단(20); 및
    상기 도료분사수단(20)이 이동부재(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수도관의 내부로 투입되고, 상기 이동부재(31)의 외주연에 복수의 완충날개(38)가 설치되어 상,하수도관의 벽면과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작용을 하는 이동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차량(11)은 제1,2탱크(12)(12a)의 일측에 제1,2유압장치(18)(18a)를 설치하고 상기 제1유압장치(18)는 진공부재(13)와 연결된 제1,2탱크(12)(12a)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제2유압장치(18a)는 상기 에어공급라인(25)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에어호스(19)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호스(14)(14a)의 내측 양 단부에 체크밸브(16)(16a)를 형성하여 주제와 경화제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재(21)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스크류(21a)가 형성되고, 상기 믹싱부재(21)의 단부에 연결조인트(22)가 형성되어 도료공급라인(23)의 단부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수단(20)은 몸체(24)의 내부에 수용부(24a)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24a)의 일측면에 편심부(24b)를 연장 형성하여 회전축(27)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회전날개(27a)가 회전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에어공급라인(25)과 연결되는 몸체(24)의 내부에 에어유입구멍(25a)이 형성되고, 상기 편심부(24b)의 측면에 에어퇴출구멍(2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공급라인(23)은 전면으로 도료공급관(23a)이 돌출되어 상기 몸체(24)와 회전축(27)의 중앙을 관통하여 단부에 분사노즐(29)이 나사체결되고, 상기 도료공급관(23a)의 후면에 고정판(23b)이 형성되어 몸체(24)의 후면에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23b)의 둘레면에 안착홈(23c)이 형성되어 몸체(24)에 형성된 에어공급라인(25)이 관통되고, 상기 고정판(23b)의 후면에 고정관(23d)이 돌출되어 상기 연결조인트(22)와 나사체결되며, 상기 고정관(23d)와 도료공급관(23a)의 내부가 중공되어 우레아 수지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28)은 전면이 개방되면서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7)의 외주연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스파이럴(28)의 후면 둘레에 체결구멍(28b)이 형성되며, 상기 스파이럴(28)의 전면 둘레면과 후면에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복수의 분사구멍(28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9)은 전면이 밀폐되면서 후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도료공급관(23a)의 외주연과 나사체결되고, 상기 분사노즐(29)의 둘레면 상부에 1차분사노즐(29a)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분사노즐(29)의 둘레면 하부에 2차분사노즐(29b)이 1차분사노즐(29a)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돌출형성되어 1차분사노즐(29a)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의 표면을 2차분사노즐(29b)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연속적으로 도포되면서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0)의 이동부재(31)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2,3고정링(32)(33)(34)이 전면에서 후면으로 이격되면서 내부에 도료분사수단(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링(32)의 내부에 설치되는 덮개(26)가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둘레면에 볼트구멍(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2,3고정링(32)(33)(34)의 둘레면에 복수의 지지판(35)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35)의 상부에 복수의 실린더(36)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36)의 내부에 스프링(36a)의 탄력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로드(37)가 설치되며, 상기 로드(37)의 단부에 완충날개(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링(34)의 단부에 고정고리(39)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고리(39)에 견인로프(39a)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5)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36)는 지지판(35)과 볼트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링(32)의 내부에 고정되는 덮개(26)의 외경이 작을 경우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덮개(26)의 둘레면에 보조링이 더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13. 라이닝차량(11)을 상,하수도관으로 이동시키고 상,하수도관으로 도료공급수단(10), 도료분사수단(20) 및 이동수단(30)을 순차적으로 투입한 다음 도료공급수단(10)의 제1,2연결호스(14)(14a)에 형성된 밸브(15)(15a)를 개방하면 제1,2탱크(12)(12a)의 주제와 경화제가 제1,2연결호스(14)(14a)와 연결된 연결부(17)로 공급되는 도료공급단계;
    상기 연결부(17)로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는 믹싱부재(21)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21a)를 통과하면서 급결 우레아 수지가 형성되고, 우레아 수지는 상기 믹싱부재(21)와 연결된 도료공급라인(23)을 거쳐서 분사노즐(29)의 1,2차분사노즐(29a)(29b)로 분사되되, 상기 도료공급라인(23)은 몸체(23)의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축(27)의 일단이 덮개(26)를 관통하여 전면에 스파이럴(28)이 고정되고, 상기 몸체(23)의 일측에 형성된 에어공급라인(25)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회전축(27)의 둘레면에 형성된 회전날개(27a)가 회전하면서 회전축(27)에 고정된 스파이럴(28)이 함께 회전하여 1,2차분사노즐(29a)(29b)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스파이럴(28)의 둘레면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멍(28a)으로 분사되어 상,하수도관의 벽면을 균일하게 코팅시키는 도료분사단계;
    상,하수도관의 내벽에 우레아 수지를 분사시키는 과정에서 도료분사수단(20)이 내벽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몸체(23)와 덮개(26) 그리고 믹심부재(21)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2,3고정링(32)(33)(34)으로 이루어진 이동수단(30)의 둘레면에 지지판(3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35)의 상부에 복수의 실린더(36)와 로드(37)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37)의 단부에 완충날개(38)에 고정되어 상,하수도관의 벽면과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도료분사 및 이동단계; 및
    상,하수도관의 내벽에 우레아 수지의 분사작업이 완료되면 제1,2연결호스(14)(14a)에 형성된 밸브(15)(15a) 중에서 경화제 밸브(15a)를 잠그고 주제만 공급시켜 도료공급수단(10)과 도료분사수단(20)의 내부가 응고되지 않도록 한 다음 세정제를 투입하여 도료공급수단(10)과 도료분사수단(20)의 내부를 청소하는 마무리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공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단계에서 도료공급라인(23)은 전면으로 도료공급관(23a)이 돌출되어 상기 몸체(24)와 회전축(27)의 중앙을 관통하여 단부에 분사노즐(29)이 나사체결되고, 상기 도료공급관(23a)의 후면에 고정판(23b)이 형성되어 몸체(24)의 후면에 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23b)의 둘레면에 안착홈(23c)이 형성되어 몸체(24)에 형성된 에어공급라인(25)이 관통되고, 상기 고정판(23b)의 후면에 고정관(23d)이 돌출되어 상기 연결조인트(22)와 나사체결되며, 상기 고정관(23d)와 도료공급관(23a)의 내부가 중공되어 우레아 수지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공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단계에서 분사노즐(29)은 전면이 밀폐되면서 후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도료공급관(23a)의 둘레면과 나사체결되고, 상기 분사노즐(29)의 둘레면 상부에 1차분사노즐(29a)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분사노즐(29)의 둘레면 하부에 2차분사노즐(29b)이 1차분사노즐(29a)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돌출형성되어 1차분사노즐(29a)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의 표면을 2차분사노즐(29b)에서 분사되는 우레아 수지가 연속적으로 도포되면서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공법.
KR1020110032741A 2011-04-08 2011-04-08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KR10109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41A KR101098473B1 (ko) 2011-04-08 2011-04-08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41A KR101098473B1 (ko) 2011-04-08 2011-04-08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473B1 true KR101098473B1 (ko) 2011-12-26

Family

ID=4550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741A KR101098473B1 (ko) 2011-04-08 2011-04-08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4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844B1 (ko) 2013-08-16 2014-01-10 최재현 대형 상수도 노후관의 라이닝 장치 및 공법
KR101547232B1 (ko) 2014-11-24 2015-08-26 한국과학기술원 노후 배관의 라이닝 스프레이 이동장치
KR102196067B1 (ko) * 2019-07-11 2020-12-29 김민영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796A (ja) 2000-09-27 2002-04-09 Tokyo Gas Co Ltd 管内ライニング工法
KR100758131B1 (ko) 2006-11-10 2007-09-14 중앙산업 (주) 상, 하수도 노후관의 폴리우레아 라이닝 장치.
KR100923027B1 (ko) 2009-04-06 2009-10-22 동도기공 주식회사 대구경 노후 상수관의 폴리우레아 도포 보수방법 및 그 장치
KR101004092B1 (ko) 2010-03-31 2010-12-27 최재현 라이닝 장치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796A (ja) 2000-09-27 2002-04-09 Tokyo Gas Co Ltd 管内ライニング工法
KR100758131B1 (ko) 2006-11-10 2007-09-14 중앙산업 (주) 상, 하수도 노후관의 폴리우레아 라이닝 장치.
KR100923027B1 (ko) 2009-04-06 2009-10-22 동도기공 주식회사 대구경 노후 상수관의 폴리우레아 도포 보수방법 및 그 장치
KR101004092B1 (ko) 2010-03-31 2010-12-27 최재현 라이닝 장치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공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844B1 (ko) 2013-08-16 2014-01-10 최재현 대형 상수도 노후관의 라이닝 장치 및 공법
KR101547232B1 (ko) 2014-11-24 2015-08-26 한국과학기술원 노후 배관의 라이닝 스프레이 이동장치
KR102196067B1 (ko) * 2019-07-11 2020-12-29 김민영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62559B2 (en)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erosion in frac applications
KR101098473B1 (ko)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KR200401001Y1 (ko) 관로 보수용 미장장치
CN110665720B (zh) 一种用于桥梁防锈漆修补的桥梁机械
KR101347844B1 (ko) 대형 상수도 노후관의 라이닝 장치 및 공법
KR100997943B1 (ko) 관체의 2액형 도장장치
CN206123460U (zh) 一种水汽磨料喷砂机
JP4185815B2 (ja) 地盤改良工法に使用するモニター装置
CN209812772U (zh) 一种用于道路建设的泡沫混凝土施工装置
CN101357272B (zh) 浓密机
CN214832686U (zh) 一种高压灌浆设备的灌嘴
LU502016B1 (en) Rust removal sprayer head for wire rod
JPS6243728Y2 (ko)
KR101369680B1 (ko) 노후관로 변형에 따른 작업성이 용이한 2액형 도료 도장장치
CN101357274B (zh) 浓密机
TWI706805B (zh) 噴管及脫硫裝置
CN209510339U (zh) 高压空气多管式混凝土喷射装置
KR101903936B1 (ko) 관로 도막형성용 도료분사장치
CN109318367A (zh) 一种清洁型混凝土加工设备
KR20160027688A (ko) 보수재 손실 감소형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내면 보수공법
CN216661108U (zh) 一种储油罐专用旋转喷射搅拌器
CN209443729U (zh) 一种建筑工程用混凝土墙面喷淋装置
CN211437208U (zh) 一种铣刨机械用高压冲洗装置
CN207211661U (zh) 一种墙面砂浆喷涂机清洗机
CN217678519U (zh) 一种不平整公路路面修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