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067B1 -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067B1
KR102196067B1 KR1020190083871A KR20190083871A KR102196067B1 KR 102196067 B1 KR102196067 B1 KR 102196067B1 KR 1020190083871 A KR1020190083871 A KR 1020190083871A KR 20190083871 A KR20190083871 A KR 20190083871A KR 102196067 B1 KR102196067 B1 KR 10219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bstacle
main body
roller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김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영 filed Critical 김민영
Priority to KR102019008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관로 내 이물질이나 단턱 또는 천공 등의 장애물을 극복하고 전진하여, 보수부위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는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관로 내에 삽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관로 내주면에 구름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부, 상기 본체가 상기 관로 내에서 이동될 때 상기 롤러보다 더 먼저 장애물과 접촉되어 장애물을 극복하는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Apparatus for Mending the Pipe-line in Non-Excavating Type having Overcoming Obstacles}
본 발명은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 내 이물질이나 단턱 또는 천공 등의 장애물을 극복하고 전진하여, 보수부위에 도달할 수 있는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지중에 상하수도관 및 가스관과 같은 여러가지 관로(10)가 매설되고 있다. 이러한 배관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노후화되어 부식이나 균열, 또는 천공(14)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매설된 관로(10)에 파손이 일어나는 경우, 상수도 또는 하수도 등이 누설될 수 있으며, 이는 자원의 낭비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주변 토양을 오염시킬 수도 있고, 누수된 물로 인해 토사유실이 발생하여 관로(10)의 파손을 더 크게 진행시킬 수도 있거나 심한 경우 지반침하로 이어질 수 있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매설된 관로(10)는 적절한 관리가 필요한데, 관로(10)가 파손될 때 마다 굴착하여 신품의 관로(10)를 배설하는 것은 공사비용이 많이 들고 공사기간도 증가하여 여러 불편과 낭비가 있어 최근에는 관로(10)의 파손된 부분이 크지 않은 경우, 해당 부분만 부분보수하는 방법을 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도 1은 관로(10)의 부분보수시 사용되는 관로보수장치(50)가 관로(10) 내를 주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보수장치(50)가 매설된 관로(10) 내를 주행하면서 관로(10)가 파손된 위치까지 이동한 후, 해당위치에서 라이너를 팽창시켜 관로(10)의 내주면에 밀착시킴으로써 파손부위를 보수하도록 구비된다.
그런데, 관로보수장치(50)가 파손부위에 라이너를 위치시키려면, 파손부위가 관로보수장치(50)의 본체의 중앙부분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관로보수장치(50)의 전단부가 파손부위를 지나쳐야 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부위에 천공(14)이 있는 경우에는, 관로보수장치(50)의 롤러(60)가 천공(14)부위에 빠지게 되어 천공(14)부위를 지나가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0) 내에 단턱(16)이 생기거나 이물질이 존재할 때, 단턱(16)의 높이가 롤러(60)의 크기보다 높은 경우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98069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로 내 천공부위나 단턱 및 이물질 등의 장애물을 극복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진행할 수 있는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국착식 관로 보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관로 내에 삽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관로 내주면에 구름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부, 상기 본체가 상기 관로 내에서 이동될 때 상기 롤러보다 더 먼저 장애물과 접촉되어 장애물을 극복하는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은,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롤러부보다 더 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로의 단면 중심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의 하단은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관로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 전측에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의 폭은 상기 롤러의 윤거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상기 경사부의 전측 끝단을 절곡되어 진행방향과 수직한 범퍼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평면이거나 또는 전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커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원추의 일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 외측 둘레에 구비되며,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외측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팽창에 의해 관로 내주면에 밀착되는 라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에 따르면, 관로 내 주행 중에 천공 부위 및 단턱 등을 만나게 되더라도 장애물 극복유닛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넘어갈 수 있어 관로 보수 장치를 원하는 위치까지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보수해야 할 관로 내를 주행하는 종래의 관로 보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관로내 천공부위에 바퀴가 빠진 상태의 관로 보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관로내 단턱 부위에 걸려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의 관로 보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4의 장애물 극복유닛과 롤러를 도시한 확대도 이다.
도 6은 도 4의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의 평면도 이다.
도 7은 도 4의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가 관로의 천공부위를 극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가 관로의 단턱부위를 극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의 장애물 극복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의 장애물 극복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의 장애물 극복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보수장치(100)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보수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튜브(150), 라이너(160), 롤러부(120) 및 장애물 극복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보수장치(100)는 관로(10) 내 천공(14)이나 크랙 등의 파손이 발생한 부위의 관로(10) 내주면(12)에 라이너(160)를 설치하여 수밀층을 형성함으로써 관로(10)의 파손부위를 보수하는 장치이다.
상기 본체(110)는 관로(10) 내 삽입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로(1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관로(10)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소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를 갖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등 본체(110)의 형상에 제한 받지 아니한다.
상기 튜브(150)는 상기 본체(1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며, 공기나 물 등의 유체 충진여부에 따라 관로(10) 내주면(12)을 향하여 팽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150)는 탄성력이 있으며 기밀이 가능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150)의 상기 관로(10) 내주면(12)을 향하는 외주면 둘레에는 라이너(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160)는 튜브(150)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어 튜브(150)의 팽창과 함께 팽창되면서 상기 관로(10) 내주면(12)에 밀착되어 관로(10)의 파손부위를 수밀함으로써 보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이너(160)는 수지가 함침된 FRP보강재,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형성되며 수밀층을 형성하는 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160)가 관로(10) 내주면(12)에 밀착된 후에는 상기 수지가 경화되어 밀착된 상태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라이너(160)는 이와는 다르게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 알려진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튜브(150) 및 라이너(160)는 상기 본체(11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튜브(150)를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가 주입되는 유체주입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유체주입관(미도시)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튜브(150)로 안내하는 내부 배관(미도시)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본체(110)를 상기 관로(10) 내주면(12)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구름 지지하는 롤러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120)는 상기 본체(110)로부터 관로(10) 내주면(12)을 향하여 연장된 롤러 지지대(122) 및 상기 롤러 지지대(12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관로(10) 내주면(12)과 접하는 롤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본체(110)가 관로(10) 내주면(12)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적어도 한 쌍이 일정간격 이격 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쌍의 롤러(124)가 이격된 폭(144)을 윤거(128)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130)은, 상기 본체(110)가 관로(10) 내에서 진행될 때 상기 롤러(124)보다 더 먼저 장애물과 접촉되어 상기 롤러(124)가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13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진행방향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부(120)보다 더 전측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롤러(124)보다 더 먼저 장애물과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애물이란 관로(10)가 파손되어 발생한 천공(14) 또는 단턱(16) 등, 상기 롤러(124)가 지나가기 어려운 것들의 총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130)은 결합부(132), 연장부(134) 및 경사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2)는 상기 본체(110)의 전측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132)는 상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110)의 전방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2)는 상기 롤러부(120)의 롤러(124)가 상기 관로(10)의 내주면(12)과 접촉하는 지점보다 더 전방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32)로부터 하방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때, 상기 연장부(134)의 하단부(136)와 상기 롤러(124)의 수평간격은 좁을수록 유리하나 간격이 너무 좁으면 상기 연장부(134)와 롤러(124)간에 이물질이 끼일 경우 롤러(124)가 구름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간격이 너무 멀면 연장부(134)와 롤러(124)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38)는 상기 연장부(134)로부터 상기 본체(110)의 진행방향 전방측으로 연장되며, 그 전방측 끝단이 상기 관로(10)의 단면 중심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부(138)는 그 하단부(136)가 상기 롤러(124)가 롤러 지지대(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126)과 상기 관로(10)의 내주면(12)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부(138)의 하단부(136)는 상기 롤러(124)의 회전축(126)보다 더 관로(10)의 내주면(12)과 가까우며 상기 관로(10)의 내주면(12)과는 닿지 않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138)의 폭(144)은 상기 본체(110)의 전측에 구비된 롤러(124)의 윤거(128)와 같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부(138)의 최대 폭이 형성되는 지점은 상기 경사부(138)의 롤러(124)와 최근접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부(138)의 하단 또한 상기 경사부(138)의 롤러(124)와 최근점한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전방측의 관로(10)에 천공(14) 형태의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상기 경사부(138)가 천공(14)의 테두리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롤러(124)가 천공(14)에 빠져 전진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130)의 경사부(138)가 천공(14)의 테두리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가 계속 전진하면 상기 본체(110)의 전측이 상기 경사부(138)의 경사를 따라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며, 이윽고 상기 본체(110) 전측에 구비된 롤러(124)가 천공(14)의 테두리에 닿음으로써 장애물이 극복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전방측의 관로(10)에 단턱(16)이 존재할 경우,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130)의 경사부(138)가 단턱(16)의 끝단에 지지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가 계속 전진하면 상기 본체(110)의 전측이 상기 경사부(138)의 경사를 따라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며, 이윽고 상기 본체(110) 전측에 구비된 롤러(124)가 단턱(16)의 끝단에 닿음으로써 장애물이 극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부(138)의 하단부(136)가 상기 롤러(124)의 회전축(126)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롤러(124)의 회전축(126)보다 아랫측의 둘레가 상기 장애물과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롤러(124)가 장애물을 굴러서 상기 장애물을 타고 넘어갈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130)은 범퍼(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퍼(142)는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130)이 장애물에 박혀서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경사부(138)의 전측 끝단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퍼(142)는 상기 경사부(138)의 전측 끝단이 진행방향과 수직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진행방향 끝단이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첨단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애물에 박히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130)은 상기 본체(110)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므로, 무게중심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기 위하여 되도록 경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이나 오수 또는 화학물질 등이 잔존하는 관로(10) 내에서 작업하므로 부식이나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충분한 강성 및 내마모성을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장애물의 표면과 구름 지지되는 것이 아닌 마찰하게 되므로 상기 경사부(138)의 하측표면은 요철없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130)은 상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로(10)내 장애물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적합한 크기 및 형태의 장애물 극복유닛(130)을 선택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보수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보수장치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장애물 극복유닛(130)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에 비하여, 장애물 극복유닛(230)의 형태가 상이하며 다른 부분은 동일하므로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23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230)도 전술한 제1실시예의 장애물 극복유닛(130)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2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제1실시예의 장애물 극복유닛(130)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상기 경사부(238)에 슬릿(23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부(238)에 슬릿(239)이 형성되면, 전체적으로 무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경사부(238)에 탄성력을 더 부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보수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보수장치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애물 극복유닛(33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130)은 상기 경사부(138)가 평면을 형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330)의 경사부(338)는 전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커지도록 곡선으로 만곡된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보수장치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보수장치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애물 극복유닛(43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극복유닛(43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438)의 외면이 원추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원추를 절반으로 자른 형태를 가지며, 만곡된 호를 가지는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추의 절반보다 더 크거나 작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부(438)가 원추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본체(110)의 진행방향 전방뿐만 아니라 측방에 형성된 장애물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원추 형태의 경사부(438) 전방 끝단이 뾰족한 첨단을 형성하지 않도록 뭉툭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경사부(338) 전방 끝단에 몸체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평면 형태의 범퍼(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관로 12: 관로의 내주면
14: 천공 16: 단턱
50: 관로보수장치 60: 롤러
100: 장애물 극복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
110: 본체 120: 롤러부
122: 롤러 지지대 124: 롤러
126: 회전축 128: 윤거
130: 장애물 극복유닛 132: 결합부
134: 연장부 136: 하단부
138: 경사부 142: 범퍼
144: 폭 150: 튜브
160: 라이너 230: 장애물 극복유닛
238: 경사부 239: 슬릿
330: 장애물 극복유닛 338: 경사부
430: 장애물 극복유닛 438: 경사부

Claims (10)

  1. 관로 내에 삽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관로 내주면에 구름 지지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부;
    상기 본체가 상기 관로 내에서 이동될 때, 상기 롤러보다 더 먼저 장애물과 접촉되어 상기 장애물을 극복하는 장애물 극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로의 단면 중심측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극복유닛은,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롤러부보다 더 전측에 구비되는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하단은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상기 관로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되는 비굴착식 관로 보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 전측에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의 폭은 상기 롤러의 윤거와 같거나 큰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전측 끝단을 절곡되어 진행방향과 수직한 범퍼를 형성하는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평면인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전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커지도록 만곡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원추의 일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측 둘레에 구비되며, 유체 주입에 의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튜브;
    상기 튜브의 외측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팽창에 의해 관로 내주면에 밀착되는 라이너를 더 포함하는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KR1020190083871A 2019-07-11 2019-07-11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KR10219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71A KR102196067B1 (ko) 2019-07-11 2019-07-11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71A KR102196067B1 (ko) 2019-07-11 2019-07-11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067B1 true KR102196067B1 (ko) 2020-12-29

Family

ID=7409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71A KR102196067B1 (ko) 2019-07-11 2019-07-11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54B1 (ko) * 2021-12-14 2023-0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율형 이동체와 다자유도 머니퓰레이터를 활용한 공동구 내부 손상 탐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73B1 (ko) * 2011-04-08 2011-12-26 (주)경진엔지니어링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KR101272127B1 (ko) * 2012-05-31 2013-06-07 (주)아록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단차 극복용 보수패커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부분 보수공법
KR101547232B1 (ko) * 2014-11-24 2015-08-26 한국과학기술원 노후 배관의 라이닝 스프레이 이동장치
KR101640005B1 (ko) * 2016-01-19 2016-07-18 지인건설주식회사 스마트패커를 이용한 관로 부분 보수공법
KR101980693B1 (ko) 2018-10-05 2019-05-22 주식회사 에이이 노후관로 보강용 라이너 튜브의 견인이 가능한 무인 자주대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73B1 (ko) * 2011-04-08 2011-12-26 (주)경진엔지니어링 상,하수도 노후관의 라이닝장치 및 공법
KR101272127B1 (ko) * 2012-05-31 2013-06-07 (주)아록이엔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단차 극복용 보수패커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부분 보수공법
KR101547232B1 (ko) * 2014-11-24 2015-08-26 한국과학기술원 노후 배관의 라이닝 스프레이 이동장치
KR101640005B1 (ko) * 2016-01-19 2016-07-18 지인건설주식회사 스마트패커를 이용한 관로 부분 보수공법
KR101980693B1 (ko) 2018-10-05 2019-05-22 주식회사 에이이 노후관로 보강용 라이너 튜브의 견인이 가능한 무인 자주대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54B1 (ko) * 2021-12-14 2023-01-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율형 이동체와 다자유도 머니퓰레이터를 활용한 공동구 내부 손상 탐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8168A1 (en) Trenchless rehabilitation system for deformation of large diameter HDPE pipelines and method thereof
JP5602737B2 (ja) 製管機及び製管方法
KR101359448B1 (ko) 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공법
US201700958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pressure water treatment of the inside of a pipe section
KR102196067B1 (ko) 장애물 극복 유닛이 구비된 비굴착식 관로 보수장치
JP6917742B2 (ja) 管路の更生方法
US6073659A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moving liquid from underground cavity by directional drilling
JPH10292881A (ja) 管の更新工法及びその装置
FI125880B (fi) Työkalu ja menetelmä putkiston saneeraamiseen
KR101547232B1 (ko) 노후 배관의 라이닝 스프레이 이동장치
KR101515163B1 (ko) 하수관로 보수장치
KR20090111981A (ko)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JP2520240B2 (ja) 配管内鋼管布設工法
KR100807803B1 (ko) 노후된 비정원 관로 세관용 자주차
JP5854808B2 (ja) 既設管路の更生方法
KR101231875B1 (ko) 락볼트 및 그 압력유체공급기
KR100631856B1 (ko) 신축 가능한 슬리브를 구비한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JP2017020542A (ja) 配管の補修方法
KR200407553Y1 (ko)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기
KR100963307B1 (ko) 상하수도 보수용 견인장치
KR102671277B1 (ko) 상하수도관 보수용 튜브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 공법
JPH09201560A (ja) 配管内面のライニング方法及びライニング装置
JP7429414B2 (ja) 更生管の接続方法
JP2021084245A (ja) 更生用ライナーの既設管への挿入ガイド装置
JP2019018430A (ja) 更生管の製管方法及び摩擦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